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564A -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564A
KR20170041564A KR1020150141173A KR20150141173A KR20170041564A KR 20170041564 A KR20170041564 A KR 20170041564A KR 1020150141173 A KR1020150141173 A KR 1020150141173A KR 20150141173 A KR20150141173 A KR 20150141173A KR 20170041564 A KR20170041564 A KR 2017004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se
hole
substr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윤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1564A/ko
Publication of KR2017004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관을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10,30)가 형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의 내부공간(12',32')에는 광전달부재(50), 기판(60), 광반사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전면판(20)에는 제1전면통공(22)을 둘러 제1띠조명부(23)가 형성되고, 제2전면통공(26)을 둘러 제2띠조명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통공(22)은 상기 제2전면통공(26)에 비해 상대적으로 횡단면적이 크다. 상기 제1전면통공(22)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의 내부에는 상기 광반사부재(70)가 설치되어 상기 기판(60)의 제1광원(66)과 제2광원(68)에서 나온 광을 상기 광전달부재(50)로 전달하고, 특히 제1전면통공(22)의 둘레에 형성된 제1띠조명부(23)로 광을 전달하여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광이 제1띠조명부(23)를 통해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반사부재(70)에 의해 외부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상대적으로 광이 많이 필요한 제1띠조명부(23)로 많은 광을 전달하여 균일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Multimedia data transf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에서 멀티미디어 기기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특정 기기들로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치들이 있는데 여기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차의 내외부로 제공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일명 멀티단자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센터페시아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는 케이스가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유에스비(USB) 커넥터를 두어 운전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의 반대쪽으로 제2커넥터를 센터페시아 내부로 노출되게 하여 자동차 내의 각종 장치들과 신호연결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기판이 설치되고 기판 상에 커넥터들이 실장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데, 커넥터의 위치에 대한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해 커넥터의 주변에 해당되는 케이스에 띠조명을 두기도 한다.
상기 띠조명을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많은 수의 광원을 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많게는 4개 이상의 광원을 기판에 실장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많은 광원을 사용하게 되면 전원의 사용이 많아지게 되고 열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케이스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이는 광이 케이스 외부로 누설됨에 의해 상기 띠조명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206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에서 나온 광이 띠조명부로 보다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원에서 나온 광이 케이스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띠조명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의 외관이 보다 강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전면통공과 제2전면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이 전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전면통공을 둘러 제1띠조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전면통공을 둘러 제2띠조명부가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후단에 선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2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측 표면에 커넥터들이 실장되고 상기 일측 표면에 제1광원이 설치되고 반대쪽의 타측 표면에 제2광원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에서 나온 광을 상기 제1띠조명부와 제2띠조명부로 전달하는 광전달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을 상기 광전달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전면통공과 제2전면통공중 횡단면적이 큰 쪽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광반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몸체의 후단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상기 제1케이스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제1내부공간의 내면에 삽입되는 삽입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광전달부재에는 상기 제1광원과 마주보는 제1전달부와, 상기 제2광원과 마주보는 제2전달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전달부와 제2전달부의 양단은 측판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1기판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된 상기 광반사부재의 측판 내면에는 상기 기판의 타측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2기판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광반사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타측 내면과 상기 제1케이스의 대응되는 내면에 밀착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평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평행판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대응되는 내면에 형성된 결합채널에 안착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판의 내면에는 제1차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광전달부재에 형성된 제1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제2전면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판의 외면에는 제2차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광전달부재에 형성된 제2통공을 관통한다.
상기 제2케이스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삽입안내리브가 형성되어 삽입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제2케이스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는 분리슬릿에 의해 구분되어 탄성변형가능한 탄성걸이편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장착공간에 형성된 구조물에 걸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에서 나온 광을 제1케이스의 복수개의 띠조명부로 전달하는 광전달부재에 추가하여 광반사부를 두었다. 상기 광반사부는 일측 띠조명부로 광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광전달부재로 광을 반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띠조명부의 밝기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를 통해서 외부로 광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제2케이스의 선단에 제1케이스의 제1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단차를 두었다. 상기 삽입단차가 상기 제1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겹쳐져서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광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광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실장된 광원에서 나오는 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1전달부와 제2전달부를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였으므로, 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실장된 광원에서 나오는 광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띠조명부에서의 조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광전달부재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일 내측면 전체에 대응되는 측판을 가져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에 밀착되어 설치되므로 외부로의 광의 누설이 방지되고 장치 전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케이스의 서로 대응되는 반대쪽 표면에 삽입안내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정해진 방향으로만 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장착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광전달부재의 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기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광반사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관을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가 형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가 형성하는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전달부재(50), 기판(60) 및 광반사부(70) 등이 설치된다.
상기 제1케이스(10)는 상기 제2케이스(30)의 선단에 장착되어 설치되는데, 제1몸체(12)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12)는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몸체(12)의 내부에는 제1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12)의 후단을 둘러서는 스톱단(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단(14)은 상기 제2케이스(30)의 선단이 밀착되는 부분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케이스(3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단차(33)가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몸체(12)의 양단에는 제1케이스(10)의 후단을 향해 걸이편(1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편(16)은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케이스(30)의 걸이턱(34)이 안착되는 걸이관통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관통부(18)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편(16)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홈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전면에는 전면판(20)이 있다. 상기 전면판(20)은 본 발명의 전달장치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20)에는 제1전면통공(22)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통공(22)은 본 실시례에서는 USB커넥터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전면통공(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제1띠조명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띠조명부(23)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원(66,68)에서 나온 광이 외부로 나오면서 상기 제1전면통공(22)의 존재를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띠조명부(23)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는데, 이는 상기 제1케이스(10)를, 예를 들면 투명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작하여 상기 제1띠조명부(23)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제2띠조명부(27) 부분 외에 나머지 부분을 도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띠조명부(23,27)를 통해서만 광이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전면통공(2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면판(20)의 내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차단부(24)는 상기 제1전면통공(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기 제1내부공간(12')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차단부(24)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차단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전달부재(50)의 제1통공(52)을 관통하여 광이 제1전면통공(22)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전면판(20)에는 제2전면통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전면통공(26)은 본 실시례에서는 오디오잭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면통공(2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2띠조명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전면통공(26)에서 상기 전면판(20)의 내면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는 제2차단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차단부(28)도 상기 전면판(20)의 배면에 소정 길이만큼, 하지만, 전체적으로 동일하지 않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차단부(28)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전달부재(50)의 제2통공(54)을 관통하여 광이 제2전면통공(26)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상기 전면판(2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띠조명부(23,27)가 형성된다. 상기 띠조명부(23,27)가 여러개 형성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은 광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띠조명부(23)의 경우 제2 띠조명부(27)보다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띠조명부(23)로는 제2띠조명부(27)보다 더 많은 양의 광이 더 넓은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케이스(30)의 골격을 제2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제2몸체(32)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제1몸체(12)의 그것과 같다. 상기 제2몸체(32)의 내부에는 제2내부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내부공간(32')은 상기 제2케이스(30)의 선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케이스(30)의 후방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배면통공(40)과 제2배면통공(44)을 통해 개방된다.
상기 제2몸체(32)의 선단에는 삽입단차(3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차(33)는 상기 제2몸체(32)의 외면중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삽입단차(33)가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몸체(12)의 내부로 삽입되면 제1케이스(10)의 외면과 제2케이스(30)의 외면이 서로 동일한 돌출정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삽입단차(33)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32)의 양측면에는 안착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3')에는 걸이턱(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4)은 상기 제1케이스(1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턱(34)의 선단에는 걸이안내면(34')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0)의 걸이편(16)을 안내하여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제2케이스(30)의 제2몸체(32)의 양측면에는 탄성걸이편(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걸이편(36)은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차에 장착될 때, 자동차의 고정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걸이편(36)은 상기 제2몸체(32)에 형성된 분리슬릿(36')에 의해 탄성변형가능하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탄성걸이편(36)은 상기 제2케이스(30)의 후단측에서부터 선단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져서, 자동차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상기 제2케이스(3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탄성걸이편(36)이 상기 제2내부공간(32')으로 들어가면서 탄성변형되도록 된다.
상기 제2몸체(3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결합채널(3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37)은 상기 삽입단차(33) 부분에서는 제2몸체(3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상기 제2내부공간(32')의 내면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채널(3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반사부(70)의 결합리브(75)가 안착된다. 상기 결합채널(37)은 상기 제2몸체(32)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37)은 상기 제1띠조명부(23)가 위치하는 쪽과 대응되는 제2몸체(32)의 측벽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32)에서 상기 결합채널(37)이 형성된 쪽의 측벽과 반대쪽 측벽에는 제1기판채널(38)이 형성된다. 상기 제1기판채널(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60)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기판채널(38)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내부공간(32')의 내면에 2개의 리브가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됨에 의해 그 사이에 만들어진다. 하지만, 상기 제2내부공간(32')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가서 제1기판채널(38)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몸체(32)의 후단에는 제1배면통공(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배면통공(4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1후드(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후드(42)는 상기 제1배면통공(4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후드(42)는 상기 제1배면통공(40)을 관통하는 제3커넥터(63)의 선단을 감싸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후드(42)의 횡단면 형상은 제3커넥터(63)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배면통공(40)에 인접한 위치에 제4배면통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배면통공(4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2후드(4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후드(4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4커넥터(64)의 선단을 감싸게 된다. 상기 제2후드(46)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제4커넥터(64)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30)의 외면중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는 삽입안내리브(48,48')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48,48')는 자동차의 장착공간에 본 발명의 장치가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안내리브(48,48')는 그 형상이 서로 달리 형성되어 장치를 뒤집어서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광전달부재(50)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부와 제2케이스(30)의 내부 선단에 위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광원(66,68)에서 나오는 광을 받아 상기 띠조명부(23,27)로 전달한다. 상기 광전달부재(50)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광을 전달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된다. 상기 광전달부재(50)를 구성하는 재질의 예로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가 있다.
상기 광전달부재(50)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제1통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통공(52)은 상기 제1전면통공(22)과 같은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통공(52)의 내면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데, 이는 제1접촉면(52')이 된다. 상기 제1접촉면(52')은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차단부(24)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광전달부재(50)에는 상기 제1통공(52)과 나란히 제2통공(54)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통공(54)의 내면 또한 일부에 제2접촉면(54')이 형성되어 상기 제2차단부(28)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통공(54)은 상기 제2전면통공(26)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광전달부재(50)에는 제1전달부(56)와 제2전달부(57)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전달부(56)는 그 내면이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60)의 일측 표면과 마주보게 형성되어 해당 위치에 실장된 제1광원(66)에서 나온 광을 주로 전달한다. 상기 제2전달부(57)는 그 내면이 기판(60)의 타측 표면과 마주보게 형성되어 해당 위치에 실장된 제2광원(68)에서 나온 광을 주로 전달한다. 상기 제1전달부(56)와 제2전달부(57)는 각각 대략 판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양단에서 측판부(5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측판부(58)의 일부가 절제되어 기판접촉부(59)를 형성한다. 상기 기판접촉부(59)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60)의 양측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판접촉부(59)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기판(60)에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기판(60)의 일측 표면에는 제1커넥터(61), 제2커넥터(62), 제3커넥터(63) 그리고 제4커넥터(64)가 실장된다. 상기 제1커넥터(61)의 선단은 상기 제1전면통공(22)에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62)의 선단은 상기 제2전면통공(26)에 위치된다. 상기 제3커넥터(63)의 선단은 상기 제1배면통공(40)에 위치되고 상기 제4커넥터(64)의 선단은 상기 제2배면통공(44)에 위치된다.
상기 기판(60)의 타측 표면에는 제1광원(66)이 실장되고, 일측 표면에는 제2광원(68)이 실장된다. 이들 광원(66,68)은 광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 광원(66,68)으로는 LED가 사용된다. 상기 광원(66,68)은 상기 기판(60)이 내부공간(12'32')에 설치되었을 때, 각각 제1전달부(56) 및 제2전달부(57)와 마주보게 된다.
한편, 광반사부재(70)가 상기 광전달부재(50)의 일측 측판부(58)의 외면에 밀착되게 상기 내부공간(12',32')내에 설치된다. 상기 광반사부재(70)는 제1전면통공(22)과 제2전면통공(26)중 상대적으로 횡단면적이 넓은 제1전면통공(22)이 위치한 쪽의 내부공간(12',32')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광반사부재(70)는 상기 광원(66,68)에서 나온 광을 상기 광전달부재(50)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반사부재(70)는 상기 내부공간(12',32')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측판(72)이 있다. 상기 측판(72)은 대략 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측판(72)에는 제2기판채널(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기판채널(73)은 상기 제2케이스(3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채널(38)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제2기판채널(73)은 상기 측판(73)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측판(72)의 상하단에서 직교하게 나란히 연장되는 제1평행판과 제2평행판(74,74')이 있다. 상기 제1평행판(74)과 제2평행판(74')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1평행판(74)과 제2평행판(74')에는 각각 결합리브(75)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리브(75)는 상기 제2케이스(30)의 결합채널(37)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측판(72)의 내면에는 접촉면(7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면(77)은 상기 광전달부재(50)의 측판(58) 및 제1전달부(56)와 제2전달부(57)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광전달부재(50)의 외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광반사부재(70)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광전달부재(50)로 거의 대부분 전달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케이스(30)의 제2내부공간(32')에는 상기 광반사부재(70)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광반사부재(70)의 결합리브(75)가 상기 제2케이스(30)의 결합채널(77)에 안착된다. 즉, 상기 결합채널(77)을 따라 상기 결합리브(75)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광반사부재(70)가 제2케이스(30)에 장착된다.
상기 기판(60)에는 상기 제1에서 제4커넥터(61,62,63,64) 그리고 제1 및 제2 광원(66,68) 등이 실장된 상태로 조립라인에 주어진다. 상기 기판(60)은 그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케이스(30)의 제1기판채널(38)과 상기 광반사부재(70)의 제2기판채널(73)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30)의 제2내부공간(32')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60)의 선단에 상기 광전달부재(50)가 장착된다. 상기 광전달부재(50)의 제1통공(52)에는 상기 제1커넥터(61)가 위치되고, 상기 제2통공(54)에는 상기 제2커넥터(62)가 위치되며, 상기 광전달부재(50)의 기판접촉부(59)에 상기 기판(60)의 양측 가장자리가 접촉되게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스(30)에 상기 제1케이스(10)를 결합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걸이편(16)이 상기 제2케이스(30)의 걸이턱(3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를 서로 접근시키면, 상기 걸이턱(34)의 걸이안내면(34')을 따라 상기 걸이편(16)이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이편(16)의 걸이관통부(18)에 상기 걸이턱(34)이 안착되면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제2케이스(30)의 삽입단차(33)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몸체(12)의 후단 내면에 삽입되어 밀착된다.
참고로, 상기 광전달부재(50)는 상기 기판(60)에 먼저 장착되지 않고, 상기 제1케이스(10)에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 제1케이스(10)가 제2케이스(30)에 결합되도록 조립과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장치는 자동차의 장착공간에 삽입되기에 앞서 상기 제3커넥터(63)와 제4커넥터(64)에 각각 대응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차의 장착공간에 본 발명의 장치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삽입안내리브(48,48')는 본 발명의 장치가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이 정확하게 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장치가 장착공간에 180도 회전된 상태로 삽입된다면, 상기 삽입안내리브(48)가 상기 장착공간의 구조물에 걸려서 완전 삽입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가 오삽입을 인식하고 180도 회전시켜서 본 발명의 장치를 장착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차의 장착공간에 삽입됨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이편(36)은 장착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된다. 상기 탄성걸이편(36)이 상기 구조물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걸이편(36)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구조물에 상기 탄성걸이편(36)이 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광원(66,68)이 광을 발생시켜 상기 띠조명부(23,27)를 통해 광이 전면판(20)의 외부로 나오도록 한다.
상기 광원(66,68)에서 나온 광이 상기 띠조명부(23,27)로 전달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제1광원(66)에서 나온 광은 주로 상기 제1전달부(56)로 전달되고, 상기 제1전달부(55)를 통해 상기 광전달부재(50)의 전면으로 전달되어서 상기 제1케이스(10)의 띠조명부(23,27)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광원(68)에서 나온 광은 주로 상기 제2전달부(57)로 전달되고, 상기 제2전달부(57)를 통해 상기 광전달부재(50)의 전면으로 전달되어서 상기 제1케이스(10)의 띠조명부(23,27)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광반사부재(70)는 상기 광전달부재(50)로 부터 전달되어 온 광을 다시 광전달부재(50)로 반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사된 광은 상기 제1띠조명부(23)로 주로 전달된다. 이는 상기 광반사부재(70)의 위치가 상기 제1띠조명부(23)와 대응되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광반사부재(70)에 의해 광이 상기 제1띠조명부(23)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전달됨에 의해 상기 제1띠조명부(23)의 크기가 큼에도 불구하고 광량이 충분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명이 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판(60)의 양측 표면에 각각 하나씩의 광원(66,68)만이 설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및 제2 띠조명부(23,27)에 대한 조명이 균일하게 될 수 있는 것은, 상기 광전달부재(60)의 제1전달부(56)가 제1광원(66)과 마주보고 있고, 상기 제2전달부(57)가 제2광원(68)과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띠조명부(23,27)를 통해 광이 외부로 나가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전면통공(22)과 제2전면통공(26)의 위치, 즉 상기 제1커넥터(61)나 제2커넥터(62)의 입구를 어두운 중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2: 제1몸체
12': 제1내부공간 14: 스톱단
16: 걸이편 18: 걸이관통부
20: 전면판 22: 제1전면통공
23: 제1띠조명부 24: 제1차단부
26: 제2전면통공 27: 제2띠조명부
28: 제2차단부 30: 제2케이스
32; 제2몸체 33: 삽입단차
33': 안착홈 34: 걸이턱
34': 걸이안내면 36: 탄성걸이편
36': 분리슬릿 37: 결합채널
38: 제1기판채널 40: 제1배면통공
42: 제1후드 44: 제2배면통공
46: 제2후드 48,48': 삽입안내리브
50: 광전달부재 52: 제1통공
54: 제2통공 56: 제1전달부
57: 제2전달부 58: 측판부
59: 기판접촉부 60: 기판
61: 제1커넥터 62: 제2커넥터
63: 제3커넥터 64: 제4커넥터
66: 제1광원 68: 제2광원
70: 광반사부재 72: 측판
73: 제2기판채널 74: 제1평행판
74': 제2평행판 75: 결합리브
77: 접촉면

Claims (7)

  1. 제1전면통공과 제2전면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이 전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전면통공을 둘러 제1띠조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전면통공을 둘러 제2띠조명부가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후단에 선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2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측 표면에 커넥터들이 실장되고 상기 일측 표면에 제1광원이 설치되고 반대쪽의 타측 표면에 제2광원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에서 나온 광을 상기 제1띠조명부와 제2띠조명부로 전달하는 광전달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을 상기 광전달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전면통공과 제2전면통공중 횡단면적이 큰 쪽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광반사부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몸체의 후단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상기 제1케이스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제1내부공간의 내면에 삽입되는 삽입단차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재에는 상기 제1광원과 마주보는 제1전달부와, 상기 제2광원과 마주보는 제2전달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전달부와 제2전달부의 양단은 측판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1기판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된 상기 광반사부재의 측판 내면에는 상기 기판의 타측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2기판채널이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타측 내면과 상기 제1케이스의 대응되는 내면에 밀착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평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평행판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대응되는 내면에 형성된 결합채널에 안착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판의 내면에는 제1차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광전달부재에 형성된 제1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제2전면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판의 외면에는 제2차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광전달부재에 형성된 제2통공을 관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삽입안내리브가 형성되어 삽입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제2케이스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는 분리슬릿에 의해 구분되어 탄성변형가능한 탄성걸이편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장착공간에 형성된 구조물에 걸어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KR1020150141173A 2015-10-07 2015-10-07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KR20170041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173A KR20170041564A (ko) 2015-10-07 2015-10-07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173A KR20170041564A (ko) 2015-10-07 2015-10-07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564A true KR20170041564A (ko) 2017-04-17

Family

ID=5870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173A KR20170041564A (ko) 2015-10-07 2015-10-07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15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95B1 (ko) * 2018-01-26 2018-09-06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유에스비 단자 접속장치
KR20190019739A (ko) 2017-08-18 2019-0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를 구비한 조립체
KR20200080697A (ko) * 2018-12-27 2020-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에스비 단자 접속장치
KR20210012405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노이즈 저감 차량용 usb 미디어잭
KR20210012404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usb 미디어잭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739A (ko) 2017-08-18 2019-0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를 구비한 조립체
KR101887195B1 (ko) * 2018-01-26 2018-09-06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유에스비 단자 접속장치
KR20200080697A (ko) * 2018-12-27 2020-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에스비 단자 접속장치
KR20210012405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노이즈 저감 차량용 usb 미디어잭
KR20210012404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usb 미디어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1564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JP6700659B2 (ja) アンテナ装置
US10077876B2 (en) Flexible illuminating flat cable structure
JP5343784B2 (ja) 光通信用モジュール
EP2243997A1 (en) Frame connecting member and LED lighting apparatus fabricated by using the same
EP26751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CN105591243A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2156035B1 (ko) 차량용 단자모듈
JP2021182154A (ja) 光トランシーバ
US8187024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light indicative of a connector status
US6264499B1 (en) Electronic module guide frame having light transmission members
US11557863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6066080B2 (ja) スイッチ装置
CN112823452B (zh) 插接连接器
WO2018043011A1 (ja) 車載アンテナ装置
KR20160057262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달장치
CN113641262B (zh) 电子设备
JP5794217B2 (ja) 照明装置
CN108878202A (zh) 背光模块及其制造方法
KR20230162675A (ko)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JP2018097207A (ja) 状態表示器、状態表示器を備えた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状態表示方法
JP6646326B2 (ja) 電子ユニット
KR101930318B1 (ko) 광원을 구비한 단자 조립체
CN110476006B (zh) 背光灯
CN219838486U (zh) 车载usb组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