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979A -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979A
KR20170045979A KR1020150146198A KR20150146198A KR20170045979A KR 20170045979 A KR20170045979 A KR 20170045979A KR 1020150146198 A KR1020150146198 A KR 1020150146198A KR 20150146198 A KR20150146198 A KR 20150146198A KR 20170045979 A KR20170045979 A KR 2017004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individual video
light emitting
video apparatus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605B1 (ko
Inventor
노우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102015014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6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영상제어기기의 신호전달체계 및 각 개별영상기기의 모듈블록 내에, 식별부호의 설정/부여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예컨대, 마스터 컨트롤러, 서브 컨트롤러, 발광센서, 수광센서 등)을 추가 설치한 후, 이 구성요소들을 토대로, X좌표 초기세팅 단계, Y좌표 초기세팅 단계, X좌표 세팅단계, Y좌표 세팅단계, 식별부호 설정단계 등이 각 개별영상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 개별영상기기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이 도래하는 상황 하에서도, 복잡한 수동작업 없이, 각 개별영상기기에 상응하는 식별부호를 심플하게 자동으로 설정/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개별영상기기 측 식별부호의 수동설치절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컨트롤 시그널 배선 제한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탈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Method for setting a identification mark of a individual display device in a multi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영상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개별영상기기에 그에 상응하는 식별부호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제어기기의 신호전달체계 및 각 개별영상기기의 모듈블록 내에, 식별부호의 설정/부여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예컨대, 마스터 컨트롤러, 서브 컨트롤러, 발광센서, 수광센서 등)을 추가 설치한 후, 이 구성요소들을 토대로, X좌표 초기세팅 단계, Y좌표 초기세팅 단계, X좌표 세팅단계, Y좌표 세팅단계, 식별부호 설정단계 등이 각 개별영상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 개별영상기기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이 도래하는 상황 하에서도, 복잡한 수동작업 없이, 각 개별영상기기에 상응하는 식별부호를 심플하게 자동으로 설정/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개별영상기기 측 식별부호의 수동설치절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컨트롤 시그널 배선 제한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탈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다수의 개별영상기기를 통해 여러 종류의 영상을 다양한 형식(예컨대, 파노라마 형식 등)으로 표시해줄 수 있는 다중 영상시스템 또한 폭 넓은 개발/보급 패턴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 제10-904499호(명칭: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파노라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2009.6.24.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1-85332호(명칭: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2011.7.27.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85334호(명칭: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2011.7.27.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4-46319호(명칭: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2014.4.18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중 영상시스템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영상시스템(10)은 다수의 개별영상기기(11)와, 이 다수의 개별영상기기(11)로 각종 데이터(예컨대, 제어데이터, 영상데이터, 영상확대데이터, 영상분할데이터 등)를 전송하여, 해당 개별영상기기(11)의 영상출력상황을 제어하는 영상제어기기(12)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다중 영상시스템(10)은 다수의 개별영상기기(11)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개별영상기기(11)에는 해당 개별영상기기(11)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부호(SI)(예컨대, 1,2,3,4,5,‥‥)가 미리 설정/부여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이처럼 각 개별영상기기(11)에 해당 개별영상기기(11)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가 미리 설정/부여된 상태에서, 영상제어기기(12) 측에서는 상기 식별부호(SI)를 토대로 각 개별영상기기(11)를 상호 구별하면서, 해당 개별영상기기(11)에 상응하는 각종 데이터(예컨대, 제어데이터, 영상데이터, 영상확대데이터, 영상분할데이터 등)를 전송함으로써, 다중 영상시스템(10) 측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신에게 부여된 다중영상 표시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다중 영상시스템(10)을 운영하다 보면, 예컨대, 개별영상기기(11)의 수리/교체, 신호연결 케이블의 교체/재배치, 다중 영상시스템(10)의 영상표현양식 변경 등과 같은 여러 영상시스템 설계변경요인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11)를 신규 추가하거나, 기 배치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11)를 교체/제외하는 등의 개별영상기기 배열형태 변형조치를 다양하게 취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개별영상기기(11)의 배열형태 변형조치 후에도, 영상제어기기(12) 측에서는 각 개별영상기기(11)를 상호 구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11)의 배열형태 변형이 완료된 후, 해당 개별영상기기(11)에 그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를 부여하는 절차를 불가피하게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다중 영상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개별영상기기(11)에 식별부호(SI)를 자동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였기 때문에, 상술한 개별영상기기(11)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에서,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불가피하게 다수의 인력 및 많은 비용, 나아가, 오랜 시간을 들여, 개별영상기기(11) 각각에 그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를 수동으로 부여시키는 절차를 복잡하게 진행시킬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심각한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종래의 개별영상기기 배열형태 변형 국면에서,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식별부호의 수동설치절차, 신호연결 케이블의 길이 등을 폭 넓게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컨트롤 시그널 배선에 많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심각한 문제점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904499호(명칭: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파노라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2009.6.24.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1-85332호(명칭: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2011.7.27.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85334호(명칭: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2011.7.27.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4-46319호(명칭: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2014.4.18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제어기기의 신호전달체계 및 각 개별영상기기의 모듈블록 내에, 식별부호의 설정/부여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예컨대, 마스터 컨트롤러, 서브 컨트롤러, 발광센서, 수광센서 등)을 추가 설치한 후, 이 구성요소들을 토대로, <개별 영상기기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X좌표 초기세팅 단계>,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Y좌표 초기세팅 단계>,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X좌표 세팅단계>,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Y좌표 세팅단계>.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세팅 완료되어 있던 X좌표 및 Y좌표를 기 설정되어 있던 식별부호로 변환하는 식별부호 설정단계> 등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이를 통해,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 개별영상기기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이 도래하는 상황 하에서도, 복잡한 수동작업 없이, 각 개별영상기기에 상응하는 식별부호를 심플하게 자동으로 설정/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개별영상기기 측 식별부호의 수동설치절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컨트롤 시그널 배선 제한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탈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다중 영상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개별영상기기에 각기 설치되는 서브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개별 영상기기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X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X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X좌표 초기세팅 단계와; 상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Y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Y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Y좌표 초기세팅 단계와; 자가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X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X좌표 세팅단계와; 자가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Y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Y좌표 세팅단계와; 자가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세팅 완료되어 있던 X좌표 및 Y좌표를 기 설정되어 있던 식별부호로 변환하는 식별부호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 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제어기기의 신호전달체계 및 각 개별영상기기의 모듈블록 내에, 식별부호의 설정/부여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예컨대, 마스터 컨트롤러, 서브 컨트롤러, 발광센서, 수광센서 등)을 추가 설치한 후, 이 구성요소들을 토대로, <개별 영상기기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X좌표 초기세팅 단계>,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Y좌표 초기세팅 단계>,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X좌표 세팅단계>,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 측 Y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Y좌표 세팅단계>.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 측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세팅 완료되어 있던 X좌표 및 Y좌표를 기 설정되어 있던 식별부호로 변환하는 식별부호 설정단계> 등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이 도래하는 상황 하에서도, 복잡한 수동작업 없이, 각 개별영상기기에 상응하는 식별부호를 심플하게 자동으로 설정/부여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개별영상기기 측 식별부호의 수동설치절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컨트롤 시그널 배선 제한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탈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중 영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채용한 다중 영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를 채용한 다중 영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다중 영상시스템(100)은 다수의 개별영상기기(101)와, 이 다수의 개별영상기기(101)로 각종 데이터(예컨대, 제어데이터, 영상데이터, 영상확대데이터, 영상분할데이터 등)를 전송하여,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의 영상출력상황을 제어하는 영상제어기기(102)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다중 영상시스템(100)은 다수의 개별영상기기(101)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개별영상기기(101)에는 해당 개별영상기기(101)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부호(SI)(예컨대, 1,2,3,4,5,‥‥)(도 18 참조)가 미리 설정/부여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이처럼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가 미리 설정/부여된 상태에서, 영상제어기기(102) 측에서는 상기 식별부호(SI)를 토대로 각 개별영상기기(101)를 상호 구별하면서,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에 상응하는 각종 데이터(예컨대, 제어데이터, 영상데이터, 영상확대데이터, 영상분할데이터 등)를 전송함으로써, 다중 영상시스템(100) 측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신에게 부여된 다중영상 표시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채용 체제 하에서도, 다중 영상시스템(100)을 운영하다 보면, 예컨대, 개별영상기기(101)의 수리/교체, 신호연결 케이블의 교체/재배치, 다중 영상시스템(100)의 영상표현양식 변경 등과 같은 여러 영상시스템 설계변경요인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101)를 신규 추가하거나, 기 배치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101)를 교체/제외하는 등의 개별영상기기 배열형태 변형조치를 다양하게 취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 변형조치 후에도, 영상제어기기(102) 측에서는 각 개별영상기기(101)를 상호 구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 변형이 완료된 후,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에 그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를 부여하는 절차를 불가피하게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에서, 불가피하게 다수의 인력 및 많은 비용, 나아가, 오랜 시간을 들여, 개별영상기기(101) 각각에 그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를 수동으로 부여시키는 절차를 복잡하게 진행시켰지만, 이 경우,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심각한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등에 더하여, 컨트롤 시그널 배선 제한 문제점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상제어기기(102)의 신호전달체계 및 각 개별영상기기(101)의 모듈블록 내에, 개별영상기기(101) 측 식별부호(SI)(도 18 참조)의 설정/부여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 예컨대, 마스터 컨트롤러(103), 서브 컨트롤러(107), 센서 툴(104) 등을 추가 설치한 후, 이들을 토대로, <개별영상기기(101)를 대상으로 하는 식별부호(SI) 설정/부여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센서 툴(104) 측에서는 각 개별영상기기(101)의 상하좌우를 점유하는 발광센서(105) 및 수광센서(106)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면서, 마스터 컨트롤러(103) 및 서브 컨트롤러(107)의 제어절차에 따라, 발광센서(105)를 점광 또는 멸광시킴으로써, <서브 컨트롤러(107)에 의한 개별영상기기(101)를 대상으로 하는 식별부호 자동 부여/설정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영상제어기기(102)>,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 컨트롤러(107)>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각종 제어메시지(예컨대, X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식별부호 변환/설정 제어메시지 등)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제어메시지를 서브 컨트롤러(107)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 상하좌우로 이웃하여 배치된 이웃 발광센서(105)의 발광상태를 제어메시지 설정된 내역에 따라 체크하면서, 자가 설치된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 Y좌표, 식별부호 등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된 상태에서, 마스터 컨트롤러(103), 발광센서(105), 수광센서(106)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제어메시지(예컨대, X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식별부호 변환/설정 제어메시지 등)에 따라,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발광센서(105)를 발광/멸광시킨 후, 이웃 발광센서(105)(예컨대, 상측 이웃 발광센서, 좌측 이웃 발광센서 등)의 발광상태를 수광센서(106)를 통해 체크하면서, 그 체크결과에 따라,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 초기세팅 절차,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 초기세팅 절차,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 세팅절차,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 세팅절차, 개별영상기기(101) 측 식별부호 변환/설정절차 등을 자동으로 순차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 고유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가 변형 완료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영상제어기기(102)와 통신을 취하여,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 변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영상제어기기(102)의 제어 하에,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각종 제어메시지(예컨대, X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식별부호 변환/설정 제어메시지 등)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각종 제어메시지를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각종 제어메시지(예컨대, X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 식별부호 변환/설정 제어메시지 등)의 전송 상황 하에서, 우선,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X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따라, 개별 영상기기(101)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가 감지되면,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가 감지 안되면, X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105)가 감지 안되면, X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X좌표 초기세팅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X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참고로, 도 3 내지 도 18에서는 편의 상, 수광센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기로 함)(또한, 도 3 내지 도 18에서, 검은색은 발광센서(105)의 발광상태를 나타내고, 흰색은 발광센서(105)의 멸광상태를 나타냄),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a)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a)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a)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발광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a)의 X좌표를 1로 세팅하게 된다(참고로, 개별영상기기(101a)의 좌측 이웃에는 다른 개별영상기기가 배치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서브 컨트롤러(107a) 측에서는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멸광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됨).
또한, 상기 X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e)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e)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e)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b)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b)가 발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e)의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게 된다.
또한, 상기 X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j)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j)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j)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j)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j)가 발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j)의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X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k)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k)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k)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발광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k)의 X좌표를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하게 된다(참고로, 개별영상기기(101k)의 우측 이웃에는 다른 개별영상기기가 배치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서브 컨트롤러(107k) 측에서는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멸광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됨)(또한, 이 경우, 좌측 이웃에 배치된 발광센서(105m)의 발광상태는 무시됨).
한편, 상술한 X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에 의한 X좌표 초기세팅절차가 완료되는 상황 하에서,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Y좌표 초기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따라, 개별 영상기기(101)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가 감지되면,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가 감지 안되면, Y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105)가 감지 안되면, Y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Y좌표 초기세팅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Y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d)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d)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d)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발광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d)의 Y좌표를 1로 세팅하게 된다(참고로, 개별영상기기(101d)의 상측 이웃에는 다른 개별영상기기가 배치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서브 컨트롤러(107d) 측에서는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멸광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됨).
또한, 상기 Y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i)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i)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i)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k)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k)가 발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i)의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게 된다.
또한, 상기 Y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b)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b)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b)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d)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d)가 발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b)의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Y좌표 초기세팅 단계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f)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f)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f)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발광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f)의 X좌표를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하게 된다(참고로, 개별영상기기(101f)의 하측 이웃에는 다른 개별영상기기가 배치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서브 컨트롤러(107f) 측에서는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지 않은 체, 해당 발광센서가 멸광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됨)(또한, 이 경우, 상측 이웃에 배치된 발광센서(105g)의 발광상태는 무시됨).
한편, 상술한 X좌표 초기세팅단계(도 3 참조) 및 Y좌표 초기세팅단계(도 4 참조)가 각 열(R1,R2,R3,R4) 및 행(L1,L2,L3,L4)을 이루는 각 개별영상기기(101)를 대상으로 진행 완료되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상응하는 X좌표 세팅단계를 후속 진행하게 된다.
우선, X좌표 세팅단계의 시작으로써,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고(점광 시키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영상기기(101c)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c)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c)의 X좌표가 1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h)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h)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h)의 X좌표가 0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k,105m)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m)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 역시,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X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발광센서(105)가 턴-온(점광)된 상황 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즉, 발광센서(105)가 턴-온된 개별영상기기)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X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절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속한 열(예컨대, R2)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d)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d)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d)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a)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a)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b)의 X좌표(도 5 참조)를 2(즉, 1+1)로 재 세팅(도 6 참조)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e)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e)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e)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b)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a)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e)의 X좌표(도 5 참조)를 2(즉, 1+1)로 재 세팅(도 6 참조)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f)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f)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f)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c)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c)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f)의 X좌표(도 5 참조)를 2(즉, 1+1)로 재 세팅(도 6 참조)하게 된다.
이때, 개별영상기기(101f)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f)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f)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자신이 속한 열(예컨대, R2)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새로운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열(R2)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을 마무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기 열(예컨대, R3)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을 새로이 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R2)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이 진행 완료되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새로운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상응하는 X좌표 세팅단계를 후속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새로운 X좌표 세팅단계의 시작으로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고(점광 시키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영상기기(101e)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e)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e)의 X좌표가 2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i)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h)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h)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h)의 X좌표가 0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k,105m)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m)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 역시,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X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발광센서(105)가 턴-온(점광)된 상황 하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즉, 발광센서(105)가 턴-온된 개별영상기기)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X좌표를 1+N(N=2,3‥‥)으로 재 세팅하는 절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속한 열(예컨대, R3)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h)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h)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h)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h)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h)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b)의 X좌표(도 7 참조)를 3(즉, 1+2)으로 재 세팅(도 8 참조)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i)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i)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i)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i)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i)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i)의 X좌표(도 7 참조)를 3(즉, 1+2)으로 재 세팅(도 8 참조)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j)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j)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j)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j)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j)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j)의 X좌표(도 7 참조)를 3(즉, 1+2)으로 재 세팅(도 8 참조)하게 된다.
이때, 개별영상기기(101j)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j)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j)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자신이 속한 열(예컨대, R3)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새로운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열(R3)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을 마무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기 열(예컨대, R4)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을 새로이 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R3)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이 진행 완료되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새로운 X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상응하는 X좌표 세팅단계를 후속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새로운 X좌표 세팅단계의 시작으로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고(점광 시키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영상기기(101i)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i)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i)의 X좌표가 3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n)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k)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k)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k)의 X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m)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 역시,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X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발광센서(105)가 턴-온(점광)된 상황 하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즉, 발광센서(105)가 턴-온된 개별영상기기)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X좌표를 1+N(N=2,3‥‥)으로 재 세팅하는 절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 및 Y좌표 모두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재 세팅한 좌표 값이 X좌표의 끝 값임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k)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k)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h)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m)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m)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k)의 X좌표(도 9 참조)를 4(즉, 1+3)로 재 세팅(도 10 참조)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m)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m)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105o)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o)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X좌표(도 9 참조)를 4(즉, 1+3)로 재 세팅(도 10 참조)하게 된다.
이때, 개별영상기기(101m)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 세팅 절차 이전에,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X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j)의 Y좌표 역시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자신이 재 세팅한 좌표 값(즉, 4)이 X좌표의 끝 값임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X좌표에 대한 세팅이 모두 완료되었음을 인지한 후,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 전송함으로써, 모든 열(R1,R2,R3,R4)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설정을 최종 마무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행(예컨대, L1,L2,L3,L4)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을 새로이 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X좌표 초기세팅단계(도 3 참조) 및 Y좌표 초기세팅단계(도 4 참조), 그리고, X좌표 세팅단계(도 5 내지 도 10 참조)가 각 열(R1,R2,R3,R4) 및 행(L1,L2,L3,L4)을 이루는 각 개별영상기기(101)를 대상으로 진행 완료되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상응하는 Y좌표 세팅단계를 후속 진행하게 된다.
우선, Y좌표 세팅단계의 시작으로써,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고(점광 시키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영상기기(101d)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d)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d)의 Y좌표가 1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b)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b)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b)의 Y좌표가 0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b)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m)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 역시,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발광센서(105)가 턴-온(점광)된 상황 하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즉, 발광센서(105)가 턴-온된 개별영상기기)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Y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절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예컨대, 4)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속한 행(예컨대, L2)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b)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b)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b)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d)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d)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d)의 Y좌표(도 11 참조)를 2(즉, 1+1)로 재 세팅(도 12 참조)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i)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i)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i)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k)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k)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i)의 Y좌표(도 11 참조)를 2(즉, 1+1)로 재 세팅(도 12 참조)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n)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n)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n)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p)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p)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n)의 Y좌표(도 11 참조)를 2(즉, 1+1)로 재 세팅(도 12 참조)하게 된다.
이때, 개별영상기기(101n)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n)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n)의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예컨대, 4)으로 기 세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자신이 속한 행(예컨대, L2)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새로운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행(L2)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을 마무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기 행(예컨대, L3)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을 새로이 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행(L2)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이 진행 완료되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새로운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상응하는 Y좌표 세팅단계를 후속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새로운 Y좌표 세팅단계의 시작으로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고(점광 시키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영상기기(101b)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b)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b)의 Y좌표가 2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b)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q)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q)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q)의 Y좌표가 0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c)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c) 측 역시,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c)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발광센서(105)가 턴-온(점광)된 상황 하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즉, 발광센서(105)가 턴-온된 개별영상기기)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Y좌표를 1+N(N=2,3‥‥)으로 재 세팅하는 절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예컨대, 4)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속한 행(예컨대, L3)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r)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r)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r)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s)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s)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r)의 Y좌표(도 13 참조)를 3(즉, 1+2)으로 재 세팅(도 14 참조)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s)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s)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s)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t)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t)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s)의 Y좌표(도 13 참조)를 3(즉, 1+2)으로 재 세팅(도 14 참조)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q)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q)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q)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r)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r)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0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q)의 Y좌표(도 13 참조)를 3(즉, 1+2)으로 재 세팅(도 14 참조)하게 된다.
이때, 개별영상기기(101q)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q)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q)의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예컨대, 4)으로 기 세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자신이 속한 행(예컨대, L3)의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새로운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행(L3)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을 마무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기 행(예컨대, L4)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을 새로이 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행(L3)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이 진행 완료되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새로운 Y좌표 세팅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그에 상응하는 Y좌표 세팅단계를 후속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새로운 Y좌표 세팅단계의 시작으로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고(점광 시키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영상기기(101i)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i)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i)의 Y좌표가 2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n)를 턴-오프 시키는(멸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c)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c) 측에서는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c)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c)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개별영상기기(101m)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 역시,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Y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키는(점광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발광센서(105)가 턴-온(점광)된 상황 하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즉, 발광센서(105)가 턴-온된 개별영상기기)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X좌표를 1+N(N=2,3‥‥)으로 재 세팅하는 절차>,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예컨대, 4)으로 기 세팅되어 있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의 Y 좌표가 최대 값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재 세팅한 좌표 값이 Y좌표의 끝 값임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도,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c)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c) 측에서는 개별 영상기기(101c)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e)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e)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c)의 Y좌표(도 15 참조)를 4(즉, 1+3)로 재 세팅(도 16 참조)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j)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j)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j)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l)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l)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j)의 Y좌표(도 15 참조)를 4(즉, 1+3)로 재 세팅(도 16 참조)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m)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 역시, 개별 영상기기(101m)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105q)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105q)가 멸광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던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Y좌표(도 15 참조)를 4(즉, 1+3)로 재 세팅(도 16 참조)하게 된다.
이때, 개별영상기기(101m)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m) 측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 세팅 절차 이전에,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예컨대, 4)으로 기 세팅되어 있고, 자가 소속 개별영상기기(101m)의 Y 좌표가 최대 값(예컨대, 255)으로 기 세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자신이 재 세팅한 좌표 값(즉, 4)이 Y좌표의 끝 값임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Y좌표에 대한 세팅이 모두 완료되었음을 인지한 후, 식별부호 설정 제어메시지를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 전송함으로써, 모든 행(L1,L2,L3,L4)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Y좌표 설정을 최종 마무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열(예컨대, R1,R2,R3,R4) 및 각 행(예컨대, L1,L2,L3,L4)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식별부호 변환/설정절차를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각 절차를 통해, 각 열(예컨대, R1,R2,R3,R4) 및 각 행(예컨대, L1,L2,L3,L4)에 속한 개별영상기기(101)에 대한 X좌표 세팅 및 Y좌표 세팅이 완료되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설치되어 있던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마스터 컨트롤러(103) 측으로부터 식별부호 설정 제어메시지를 수신/접수한 후, 수신/접수 완료된 식별부호 설정 제어메시지에 따라, <세팅 완료되어 있던 X좌표 및 Y좌표를 기 설정되어 있던 식별부호(SI)(예컨대, 1,2,3,4,‥‥)로 변환하는 식별부호 변환/설정절차>를 후속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식별부호 변환/설정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개별영상기기(101a)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a) 측에서는 식별부호 설정 제어메시지에 따라, (1,1)로 세팅 완료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101a)의 X좌표 및 Y좌표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이라는 식별부호(SI)로 변환/설정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d)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d) 측에서는 식별부호 설정 제어메시지에 따라, (1,2)로 세팅 완료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101d)의 X좌표 및 Y좌표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라는 식별부호(SI)로 변환/설정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개별영상기기(101f)에 속해있던 서브 컨트롤러(107f) 측에서는 식별부호 설정 제어메시지에 따라, (2,4)로 세팅 완료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101f)의 X좌표 및 Y좌표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라는 식별부호(SI)로 변환/설정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세팅 완료되어 있던 X좌표 및 Y좌표를 기 설정되어 있던 식별부호(SI)(예컨대, 1,2,3,4,‥‥)로 변환하는 식별부호 변환/설정절차>가 모두 마무리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는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예컨대, 1,2,3,4,‥‥)가 안정적으로 자동 부여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영상제어기기(102)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 변형조치 후에도, 상기 식별부호(SI)를 토대로 각 개별영상기기(101)를 상호 구별하면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해당 개별영상기기(101)에 상응하는 각종 데이터(예컨대, 제어데이터, 영상데이터, 영상확대데이터, 영상분할데이터 등)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상제어기기(102)의 신호전달체계 및 각 개별영상기기(101)의 모듈블록 내에, 식별부호(SI)의 설정/부여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 예컨대, 마스터 컨트롤러(103), 서브 컨트롤러(107), 발광센서(105), 수광센서(106) 등을 추가 설치한 후, 이 구성요소들을 토대로, <개별 영상기기(101)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X좌표 초기세팅 단계>,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Y좌표 초기세팅 단계>,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X좌표 세팅단계>,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발광센서(105)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개별영상기기(101) 측 Y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Y좌표 세팅단계>.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개별영상기기(101) 측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마스터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따라, 세팅 완료되어 있던 X좌표 및 Y좌표를 기 설정되어 있던 식별부호(SI)로 변환하는 식별부호 설정단계> 등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이 도래하는 상황 하에서도, 복잡한 수동작업 없이,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를 심플하게 자동으로 설정/부여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개별영상기기(101) 측 식별부호(SI)의 수동설치절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컨트롤 시그널 배선 제한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탈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컨트롤러(103)를 다중 영상시스템(100)을 이루는 전체 개별영상기기 중 어느 하나, 예컨대, <X좌표 세팅절차 및 Y좌표 세팅절차 하에서, X좌표 및 Y좌표 모두가 최대 값(예컨대, 255)을 가지게 되는 개별영상기기(101m)>에 설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개별영상기기(101)의 배열형태 변형 국면이 도래할 경우, 마스터 컨트롤러(103) 및 서브 컨트롤러(107) 측에서는 서로의 협력 하에, X좌표 초기세팅 단계, Y좌표 초기세팅 단계, X좌표 세팅단계, Y좌표 세팅단계, 식별부호 설정단계 등을 각 개별영상기기(101)를 대상으로 하여 자동으로 진행하게 되며, 결국, 영상시스템 운영주체 측에서는, 복잡한 수동작업 없이도, 각 개별영상기기(101)에 상응하는 식별부호(SI)를 심플하게 자동으로 설정/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별영상기기(101) 측 식별부호(SI)의 수동설치절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인력손실 문제점, 비용손실 문제점, 시간손실 문제점, 컨트롤 시그널 배선 제한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탈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개별기기의 식별/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100: 다중 영상시스템
11,101: 개별영상기기
12,102: 영상제어기기
103: 마스터 컨트롤러
104: 센서 툴
105: 발광센서
106: 수광센서
107: 서브 컨트롤러

Claims (5)

  1.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다중 영상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개별영상기기에 각기 설치되는 서브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개별 영상기기의 상하좌우에 설치되어 있던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X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X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우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X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X좌표 초기세팅 단계와;
    상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되면, Y좌표를 0으로 세팅하고,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Y좌표를 1로 세팅함과 아울러, 하측 이웃의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Y좌표를 최대 값으로 세팅하는 Y좌표 초기세팅 단계와;
    자가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X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좌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X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X좌표 세팅단계와;
    자가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Y좌표가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광센서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상측 이웃의 발광센서를 감지하여, 해당 발광센서가 감지 안되면,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최대 값으로 세팅되어 있던 자가 Y좌표를 1+N(N=1,2,3‥‥)으로 재 세팅하는 Y좌표 세팅단계와;
    자가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자가 X좌표 및 Y좌표가 세팅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세팅 완료되어 있던 X좌표 및 Y좌표를 기 설정되어 있던 식별부호로 변환하는 식별부호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 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X좌표 세팅단계의 진행 국면에서, 자가 Y좌표가 최대 값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속한 열의 개별영상기기에 대한 X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 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X좌표 세팅단계의 진행 국면에서, 자가 X 좌표 및 자가 Y좌표가 최대 값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재 세팅한 좌표 값이 X좌표의 끝 값임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 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Y좌표 세팅단계의 진행 국면에서, 자가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속한 행의 개별영상기기에 대한 Y좌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 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Y좌표 세팅단계의 진행 국면에서, 자가 X좌표가 X좌표의 끝 값으로 기 세팅되어 있고, 자가 Y 좌표가 최대 값으로 기 세팅되어 있으면, 자신이 재 세팅한 좌표 값이 Y좌표의 끝 값임을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 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KR1020150146198A 2015-10-20 2015-10-20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KR10236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198A KR102363605B1 (ko) 2015-10-20 2015-10-20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198A KR102363605B1 (ko) 2015-10-20 2015-10-20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979A true KR20170045979A (ko) 2017-04-28
KR102363605B1 KR102363605B1 (ko) 2022-02-17

Family

ID=5870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198A KR102363605B1 (ko) 2015-10-20 2015-10-20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801B1 (ko) * 2019-11-13 2020-04-29 주식회사 애즈원 기울기를 갖는 led 전광판에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led 전광판 시스템
US11972168B2 (en) 2021-11-02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597A (ja) * 1998-10-07 2000-04-21 Oki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030146882A1 (en) * 1997-06-02 2003-08-07 Daichu Denshi Co., Ltd., Fourie, Inc. Extending type of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100904499B1 (ko) 2008-07-23 2009-06-24 (주)엘이디웍스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파노라마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85332A (ko)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085334A (ko)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20235776A1 (en) * 2011-03-15 2012-09-20 Acer Incorporated Compou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KR20140046319A (ko)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67343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 id 설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6882A1 (en) * 1997-06-02 2003-08-07 Daichu Denshi Co., Ltd., Fourie, Inc. Extending type of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JP2000112597A (ja) * 1998-10-07 2000-04-21 Oki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0904499B1 (ko) 2008-07-23 2009-06-24 (주)엘이디웍스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파노라마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85332A (ko)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085334A (ko)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20235776A1 (en) * 2011-03-15 2012-09-20 Acer Incorporated Compou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KR20140046319A (ko)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67343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 id 설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801B1 (ko) * 2019-11-13 2020-04-29 주식회사 애즈원 기울기를 갖는 led 전광판에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led 전광판 시스템
US11972168B2 (en) 2021-11-02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605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6771B2 (en) Method for mounting electric switching systems and assembly support device for simplifying the assembly of such switching systems
EP2317761B1 (en) Present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for use in the presentation system
JP6211808B2 (ja) 基板生産支援システム
WO2016085110A1 (ko)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WO2014035127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9992466B2 (en) Projector with calibration using a plurality of images
KR20170045979A (ko)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JP6945156B2 (ja) 照明システムの制御パラメータ入力方法および操作端末
CN110546836B (zh) 用于对连接工艺进行自动化支持的方法和系统
JP200816498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US20150381240A1 (en) Unit device and wireless power suppl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10018778B (zh) 通信设备、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和显示系统
CN109862333B (zh) 制造辅助装置
US200601984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generating an outline indicating the size of an energy zone imaged onto the IR detector of a radiometer
KR20110012407A (ko) 광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8281718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4925987B2 (ja) 鉄道信号機の視認可否を確認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7135107A1 (ja) 結線検査作業支援システム
US87109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ction of defects or correction of defects in machines
JP2006343543A (ja) 表示装置システム
JP2008281717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CN111615245B (zh) 控制系统
JP2007083967A (ja) 製造工程における誤作業防止システム
CN112291541A (zh) 设置辅助装置、设置辅助系统以及设置辅助程序
JP2014048993A (ja) 転送プログラム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