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428A -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428A
KR20170043428A KR1020160031969A KR20160031969A KR20170043428A KR 20170043428 A KR20170043428 A KR 20170043428A KR 1020160031969 A KR1020160031969 A KR 1020160031969A KR 20160031969 A KR20160031969 A KR 20160031969A KR 20170043428 A KR20170043428 A KR 20170043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ransformer
primary
present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374B1 (ko
Inventor
심용훈
강인성
이창현
박창근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4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H03F1/347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usin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83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the power transistors being of the same type
    • H03F3/3086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the power transistors being of the same type two power transistors being controlled by the input signal
    • H03F3/3098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the power transistors being of the same type two power transistors being controlled by the input signal using a transformer as phase split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7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DC-isolation amplifier, e.g. chopper amplifier, modulation/demodulation amplifier, uses inductive isolation means, e.g.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단으로부터 인가받은 단일 종단(Single-Ended) 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단일 종단 신호를 인가받는 1차측 코일 및 상기 1차측 코일에 의해 유도 전류를 형성하는 2차측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코일은 제1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1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은 제1단이 접지전원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2 노드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연결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추가적인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도 변압시 발생하는 전력의 누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증폭기에 사용할 경우 증폭기 전체의 전력 이득 및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집적회로상에 추가적인 공간을 요하지 않으므로 집적회로 설계에 효율적이다.

Description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TRANSFORMER USING ASYMMETRIC STRUCTURE OF COIL}
본 발명은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을 비대칭적으로 배치하여 단일종단신호를 차동신호로 변환하는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기술분야에서 단일종단신호를 차동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변압기가 주로 사용된다. 특히, 무선 통신 분야에서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에 이러한 트랜스포머를 사용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증폭기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증폭기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증폭기는 모듈레이터(Modulator)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고, 전달받은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때, 증폭기가 입력받은 신호 및 출력하는 신호는 모두 단일종단신호(Single-Ended signal)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증폭기 내부에서 신호를 증폭하는 구조는 차동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차동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잡음에 강하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증폭기가 모스펫(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으로 구성되는 경우, 차동 구조를 통하여 가상 접지 노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스펫으로 구성된 증폭기는 주로 차동 구조를 채택한다.
한편, 입력 및 출력 신호가 단일종단신호이며 증폭기 내부 동작이 차동 구조인 경우, 증폭기는 입력된 단일종단신호를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로 변환하는 입력발룬과 증폭된 차동신호를 단일종단신호로 변환하는 출력발룬을 필요로 한다.
도 2는 차동 구조로 형성된 증폭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는 구동증폭단(Driver Stage)과 전력증폭단(Power Stage)을 포함하며, 입력되는 단일종단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는 입력발룬과 전력증폭단에서 출력되는 차동신호를 단일종단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에 전달하는 출력발룬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입력발룬은 주로 트랜스포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의 트랜스포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종래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 구조를 나타내고, (b)는 이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트랜스포머는 1차측 코일의 제1단이 입력단(IN1)에 연결되고, 제2단이 가상 접지 전원(GND)에 연결된다. 그리고, 2차측 코일의 제1단은 출력단의 제1노드(OUT1)와 연결되고, 제2단은 출력단의 제2노드(OUT2)와 연결된다.
즉, 입력단은 1차측 코일, 출력단은 2차측 코일과 각각 연결되므로 입력단과 출력단은 도선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의 자기적 결합을 통해 연결되며, 출력단은 2차측 코일에 형성된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차동신호를 생성한다.
이처럼, 종래 트랜스포머의 경우, 출력단과 입력단은 도선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출력단에는 1차측 코일에 의해 유도되어 2차측 코일에 형성된 유도 전류만이 입력된다. 하지만 트랜스포머를 형성하고 있는 코일의 기생 저항 성분에 때문에 유도전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큰 전력 손실을 야기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증폭기 전체의 전력 이득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4는 입력발룬에 의한 전력 손실이 전체 증폭기의 전력 이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LIN은 입력발룬에 의한 전력 손실 값으로서 입력발룬의 유무에 따라 증폭기의 전력 이득에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입력발룬은 전체 증폭기의 이득을 열화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단일종단신호를 차동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트랜스포머는 증폭기로 입력되는 단일종단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므로, 차동 구조의 증폭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트랜스포머에 의한 전력 누수 저감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등록특허 제10-2011-0058053호(2011.06.01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을 비대칭적으로 배치하여 단일종단신호를 차동신호로 변환하는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단으로부터 인가받은 단일 종단(Single-Ended) 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단일 종단 신호를 인가받는 1차측 코일 및 상기 1차측 코일에 의해 유도 전류를 형성하는 2차측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코일은 제1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1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은 제1단이 접지전원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2 노드에 연결된다.
상기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을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은 동일한 권선수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전류 흐름 방향을 가지도록 복수의 코일이 직렬연결되어 상기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2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상기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결합 계수가 k인 경우, 상기 1차측 코일을 형성하는 코일의 개수는 n개, 상기 2차측 코일을 형성하는 코일의 개수는 n*k로 설정되되, 상기 n과 n*k는 정수일 수 있다.
상기 1차측 코일은 직렬 연결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2차측 코일은 하나의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코일은 제1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코일의 제1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출력단의 제1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은 제1단이 상기 접지 전원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2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연결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추가적인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도 변압시 발생하는 전력의 누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증폭기에 사용할 경우 증폭기 전체의 전력 이득 및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집적회로상에 추가적인 공간을 요하지 않으므로 집적회로 설계에 효율적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증폭기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동 구조로 형성된 증폭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트랜스포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입력발룬에 의한 전력 손실이 전체 증폭기의 전력 이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계수가 0.5인 경우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 구조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신호변환시 전력의 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1회전 금속선으로 형성된 1차측 코일(100)은 제1단이 입력단(IN1)에 연결되고, 제2단이 출력단의 제1노드(OUT1)에 연결된다. 그리고 1회전 금속선으로 형성된 2차측 코일(110)은 제1단이 가상 접지 전원(GND)에 연결되고 제2단이 출력단의 제2노드(OUT2)에 연결된다.
도 5의 (b)에서는 1회전 금속선으로 형성된 1차측 코일(100) 및 2차측 코일(110)을 나선형 코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나선형으로 표현된 1차측 코일(100)의 제1단이 입력단(IN1)에 연결되고, 제2단이 출력단의 제1노드(OUT1)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선형으로 표현된 2차측 코일(110)의 제1단이 가상 접지 전원(GND)에 연결되고, 제2단이 출력단의 제2노드(OUT2)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달리, 도 5의 (a)와 (b)에서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1차측 코일(100)을 통해 직접 연결되므로, 유도전류 형성에 따른 전력 누수 없이 입력단의 전력을 출력단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출력단의 제2노드(OUT2)에는 2차측 코일(110)이 연결되어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위상이 반대인 유도 전류(Is)가 생성되므로, 출력단에는 차동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 전력 누수 없이도 출력단에 차동신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결합계수를 고려한 트랜스포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계수가 0.5인 경우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계수가 0.5인 경우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 구조를 나타내며, 도 6의 (b)는 결합계수가 0.5인 경우 종래 트랜스포머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결합계수란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간의 자기적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1차측 코일(L1) 및 2차측 코일(L2)이 상호 인덕턴스(M)로 결합되어 있을 때, 결합계수(k)는
Figure pat00001
로 표현된다.
먼저, 도 6의 (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차측 코일(200)은 2회전 금속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차측 코일(210)은 1차측 코일(200)의 일정 거리 간격에 위치한 1회전 금속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1차측 코일(200)의 2회전 금속선은 동일한 1회전 금속선 2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2회전 금속선으로 형성된 1차측 코일(200)의 제1단은 입력단(IN1)과 연결되고, 제2단은 출력단의 제1노드(OUT1)와 연결된다. 이는 동일한 1회전 금속선인 제1 코일의 제1단이 입력단(IN1)과 연결되고, 제1코일의 제2단과 제2코일의 제1단이 연결되며, 제2코일의 제2단이 출력단의 제1노드(OUT1)와 연결되는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1회전 금속선으로 형성된 2차측 코일(210)의 제1단은 가상 접지 전원(GND)과 연결되고, 제2단은 출력단의 제2노드(OUT2)와 연결된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레이아웃 구조를 나선형 코일로 표현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의 (a)에서 2회전 금속선으로 도시된 1차측 코일(200)은 두 개의 나선형 코일이 직렬연결된 구성과 동일하며, 도 6의 (a)에서 1회전 금속선으로 도시된 2차측 코일(210)은 도 6의 (b)에서 한 개의 나선형 코일과 동일하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의 구조는 결합계수에 따라 1차측 코일(200) 또는 2차측 코일(210) 중 적어도 하나는 1차측 코일(200) 또는 2차측 코일(210)을 구성하는 금속선의 회전수를 복수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1차측 코일(200) 또는 2차측 코일(210)은 동일한 권선수를 가진 복수의 코일을 직렬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측 코일(200) 또는 2차측 코일(210)의 회전수를 복수회로 설정하는 이유는 트랜스포머의 결합계수에 따라 2차측 코일(210)에 유도되는 전류의 크기가 1차측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차측 코일(200)과 2차측 코일(210)의 자기적 결합이 이상적인 경우, 트랜스포머의 결합계수는 1이 된다. 이 경우, 1차측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크기의 전류가 2차측 코일(210)에 유도된다.
하지만, 결합계수가 1인 이상 변압기는 에너지의 축적과 손실이 없는 변압기로서, 권선의 저항이 없고, 누설 인덕턴스 및 자기 임피던스가 무한대여야 하는바 실질적으로 제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제 사용되는 트랜스포머는 트랜스포머의 공정 조건, 금속선의 두께, 높이, 폭 및 기생 저항 성분 등에 따라 0보다 크고 1보다 작거나 같은 결합계수를 가진다.
즉, 실제 사용하는 트랜스포머의 결합계수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2차측 코일(210)에 유도되는 전류의 크기는 1차측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보다 항상 작다.
그러나, 출력단에 차동신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출력단의 제1노드에 흐르는 전류와 제2노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출력단에 차동신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포머의 결합계수를 고려하여 출력단의 제2노드에 전달되는 전류의 크기를 출력단의 제1노드에 전달되는 전류의 크기와 동일하게 맞춰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2차측 코일(210)에 유도되는 전류의 크기는 1차측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즉, 2차측 코일(210)에 유도되는 전류의 크기는 1차측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결합계수를 곱한 값과 같은데, 결합계수가 k이고, 1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Ip, 2차측 코일(210)에 유도된 전류를 Is라고 한다면, k*Ip=Is의 관계가 성립한다. 예를 들어, 1차측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가 2[A]이고 결합계수가 0.4인 경우, 2차측 코일(210)에는 0.8[A]의 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도 5의 (a), (b)에서와 같이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100)을 1회전으로 구성하는 경우, 2차측 코일(110) 주변에 전류는 Ip이므로, 1차측 코일(100)보다 크기가 작은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차동회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2차측 코일(110)의 전류를 증폭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를 구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의 (a), (b)에서는 결합계수 0.5를 고려하여 2차측 코일(210) 주변에 2회전 1차측 코일(200)을 위치시킴으로써, 2차측 코일(210)의 유도 전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류를 2배로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2차측 코일(210)에는 2Ip의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2차측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 Is는 2Ip*0.5, 즉 Ip의 전류가 유도된다.
상기의 내용을 정리하면, 트랜스포머의 결합계수가 k인 경우, 1차측 코일(200)을 구성하는 직렬연결된 코일의 개수(1차측 코일(200)의 금속선 회전수)는 n개(바퀴), 2차측 코일(210)을 구성하는 직렬연결된 코일의 개수(2차측 코일(210)의 금속선 회전수)는 n*k개(바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n*k 및 n은 정수여야 한다. 이는 금속선의 개수나 회전수는 소수점으로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결합계수가 0.6인 경우 1차측 코일(200)의 금속선 회전수는 5회전, 2차측 코일(210)의 금속선 회전수는 3회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1회전 코일의 직렬연결 개수로 표현하면, 1차측 코일(200)을 구성하는 직렬연결된 1회전 금속선의 개수는 5개, 2차측 코일(210)을 구성하는 직렬연결된 1회전 금속선의 개수는 3개가 된다.
이와 같이 1차측 코일(200) 및 2차측 코일(210)을 구성하는 경우, 1차측 코일(200)의 회전수가 5바퀴가 되므로, 2차측 코일(210)의 주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5Ip가 된다. 그리고 2차측 코일(210)은 3바퀴로 형성되므로, 결론적으로 2차측 코일(210)의 유도전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류의 크기는 5/3Ip가 된다. 이를 결합계수 0.6과 곱하면, 유도 전류의 크기는 1차측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같아지게 된다.
한편, n과 n*k는 정수이면 되므로, 1차측 코일(200)을 구성하는 직렬연결된 1회전 금속선의 개수를 10개, 2차측 코일(210)을 구성하는 직렬연결된 1회전 금속선의 개수를 6개로 하여 트랜스포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연결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추가적인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도 변압시 발생하는 전력의 누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증폭기에 사용할 경우 증폭기 전체의 전력 이득 및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집적회로상에 추가적인 공간을 요하지 않으므로 집적회로 설계에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고주파 증폭기에 사용되는 트랜스포머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류나 전압을 변화시키는 모든 트랜스포머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주파 증폭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1차측 코일 110, 210 : 2차측 코일

Claims (8)

  1. 입력단으로부터 인가받은 단일 종단(Single-Ended) 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단일 종단 신호를 인가받는 1차측 코일 및 상기 1차측 코일에 의해 유도 전류를 형성하는 2차측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코일은 제1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1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은 제1단이 접지전원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코일로 형성되는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을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은 동일한 권선수를 가지는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4. 제3항에 있어서,
    동일한 전류 흐름 방향을 가지도록 복수의 코일이 직렬연결되어 상기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을 형성하는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2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상기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개수가 결정되는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결합 계수가 k인 경우,
    상기 1차측 코일을 형성하는 코일의 개수는 n개, 상기 2차측 코일을 형성하는 코일의 개수는 n*k로 설정되되, 상기 n과 n*k는 정수인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코일은 직렬 연결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2차측 코일은 하나의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코일은 제1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코일의 제1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출력단의 제1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은 제1단이 상기 접지 전원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출력단의 제2 노드와 연결되는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8. 제1항에 있어서,
    고주파 증폭기에 적용되는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KR1020160031969A 2015-10-12 2016-03-17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KR101734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2176 2015-10-12
KR1020150142176 2015-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428A true KR20170043428A (ko) 2017-04-21
KR101734374B1 KR101734374B1 (ko) 2017-05-15

Family

ID=5870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969A KR101734374B1 (ko) 2015-10-12 2016-03-17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3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217A (ja) * 2003-12-25 2005-07-14 Sharp Corp スパイラルインダ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回路装置または差動回路
FR2871001A1 (fr) * 2004-05-25 2005-12-02 St Microelectronics Sa Transformateur a changement de mode et filtre passe-b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374B1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3950B2 (en) Power amplifier having transformer
US8400232B2 (en) Figure 8 balun
CN101552115B (zh) 紧凑型多变压器系统及其方法
US9077310B2 (en) Radio frequency transmitter, power combiners and terminations therefor
US8314658B2 (en) Power amplifier
EP2736168A1 (en) Class AB amplifiers
US10559415B2 (en) Common mode filter capable of balancing induced inductance and distributed capacitance
US8576012B2 (en) Single-to-differential conversion circuit
TW202036616A (zh) Cmos瓜內拉巴倫器
TWI404085B (zh) 變壓器及其結構與功率放大裝置
JP2008131645A (ja) 電力結合器を使用した電力増幅器
CN115913154B (zh) 微波功率放大器和微波芯片
US9722556B1 (en) RF transformer for differential amplifier
CN216311551U (zh) 变压器及推挽功率放大电路
KR101734374B1 (ko) 권선의 비대칭 구조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CN109951182A (zh) 耦合t线圈
US7876162B2 (en) Amplifier and radio
TW202247598A (zh) 結合sutardja變壓器之低雜訊放大器
JP6210464B2 (ja) 電気回路
US11121676B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harmonic suppression
CN101685704B (zh) 变压器及其结构与功率放大装置
CN107548511B (zh) 将输入射频信号变换为输出射频信号的射频变压器
CN115882798B (zh) 推挽结构射频功率放大器和射频芯片
RU121653U1 (ru) Высокочастотное симмет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9112459B2 (en) Transformer power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