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322A -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322A
KR20170041322A KR1020150140404A KR20150140404A KR20170041322A KR 20170041322 A KR20170041322 A KR 20170041322A KR 1020150140404 A KR1020150140404 A KR 1020150140404A KR 20150140404 A KR20150140404 A KR 20150140404A KR 20170041322 A KR20170041322 A KR 20170041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latform
fixing
guide rail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296B1 (ko
Inventor
조일현
이상철
임지우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4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2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동가능한 이동대차; 이 이동대차에 직립한 안내레일; 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 및 이 승강대에 장착된 푸시수단을 포함하여서, 예컨대 고압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입할 수 있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 및 재해가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인입장치 {APPARATUS FOR INSERTING}
본 발명은, 예컨대 고압 차단기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거나 수리한 후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입할 수 있게 하는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차단기는 송전, 변전이나 전기회로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회로차단기의 일종이다.
고압 차단기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수개에서부터 수십 개로 크래들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고압 차단기의 기계적 부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압 차단기를 크래들에서 인출해야 하는데, 통상 차단기의 하부에 마련된 바퀴를 사용해서 크래들 또는 하우징의 레일을 따라 인출한다.
고압 차단기의 점검 또는 수리가 완료된 후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인입해야 하는데, 이러한 인입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인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차단기를 인입할 경우에 차단기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접속부에 삽입되면서 전기 아크가 발생할 여지가 높으며, 실제로 그에 따른 위험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특히, 작업자가 차단기에 근접하여 직접 인입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 아크가 발생하면 이로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 및 재해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컨대 고압 차단기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거나 수리한 후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입할 수 있는 인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는, 이동가능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직립한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에 장착된 푸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고압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입할 수 있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 및 재해가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인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대와 푸시수단 및 고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인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인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대와 푸시수단 및 고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는, 이동가능한 이동대차(10); 이 이동대차에 직립한 안내레일(20); 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30); 및 이 승강대에 설치된 푸시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도 1에는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인입장치가 인입될 대상물(1)인 차단기를 하우징(2) 내 크래들(미도시) 쪽으로 인입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인입장치가 반드시 이러한 차단기에 대해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임의의 설비에서 임의의 대상물을 삽입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만, 본 발명의 인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 그 편의를 위해 차단기의 인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대차(10)에는 인입장치의 지면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1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퀴를 사용해서 인입장치가 인입될 대상물(1)의 근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퀴들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제동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승강대(30)에 설치된 푸시수단(40)이 힘을 가할 때 반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대차(10) 상에는 안내레일(20)이 직립하여 장착된다. 또, 이 안내레일에는 승강수단(50)에 의해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대(30)가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안내레일의 단면형상, 크기,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동대차(10) 상에는 작업자가 인입장치의 이동을 위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입장치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사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에 구비된 승강수단(50)은, 안내레일(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대(30)가 승강할 때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롤러부재(51); 이 롤러부재에 감기고 일단이 승강대에 연결되는 와이어(52); 및 승강대가 승강할 때 와이어에 장력을 발생시켜 롤러부재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도록 와이어의 타단에 장착되는 무게추(53)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53)의 중량은 승강대(30) 및 푸시수단(40) 등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무게추에 의해 승강대 및 푸시수단 등의 중량을 분배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승강대(30)가 상승할 때 무게추(53)가 와이어(52)를 당겨 이 와이어에 감겨진 롤러부재(51)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승강대가 하강하게 되면 무게추는 들어 올려지고, 이때 와이어에 감겨진 롤러부재는 역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무게추(53)는 승강대(30)가 승강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안내레일(20)에 원활히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안내레일(20)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승강대(30)는 안내레일(20)과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예컨대 도면에서는 별도의 참조부호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승강대와 안내레일 사이에는 마찰을 억제하는 가이드나 라이너 등이 제공될 수 있고, 승강대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52)의 연결을 위한 고리가 마련됨과 더불어, 판재 구조물로 형성되어 안내레일을 포위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승강대(30)는 이동 후 안내레일(20)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35)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의 일부를 관통하여 안내레일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고정나사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고정클램프와 같이 다른 임의의 고정부재가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고정나사가 고정부재(35)로 채택된 경우에 안내레일(20)의 일측면에는 나사홈들이 간격을 갖고 제공될 수 있다.
승강대(30)에는 실제로 인입될 대상물(1)에 힘을 가하기 위한 푸시수단(40)이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푸시수단으로는 작동본체(41)와, 이 작동본체로부터 신축가능한 작동로드(42)를 가진 예컨대 유체압 실린더, 유압잭, 또는 전기식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액츄에이터가 채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인입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유압잭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작동본체(41)는 클램프(31)에 의해 승강대(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푸시수단(40)이 유체압 실린더나 유압잭인 경우에는 작동본체에 유압을 인가하는 펌프(43)가 연결될 수 있다. 전기식 솔레노이드인 경우에는 작동본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작동로드(42)는 그 연장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작동본체(41)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로드본체(421); 이 로드본체의 일단에서 연장한 관부재(422); 및 이 관부재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푸시바아(4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부재(422)는, 푸시바아가 신장된 후 관부재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부재는 전술한 고정부재(35)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푸시바아(423)는 그 일측으로는 관부재(422) 내에 삽입되는 삽입바아(431); 및 타측으로는 삽입바아에 연결되고, 인입될 대상물(1)에 직접 접촉하여 힘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바아(432)를 포함하고 있다. 접촉바아는 대상물(1)에 대해 힘을 분산시켜 안정되게 접촉하고 가압할 수 있도록 예컨대 삼발이 형태 등과 같이 다수개로 마련되면서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각 접촉바아(432)도 그 연장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삽입바아(431)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바아본체(436); 이 바아본체의 일단에 장착된 링부재(437); 및 이 링부재를 관통하여 뻗은 접촉부(4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부재(437)는, 접촉부(438)가 관통 후 링부재에 대해 원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부재는 전술한 고정부재(35)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438)의 대상물(1)에 직접 접촉하는 일단에는 예컨대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된 절연부재(439)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입장치는 푸시수단(40)의 푸시바아(423)와 접촉바아(432)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에 맞추어 신속하게 푸시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삼발이 형태의 접촉바아(423)는 안정적으로 푸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승강대(30)에는 푸시수단(40)이 힘을 가할 때 반력을 지탱하기 위해 대상물(1)이 인입되는 하우징(2)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대(6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대(60)는 승강대(30)에 위치고정되어 푸시수단(40)과 평행하게 뻗은 연결관(61); 일측으로는 연결관 내에 삽입되는 바아부재(621)와, 타측으로는 바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부재(622)를 구비한 지지부(62); 및 이 지지부(62)의 파이프부재(622) 내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고정바아(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재(622)는, 고정바아(63)가 신장된 후 파이프부재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62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관(61)은, 바아부재(621)가 신장된 후 연결관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6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고정부재는 전술한 고정부재(35)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를 사용하여, 예컨대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인입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2)의 위층에서 인입될 대상물(1)인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인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동대차(10)를 하우징의 하부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승강수단(50)에 의해, 푸시수단(40)이 장착된 승강대(30)를 안내레일(20)을 따라 적절한 높이로 상승시키고, 고정부재(35)로 승강대의 상승 위치를 고정한다.
고정대(60)의 연결관(61)에서 지지부(62), 즉 바아부재(621)를 신장시킨 후 그 신장 길이를 고정부재(615)로 고정하고 나서, 지지부의 파이프부재(622)로부터 고정바아(63)를 신장시켜 그 길이를 조정하면서 고정바아를 하우징(1)의 벽면에 밀착시킨 다음, 고정부재(625)로 고정하여 안내레일(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 후, 승강대(30)에 장착된 푸시수단(40)에서, 작동로드(42)의 관부재(422)로부터 푸시바아(423)를 신장시킴과 더불어, 접촉바아(432)의 링부재(437)로부터 접촉부(438)가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접촉부가 대상물(1)의 일면에 밀착되게 한 후, 각각의 고정부재(425, 435)로 고정함으로써, 푸시수단이 갖는 작동로드의 연장길이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인입될 대상물(1)인 차단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안전한 거리에서 펌프(43)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작동하여 푸시수단(40)이 구동되게 함으로써, 대상물을 원하는 일정 거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우징(2)의 아래층에서 인입될 대상물(1)인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위층에 맞춰진 승강대(30)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다시 말해, 승강대의 고정부재(35)를 풀어 승강대를 승강수단(50)에 의해 안내레일(20)을 따라 적절한 높이로 하강시키고, 고정부재로 승강대의 하강 위치를 고정한다.
이후부터는 전술한 작동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차단기의 인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크래들 쪽으로 인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승강수단(70)만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에 의한 인입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입장치에 구비된 승강수단(70)은 리니어 모션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수단은 승강대(30)에 고정되고 안내레일(2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너트(71); 안내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동너트와 나선결합되는 스크류(72); 및 이 스크류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된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스크류(72)가 회전되면 이동너트(71)가 안내레일(20)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수단(70)을 채용함으로써, 승강대(30)는 이동 후 안내레일(20)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35)를 생략할 수 있으며, 구동부(73)의 제어를 통해 승강대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 등의 구동부(73)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원공급수단(배터리)을 이동대차(10) 상에 탑재하면 외부의 전원에 연결하지 않고서 본 발명의 인입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모터 등의 구동부(73)와 연계되는 승강수단(70)에 있어서, 승강대(30)의 일측에만 이동너트(71)가 연결되므로 승강시 승강대의 반대쪽이 처지지 않도록 이동대차(10)에 직립한 가이드봉(미도시)이 승강대의 타측에 연계하여 제공됨으로써, 승강대의 보다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동대차 20: 안내레일
30: 승강대 31: 클램프
35: 고정부재 40: 푸시수단
41: 작동본체 42: 작동로드
43: 펌프 50, 70: 승강수단
51: 롤러부재 52: 와이어
53: 무게추 60: 고정대
61: 연결관 62: 지지부
63: 고정바아 71: 이동너트
72: 스크류 73: 구동부

Claims (14)

  1. 이동가능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직립한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에 장착된 푸시수단
    을 포함하는 인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들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제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에는 상기 승강대를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안내레일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
    상기 롤러부재에 감기고 일단이 상기 승강대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장착되는 무게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이동 후 상기 안내레일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대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
    상기 안내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너트와 나선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수단은 작동본체와, 상기 작동본체로부터 신축가능한 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작동본체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로드본체; 상기 로드본체의 일단에서 연장한 관부재; 및 상기 관부재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푸시바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는, 상기 푸시바아가 상기 관부재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아는,
    상기 관부재 내에 삽입되는 삽입바아; 및
    상기 삽입바아에 연결되고, 인입될 대상물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바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바아는,
    상기 삽입바아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바아본체;
    상기 바아본체의 일단에 장착된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를 관통하여 뻗은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링부재에 대해 원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일단에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에는 상기 푸시수단이 힘을 가할 때 대상물이 인입되는 하우징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승강대에 위치고정되어 상기 푸시수단과 평행하게 뻗은 연결관;
    상기 연결관 내에 삽입되는 바아부재와, 상기 바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부재를 구비한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부재 내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뻗은 고정바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고정바아가 상기 파이프부재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바아부재가 상기 연결관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KR1020150140404A 2015-10-06 2015-10-06 인입장치 KR10179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404A KR101797296B1 (ko) 2015-10-06 2015-10-06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404A KR101797296B1 (ko) 2015-10-06 2015-10-06 인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322A true KR20170041322A (ko) 2017-04-17
KR101797296B1 KR101797296B1 (ko) 2017-11-14

Family

ID=5870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404A KR101797296B1 (ko) 2015-10-06 2015-10-06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2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113B2 (ja) * 1997-05-09 2001-05-2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板状体のハンド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296B1 (ko)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930B1 (ko) 인출입장치
US10173875B2 (en) Platform truck for catenary wire installation and method of use
KR101859978B1 (ko) 풍력발전기 타워승강장치
CN105206957B (zh) 气动升降的高空接地装置
CN113937665A (zh) 一种基于电力工程的线缆架空铺设用线缆拉紧装置
CN105186151B (zh) 电动升降的高空接地装置
CN104118823A (zh) 互感器安装车架
KR101797296B1 (ko) 인입장치
US7032289B2 (en) Stator bar handler
CN207448455U (zh) 一种电力作业重物搬运用的机械人
KR102241896B1 (ko)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KR102195815B1 (ko) 중량물의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리프팅 장치
CN112531574A (zh) 电缆铺设装置
KR101484698B1 (ko) 중량물 교체용 인양장치
KR101733124B1 (ko)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CN105206955B (zh) 手动升降的高空接地装置
CN212655433U (zh) 三维工作台剪刀叉伸缩装置
CN211234497U (zh) 一种方便移动的电缆破损程度检测设备
CN113917200A (zh) 自动伸缩遥控高空接线机械手臂
CN107666134A (zh) 一种电力施工用绝缘支撑装置
CN204966728U (zh) 手动升降的高空接地装置
CN105346918B (zh) 配电开关柜安装就位平台
CN205178394U (zh) 一种导线托架
CN109179092A (zh) 一种便于收纳的电缆收放装置
CN203582411U (zh) 一种叉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