KR20170046122A -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122A
KR20170046122A KR1020170051832A KR20170051832A KR20170046122A KR 20170046122 A KR20170046122 A KR 20170046122A KR 1020170051832 A KR1020170051832 A KR 1020170051832A KR 20170051832 A KR20170051832 A KR 20170051832A KR 20170046122 A KR20170046122 A KR 2017004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image portion
im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719B1 (ko
Inventor
최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5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7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입력 장치,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 장치 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제1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가 갖는 방향성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멀티 터치 조작을 통해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또는 컨텐츠 아이템을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METHOD FOR ROTATING A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MULTI TOUCH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UI(User Interfa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들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에는 다양한 터치 UI가 탑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UI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특정 동작 및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으며, 멀치 터치 인터페이스 등도 개발되었다.
즉, 최근 출시되고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들은 상기 표시 기능 및 입력 기능의 구현을 위한 터치 UI에 사용자 편의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에 기반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조작의 편리성을 갖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에 기반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멀티 터치 조작을 통해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또는 컨텐츠 아이템을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는 단말기 및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 상기 터치 입력 장치 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제1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가 갖는 방향성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터치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 상에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가 갖는 방향성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들 중,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멀티 터치에 따라 지정되는 정보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 모두에 동일 방향성을 갖는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방향성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된 정보 영역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조작의 편리성을 갖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에 기반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멀티 터치 조작을 통해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또는 컨텐츠 아이템을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는 단말기 및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의 적용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고정 단말기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115)(예를 들어,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조작 유닛들(도 2의 131,13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은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리시버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공간 활용성의 증대,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대 요구, 디자인적 고려에 의해 터치 스크린 방식이 다수 채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입력부(130)가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면(全面)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 방향성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예를 들어, USIM 등)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터치 동작의 인식,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과 관련하여 이와 연관되는 구성부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터치가 입력 되고[S110],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접촉 상태가 유지된 상황에서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S120],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가 갖는 방향성에 근거하여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킴에 의한다. 여기서, 터치가 유지된 상태란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접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3에서는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구성과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 하나로 통합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이하 이와 같음)하고 있지만,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즉, 터치 입력 장치)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와 별개로 분리된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도 3의 순서도에 따르는 일 적용례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제1 터치가 고정된 접촉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상황에서,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이루어지는 "멀티 터치 케이스"를 상정한 것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지도 검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맵(map)이 표시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터치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상기 제2 터치는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맵 상의 제1 위치(CP1)를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제2 위치(CP2)를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따른 멀티 터치가 이루어졌음을 인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그 접촉 위치를 상기 제2 위치(CP2)로부터 제3 위치(CP3)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제2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된 맵을 상기 제2 터치가 갖는 방향성에 근거하여 회전시킨다. 이는 도 4b에 도시된 맵 상의 특정 POI의 위치 변화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Q1 위치에 표시되고 있던 특정의 POI가 상기와 같은 제2 터치에 의한 터치 회전 조작을 통해서, Q2 위치로 그 표시 위치가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표시 정보의 회전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엄지 손가락의 접촉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를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4a 및 도 4b의 경우에도, CP1을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화면에 표시된 맵 전체를 시계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고 있다.
이때, 회전 방향은 상기 제2 터치의 방향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상기 제2 터치가 L2에 따른 이동 궤적에 의하든, L1에 따른 이동 궤적에 의하든 상기 L1과 L2 모두 시계 방향과 관련된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표시 정보의 회전은 상기 이동 궤적의 차이에 불문하고 시계 방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도 4b 참조).
또한 여기서, 상기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는 다양한 터치 동작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연이은 이동 궤적을 갖는 터치 동작(예를 들어,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접촉 유지 시간이 미리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초) 이하인 단속적 터치 동작(예를 들어, 플릭킹(flicking)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터치가 상기 드래그 동작과 같은 터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의 이동 궤적에 따른 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이동량에 상응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표시 정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 터치가 상기 플릭킹 동작과 같은 터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단속적 터치 동작에 의한 제2 터치가 발생할 때마다 화면 상에 표시된 표시 정보를 미리 지정된 회전량(예를 들어, 5도) 만큼씩 회전시킬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드래그 동작과 상기 플릭킹 동작이 혼합된 형태의 터치 동작(예를 들어, 슬라이딩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위에 설명한 두 방식이 혼용된 회전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의 터치 세기(즉, 압력) 및 빠르기(즉,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산출하고, 이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 정보의 회전량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터치 세기가 클수록 또는 터치 속도가 빠를수록 많은 회전량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이 그 예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지도 검색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맵 화면 전체를 회전시키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된 복수개의 정보 아이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특정된 정보 아이템만이 회전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도 6을 통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상기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접촉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화면 상에 표시된 e-mail 입력창 자체를 세로 또는 가로로 회전시키는 경우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상기 제2 터치의 이동량, 세기, 속도 등에 근거하여 회전량이 결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회전량은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이벤트가 한 번 발생할 때마다 고정된 값(예를 들어, 90도씩)으로 정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앞선 도 3 내지 도 4b는, 제1 터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방향성을 갖는 제2 터치가 이루어지는 멀티 터치 케이스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터치의 접촉 위치도 함께 변화하는 멀티 터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의 적용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입력됨에 따라[S210],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소정의 정보 영역이 특정되고[S220], 상기와 같은 멀티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의 접촉 위치 모두에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가 그 접촉 위치 변화의 방향성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된 정보 영역을 회전시킴에 의한다.
일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도 6의 (a)의 CP5, CP6 참조),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 모두에 위치 변화가 발생하고(도 6의 (b)의 CP7, CP8 참조), 상기 제1 터치 및 제2 터치에 따른 각각의 접촉 위치의 변화는 모두 시계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따른 각각의 최초 접촉 위치에 따라 지정되는 정보 영역(20)을 특정한 후, 상기 특정된 정보 영역(20)을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따른 각각의 접촉 위치의 변화량에 상응하여 회전시킨다(도 6의 (b)의 OP 및 NP 비교 참조).
이때, 상기 정보 영역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각 접촉 위치를 대각선으로 하는 사각 영역으로 특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멀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도 7의 CP5, CP6 참조),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접촉 위치 모두에 위치 변화가 발생하고(도 7의 CP9, CP10 참조), 상기 제1 터치 및 제2 터치에 따른 각각의 접촉 위치의 변화는 모두 시계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따른 각각의 최초 접촉 위치에 따라 특정되는 정보 영역(20)을, 상기 제1 터치 및 제2 터치의 방향성에 근거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에 따른 각각의 접촉 위치의 변화량에 상응하여 상기 정보 영역의 크기를 비례적으로 확대하거나(도 7의 NP2 참조)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30 : 입력부
151 : 디스플레이 모듈
180 : 제어부

Claims (18)

  1.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체 이미지로부터 회전할 이미지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에서 고정된 채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의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함에 따른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연결하는 가상 선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된 상기 이미지 부분만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일부 영역을 회전할 상기 이미지 부분으로 결정하고,
    상기 일부 영역의 경계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량에 비례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의 회전 각도는 고정된 각도인, 표시 정보 회전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에서 고정된 채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1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각도만큼 회전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에서 고정된 채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고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고정 각도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세기와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조절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위치를 양끝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 선분을 대각선으로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9.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체 이미지로부터 회전할 이미지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 장치에 접촉한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의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이동과 상기 제2 위치에서 제4 위치로의 상기 제 2 터치 입력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연결하는 가상 선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된 상기 이미지 부분만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제1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제2 위치 사이의 일부 영역을 회전할 상기 이미지 부분으로 결정하고,
    상기 일부 영역의 경계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위치를 양끝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 선분을 제1 가상 대각선으로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1 가상 대각선과 제2 가상 대각선 사이의 기울기의 차이에 비례하는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제2 가상 대각선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상기 제4 위치를 양끝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선분인, 표시 정보 회전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의 면적은 상기 이미지 부분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확대 또는 축소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세기 그리고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조절되는, 표시 정보 회전 방법.
  14.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회전시키는 단말기로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제1 터치 입력 및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전체 이미지로부터 회전할 이미지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바뀌면,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연결하는 가상 선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된 상기 이미지 부분만을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초기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초기 위치 사이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 부분으로 결정하고,
    상기 일부 영역의 경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초기 위치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단말기.
  15. 제1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바뀌면,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연결하는 가상 선의 변화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상기 이미지 부분을 회전시키는, 단말기.
  16. 제1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초기 위치에서 고정된 채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고정된 각도만큼 상기 선택된 이미지 부분을 회전시키는, 단말기.
  17. 제1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1 가상 대각선과 제2 가상 대각선 사이의 기울기의 차이에 비례하는 각도만큼 상기 이미지 부분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가상 대각선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상기 제3 위치를 양끝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 선분이며,
    상기 제2 가상 대각선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상기 제4 위치를 양끝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 선분인, 단말기.
  18. 제14항에서,
    상기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상기 제3 위치를 양끝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 선분을 대각선으로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기.
KR1020170051832A 2017-04-21 2017-04-21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KR10183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32A KR101838719B1 (ko) 2017-04-21 2017-04-21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32A KR101838719B1 (ko) 2017-04-21 2017-04-21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025A Division KR20110108682A (ko) 2010-03-29 2010-03-29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122A true KR20170046122A (ko) 2017-04-28
KR101838719B1 KR101838719B1 (ko) 2018-04-27

Family

ID=5870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32A KR101838719B1 (ko) 2017-04-21 2017-04-21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060A (ko) * 2017-06-05 2018-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060A (ko) * 2017-06-05 2018-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719B1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430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139778B (zh) 便携式设备和便携式设备的屏幕显示方法
US9772762B2 (en) Variable scale scrolling and resizing of displayed images based upon gesture speed
KR10184112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EP268009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34822B1 (ko)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95949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eyesight
US93233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TWI410906B (zh) 使用擴增實境導航路徑之方法及使用該方法之行動終端機
US9170730B2 (en) Method for executing private mod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300293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12002429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N113867550A (zh) 电子设备的姿态检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1838719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KR20110108682A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EP4125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s
KR201300591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39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00083432A (ko)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786513B1 (ko) 이동 단말기의 화면 조작 방법
KR101671013B1 (ko) 터치 기반의 텍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KR1017218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13242466B (zh) 视频剪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1878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