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432A -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432A
KR20100083432A KR1020090002796A KR20090002796A KR20100083432A KR 20100083432 A KR20100083432 A KR 20100083432A KR 1020090002796 A KR1020090002796 A KR 1020090002796A KR 20090002796 A KR20090002796 A KR 20090002796A KR 20100083432 A KR20100083432 A KR 2010008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movement
image
coordinates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432A/ko
Publication of KR2010008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저렴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멀티 터치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멀티 터치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멀티 터치, 저항막 방식

Description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multi-touch}
본 발명은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패널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포인팅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비디오 게임기 또는 보안 시스템 키패드를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에 적용되어 사용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을 통해 터치입력을 검출한다. 이 중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의 임의의 지점이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지점의 저항값에 따른 검출 전압을 이용하여 터치되는 일 지점의 좌표값을 인식한다.
하지만,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다수의 터치입력을 동시에 검출하는 멀티 터치를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저항막 방식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 후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하고,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조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방법은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에 따라 표시된 이미지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멀티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멀티 터치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1),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 후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부(12) 및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에 응답하여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하고,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된 이미지를 조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는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고, 노트북 컴퓨터의 터치 패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는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1)가 표시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 뿐만 아니라 동영상, 메시지, 메모장,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2)는 터치스크린용 터치 패널 또는 터치 패드일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좌표를 검출하며, 또한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출부(12)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 한 지점을 터치하고, 상기 한 지점에 대한 터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다른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처음 검출된 터치 지점의 좌표에서 다른 지점의 좌표로 검출된 좌표가 도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도약된 좌표는 처음에 터치된 지점과 나중에 터치된 지점의 중점일 수 있다.
상기 검출부(12)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인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터치 지점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값에 따라 터치 지점의 좌표값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12) 상에 다수의 터치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입력 좌표는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의 동작을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기술은 상기 검출부(12)가 상기 표시부(11) 상에 장착된 터치 패널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는 터치스크린에 제한되지 않고, 터치 패 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1)의 가로축을 x축, 세로축을 y축이라고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인 상기 표시부(11) 상의 일 지점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하 이를 제 1 터치입력이라고 한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제 1 터치입력이 입력된 지점의 저항값에 따라 전압값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전압값을 시스템에 기저장된 전압값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되는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입력에 따라 검출된 터치 지점의 좌표를 제 1 터치입력의 좌표(22)라고 하고, 도 2에서는 (x1, y1)으로 도시된다.
도 2에서 상기 표시부(11)는 사각형인 이미지(21)를 표시하고 있으며(단계S9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21)는 일정한 형상을 가진 정지 영상 외에 동영상, 메시지, 메모장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터치입력을 수행한 손가락 외에 다른 손가락으로 상기 표시부(11)의 다른 지점을 터치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제 1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지 손가락으로 다른 지점을 터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터치입력 후의 터치입력을 제 2 터치입력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터치입력에 따라 검출된 터치 지점의 좌표를 제 2 터치입력의 좌표(23)라 하고, 도 3에서는 (x2, y2)로 도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또는 터치 패드는 두 개의 멀티 터치가 인식되면 각각의 터치에 대한 좌표는 검출하지 못하고, 각 좌표들의 평균점에 해당하는 위치의 싱글 터치로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기입력된 제 1 터치입력과 함께 다른 터치입력인 제 2 터치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면, (x1,y1)과 (x2,y2)의 평균값을 인식하여 좌표값이 (x1,y1)에서 (x1,y1)과 (x2,y2)의 평균값으로 도약, 즉 불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단계S92).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제 1 터치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터치입력의 좌표값은 (x1, y1)으로 검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엄지 손가락을 상기 표시부(11) 상에서 떼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인 검지 손가락으로 상기 표시부(11)의 다른 지점을 터치하여 제 2 터치입력을 수행한 경우, 상기 터치입력의 좌표값은 (x1, y1)에서 평균 지점인 (x3, y3)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균 지점인 (x3,y3)는 (x1,y1) 및 (x2,y2)의 중점일 수 있다.
이는 상기 검출부(12)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이고 다수의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각각의 터치입력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값의 평균을 기저장된 전압값 테이블과 비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검출된 평균 전압값을 전압값 테이블과 비교한 결과 상기 평균값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좌표값과 전압값이 일차함수 관계인 경우 획득된 좌표값은 (3,3)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1) 상에 제 1 터치입력과 제 2 터치입력을 동시에 입력한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제 1 터치입력의 좌표(22)에서 상기 제 1 터치입력의 좌표(22) 및 상기 제 2 터치입력의 좌표(23)의 평균점 좌표(24)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검출부(12)가 검출한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한다(단계S93).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는 제 1 터치입력을 검출한 후, 상기 제 1 터치입력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제 1 터치입력을 수행한 손가락이 표시부(11)에서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가 검출된 경우, 멀티 터치 모드가 개시된 것으로 판단한다.
통상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제 1 터치입력을 수행한 손가락이 표시부(11)에서 떨어지고(touch-up), 다른 지점에 대해 터치입력을 수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어부(13)는 손가락이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지점의 터치로 인해 터치입력 좌표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멀티 터치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하고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1)의 임의의 영역에 '멀티 터치 모드'임을 알리는 메시지(2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멀티 모드가 개시되면 싱글 터치 모드와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 으로, 검출된 좌표 변화에 따라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축소 또는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가 검출된 후, 상기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을 더 검출할 수 있다(단계S94).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12)는 도 3과 같은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하여, 멀티 터치 모드가 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입력 좌표가 상기 검출부(12) 상의 제 1 좌표축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제 1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중인 손가락 중 하나를 고정하고, 다른 손가락을 상기 x축 방향으로, 즉 좌우로 드래그하여 상기 터치입력 좌표(24)를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좌로 드래그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입력의 좌표(23)는 식별번호 (231)로 변하고, 그 결과 상기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24)는 식별번호 (241)로 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우로 드래그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입력의 좌표(23)는 식별번호 (232)로 변하고, 그 결과 상기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24)는 식별번호 (242)로 변할 수 있다.
즉, 손가락 하나로 (241)-(242)의 경로로 드래그한 것과 동일하게 인식된다.
상기 검출부(12)는 상술한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 즉 (24)에서 (241) 또는 (242)로의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1 이동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조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S95).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12)가 상기 제 1 이동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표시부(11)에 표시된 이미지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확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좌로 드래그한 경우 이미지가 축소되고 우로 드래그한 경우에는 이미지가 확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제 1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손가락인 엄지 손가락은 지속적으로 검출부(12) 상에 터치된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좌우로 드래그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좌우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자는 제 1 터치입력의 좌표(22)와 제 2 터치입력의 좌표(23) 둘 모두를 이동시켰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도 이동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 1 터치입력과 제 2 터치입력 둘 모두를 이동시키도록 두 손가락을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제 1 터치입력의 좌표(22)와 상기 제 2 터치입력의 좌표(23)의 중점인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24)가 제 1 좌표축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이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좌로 드래그한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24)가 좌로 이동하여 식별번호 (241)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어부(13)는 이미지를 축소시키거나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우로 드래그한 경우에도 도 4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검출부(12)와 상기 제어부(13)가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24)가 상기 제 1 좌표축, 예컨대 x축과 직교하는 상기 검출부(12) 상의 제 2 좌표축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제 2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고정하고 검지 손가락을 상기 제 1 좌표축과 직교하는 상기 검출부(12) 상의 제 2 좌표축, 예컨대 y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제 2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검출된 제 2 이동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검지 손가락을 위로 드래그하여 상기 제 2 터치입력의 좌표(23)가 식별번호 231로 변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의 좌표(24)가 위로 이동하여 식별번호 241로 변하는 것을 검출하고, 그 반대 방향의 이동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2 좌표축 방향으로의 평행이동인 제 2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 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둘 모두를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의 좌표(24)가 식별번호 (241) 또는 (242)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에 대응하여 이미지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방향이 y축 방향인 점을 제외하고 도 5의 내용과 유사하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검출부(12)가 상기 터치입력의 좌표(24)의 제 1 좌표축인 x축 방향으로의 평행이동을 검출하는 경우 이미지(21)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검출부(12)가 제 2 좌표축인 y축 방향으로의 평행이동을 검출하는 경우 이미지(21)를 회전하는 경우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제 1 좌표축인 x축 방향으로 평행이동을 검출하는 경우, 이미지(2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제 2 좌표축인 y축 방향으로 평행이동을 검출하는 경우, 이미지(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좌표축 및 제 2 좌표축 방향으로의 평행이동을 검출하는 둘 모두의 경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둘 모두의 경우, 이미지가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드래그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 여부 역시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드래그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 회전의 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역시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변화된 터치입력의 좌 표(24)의 상기 제 1 좌표축 좌표값과 상기 제 2 좌표축 좌표값이 모두 변하며, 궤적이 직선인 제 3 이동을 더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고정하고 검지 손가락을 상기 엄지 손가락에 가까워지도록 드래그하거나 멀어지도록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의 좌표(24)가 상기 엄지 손가락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도 4 내지 도 7과 달리 상기 터치입력 좌표(24)의 제 1 좌표축 좌표값과 제 2 좌표축 좌표값 모두가 변하며, 그 궤적이 직선이며, 상기 검출부(12)는 이러한 제 3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미지(21)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이미지(21)를 회전시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엄지 손가락에 가까워지도록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24)가 식별번호 241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며, 그 결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미지(21)가 축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엄지 손가락에서 멀어지도록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24)가 식별번호 242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며, 그 결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미지(21)가 확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24)의 제 1 좌표축 좌표값과 제 2 좌표축 좌표값 둘 모두가 변하며, 궤적이 곡선인 제 4 이동을 더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고정하고 검지 손가락이 엄지 손가락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24)가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4 이동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조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2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검지 손가락을 식별번호 23에서 식별번호 231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24)가 식별번호 241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며, 그 결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회전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 2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검지 손가락을 식별번호 23에서 식별번호 232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24)가 식별번호 (242)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며, 그 결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회전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3 이동에 대응한 이미지의 조작은 상기 제 4 이동에 대응한 이미지의 조작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동일한 이미지 조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이동에 대응한 이미지 조작이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인 경우, 제 4 이동에 대응한 이미지 조작은 이미지 회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동일한 이미지 확대 및 축소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드래그 방향에 따른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 경향, 회전 방향 역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검지 손가락이 엄지 손가락에 가까워지는 경우 이미지를 축소시키고 멀어지는 경우 확대시킬 수 있지만, 그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검지 손가락이 엄지 손가락에서 가까워지는 경우 이미지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멀어지는 경우 이미지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지만, 그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모드 개시 후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24)가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에 따라 표시된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중인 다수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L' 모양의 경로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24)가 'L' 모양의 경로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표시된 이미지를 설정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미지를 확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출되는 경로는 'L' 형상 외에 'S'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각각의 경로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 예컨대 이미지 축소, 회전 등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 및 방법은 보다 저렴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검출부(12),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3)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 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1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검출부(12)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 다. 검출부(12)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표시부(1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표시부(1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1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표시부(1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표시부(1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3)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3)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3)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 장치(10)가 도입된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Claims (18)

  1.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 후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하고,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조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는 기입력된 제 1 터치입력과 함께 다른 터치입력인 제 2 터치입력이 입력됨으로써 발생하는 멀티 터치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는 상기 제 1 터치입력의 좌표와 상기 제 2 터치입력의 좌표의 중점인 멀티 터치 입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은
    상기 검출부 상의 제 1 좌표축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제 1 이동;
    상기 제 1 좌표축과 직교하는 상기 검출부 상의 제 2 좌표축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제 2 이동;
    상기 제 1 좌표축과 상기 제 2 좌표축의 좌표값이 변하며 궤적이 직선인 제 3 이동; 및
    상기 제 1 좌표축과 상기 제 2 좌표축의 좌표값이 변하며 궤적이 곡선인 제 4 이동;
    중 어느 하나인 멀티 터치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멀티 터치 입력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멀티 터치 입력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절 및 상기 이미지의 회전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멀티 터치 입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절 및 상기 이미지의 회전 중 상기 제 3 이동에 대응하는 이미지 조작과 다른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멀티 터치 입력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인 멀티 터치 입력 장치.
  10.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멀티 터치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이동에 따라 표시된 이미지를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적인 변화 검출 단계는
    기입력된 제 1 터치입력과 함께 다른 터치입력인 제 2 터치입력이 입력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터치입력 좌표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적으로 변화된 터치입력 좌표는 상기 제 1 터치입력의 좌표와 상 기 제 2 터치입력의 좌표의 중점인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좌표 이동 검출 단계는
    검출부 상의 제 1 좌표축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제 1 이동, 상기 제 1 좌표축과 직교하는 상기 검출부 상의 제 2 좌표축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제 2 이동, 상기 제 1 좌표축과 상기 제 2 좌표축의 좌표값이 변하며 궤적이 직선인 제 3 이동 및 상기 제 1 좌표축과 상기 제 2 좌표축의 좌표값이 변하며 궤적이 곡선인 제 4 이동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작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작 단계는
    상기 제 2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작 단계는
    상기 제 3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절 및 상기 이미지의 회전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작 단계는
    상기 제 4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절 및 상기 이미지의 회전 중 상기 제 3 이동에 대응하는 이미지 조작과 다른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법.
  18. 제 10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90002796A 2009-01-13 2009-01-13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83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6A KR20100083432A (ko) 2009-01-13 2009-01-13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6A KR20100083432A (ko) 2009-01-13 2009-01-13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32A true KR20100083432A (ko) 2010-07-22

Family

ID=4264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96A KR20100083432A (ko) 2009-01-13 2009-01-13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4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47B1 (ko) * 2009-10-30 2011-07-11 화영시스템즈주식회사 Nui를 위한 제스쳐 등록 장치 및 방법
CN103997585A (zh) * 2013-02-20 2014-08-20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数据处理装置以及内容显示方法
US9495092B2 (en) 2011-12-14 2016-11-1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for selected area using dynamic touch interac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47B1 (ko) * 2009-10-30 2011-07-11 화영시스템즈주식회사 Nui를 위한 제스쳐 등록 장치 및 방법
US9495092B2 (en) 2011-12-14 2016-11-1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for selected area using dynamic touch interaction
CN103997585A (zh) * 2013-02-20 2014-08-20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数据处理装置以及内容显示方法
EP2770420A1 (en) * 2013-02-20 2014-08-27 Konica Minolta, Inc.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content displaying program
US9049323B2 (en) 2013-02-20 2015-06-02 Konica Minolta, Inc.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content displaying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181B2 (en)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touch and wallpap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36753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104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170730B2 (en) Method for executing private mod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39576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128527B2 (en) Mobile terminal and touch recognizing method therein
KR1020135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8843854B2 (en)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478349B2 (en)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592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화면 분할 방법
US908154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865541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items using the same
US201201842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13362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019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637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607847B (zh) 用于电子装置中的屏幕显示控制的设备和方法
KR20100083432A (ko) 멀티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EP2535796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51454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KR20100081432A (ko) 터치입력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07841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8719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KR101564110B1 (ko)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776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