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551A -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5551A KR20170045551A KR1020150145240A KR20150145240A KR20170045551A KR 20170045551 A KR20170045551 A KR 20170045551A KR 1020150145240 A KR1020150145240 A KR 1020150145240A KR 20150145240 A KR20150145240 A KR 20150145240A KR 20170045551 A KR20170045551 A KR 20170045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valve
- pop
- hair
- blade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팝업밸브와 연설되어 작동하는 슬리이브의 날개부를 방사상으로 나누어 배수되는 물이 날개의 옆면을 타고 빠르게 흘러 내려가도록 함에 있어서, 날개부를 슬리이브와 일체로 형성하여주되, 슬리이브 몸체와 직접 연결되는 날개부가 수평보다는 외곽으로 벌어질수록 상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되며 일체형을 이루게 하여 와류하며 배출되는 물과 함께 배출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날개부와 슬리이브 사이에 이격형성된 공간에서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은 물과함께 소용돌이치며 와류하다가 날개부의 벽면에 부딪치며 머리카락은 걸려지게 됨으로써 순수한 물만 배수관과 배수유도관을 통하여 배수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슬리이브와 날개부 사이의 호퍼형 이격공간에서 걸려지게 하여 세면대의 배수구를 통해 인출하여 슬리이브의 날개부에 걸려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세면기용 팝업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기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팝업밸브와 그 하측으로 연설되는 슬리이브를 분리구성하고, 상기 슬리이브가 내삽되는 배수관은 세면대의 배수구와 동일한 직경으로하여 배수관에 내삽되는 슬리이브의 몸통 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날개부와 슬리이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형성시켜 세면기의 사용 후 상기 슬리이브의 날개부위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걸려질 수 있도록 날개부를 호퍼형으로 구비하여 이물질은 슬리이브의 중앙 몸통에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연설되는 날개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호퍼형 이격공간의 이물질걸림부에서 걸려지고 사용한 물만 배수될 수 있게 하여 배수구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청소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팝업밸브 및 이에 연설되는 슬리이브를 용이하게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세면기용 팝업밸브에 있어서는, 세면을 할 수 있도록 벽에 부착되거나 스텐드형으로 된 세면기에 물을 저장하거나,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팝업밸브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구조들은 대부분 이중구조의 배관 또는 플렉시블 타입의 배관을 사용하여 구조의 특성상 개,폐량이 극히 한정되어 있으며, 특히 물의 배출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상기 팝업밸브의 슬리이브 및 지렛대에 막혀 물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상기 이물질의 제거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지렛대를 분리해야 하며, 또한 배관 자체를 분해하여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세면기 팝업밸브의 개폐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세면기용 팝업밸브가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 구성은 세면기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팝업밸브 하측으로 슬리이브가 일레로 연설되어 배수관이 연통설치되며, 상기 슬리이브 하단에는 자석을 착설하여 팝업레버와 연설된 지렛대 일단에 설치된 영구자석과의 자력에 의해 착설되고, 상기 슬리이브 하단에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트랩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나, 이와 같은 세면기용 팝업밸브에 있어서는 세면기의 물을 사용 후 배출시에 팝업레버를 눌러주는 작용에 의해 상기 팝업레버 하단에 이와 수평방향으로 연설되는 지렛대의 전방단부가 들어 올려지게 됨에 따라 슬리이브와 일체로 팝업밸브가 들어 올려져 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리이브의 하단과 이에 접촉하는 지렛대의 일단부는 내부 자석 및 외부 자석이 자력에 의해 착설되며, 특히 상기 슬리이브 하단에는 트랩고리가 형성되어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지게 되는 것이나, 상기 팝업밸브를 지렛대로 들어올리는 하중이 그 결합부인 자석에 집중되어 상기 자석의 미끄러짐에 의해 팝업밸브를 제대로 들어올릴 수 없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물의 배수가 불가능하여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팝업밸브 및 그 하측으로 연설되는 슬리이브와 트랩고리에 걸려진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지렛대로부터 슬리이브를 분해한 후 재차 팝업밸브와 슬리이브를 들어올림으로써, 자석으로 고정된 지렛대와 슬리이브의 분해시 강한 하중에 의해 자석의 결합부를 이탈시켜야 함으로써, 팝업밸브의 분해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팝업밸브의 개방에 의해 물과 함께 배출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은 지렛대 및 트랩고리에 쉽게 걸리게 되어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수동 팝업밸브에서는 슬리이브를 승,하강하여주는 지렛대와 연결이 고리에 끼워 관통시키는 연결방법으로 되어있어 물과 함께 배수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들이 지렛대의 연장부와 지렛대의 연결부위에 걸려지게 되면 배수가 계속 이루어지더라도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쓸려 내려가지 못하고 지렛대와 슬리이브의 연결 고리부에 있으면서 물의 배수를 방해하여 신속한 배수를 방해하고 이로인해 배수유도관 내에 존재하면서 악취를 유발하여 유해곤충이 서식하는 온상역할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대에 와서는 욕실자체가 생활디자인의 산실로서 세면대의 형상도 다양화하고 인테리어도 외관의 미려함이나,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세면대 자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외관적인 측면에서 형상과 모양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세면대연결관을 청소하는 밑받침부도 일체형으로 길게 유선형으로 제작하므로 세면대 내부와 하부를 공구로 작업하기가 곤란하여 세면대를 분리하여 작업하여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세면대 밑에 누워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세면대 내부의 오물이 작업자의 안면으로 쏟아지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동 팝업밸브가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여 신체를 깨끗이 청결하게 씻은 상태에서 사용하고 난 더러운 물을 세면대에서 배출시키기 위하여 세면대의 씻은 물에 잠겨있는 자동펍업밸브를 재차 푸쉬하여야 하는 비위생적인 결점이 있어 사용상에도 문제점이 있을 뿐만아니라, 배수 후 다시 손을 씻게 되므로 물의 낭비도 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팝업밸브와 연설되어 작동하는 슬리이브의 날개부를 방사상으로 나누어 배수되는 물이 날개의 옆면을 타고 빠르게 흘러 내려가도록 함에 있어서, 날개부를 슬리이브와 일체로 형성하여주되, 슬리이브 몸체와 직접 연결되는 날개부가 수평보다는 외곽으로 벌어질수록 상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되며 일체형을 이루게 하여 와류하며 배출되는 물과 함께 배출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날개부와 슬리이브 사이에 이격형성된 공간에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물과 함께 소용돌이치며 와류하다가 날개부의 벽면에 부딪치며 머리카락은 걸려지게 됨으로써 순수한 물만 배수관과 배수유도관을 통하여 배수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슬리이브의 날개부에 걸려지게 하여 세면대의 배수구를 통해 인출하여 슬리이브의 날개부에 걸려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리이브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세면기의 배수구를 자연밀폐하게 되므로 악취의 역류가 단계적으로 차단됨은 물론, 세면대를 통한 하수관 악취 역류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낙수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하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제거 청소 작업을 간편하게 하여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고 하수관 설치 위치에 구애받지않고 세면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는 세면기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팝업밸브와 나사식으로 분리 구성되는 슬리이브의 주연 날개부가 상기 슬리이브 상면에서 일정 간격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설치되도록 하여 슬리이브 몸통과의 사이에 호퍼형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서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걸려지게 하였으며, 상기 슬리이브가 내삽되는 배수관 하측으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배수유도관 일측으로 연결부가 연통되어, 팝업밸브를 상,하 작동시키는 지렛대의 일측 선단부가 슬리이브의 몸통 하단에 구비된 받침뭉치를 밑에서 상부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결합설치되고, 상기 지렛대의 일측선단은 슬리이브의 하단과 접촉하여 상기 슬리이브를 승강 및 하강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세면기용 팝업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유도관에 위치하여 지렛대의 일측선단부에 의하여 숭,하강하는 슬리이브의 외면에 연장형성되어있는 날개부는 슬리이브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날개부의 외측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설되어 있어 세면기의 배수구를 배출되는 물에 혼합되어져 있는 머리카락 등이 배수구로 배출되며 와류하며 날개부에 걸려지게되고 순수 씻은 물만 배수관에서 배수유도관으로 배출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는 수동용 레버장치를 사용하는 세면기용 팝업밸브에서 지렛대의 일측선단부에 올려져 레버장치의 지렛대장치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슬리이브에 나사결합된 팝업밸브가 슬리이브의 자체중량에 의해 배수구를 개폐하는 팝업밸브에 결합되어진 슬리이브가 배수관의 내면에서 승, 하강되며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날개부가 외측으로 일정각을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설되어져 팝업밸브가 개하였을때, 배수구로 배수되는 물과 함께 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도 물과 함께 소용돌이로 와류하며 배수구로 배출될 때, 물은 날개부의 벽에 부딪치며 와류가 멈춘 상태에서 날개 옆면을 타고 배수되나 물과 함께 소용돌이로 와류하며 배출되든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은 날개부와 슬리이브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서 물과 함께 소용돌이치며 와류하다가 이격공간에 형성된 날개부의 이물질 걸림부에 걸러져 걸쳐 있는 상태에서 물만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 후 팝업밸브를 배수구에서 분리하여 슬리이브의 날개부와의 사이에 이격 형성된 이물질걸림부에 걸려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손쉽게 제거하고 다시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한 청소로 악취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팝업밸브 개폐장치의 지렛대는 슬리이브와 직접 링크되어 있지않고 슬리이브의 받침뭉치의 밑에서만 받쳐주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부 걸러지지 않은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들이 배수관을 통과하여 배수유도관에서 작용하는 지렛대에 걸려진다하여도 단순하게 지렛대에 올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씻은 물이 배수되면 물과 함께 휩쓸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조립단면 예시도.
도1은 본 발명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조립단면 예시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조립 단면 예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면기용 팝업밸브 개폐장치는 세면기의 배수구(10)에 설치되는 배수관(500)에 내삽되어 상,하 작동하는 슬리이브(300)의 날개부(320)를 일정각도 상향경사로 연설하여 슬리이브(300)와 연설된 날개부(320)와의 사이에 호퍼형을 이루는 이격공간에서 씻은물과 함께 와류하며 소용돌이하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날개부(320)에 부딪치며 머리카락의 일측이 날개부(320)에 걸쳐지며 호퍼형 경사면을 따라 이격공간의 맨아래 이물질걸림부(321)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이브(300)의 하단에는 받침뭉치(310)를 구비하여 수동레버장치(100)에 의하여 작동하는 지렛대(200)의 일측선단부(210)가 밑에서 올려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슬리이브(300)의 몸체에 일체로 연설되는 날개부(320)는 일정각도 상향경사로 연설되어있어 슬리이브(300)와 직접 연설 되는 위치에는 일정각도를 이루는 호퍼형 이격공간 형성되어 슬리이브(300)와 연설되는 날개부(320)의 직접 연설부는 이물질 걸림부(321)가 구비되어져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이브(300)의 하단에는 받침뭉치(310)가 구비되어 레버장치(100)에 의해 시이소 작동되는 지렛대(200)의 일측선단부(210)가 받침뭉치(310)를 위로 밀어 올려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한 것이다.
상기 팝업밸브(400)가 안착되는 배수구(10)의 입구는 배수관(500)내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슬리이브(300)의 날개부(320)가 배수구(10)로 인출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세면대의 배수구(10)를 연결하는 조립 너트와 연결관에 의하여 세면대의 두께에 따라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세면대에 설치되는 팝업밸브(400)와 팝업밸부(400)와 조립연결되는 슬리이브(300)에 연설된 날개부(320)가 상향으로 일정각도 형성되어 구비되는 이물질 걸림부(321)에 의하여 사용한 물과 함께 소용돌이치며 배출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상기 날개부(320)의 이물질 걸림부(321)에 걸려지게 되고 이를 레버장치(100)에 의해 지렛대(200)역할을 하는 일측선반주(210)가 슬리이브(300)의 하단 받침뭉치(310)를 위로 밀어 올려주게 함으로써 배수 후 슬리이브(300)의 날개부(320)에 걸쳐있는 머리카락을 손쉽게 수거처리할 수 있으므로, 항상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배수구
100: 레버장치
200: 지렛대 210: 일측선단부
300: 슬리이브 310: 받침뭉치
320: 날개부 321: 이물질걸림부
400: 팝업밸브 500: 배수관
600: 배수유도관 700: 연결부
200: 지렛대 210: 일측선단부
300: 슬리이브 310: 받침뭉치
320: 날개부 321: 이물질걸림부
400: 팝업밸브 500: 배수관
600: 배수유도관 700: 연결부
Claims (1)
- 세면기의 배수구(10)에 결합되어 수동레버장치(100)에 링크된 지렛대(200)의 시이소에의하여 배수관(500)에 내삽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슬리이브(300)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300)는 중앙몸통에서 방사상으로 날개부(320)를 연설하되, 날개끝 외측으로 일정각도 상향진 경사각을 이루어 슬리이브(300)몸통과 날개부(320)의 사이에 호퍼형을 이루는 이격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물질걸림부(321)이 형성되게한 슬리이브(300):
상기 슬리이브(300)의 몸통에 연설된 날개부(320)가 방사상으로 다수입설되어그사이에 형성되어진 호퍼형 이격공간부에서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고 물만 배출되게한 슬리이브(300)의 맨 하단에 중량체의 받침뭉치(310)를 슬리이브(300)와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받침뭉치(310): 및
상기 슬리이브(300)의 받침뭉치(310)를 밑에서 받치며 수동식 레버장치(100)에 링크되어 시이소하는 지렛대(200)의 일측선단부(210)가 슬리이브(300)의 하단 받침뭉치(310)의 밑면을 밀어올릴수있도록 받쳐만주는 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한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240A KR20170045551A (ko) | 2015-10-19 | 2015-10-19 |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240A KR20170045551A (ko) | 2015-10-19 | 2015-10-19 |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5551A true KR20170045551A (ko) | 2017-04-27 |
Family
ID=5870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5240A KR20170045551A (ko) | 2015-10-19 | 2015-10-19 |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5551A (ko) |
-
2015
- 2015-10-19 KR KR1020150145240A patent/KR20170045551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550B1 (ko) | 세면대용 배수장치 | |
US1770639A (en) | Waste-control device for washbasins, sinks, or tubs | |
KR20100065614A (ko) | 세면대용 배수구 마개 | |
KR101728223B1 (ko) |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 |
KR20110011997A (ko) | 누름식 개폐구조용 배수트랩 | |
KR101162029B1 (ko) |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 |
JP3166721U (ja) | 排水回路用脱臭装置 | |
KR200368837Y1 (ko) |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 |
KR100632446B1 (ko) |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 |
CN209066553U (zh) |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下水器及水槽 | |
KR20170045551A (ko) |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 |
KR20090005956A (ko) | 세면대 배수밸브 개폐장치 | |
JP2003301491A (ja) | 排水配管 | |
EP3507427B1 (en) | Shower drain fitting | |
KR20110001706U (ko) | 세면기의 회전 분리형 팝업밸브 | |
CN213572212U (zh) | 一种可快速拆卸清洗的防臭排水器 | |
KR20110007997U (ko) | 세면대용 배수트랩 | |
KR200262247Y1 (ko) | 씽크대용 배수구 | |
KR200351785Y1 (ko) | 점검구가 구비된 세면대 어셈블리 하부카바 | |
EP1988224A2 (en) | A water closet bowl with an incorporated brush | |
CN219909204U (zh) | 方便拆装维护的洗涤盆水封隔臭落水装置 | |
CN219033426U (zh) | 下水装置及洗漱盆 | |
KR20100001549U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KR200384846Y1 (ko) |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 |
KR200400063Y1 (ko) | 세면기용 배수밸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