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246A -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246A
KR20170043246A KR1020150142744A KR20150142744A KR20170043246A KR 20170043246 A KR20170043246 A KR 20170043246A KR 1020150142744 A KR1020150142744 A KR 1020150142744A KR 20150142744 A KR20150142744 A KR 20150142744A KR 20170043246 A KR20170043246 A KR 2017004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unit
information
vehic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3246A/ko
Publication of KR2017004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에서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익숙하지 않은 주차장의 구조를 쉽게 파악하여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주차장의 단위 주차 공간마다 설치되는 주차 표시부로부터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PARCKING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위치한 주차장의 주차 정보 안내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대형 마트, 백화점 등의 장소에는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주차장을 마련하여 주차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차장에는 각 단위 주차 공간마다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는 표시 장치의 색상을 확인하여 빈 공간을 찾아가게 된다.
그러나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는 주차장 내의 구조물(예를 들면 기둥)에 의해서 가려져 잘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비어있는 주차 공간을 찾기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처음 이용하는 주차장의 경우 주차장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워 주차 공간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장에서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익숙하지 않은 주차장의 구조를 쉽게 파악하여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안내 유닛은, 지정된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 주차 상태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부와;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 주차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와; 고유의 식별 정보와 주차 상태 정보를 송출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안내 유닛에서,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안내 유닛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이다.
상술한 주차 안내 유닛에서, 센서부와 표시부, 통신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주차 안내 유닛에서, 센서부 및 통신부가 표시부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주차 안내 유닛에서, 통신부가 센서부 및 표시부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정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주차장의 단위 주차 공간마다 설치되는 주차 안내 유닛으로부터 주차 안내 유닛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에서, 상태 정보는 주차 안내 유닛 고유의 식별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에서,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안내 유닛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이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에서,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에서,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들 사이에 마련되는 통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에서, 통로 정보는 단위 주차 공간들과 구분되어 통로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에서,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의 수신은 주차 표시부와 차량 사이의 비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정보 표시 방법은, 주차장의 단위 주차 공간마다 설치되는 주차 안내 유닛으로부터 주차 안내 유닛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상태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방법에서, 상태 정보는 주차 안내 유닛 고유의 식별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방법에서,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안내 유닛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이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방법에서,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방법에서,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들 사이에 마련되는 통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방법에서, 통로 정보는 단위 주차 공간들과 구분되어 통로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정보 표시 방법에서,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의 수신은 주차 표시부와 차량 사이의 비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은, 주차장의 단위 주차 공간마다 설치되어 자신의 상태 정보를 발신하는 주차 안내 유닛과; 주차 안내 유닛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는 차량을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주차 안내 유닛의 상태 정보는 주차 안내 유닛 고유의 식별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주차 안내 유닛의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안내 유닛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이다.
상술한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주차 표시부의 주차 데이터는 주차 표시부가 설치된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상술한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들 사이에 마련되는 통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의 발신과 수신은 주차 표시부와 차량 사이의 비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주차장에서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 가능한 구역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익숙하지 않은 주차장의 구조를 쉽게 파악하여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별도의 GPS 서비스나 실내 내비게이션(In-door Navigation)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위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AV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 각각에 부여된 ID의 분석을 통해 주차장의 구조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분석된 주차장 구조를 차량의 AVN을 통해 표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상태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100)은 1대의 차량(102)이 주차할 수 있도록 구획된 단위 주차 공간마다 주차 표시부인 주차 안내 유닛(104)이 설치된다. 주차 안내 유닛(104)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는지 주차되어 있지 않은지를 표시하여 주차장(100)을 이용하는 고객들(특히 운전자)이 비어있는 단위 주차 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단위 주차 공간이 많을수록(예를 들면 대형 마트의 주차장처럼) 주차 안내 유닛(104)의 효과는 배가된다.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은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주차장(100)의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된다. 즉 단위 주차 공간과 주차 안내 유닛(104)은 1:1의 대응을 이룬다. 주차 안내 유닛(104)은 단위 주차 공간의 위쪽의 비교적 높은 곳(예를 들면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차장(100)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먼 거리에서도 주차 안내 유닛(104)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각 주차 공간마다 주차되는 차량(102)의 불규칙한 차고(車高)를 고려하여 주차 안내 유닛(104)과 주차된 차량(102)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차장(100)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주차 안내 유닛(104)의 상태(예를 들면 점등 여부 또는 색상의 변화)를 통해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안내 유닛(104)이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어 주차가 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고, 반대로 주차 안내 유닛(104)이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이미 주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104)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주차 안내 유닛(104)은 제어부(202)와 차량 감지 센서(204),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206), 통신부(208)를 포함한다.
차량 감지 센서(204)는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102)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는 제어부(202)의 입력 측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을 때 이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차량 감지 센서(204)에서 발생한 검출 신호는 제어부(202)로 전송된다. 제어부(202)는 차량 감지 센서(204)에서 발생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이디(206)의 점등 및 색상을 제어하여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엘이디(206)를 녹색으로 점등하고 반대로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엘이디(206)를 적색으로 점등한다.
차량 감지 센서(204)는, 도 2의 참조 부호 204에 나타낸 것처럼, 주차 안내 유닛(104) 내에 설치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와 제어부(202), 엘이디(206), 통신부(208)를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엘이디(206)는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와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등이다. 엘이디(206)는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으로 점등된다. 예를 들면,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4)이 주차되어 있을 때에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을 때에는 녹색으로 점등된다. 주차 안내 유닛(104)이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인 것을 녹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고, 반대로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적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다.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엘이디(206)의 점등 색상은 적색/녹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색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통신부(208)는 주차장(100)을 이용하는 고객의 차량(102)과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 수단이다. 주차 안내 유닛(104)의 통신부(208)는 주차 안내 유닛(104)에 부여된 고유의 ID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주차 데이터를 발신한다. 주차장(100) 내부에 위치한 차량(102) 가운데 주차 안내 유닛(104)과 통신할 수 있는 채널이 마련된 차량(102)은 주차 안내 유닛(104)에서 발신되는 ID 및 주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2)의 AVN(도 3 및 도 4의 참조 부호 300 참조)은 수신된 ID 및 주차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차장 구조와 주차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도 4의 참조 부호 414 및 도 6 참조)에 표시한다.
통신부(208)와 차량(102)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과 차량(102)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과 차량(102)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의 비콘(Beacon)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BLE의 비콘 통신은 반경 50m 내지 70m 범위 안에 있는 다른 BLE 모듈(494)을 탐색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 통신은 저 소비 전력의 통신 기술로서 배터리 소모량이 적으며, 송신기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가 비교적 균일하게 변화화기 때문에 수신 신호 강도(RSSI)의 크기를 통해 수신기의 위치를 매우 정교한 수준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콘 통신을 통한 이와 같은 정교한 위치 파악 기술을 이용하여 주차장(100)의 단위 주차 공간 및 통로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주차 안내 유닛(104)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2)는 입력 측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차량 감지 센서(204)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부(208)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제어를 수행하고, 또 출력 측에 연결되는 엘이디(206)를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점등/소등 제어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202)를 구비하지 않고 차량 감지 센서(204)와 엘이디(206), 통신부(208)를 직접 연결하여 차량 감지 센서(204)의 검출 신호에 따라 엘이디(206)의 점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통신부(208)를 통한 통신 신호의 전송 역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의 전면에는 AVN(300)과 스티어링 휠(302)이 장착된다. AVN(300)은 오디오(Audio)/비디오(Video)/내비게이션(Navigation)이 일체화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운전석의 좌측 도어와 동반자석의 우측 도어에는 스피커(316)가 장착된다. 스티어링 휠(302)의 너머에는 클러스터(350)가 마련된다. 클러스터(350)에는 차량(100)의 다양한 주행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AV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N(300)의 구성은 일반적인 입력 기능을 위한 요소와 방송/통신 기능을 위한 요소, 내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요소, 오디오/비디오 기능을 위한 요소, 복수의 기능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방송/통신 기능을 위한 요소는 안테나(452)와 튜너부(454), 방송 신호 처리부(456), 통신 신호 처리부(458)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요소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462)와 내비게이션 구동부(464)를 포함한다. 오디오/비디오 기능을 위한 요소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와 오디오/비디오 재생부(474)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입력 기능을 위한 구성은 입력부(472)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능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는 메모리(410)와 제어부(412), 디스플레이(414), 스피커(3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능 상의 구분은 위에 기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기능을 위한 요소가 다른 기능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452)는 방송 신호의 수신을 위한 목적 또는 통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목적으로 공중의 전파를 받거나 또는 공중으로 전파를 보내기 위한 장치이다. 안테나(452)는 튜너부(454)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안테나(452)가 받은 전파는 튜너부(454)에 전달된다. 안테나(452)는 복수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방송/통신 신호를 위해 복수의 형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튜너부(454)는 안테나(452)가 받은 전파를 전달받아 중간 주파수 신호 등으로 변환한다. 또한 튜너부(454)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공중에 전파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안테나(452)를 통해 공중으로 보낸다. 즉, 튜너부(454)는 특정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반송파 신호에 데이터 신호를 결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튜너부(454)는 방송 신호의 수신과 통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방송 신호는 라디오 방송 신호와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신호는 전 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이하 GPS 위성)과의 위성 통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는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위한 통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454)에서 어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것인지는 제어부(412)에서 튜너부(454)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412)에서 특정 채널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튜너부(454)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면 튜너부(454)는 제어부(412)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제어부(412)에서 텔레매틱스 신호의 송신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송신 데이터를 튜너부(454)로 전달하면, 튜너부(454)는 제어부(412)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 데이터를 공중으로 보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452)를 통해 공중으로 보낸다. 또한 튜너부(454)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채널의 정보를 획득한다. 튜너부(454)에 입력되는 방송 신호에는 방송 채널의 명칭과 서비스 ID(IDentification), 방송 데이터가 포함된다. 튜너부(454)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채널의 명칭과 서비스 ID,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후단의 방송 신호 처리부(456)와 제어부(412)에 전달한다. 통신 신호는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신호일 수 있다. 통신 신호 처리부(458)는 안테나(452) 및 튜너부(454)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로부터 주차 안내 유닛(104)의 ID의 주차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여 AVN 제어부(412)에 제공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456)는 튜너부(454)를 거친 방송 신호를 비디오 방송 신호와 오디오 방송 신호로 구분하여 일련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456)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신호 처리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414)를 구동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신호 처리부(458)는 GPS 위성과의 통신 신호와 텔레매틱스 통신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즉, 통신 신호 처리부(458)는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제어부(412)에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거나, 튜너부(454) 및 안테나(452)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12)로부터 전달받아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462)는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462)는 메모리 카드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유선/무선 방식의 링크(예를 들면 카플레이(CarPlay) 또는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 구동부(464)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46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414) 상에 내비게이션 화면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운전자가 설정한 목적지와 경유지, 경로 형태 등의 내비게이션 설정 정보를 제어부(412)로부터 제공받는다. 또한 내비게이션의 구현을 위해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확보한 자동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부(412)로부터 제공받는다.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일 수 있다. 또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는 범용 직렬 버스(USB) 입출력 장치 또는 예비 입출력 단자(일명 AUX)일 수 있다. 또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에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휴대용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재생부(474)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스피커(316) 또는 디스플레이(414)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가 광 디스크 드라이브일 때,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 디스크(CD/DVD/BD 등)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인출하고, 오디오/비디오 재생부(474)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에 의해 인출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스피커(316) 또는 디스플레이(414)를 구동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316) 또는 디스플레이(414)로 전달함으로써 오디오/비디오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광 디스크 이외의 다른 매체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도 오디오/비디오 재생부(474)를 거치면서 스피커(316) 또는 디스플레이(414)를 구동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입력부(482)는 AVN(30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414) 상에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부(482)의 조작을 통해 AVN(300)의 복합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기능으로부터 기대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설정을 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스티어링 휠(102)의 음성 인식 버튼(104)도 입력부(482)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Module)(494)은 비콘(beacon) 통신을 통해 다른 차량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412)는 AVN(300)의 동작 전반에 관여하여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12)는 방송/통신 신호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방송/통신 신호의 처리 후 발생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스피커(316) 또는 디스플레이(414)로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스피커(316) 또는 디스플레이(414)로 전달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12)는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462)와 내비게이션 구동부(464), 디스플레이(414), 스피커(316)를 제어하여 내비게이션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12)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472)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오디오/비디오 재생부(474)에 의해 재생되어 스피커(316) 또는 디스플레이(414)로 전달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410)는 AVN(300)의 방송/통신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각각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필요한 화면 표시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디스플레이(414)는 AVN(300)의 방송/통신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이 수행될 때 수반되는 비디오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각 기능 별 안내 화면이나 메시지, 비디오 자료 등이 디스플레이(414)를 통해 출력된다.
스피커(316)는 AVN(300)의 방송/통신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이 수행될 때 수반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각 기능 별 안내 멘트나 효과 음, 오디오 자료 등이 스피커(316)를 통해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 각각에 부여된 ID의 분석을 통해 주차장의 구조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2)의 AVN 제어부(412)는 주차장(100)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수신한 ID와 주차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차장(100)의 단위 주차 공간의 구조 및 주차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가상의 테이블을 작성한다.
도 5에 나타낸 가상의 테이블은 An, Bn, Cn, Dn으로 구분되는 실제 주차 공간의 ID와 Xn, Yn으로 구분되는 통로의 ID를 포함한다. An, Bn, Cn, Dn은 미리 약속된 규칙에 따라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부여된 고유의 ID이다.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을 행과 열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라고 가정할 때, 주차 공간의 각 행은 알파벳(A, B, C, D 등)으로 구분하고 주차 공간의 각 열은 숫자(1, 2, 3, 4 등)로 구분한다. 또한 통로의 구분은 X 좌표 값인 Xn과 Y 좌표 값인 Yn을 통해 X-Y 좌표를 구분한다.
이와 같이 2차원 좌표 상에서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도록 규칙을 정하여 ID를 부여함으로써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의 ID만으로 단위 주차 공간들 각각의 상대적 위치 즉 배치 구조를 알 수 있다.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은 자신에게 지정된 단위 주차 공간에 설치되므로(통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인 경우에는 통로에 설치됨)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의 상대적 위치를 알면 모든 단위 주차 공간 및 통로의 위치(즉 주차장의 구조)를 알 수 있다.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ID를 부여하고 정해진 규칙에 따른 위치의 단위 주차 공간 상에 주차 안내 유닛(104)을 설치한다. 이후 고객들이 실제로 주차장(100)을 이용할 때 차량(102)의 AVN(300)은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수신되는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의 고유의 ID를 수신하고 미리 약속된 규칙을 반영하여 해석함으로써 주차장(100)의 단위 주차 영역의 배치(구성)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위 주차 공간들 사이에 마련되는 통로(차량 및 사람이 이동하는 통로)에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고유의 ID가 부여된 주차 안내 유닛(104)을 설치함으로써 주차장(100)을 이용하는 차량(102)의 AVN(300)이 해당 위치를 통로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통로를 나타내는 주차 안내 유닛(104)의 경우 차량(102)을 인식하여 주차 여부를 나타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 감지 센서(204) 및 엘이디(206)는 필요치 않으며 제어부(202) 및 통신부(208)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A10과 A16, C3, C9는 다른 ID들과 다르게 특별한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 A10과 A16, C3, C9는 현재 아무 차량도 주차되어 있지 않은 빈 단위 주차 공간을 의미한다. AVN(300)의 디스플레이(414)를 통해 주차장(100)의 주차 상태를 표출할 때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단위 주차 공간과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빈 단위 주차 공간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해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빈 단위 주차 공간을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다른 단위 주차 공간들과 다른 특별한 형태의 ID로 구분한다.
또한, 도 5에서 D1h~D6h처럼 "h"가 부가된 ID는 가로 방향(horizontal)으로 배치된 단위 주차 공간을 의미하며, 이는 세로 방향(vertical)으로 배치된 다른 단위 주차 공간들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주차장(100)의 각 단위 주차 공간마다 고유의 ID를 부여하는 것과 유사하게, 주차장(100)마다 고유의 ID를 더 부여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주차장(100)을 구분하도록 하고, 각 주차장(100)마다의 구조를 AVN(300)의 메모리(410)에 저장해 두고 해당 주차장(100)을 이용할 때마다 미리 저장해 둔 해당 주차장(100)의 특징을 불러와 디스플레이(414)에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주차장(100)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업데이트를 통해 변경된 주차장 구조를 반영하여 메모리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AVN(300)이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ID 및 주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차량(102)이 주차장(100) 내부에 진입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AVN(300)이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ID 및 주차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것인지를 차량(102)의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 분석된 주차장 구조를 차량의 AVN을 통해 표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 5에서 차량(102)의 AVN(300)이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에 부여된 ID의 분석을 통해 주차장(100)의 구조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주차장(100)의 구조가 판단되면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AVN(300)의 디스플레이(414)에 주차장(100)의 구조를 그래픽으로 표출하여 운전자가 주차장(100)의 구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AVN(300)의 디스플레이(414)에 주차장(100)의 구조를 표시할 때 단위 주차 공간들 및 통로의 배치는 물론, 각 단위 주차 공간마다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는지 비어있는지도 함께 표시한다. 각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 표시는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는 단위 주차 공간에는 차량(102)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각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 표시는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는 단위 주차 공간을 비어 있는 단위 주차 공간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또는 각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 표시는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는 단위 주차 공간에 미리 정해진 특정한 표시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차량(102)의 운전자는 AVN(300)의 디스플레이(414)에 표시되는 주차장(100)의 구조를 통해 주차장(100)의 구조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비어 있는 단위 주차 공간을 인지하여 해당 위치로 차량(102)을 이동하여 주차를 시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상태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주차장(100)에 진입한 차량(102)의 AVN(300)은 주차장(100)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ID 및 주차 데이터를 수신한다(702). AVN(300)이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ID 및 주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차량(102)이 주차장(100) 내부에 진입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AVN(300)이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으로부터 ID 및 주차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것인지를 차량(102)의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차량(102)의 AVN(300)은 수신한 ID를 분석하여 주차 공간 배치 테이블(도 5 참조)을 작성한다(704).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의 ID는 2차원 좌표 상에서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도록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부여된 것이므로, 이 규칙을 적용하여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의 ID만으로 단위 주차 공간들 각각의 상대적 위치 즉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차량(102)의 AVN(300)은 수신한 주차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차 상태 테이블(도 5 참조)을 작성한다(706). 차량(102)의 AVN(300)이 주차 안내 유닛(104)의 차량 감지 센서(204)로부터 수신한 주차 데이터는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므로, 복수의 주차 안내 유닛(104)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주차 데이터를 통해 주차장(100)의 어느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거나 또는 주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테이블로 작성할 수 있다.
차량(102)의 AVN(300)은 주차 공간 테이블 및 주차 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414)에 주차 공간 및 주차 상태를 표시한다(708). AVN(300)의 디스플레이(414)에 주차장(100)의 구조를 표시할 때 단위 주차 공간들 및 통로의 배치는 물론, 각 단위 주차 공간마다 차량(102)이 주차되어 있는지 비어있는지도 함께 표시한다. 차량(102)의 운전자는 AVN(300)의 디스플레이(414)에 표시되는 주차장(100)의 구조를 통해 주차장(100)의 구조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비어 있는 단위 주차 공간을 인지하여 해당 위치로 차량(102)을 이동하여 주차를 시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104a)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낸 주차 안내 유닛(104a)은 제어부(202a)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206a), 통신부(208a)를 포함하되, 차량 감지 센서(204a)는 포함하지 않는다.
차량 감지 센서(204a)는 도 8(B)에 나타낸 것처럼 주차 안내 유닛(104a)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위치에 별개의 요소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차량 감지 센서(204a)만을 별개로 단위 주차 공간의 바닥에 설치하고, 제어부(202a)와 엘이디(206a), 통신부(208a)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 유닛(104a)은 주차 공간의 천정에 설치할 수 있다.
차량 감지 센서(204a)는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102a)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a)는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a)이 주차되어 있을 때 이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차량 감지 센서(204a)에서 발생한 검출 신호는 주차 안내 유닛(104a)의 제어부(202a)로 전송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a)와 주차 안내 유닛(104a)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주차 안내 유닛(104a)의 제어부(202a)는 차량 감지 센서(204a)에서 발생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이디(206a)의 점등 및 색상을 제어하여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엘이디(206a)를 녹색으로 점등하고 반대로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엘이디(206a)를 적색으로 점등한다.
차량 감지 센서(204a)의 설치 위치는 천정이나 바닥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량(102a)의 주차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주차 안내 유닛(104a)의 통신부(208a)는 비컨 송신기로서 비컨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ID와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패킷 형태의 주차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주차장(100) 내부에 위치한 차량(102a) 가운데 주차 안내 유닛(104a)과 통신할 수 있는 비컨 수신기가 마련된 모든 차량(102a)은 주차 안내 유닛(104a)에서 발신되는 ID 및 주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2a)의 AVN(도 3 및 도 4의 참조 부호 300 참조)은 수신된 ID 및 주차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차장 구조와 주차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도 4의 참조 부호 414 및 도 6 참조)에 표시한다.
통신부(208a)와 차량(102a)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a)과 차량(102a)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a)과 차량(102a)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의 비콘(Beacon)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BLE의 비콘 통신은 반경 50m 내지 70m 범위 안에 있는 다른 BLE 모듈(494)을 탐색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 통신은 저 소비 전력의 통신 기술로서 배터리 소모량이 적으며, 송신기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가 비교적 균일하게 변화화기 때문에 수신 신호 강도(RSSI)의 크기를 통해 수신기의 위치를 매우 정교한 수준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콘 통신을 통한 이와 같은 정교한 위치 파악 기술을 이용하여 주차장(100)의 단위 주차 공간 및 통로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주차 안내 유닛(104a)의 엘이디(206a)는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a)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와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등이다. 엘이디(206a)는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으로 점등된다. 예를 들면,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a)이 주차되어 있을 때에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을 때에는 녹색으로 점등된다. 주차 안내 유닛(104a)이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인 것을 녹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고, 반대로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적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다.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엘이디(206a)의 점등 색상은 적색/녹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색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주차 안내 유닛(104a)의 제어부(202a)는 주차 안내 유닛(104a)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2a)는 입력 측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차량 감지 센서(204a)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부(208a)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제어를 수행하고, 또 출력 측에 연결되는 엘이디(206a)를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점등/소등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104b)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나타낸 주차 안내 유닛(104b)은 제어부(202b)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206b)를 포함하되, 차량 감지 센서(204b)와 통신부(208b)는 포함하지 않는다.
차량 감지 센서(204b)는 도 9(B)에 나타낸 것처럼 주차 안내 유닛(104b)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위치에 별개의 요소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차량 감지 센서(204b)만을 별개로 단위 주차 공간의 바닥에 설치하고, 제어부(202b)와 엘이디(206b)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 유닛(104b)은 주차 공간의 천정에 설치할 수 있다.
차량 감지 센서(204b)는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102b)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b)는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b)이 주차되어 있을 때 이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차량 감지 센서(204b)에서 발생한 검출 신호는 주차 안내 유닛(104b)의 제어부(202b)로 전송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b)와 주차 안내 유닛(104b)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주차 안내 유닛(104b)의 제어부(202b)는 차량 감지 센서(204b)에서 발생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이디(206b)의 점등 및 색상을 제어하여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엘이디(206b)를 녹색으로 점등하고 반대로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엘이디(206b)를 적색으로 점등한다.
차량 감지 센서(204b)의 설치 위치는 천정이나 바닥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량(102b)의 주차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차량 감지 센서(204b)는 통신부(208b)를 포함한다. 즉 통신부(208b)가 차량 감지 센서(204b)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설치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b)의 통신부(208b)는 비컨 송신기로서 비컨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ID와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패킷 형태의 주차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주차장(100) 내부에 위치한 차량(102b) 가운데 주차 안내 유닛(104b)과 통신할 수 있는 비컨 수신기가 마련된 모든 차량(102b)은 주차 안내 유닛(104b)에서 발신되는 ID 및 주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2b)의 AVN(도 3 및 도 4의 참조 부호 300 참조)은 수신된 ID 및 주차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차장 구조와 주차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도 4의 참조 부호 414 및 도 6 참조)에 표시한다.
통신부(208b)와 차량(102b)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b)과 차량(102b)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b)과 차량(102b)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의 비콘(Beacon)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BLE의 비콘 통신은 반경 50m 내지 70m 범위 안에 있는 다른 BLE 모듈(494)을 탐색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 통신은 저 소비 전력의 통신 기술로서 배터리 소모량이 적으며, 송신기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가 비교적 균일하게 변화화기 때문에 수신 신호 강도(RSSI)의 크기를 통해 수신기의 위치를 매우 정교한 수준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콘 통신을 통한 이와 같은 정교한 위치 파악 기술을 이용하여 주차장(100)의 단위 주차 공간 및 통로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주차 안내 유닛(104b)의 엘이디(206b)는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b)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와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등이다. 엘이디(206b)는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으로 점등된다. 예를 들면,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b)이 주차되어 있을 때에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을 때에는 녹색으로 점등된다. 주차 안내 유닛(104b)이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인 것을 녹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고, 반대로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적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다.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엘이디(206b)의 점등 색상은 적색/녹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색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주차 안내 유닛(104b)의 제어부(202b)는 주차 안내 유닛(104b)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2b)는 입력 측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차량 감지 센서(204b)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 측에 연결되는 엘이디(206b)를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점등/소등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주차 안내 유닛(104c)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 나타낸 주차 안내 유닛(104c)은 제어부(202c)와 차량 감지 센서(204c),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206c)를 포함하되, 통신부(208c)는 포함하지 않는다.
주차 안내 유닛(104c)의 차량 감지 센서(204c)는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102c)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c)는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c)이 주차되어 있을 때 이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차량 감지 센서(204c)에서 발생한 검출 신호는 주차 안내 유닛(104c)의 제어부(202c)로 전송된다. 차량 감지 센서(204c)와 주차 안내 유닛(104c)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주차 안내 유닛(104c)의 제어부(202c)는 차량 감지 센서(204c)에서 발생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이디(206c)의 점등 및 색상을 제어하여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엘이디(206c)를 녹색으로 점등하고 반대로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엘이디(206c)를 적색으로 점등한다.
통신부(208c)는 도 10(B)에 나타낸 것처럼 주차 안내 유닛(104b)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위치에 별개의 요소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208c)만을 별개로 단위 주차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고, 제어부(202b)와 차량 감지 센서(204c), 엘이디(206b)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 유닛(104b)은 주차 공간의 천정에 설치할 수 있다.
통신부(208c)는 비컨 송신기로서 비컨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ID와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패킷 형태의 주차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주차장(100) 내부에 위치한 차량(102c) 가운데 주차 안내 유닛(104c)과 통신할 수 있는 비컨 수신기가 마련된 모든 차량(102c)은 주차 안내 유닛(104c)에서 발신되는 ID 및 주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2c)의 AVN(도 3 및 도 4의 참조 부호 300 참조)은 수신된 ID 및 주차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차장 구조와 주차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도 4의 참조 부호 414 및 도 6 참조)에 표시한다.
통신부(208c)와 차량(102c)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c)과 차량(102c)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으로 주차 안내 유닛(104c)과 차량(102c)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의 비콘(Beacon)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BLE의 비콘 통신은 반경 50m 내지 70m 범위 안에 있는 다른 BLE 모듈(494)을 탐색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 통신은 저 소비 전력의 통신 기술로서 배터리 소모량이 적으며, 송신기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가 비교적 균일하게 변화화기 때문에 수신 신호 강도(RSSI)의 크기를 통해 수신기의 위치를 매우 정교한 수준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콘 통신을 통한 이와 같은 정교한 위치 파악 기술을 이용하여 주차장(100)의 단위 주차 공간 및 통로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주차 안내 유닛(104c)의 엘이디(206c)는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c)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와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등이다. 엘이디(206c)는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으로 점등된다. 예를 들면,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102c)이 주차되어 있을 때에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을 때에는 녹색으로 점등된다. 주차 안내 유닛(104c)이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인 것을 녹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고, 반대로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으면 고객들은 해당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적색 점등 상태를 통해 알 수 있다.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엘이디(206c)의 점등 색상은 적색/녹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색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주차 안내 유닛(104c)의 제어부(202c)는 주차 안내 유닛(104c)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2c)는 입력 측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차량 감지 센서(204c)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 측에 연결되는 엘이디(206c)를 해당 단위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점등/소등 제어한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주차장
102 : 차량
104 : 주차 안내 유닛(주차 표시부)
300 : AVN(Audio Video Navigation)
414 : 디스플레이

Claims (26)

  1. 지정된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 주차 상태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부와;
    상기 단위 주차 공간의 차량 주차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와;
    고유의 식별 정보와 주차 상태 정보를 송출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표시 장치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인 주차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표시부, 상기 통신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주차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표시부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주차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표시부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주차 표시 장치.
  6. 디스플레이와;
    주차장의 단위 주차 공간마다 설치되는 주차 안내 유닛으로부터 상기 주차 안내 유닛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주차 안내 유닛 고유의 식별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안내 유닛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인 주차 정보 표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상기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들 사이에 마련되는 통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정보는 상기 단위 주차 공간들과 구분되어 통로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의 수신은 상기 주차 표시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비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주차 정보 표시 장치.
  13. 주차장의 단위 주차 공간마다 설치되는 주차 안내 유닛으로부터 상기 주차 안내 유닛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주차 안내 유닛 고유의 식별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안내 유닛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인 주차 정보 표시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상기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들 사이에 마련되는 통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정보는 상기 단위 주차 공간들과 구분되어 통로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표시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의 수신은 상기 주차 표시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비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주차 정보 표시 방법.
  20. 주차장의 단위 주차 공간마다 설치되어 자신의 상태 정보를 발신하는 주차 안내 유닛과;
    상기 주차 안내 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표시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주차 표시 장치 고유의 식별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표시 장치의 고유의 식별 정보는 이웃한 다른 주차 표시 장치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인 주차 안내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표시부의 주차 데이터는 상기 주차 표시부가 설치된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인 주차 안내 시스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상기 단위 주차 공간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 공간들 사이에 마련되는 통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차 안내 시스템.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표시부의 상태 정보의 발신과 수신은 상기 주차 표시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비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주차 안내 시스템.
KR1020150142744A 2015-10-13 2015-10-13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70043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44A KR20170043246A (ko) 2015-10-13 2015-10-13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44A KR20170043246A (ko) 2015-10-13 2015-10-13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46A true KR20170043246A (ko) 2017-04-21

Family

ID=5870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744A KR20170043246A (ko) 2015-10-13 2015-10-13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32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184A (zh) * 2018-06-15 2018-11-16 中南建筑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出租车蓄车场智能发车引导系统及方法
CN108898874A (zh) * 2018-06-20 2018-11-27 广东粤讯科技开发有限公司 停车场车位导航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184A (zh) * 2018-06-15 2018-11-16 中南建筑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出租车蓄车场智能发车引导系统及方法
CN108898874A (zh) * 2018-06-20 2018-11-27 广东粤讯科技开发有限公司 停车场车位导航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4145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17922A1 (en) Display system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system
US8527194B2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radio data system information therefor
WO20051169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arrival of bus or other vehicle
JP2006287730A (ja) オーディオ装置
KR20080027406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처리 방법
JP2008232940A (ja) オートバイ用情報提供装置
KR20170043246A (ko) 차량의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WO2009081849A1 (ja) 車載器、出力可否判定方法、道路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53316A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KR20100043873A (ko) 교통 신호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JP4219054B2 (ja) 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
JP201019076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表示方法
KR20020031148A (ko) 버스 정류장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31996A (ja) 車載通信装置及び車両間通信システム
JP2016076831A (ja) 指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指示システム
KR20170131330A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KR20060111809A (ko) 키 백라이트 led(key backlight led)를이용한 자동 항법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2107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S61140228A (ja) 移動用ラジオ受信装置
JP2006072613A (ja) 路車間狭域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車載狭域無線通信装置及び路側狭域無線通信装置
KR20230064828A (ko) 방송 신호 출력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100334665B1 (ko) 차량의 운행 위치 확인장치 및 방법
JP2006174113A (ja) 情報受信装置および車載機器
KR200421642Y1 (ko) 네비게이션 일체형 차량 영상가요반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