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694A -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694A
KR20170040694A KR1020150139986A KR20150139986A KR20170040694A KR 20170040694 A KR20170040694 A KR 20170040694A KR 1020150139986 A KR1020150139986 A KR 1020150139986A KR 20150139986 A KR20150139986 A KR 20150139986A KR 20170040694 A KR20170040694 A KR 20170040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terminal
input terminal
fus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149B1 (ko
Inventor
양승은
백장현
타카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주)비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티케이 filed Critical (주)비티케이
Priority to KR102015013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149B1/ko
Priority to US15/744,606 priority patent/US10483067B2/en
Priority to PCT/KR2016/007686 priority patent/WO2017010830A1/ko
Publication of KR20170040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7Devices for sensing current,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 보호 수단을 갖되, 과부하 보호 수단은 제1 바이메탈 및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여 복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OVER LOAD DEVICE}
본 발명은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 보호 수단을 갖되, 과부하 보호 수단은 제1 바이메탈 및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여 복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 또는 냉동기 등의 압축기에 사용되는 모터 보호 장치는 저항 발열체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로 유입되는 부하전류가 저항 발열체에 열을 발생시켜서 미리 설정된 바이메탈의 온도에 이르게 되면 바이메탈이 변형되어 바이메탈의 변형에 따라서 전기적 연결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저항 발열체는 일정한 작동 온도에 도달하면 작동하여 전류의 통전을 차단한다. 아울러, 일정한 복귀 온도에 도달하면 복귀하여 전류의 통전이 재개되도록 한다. 그러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복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아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일정한 작동 온도에 도달하면 전류의 통전을 차단하게 구성되어 지나. 하나의 바이메탈에(제1 바이메탈) 문제가 발생하여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또 하나의 바이메탈(제 2 바이메탈)을 제 1 바이메탈 상면에 장착하여 보조적 안전장치를 확보하고 있다.
제2 바이메탈의 동작 온도는 제1바이메탈의 동작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동작이 되도록 고안되어져 장착된다.
종래의 경우, 제 2 바이메탈의 형태는 제1바이메탈의 형태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 1 바이메탈이 동작시(반전되는 경우) 제2 바이메탈은 반전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제 1 바이메탈의 이상현상으로 제 1 바이메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과부하 보호 장치에 공급되는 전류는 지속적으로 높아 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과부하 보호장치내에 위치한 저항발열체의 발열량이 높아지게 되고 온도가 제2 바이메탈의 동작 온도에 이르게 되면, 제 2 바이메탈이 동작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바이메탈의 동작은 설정된 온도에 이르게 되면 Snap Action (반전)이 이루어 지나, 설정된 온도에 이르기 전 까지는 Creep Action(서동)이라고 하는 동작 구간이 존재한다. 이 서동 구간에서는 바이메탈이 반전은 되지 않으나, 형성되어진 오목한 부분의 높이가 천천히 줄어 들게 된다.
제 1 바이메탈의 Snap Action전 까지 발생하는 Creep Action은 제 2 바이메탈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며, 이 경우 제 2 바이메탈의 가장 자리가 바이메탈의 상측에 위치한 가변 리드부(Movable Arm)을 Touch 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은 제 1 바이메탈의 Creep Action 동안에 발생하는 제 2 바이메탈가장 자리가 가변 리드부를 Touch하게 된다. 이경우 제 2 바이메탈이 가변 리드부를 Touch 하여 발생시키는 접점 불안전성을 해결하기 위해 가변 리드부의 Emboss 부분을 제2 바이메탈의 중심부에서 비켜나게 (Offset)배치 하여 상기의 문제 점을 해결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바이메탈 반전 동작을 하게 되면 모터보호장치 내부에 위치한 저항 발열체에 전류가 차단되어, 저항 발열체가 발열을 하지 않아, 온도가 내려 가면, 바이메탈은 원래의 형상으로 반전 복귀하게 된다. 반전 복귀할 때에는 탄성이 있는 가변 리드부가 바이메탈을 누르고 있는 힘에 의해 (정확하게는 제2 바이메탈) 복귀 온도 혹은 복귀시간에 차이가 발생한다.
종래의 방식은 가변 리드부의 Emboss를 제2 바이메탈의 중심부를 비켜나는 (Offset) 형상으로 되어져 있어, 가변 리드부가 바이메탈을 누르는 힘의 차이가 균일하게 적용 되지 않는 구조로, 복귀온도, 복귀시간의 불규칙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 바이메탈의 Creep Action 구간에서 제2 바이메탈의 가장 자리가 가변 리드부를 Touch 하여 발생하게 되는 접점 불안전성을 해소하고 가변 리드부의 Emboss 부분이 바이메탈의 중심에 위치하여 바이메탈의 복귀온도,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는 과부화 보호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실용신안 2000-0013446
본 발명은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 보호 수단을 갖되, 과부하 보호 수단은 제1 바이메탈 및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여 복귀 온도 및 복귀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제1 바이메탈의 Creep Action 구간에서 제2 바이메탈이 Movable Arm을 간섭하여 접점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제거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하나의 목적은, 퓨즈부를 구비하여 과전류를 차단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절연 재질로 구성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는 입력 터미널, 출력 터미널, 및 중간 터미널을 포함하는 도전 터미널;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터미널과 상기 출력 터미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는 과부하 보호 수단; 및 상기 베이스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터미널 및 출력 터미널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전기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중간 터미널은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과부하 보호 수단은, 소정의 전기 저항을 갖는 저항 발열체; 전도성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 발열체 상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변 리드부; 및 상기 저항 발열체와 상기 가변 리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해 형상이 가변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 발열체는 일 단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연결되며, 전기 인가에 따라서 열을 발산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는, 길이 방향 일 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접점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이 상기 출력 터미널과 접촉하는 가동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열에 의해 상기 제1 바이메탈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서 형상이 가변되어 가동접점의 위치가 가변함에 따라서 가동접점과 상기 입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게 구성되되, 상기 바이메탈은, 제1 바이메탈, 및 상기 제1 바이메탈 상에 배치되는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이메탈은 원반 형태로 구성되되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어 상기 가변 리드부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구성되며, 상기 제2 바이메탈은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고, 상기 제2 동작 온도는 상기 제1 동작 온도보다 높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바이메탈은, 장축 및 단축을 갖되, 상기 단축이 상기 가변 리드부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바이메탈이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여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어 상기 제1 바이메탈이 상기 제2 바이메탈을 밀어 올릴 때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변 리드부에 대해 접촉하지 않아서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가변 리드부 사이의 접촉 간섭을 발생시키기 않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공간은, 하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며 아크형 형상을 갖는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부의 폭보다 확장된 폭을 갖고 원형으로 구성된 제2 수납부를 갖고, 상기 제1 수납부에 상기 저항 발열체가 수납되며, 상기 제2 수납부에 상기 제1 바이메탈 및 제2 바이메탈이 수납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수납 공간 내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제1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을 갖고 상기 제1 격벽과 제2 격벽은 각각 상기 제2 수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가로지르되 상기 제2 수납부와 중첩되는 부분만큼 제거되어 길이 방향으로 제2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1 수납부에 상기 저항 발열체가 수납되고 상기 제2 수납부에 제1 바이메탈 및 제2 바이메탈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상기 가변 리드부가 수납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간격의 크기는 상기 가변 리드부의 폭과 대응하며, 상기 제2 간격의 크기는 상기 제2 바이메탈의 단축의 길이와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 리드부는,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둥글게 만곡된 엠보싱부가 마련되며, 상기 엠보싱부의 하면은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제1 바이메탈이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여 변형되면 상기 엠보싱부가 밀려져셔 상기 가변 리드부를 통한 상기 입력 터미널과 상기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이 해제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엠보싱부의 중심과 상기 제1 바이메탈의 중심, 및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중심은 서로 중첩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 발열체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권선되는 발열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 코일은, 곡률을 갖는 아크(arc) 형태로 연장되게 권선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는, 상기 발열 코일의 상부에 상기 발열 코일을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절연 재질로 구성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는 입력 터미널, 출력 터미널, 및 중간 터미널을 포함하는 도전 터미널;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터미널과 상기 출력 터미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는 과부하 보호 수단; 상기 베이스를 덮는 커버; 및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는 퓨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터미널 및 출력 터미널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전기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중간 터미널은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과부하 보호 수단은, 소정의 전기 저항을 갖는 저항 발열체;
전도성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 발열체 상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변 리드부; 및 상기 저항 발열체와 상기 가변 리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해 형상이 가변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 발열체는 일 단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연결되며, 전기 인가에 따라서 열을 발산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는, 길이 방향 일 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접점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이 상기 출력 터미널과 접촉하는 가동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열에 의해 상기 제1 바이메탈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서 형상이 가변되어 가동접점의 위치가 가변함에 따라서 가동접점과 상기 입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게 구성되되, 상기 바이메탈은, 제1 바이메탈, 및 상기 제1 바이메탈 상에 배치되는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이메탈은 원반 형태로 구성되되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어 상기 가변 리드부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구성되며, 상기 제2 바이메탈은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고, 상기 제2 동작 온도는 상기 제1 동작 온도보다 높고,상기 입력 터미널은, 외부 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제1 입력 터미널, 및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이격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의 상기 가동접점과 접하는 제2 입력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퓨즈부는 퓨즈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퓨즈 수단은,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퓨즈 단자, 상기 제2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퓨즈 단자, 및 상기 제1 퓨즈 단자와 상기 제2 퓨즈 단자 사이를 연결하여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소정의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끊어지는 퓨즈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입력 터미널이 매설되어 수납되는 제1 수납 홈과, 상기 제2 입력 터미널이 각각 수납되는 제2 수납 홈, 및 상기 제2 수납 홈과 제2 수납 홈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을 연결하는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퓨즈 단자는 상기 제1 수납 홈에 수납된 상기 제1 입력 터미널 상에 놓여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퓨즈 단자는 상기 제2 수납 홈에 수납된 상기 제2 입력 터미널 상에 놓여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연결되며, 상기 퓨즈선은 상기 채널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퓨즈 단자와 상기 제2 퓨즈 단자를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입력 터미널은 상기 제1 수납 홈에 수납된 부분이 상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 내부 노출면을 가지며,상기 제2 입력 터미널은 상기 제2 수납 홈에 수납된 부분이 상방향으로 노출되눈 제2 내부 노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퓨즈 단자는 상기 제1 내부 노출면 상에 놓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퓨즈 단자는 상기 제2 내부 노출면 상에 놓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전력의 인가 및 소정의 동작온도에 도달하면 바이메탈이 변형되어 전기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간편하고 간단하게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흐름을 위한 도체로 구성된 부재가 절연 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에 매설되어 밀봉 및 격리 됨으로써,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스위칭시 발생하는 아크가 도체에 반사되어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가변 리드부에 마련된 엠보싱부의 만곡 중심축과 상기 제1 바이메탈의 만곡 중심축, 및 상기 제2 바이메탈의 만곡 중심축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치하여, 가변 리드부가 상기 제2 바이메탈을 매개로 하여 제1 바이메탈을 누르게 되므로, 가변 리드부가 제1 바이메탈을 누르는 힘이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바이메탈이 본래 형태로 도달하는 온도가 일정하게 되어 일정한 복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입력 터미널과 제2 입력 터미널을 갖고, 제1 입력 터미널과 제2 입력 터미널은 퓨즈부에 의해서 연결되며, 퓨즈부는 과전류 인가시 끊어지는 구성을 가지므로 과열 뿐만 아니라 과전류에 대한 보호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베이스의 내부가 절연체로 밀폐되고 단자 사이의 연결 부위가 밀폐, 격리되어 내부의 폭발이 외부의 폭발을 야기 시키지 않고, 외부의 가연성 가스의 내부 진입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를 구성하는 전도성 부재가 절연제인 베이스에 일체화 되어 있어, 전도성 부재가 완전하게 고정되어져, 장치의 전기적, 물리적, 열 충격에서 발생되는 베이스의 변형에도 전도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전체적인 장치의 고장 발생률을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흐름을 위한 전도성 부재들을 베이스에 끼워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장치 생산시 자동화가 가능하여, 장치간 발생하는 편차를 줄여, 균일한 특성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커버에 요철이 형성되며 베이스 상에 커버가 덮어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져 베이스와 커버가 견고히 결합되어 베이스의 내부가 신뢰성있게 밀폐됨으로써, 외부의 물, 가스, 먼지등의 내부유입이 방지하여 제품의 고장 발생률을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전도성 부재를 끼워 넣는 구조를 갖지 않고, 베이스와 전도성 부재가 일체화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전도체를 끼워 넣을 때 발생하는 베이스 찌꺼기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는 고장을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베이스에 전도성 부재가 매설되게 구성됨으로써 발열체로 작용하는 전도성 부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복사 전도를 최소화 하여 장치의 열변형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작동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베이스 및 베이스에 결합되는 도전 터미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퓨즈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바이메탈과 가변 리드부 사이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제1 바이메탈과 제2 바이메탈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제2 바이메탈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제1 바이메탈과 제2 바이메탈, 가변 리드부, 및 저항 발열체가 베이스부에 수납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과부하 보호 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베이스와 커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1)는, 베이스(100), 도전 터미널(200), 커버(300), 퓨즈부(400), 과부하 보호 수단(5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3 내지 7 을 참조하여 베이스(100) 및 그에 매설되는 도전 터미널(200), 및 퓨즈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5 는 도 4 에서 베이스부(100)를 생략한 도면이며, 도 6 은 5 에서 저항 발열부(510)를 생략한 도면이고, 도 7 은 도 6 에서 퓨즈부(400)를 생략한 도면이다.
베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절연 및 열 차단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소정의 몰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는 본 발명의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1)의 실질적인 본체를 구성하는 과부하 보호 수단(500)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베이스(100)에는 후술하는 과부하 보호 수단(500)이 수용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공간(102)이 마련된다. 수납 공간(110)은 하부의 제1 수납부(112), 및 상부의 제2 수납부(114)를 포함한다. 제1 수납부(112)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아크(arc)형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저항 발열체(510)가 수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부의 제2 수납부(114)는 상기 제1 수납부(112)보다 확장되어 제1 수납부(11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제1 바이메탈(520) 및 제2 바이메탈(530)이 놓이되도록 한다. 즉, 상기 수납 공간(110)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아크형의 제1 수납부(112)와, 제1 수납부(112)의 상부에 형성되며 보다 큰 폭을 갖고 원형 형상을 갖는 제2 수납부(114)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제2 수납부(114)는 전체적으로 원형이되, 폭 방향으로 일 측이 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원형 부분에 후술하는 제1 바이메탈(520)이 놓여 위치 고정되고, 상기 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분에 후술하는 제2 바이메탈(530)의 모서리가 놓여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는 후술하는 가변 리드부(540)의 측부에 각각 위치하여 가변 리드부(540)가 위치하도록 하는 제1 격벽(132)과 제2 격벽(134)이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격벽(132)과 제2 격벽(134)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1 격벽(132)과 제2 격벽(134) 사이에 직사각형의 가변 리드부 수납 공간(116)이 마련되어 가변 리드부(540)가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가변 리드부(540)가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격벽(132)과 제2 격벽(134)은 길이 방향으로 중간 부분이제거되어 간격을 갖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제1 수납부(112) 및 제2 수납부(114)가 형성된 부분은 제거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벽(132)은 제1A 격벽(132a), 제1B 격벽(132b)을 포함하고, 제2 격벽(134)은 제2A 격벽(134a), 제2B 격벽(13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A 격벽(132a)과 제1B 격벽(132b) 사이의 간격과 제2A 격벽(134a)과 제2B 격벽(134b) 사이의 간격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후술하는 제1 바이메탈(520) 및 제2 바이메탈(530)이 수납되며, 특히 제2 바이메탈(530)은 제1A 격벽(132a)과 제1B 격벽(132b) 사이, 및 제2A 격벽(134a)과 제2B 격벽(134b)사이에 위치하여 흔들림 없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전 터미널(200)은 소정의 도전성 전기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100)에 매설되는 입력 터미널(202), 출력 터미널(230), 및 중간 터미널(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 터미널(202)은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 터미널(210), 제2 입력 터미널(220) 및 출력 터미널(230)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에 매설되어 일부가 베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의 전기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중간 터미널(240)은 상기 제2 입력 터미널(220)과 출력 터미널(230) 사이에 마련되어 그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 터미널(210)은, 상기 베이스(100) 내에서 노출되는 제1 내부 노출면(214)을 갖고,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외부 노출면(212)을 가지며, 상기 제1 내부 노출면(214)과 상기 제1 외부 노출면(212) 사이는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절연 재질로 둘러싸여 매설되어 밀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제1 외부 노출면(212)과 상기 제1 내부 노출면(214) 사이의 부분은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절연 재질로 둘러싸여 매설되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노출면(212)에 의해서 상기 제1 입력 터미널(210)은 외부 전기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터미널(220)은, 상기 베이스(100) 내에서 노출되는 제2 내부 노출면(224)을 갖고,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외부 노출면(222)을 가지며, 상기 제2 내부 노출면(224)과 상기 제2 외부 노출면(222) 사이는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절연 재질로 둘러싸여 매설되어 밀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제2 외부 노출면(222)과 상기 제2 내부 노출면(224) 사이의 부분은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절연 재질로 둘러싸여 매설되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은 서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은 후술하는 퓨즈부(60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부하 전류 인가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상기 퓨즈부(600)이 차단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해제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을 매설하기 위해, 베이스(100)는 상기 제1 입력 터미널(210), 및 제2 입력 터미널(220)을 커버하는 소정의 제1 커버 영역(122)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00)는 상술한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이 소정의 몰드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정의 재질이 주입되고 경화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입력 터미널(220)의 제2 내부 노출면(224)에는 후술하는 가변 리드부(540)와의 전기적 접촉을 용이하게 하도록 고정 접촉 단자(57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출력 터미널(230)은, 상기 베이스(100) 내의 공간 내에서 노출되는 제3 내부 노출면(234)을 갖고,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되는 제3 외부 노출면(232)을 가지며, 상기 제3 내부 노출면(234)과 상기 제3 외부 노출면(232) 사이는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절연 재질로 둘러싸여 매설되어 밀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제3 외부 노출면(232)과 상기 제3 내부 노출면(234) 사이의 부분은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절연 재질로 둘러싸여 매설되어 밀봉될 수 있다. 한편, 이를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100)는 상기 출력 터미널(230)을 커버하는 제2 커버 영역(124)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00)는 상술한 출력 터미널(230)이 소정의 몰드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정의 재질이 주입되고 경화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간 터미널(240)은, 상기 제2 입력 터미널(220)과 출력 터미널(230) 사이에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에 매설되며 상기 베이스(100) 내에 위치하되, 상기 베이스(100) 내에서 노출되는 제4 내부 노출면(242), 제4 내부 노출면(244)을 가지며, 상기 제4 내부 노출면(242)과 상기 제4 내부 노출면(244) 사이는 상기 베이스(110)를 구성하는 절연 재질로 둘러싸여 매설되어 밀봉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를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100)는 상기 중간 터미널(240)을 커버하는 제3 커버 영역(126)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입력 터미널(210, 220)과 출력 터미널(230), 및 중간 터미널(240)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터미널(210, 220)과 출력 터미널(230), 및 중간 터미널(240)은 소정의 노출면을 제외하고 베이스(100) 내부에 매설됨에 따라서,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즉, 베이스(100)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터미널(210, 220)과 출력 터미널(230), 및 중간 터미널(240)이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노출된 부분에서 생성되는 열이 의도하지 아니하게 후술하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520, 530)을 열 변형 시킬 수 있게 되고, 이는 의도한 정확한 전력 및 동작온도에서의 변형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 소정의 노출면을 제외하고 베이스(100)에 매설되어 밀봉됨에 따라서, 후술하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520, 530)에 대한 불필요한 열 노출이 방지되어 정확한 전력 및 동작온도에서의 과부하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을 참조하여 퓨즈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부(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을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퓨즈부(400)는 베이스(100) 내에 배치되되, 제1 입력 터미널(210)의 제1 내부 노출면(214)에 접하는 제1 퓨즈 단자(412)와, 제2 입력 터미널(220)의 제2 내부 노출면(224)에 접하는 제2 퓨즈 단자(414), 및 상기 제1 퓨즈 단자(412)와 상기 제2 퓨즈 단자(414) 사이를 연결하여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소정의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끊어지는 퓨즈선(416)을 포함하는 퓨즈 수단(410) 및 퓨즈 연결부(420)를 포함한다.
퓨즈부(400)은 통전 소재로 구성되되, 상기 퓨즈선(416)은 소정의 굵기를 가져서 과전류가 인가될 경우 퓨즈선(416)이 끊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소정의 수치 이상의 과전류 인가시 상기 퓨즈선(416)이 끊어져서 상기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 사이의 전기 연결이 해제되어 과전류 인가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내부 노출면(214)과 상기 제1 퓨즈 단자(412) 사이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퓨즈 연결부(4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퓨즈 단자(412)에는 제1 홀(4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입력 터미널(210)의 제1 내부 노출면(214)에도 제2 홀(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연결부(420)는 제1 홀(413)과 제2 홀(216)을 관통하도록 하는 삽입부(422), 및 헤드(4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내부 노출면(224)과 상기 제2 퓨즈 단자(414) 사이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후술하는 가동 접접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고정 접촉 단자(5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퓨즈 단자(414)에는 제3 홀(41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입력 터미널(220)의 제2 내부 노출면에도 제4 홀(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접촉 단자(570)는 제3 홀(415)과 제4 홀(226)을 관통하도록 하는 삽입부(572), 및 헤드(5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퓨즈부(4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100)에는 퓨즈부(400)가 적절히 수납될 수 있는 홈, 및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제1 입력 터미널(210)이 매설되어 수납되며 제1 내부 노출면(214)이 상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제1 수납 홈(152)과, 제2 입력 터미널(220)이 매설되어 수납되며 제2 내부 노출면(224)이 상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제2 수납 홈(154)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수납 홈(152)과 제2 수납 홈(154)에 놓인 제1 입력 터미널(210)과 제2 입력 터미널(220) 상에 상기 제1 퓨즈 단자(412)와 제2 퓨즈 단자(414)가 각각 수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부 노출면(214) 상에 상기 제1 퓨즈 단자(412)가 놓여 연결되며, 제2 내부 노출면(224) 상에 상기 제2 퓨즈 단자(414)가 놓여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수납 홈(152)과 제2 수납 홈(154)에 사이를 연결하는 소정의 채널(156)이 마련되고, 상기 채널(156)에 퓨즈선(416)이 놓여 상기 채널(156)을 통해 제1 퓨즈 단자(412)와 제2 퓨즈 단자(414)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1) 내에 간단한 구조를 갖는 퓨즈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과부하 보호 수단(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과부하 보호 수단(50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1)의 본체를 구성한다. 과부하 보호 수단(500)은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력 터미널(220)과 상기 출력 터미널(230)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중간 터미널(240)과 제2 입력 터미널(220) 사이에 연결되어 중간 터미널(240)과 제2 입력 터미널(220)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한다. 따라서 입력 터미널(202)와 출력 터미널(230)에 각각 연결된 전기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부하 보호 수단(500)은, 저항 발열체(510); 가변 리드부(540); 제1 바이메탈(520) 및 제2 바이메탈(530); 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 발열체(510)는 전기 저항을 갖는 부재로서, 소정의 길이로 권선되는 코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저항에 따른 발열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저항 발열체(510)는 코일형 부재이거나, 또는 프레스로 가공된 소정의 히터 부재일 수 있고,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저항 발열체(510)의 형상은 상술한 베이스(100)의 제1 수납부(112) 매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납부(1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저항 발열체(510)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고 권선되는 발열 코일로 구성되되, 곡률을 갖는 아크(arc) 형태로 연장되게 권선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전기가 인가되면 열을 발산하게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정해진 전력 인가에 따라서 소정의 온도의 열이 생성되도록 적절한 권선 구조 및 길이,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항 발열체(510)는 일 단이 상기 출력 터미널(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저항 발열체(510)는 상기 제1 수납부(1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 단이 상기 출력 터미널(230)의 제3 내부 노출면(234)과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240)의 제4 내부 노출면(242)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가변 리드부(540)는 상기 중간 터미널(240)과 상기 제2 입력 터미널(2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변 리드부(54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되, 길이 방향 일 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240)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접점(542)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이 상기 출력 터미널(230)과 접촉하는 가동 접점(544)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 리드부(540)는 상기 입력 터미널(202)과 출력 터미널(230) 사이를 전기적으로 매개하여 연결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변 리드부(540)의 고정 접점(542)은 상기 중간 터미널(240)의 제4 내부 노출면(244)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가동 접점(544)는 제2 입력 터미널(220)의 제2 내부 노출면(224)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가동 접점(544)에는 제2 입력 터미널(220)과의 전기적 접촉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가동 접촉 단자(5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접촉 단자(560)는 제2 입력 터미널(220)의 제2 내부 노출면(224)에 구비된 상기 고정 접촉 단자(57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리드부(540)는 상기 아크 형태의 저항 발열체(5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저항 발열체(510)의 직경 방향으로 저항 발열체(510)를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 리드부(54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마련된 상기 고정 접점(542)과 상기 가동 접점(544)은, 상기 저항 발열체(510)의 직경방향으로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 리드부(540)는 형상의 가변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전기 전도성 외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컨대 구리와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형상의 가변 및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 및 면적을 갖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가변 리드부(540)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바이메탈과 접할 수 있는 엠보싱부(548)가 마련될 수 있다. 엠보싱부(548)은 반구의 일부 형태로서 도 9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둥글게 만곡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변 리드부(540)를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시키고, 상기 가변 리드부(540)의 변형 및 변위를 용이하게 하며 전기적 통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의 고정 철편(5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철편(550)은 상기 가변 리드부(540)의 고정 접점(542)의 상면에 용접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중간 터미널(240)과 상기 가변 리드부(540)가 서로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바이메탈(H)은 상기 저항 발열체(510)와 상기 가변 리드부(540)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해서 형상이 가변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저항 발열체(510)에 인접하게 상기 바이메탈(H)이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저항 발열체(510)에서 생성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바이메탈(H)의 형상이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바이메탈(H)은 소정의 동작온도에 도달하면 형상이 가변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발열체(510)에 소정의 정해진 전력이 인가되면 저항 발열체(510)에서 소정의 온도 이상의 동작온도에 도달할 경우, 소정의 정해진 전력의 인가에 따라서 상기 바이메탈(H)의 형상이 가변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도 10 과 같이, 바이메탈은 제1 바이메탈(520)과 제2 바이메탈(530)을 포함한다. 제1 바이메탈(520)은 A 와 같이 변형하며, 제2 바이메탈(530)은 B 와 같이 변형하여, 가변 리드부(540)가 C 와 같이 틸팅하게 된다.
도 9 내지 13 을 참조하여 제1 바이메탈(520)과 제2 바이메탈(530)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제1 바이메탈(52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며,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 바이메탈(520)은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열 변형되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어 상기 가변 리드부(540)를 밀어서 변형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열 변형이 없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접시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제1 바이메탈(520)은 제2 수납부(114) 내에 위치하되,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함몰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112)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열 변형에 따라서 변형된 상태에서는 함몰 방향이 역전되어 상방향으로 함몰되어 뒤집어진 접시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서 제2 수납부(114)의 바닥면 상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되어 가변 리드부(540)의 엠보싱부(548)을 밀어 올리게 될 수 있다. 재술하면, 상기 접시 형태의 제1 바이메탈(520)은 열이 인가됨에 따라서 뒤집어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이메탈(520)이 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접촉 단자(570)과 가동 접촉 단자(560)는 서로 접촉하며, 제1 바이메탈(520)이 열 변형되면 제1 바이메탈(520)이 가변 리드부(540)의 엠보싱부(548)를 밀어 올려 고정 접촉 단자(570)와 가동 접촉 단자(56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이메탈(520)의 형상 변화는 전력의 인가에 따른 열 발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결과적으로 소정의 전력이 인가되고 제1 바이메탈(520)의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는 열이 발생할 경우 상기 가변 리드부(540)와 상기 입력 터미널(202) 사이의 전기 연결이 해제되는 것으로 귀결되며, 이는 곧 소정의 한계 이상의 전력이 인가될 경우 본원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1)의 전기 연결이 해제되어 과부하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배치 구조 및 형태에 따라서, 저항 발열체(510)에 의한 열 생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생성된 열이 상기 바이메탈(52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변 리드부(540)의 변형 또한 길이방향으로 변형되게 구성되어 가변 리드부(540)의 변형에 따른 전기 연결 및 해제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저항 발열체(510)가 아크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서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제2 바이메탈(530)은 제1 바이메탈(5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 바이메탈(530) 또한 제1 바이메탈(520)과 유사하게,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 작동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된다. 여기서, 제2 작동 온도는 제1 작동 온도보다 높다.
제2 바이메탈(530)이 마련됨에 따라서, 제1 바이메탈(520)의 이상현상으로 인해 제1 동작온도에서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도 제2 동작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2 바이메탈(530)이 동작하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바이메탈(520)의 이상현상으로 제1 동작온도를 넘어 동작하지 않을 때, 공급되는 전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저항발열체(510)의 발열량이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온도가 제2 동작온도에 도달하면 제2 바이메탈(530)이 변형되어 가변 리드부(540)를 밀어 올리게 된다.
한편, 도 12 및 1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바이메탈(530)의 형상은 제1 바이메탈(520)과 달리, 원형이 아니라 장축 N 과 단축 M 을 갖는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N 과 단축 M 을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N 방향의 일 단부는 사각형 형상을 갖고 타 단부는 원형으로 곡률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바이메탈(530)은 하면이 제1 바이메탈(520)의 상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제1 바이메탈(520)과 동일한 곡률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바이메탈(530)(530)은 상기 제2 수납부(114) 내에 놓이되,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축 N 방향의 일 단부는 상기한 제2 수납부(114)의 사각형 부분에 위치하며 원형 셩상을 갖는 장축 방향의 타 단부는 제2 수납부(114)의 원형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 바이메탈(530)이 적절하게 수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제2 바이메탈(530)의 단축 방향 양단 부분은 각각 제1 격벽(132)과 제2 격벽(134)에 닿아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르면 제2 바이메탈(530)의 단축 M 의 길이 Q 는 상기 제1A 격벽(132a)과 제1B 격벽(132b) 사이의 간격, 및 제2A 격벽(134a)과 제2B 격벽(134b) 사이의 간격의 폭 P 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 함은 비교적 유사하여 제2 바이메탈(530)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위치 이동함이 없이 수납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반드시 오차 없이 일치하는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서, 제2 바이메탈(530)은 흔들리거나 위치를 이탈함이 없이 위치 고정된다. 아울러, 제2 바이메탈(530)의 장축 N 방향 양단 또한 제2 수납부(114)의 내주면에 닿아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이메탈(530)의 단축 M 은 가변 리드부(540)의 길이 방향 L 과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일치한다는 의미는 반드시 완전히 일치하는 것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작은 사이각을 가져서 대체로 일치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장축 N 은 상기 가변 리드부(540)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바이메탈(520)이 제1 작동 온도에서 변형되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경우에도 제2 바이메탈(530)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변 리드부(540)에 맞닿아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접점 불안정성이 해결된다.
만일 제2 바이메탈(530)이 제1 바이메탈(520)과 동일한 원형 형상을 가질 경우를 가정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 바이메탈(520)이 제1 작동 온도에서 변형되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면 제2 바이메탈(530)이 제1 바이메탈(520)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때 제2 바이메탈(530)은 제2 작동 온도 이하이므로 변형이 없으며 최초의 형상을 유지하여 하방향으로 볼록하고 외측 가장자리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제2 바이메탈(530)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변 리드부(540)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Creep Action 동작 구간에서 제2 바이메탈(530)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변 리드부(540)에 맞닿는 경우가 발생할 수 이??. 이 경우, 제2 바이메탈(530)은 가변 리드부(540)의 엠보싱부(548) 외에 외측 가장자리 부분이 리드부에 닿아 압박되게 되므로 가변 리드부(540)의 누름 압력이 일정하지 아니하여 복귀 온도 및 복귀 시간이 균일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엠보싱부(548)가 접촉하지 않은 채 가장자리 부분만이 접촉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누름 압력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제2 바이메탈(530)은 장축 N 과 단축 M 을 가지며, 단축 M 부분이 가변 리드부(540)의 연장 방향 L 과 일치함으로써 제2 바이메탈(530)이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갈 때에도 제2 바이메탈(530)의 외측 가장자리와 가변 리드부(540) 사이에 거리가 있으므로, 제2 바이메탈(530)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변 리드부(540)에 닿지 않는다. 특히, Creep Action 동작 구간에서도 제2 바이메탈(530)과 가변 리드부(540)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가변 리드부(540)와 제2 바이메탈(530) 사이의 접촉 지점은 단지 엠보싱부(548) 뿐이므로, 가변 리드부(540)가 제1 바이메탈(520) 및 제2 바이메탈(530)을 누르는 힘은 균일하게 유지되어 복귀 온도 및 복귀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온도에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 장치(1)의 동작을 도 16 내지 도 18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도 16 은 제1 동작온도 이하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6 과 같이 제1 동작온도 이하에서는 제1 바이메탈(520)과 제2 바이메탈(530)이 모두 동작하지 아니하여, 하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유지한다. 이때, 가변 리드부(540)의 가동 접촉 단자(560)와 고정 접촉 단자(570)는 서로 접촉한 상태이다.
이하에서 도 15 내지 도 17 을 이용하여 상기 과부하 보호 수단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 는 제1 동작온도 이하에서, 제1 바이메탈(520)과 제2 바이메탈(530)이 모두 변형되지 아니하여, 가변 리드부(540)에 대해 힘이 인가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이때, 가변 리드부(540)의 가동 접촉 단자(560)와 고정 접촉 단자(570)는 서로 접촉된 상태로서 전류가 통전된다.
도 16 은 제1 동작온도에 도달하여 제1 바이메탈(520)이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과 같이,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제1 바이메탈(520)이 변형하여 위로 볼록하게 변형된다. 이때, 제2 바이메탈(530)은 변형되지 아니하며, 제1 바이메탈(520)에 의해서 위로 밀어 올려지게 된다. 아울러, 가변 리드부(540)의 가동 접촉 단자(560)와 고정 접촉 단자(570)는 서로 이격되어 전류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바이메탈(530)의 가장자리와 가변 리드부(540)사이의 간섭 접촉이 없으며, 가변 리드부(540)의 엠보싱부(548)만이 제2 바이메탈(530)과 접촉하여 가압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동작 압력 및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된다.
도 17 은 제1 바이메탈(520)이 동작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고, 제2 동작온도에 도달하여 제2 바이메탈(530)이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을 참조하면, 제1 바이메탈(520)의 동작 이상으로 인해, 제1 동작 온도에서 제1 바이메탈(520)이 변형되지 않을 경우, 제1 동작 온도를 넘어 계속적인 발열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제2 바이메탈(520)이 변형되게 된다. 이 경우, 제1 바이메탈(520)은 변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2 바이메탈(530) 만이 변형하여 위로 볼록하게 변형하며, 따라서 가변 리드부(540)를 밀어올린다. 따라서, 가변 리드부(540)의 가동 접촉 단자(560)와 고정 접촉 단자(570)는 서로 이격되어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도 14 의 C 와 같이, 상기 엠보싱부(548)의 중심과 상기 제1 바이메탈(520)의 중심, 및 상기 제2 바이메탈(530)의 중심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이 일치한다는 의미는 상기 엠보싱부(548), 제1 바이메탈(520), 및 제2 바이메탈(530)의 만곡면의 중심점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여 중첩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 축을 형성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점은 최저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이메탈(520) 및 제2 바이메탈(530)이 변형되어 만곡면이 역전될 때, 상기 제1 바이메탈(520)과 제2 바이메탈(530)의 최고점 또한 상기 엠보싱부(548)의 최저점과 일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및 19 를 참조하여 커버(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상술한 퓨즈(400)및 과부하 보호 수단(500)이 수납된 후, 상기 베이스(100)를 덮도록 마련된다. 커버(330)는 커버 본체(310) 및 커버 본체(310)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330)는 커버 본체(310) 상에서 연장되어 입력 터미널(202)과 접촉함으로써 외부 전기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단자(330)를 상기 커버 본체(310)에 결합시키도록 소정의 고정 수단이 상기 커버 본체(310)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300)와 베이스(100)는, 후크(hook)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100)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142, 144)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300)가 상기 후크(142, 144)가 연결되는 후크 접합부(316, 318)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후크(142, 144)가 상기 후크 접합부(316, 318)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이 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커버(300)와 베이스(100) 사이의 간단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300)와 베이스(100)가 서로 접하는 면에는, 서로 대응하게 구성된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300)와 상기 베이스(100)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요철부는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베이스(100) 내부의 밀폐성이 향상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모터 과부하 보호 장치(1)에 의하면, 소정의 전력의 인가 및 소정의 동작온도에 도달하면 바이메탈(520)이 변형되어 전기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간편하고 간단하게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변 리드부(540)에 마련된 엠보싱부(548)의 만곡 중심축과 상기 제1 바이메탈(520)의 만곡 중심축, 및 상기 제2 바이메탈(530)의 만곡 중심축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치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 바이메탈(520)이 제1 작동 온도에서 변형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었을 때, 제2 바이메탈(530)의 측부와 가변 리드부(540) 사이의 접촉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단지 엠보싱부(548)를 통해서 제2 바이메탈(530)과 가변 리드부(540)가 접촉하여, 가변 리드부(540)가 제1 바이메탈(520) 및 제2 바이메탈(530)을 누르는 힘이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바이메탈(520)이 본래 형태로 도달하는 온도가 일정하게 되어 일정한 복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입력 터미널(520)과 제2 입력 터미널(530)을 갖고, 제1 입력 터미널(520)과 제2 입력 터미널(530)은 퓨즈부(400)에 의해서 연결되며, 퓨즈부(400)은 과전류 인가시 끊어지는 구성을 가지므로 과열 뿐만 아니라 과전류에 대한 보호도 달성할 수 있다. 즉, 도 20 과 같은 회로도를 가지므로, 바이메탈에 의한 과열 보호 뿐만 아니라, 과전류에 대한 보호도 퓨즈부(400)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흐름을 위한 도체로 구성된 부재가 절연 재질로 구성된 베이스(100)에 매설되어 밀봉 및 격리 됨으로써, 스위칭시 발생하는 아크(arc)가 도체에 반사되어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작동 과정에서 상기 가변 리드부(540)의 고정 접점(542) 및 가동 접점(544)의 스위칭시 소정의 아크가 발생하고 반사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입력 터미널(202), 출력 터미널(230), 및 중간 터미널(240)이 베이스(100) 내에 매설되어 상기 아크의 발생 및 반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를 구성하는 전도성 부재가 절연체인 베이스(100)에 일체화 되어 있어, 전도성 부재가 완전하게 고정되어, 장치의 전기적, 물리적, 열 충격에서 발생되는 베이스(100)의 변형에도 전도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전체적인 장치의 고장 발생률을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입력 터미널(202), 출력 터미널(230) 및 중간 터미널(240)이 베이스(100) 내에 매설되도록 소정의 몰드에 상기 부재들을 위치시키고 플라스틱 주물을 몰드에 주입시켜 베이스(1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전도성 부재가 베이스(100) 내에 매설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베이스(100)에 상기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적 흐름을 위한 전도성 부재들을 베이스(100)에 끼워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장치 생산시 자동화가 가능하여, 장치간 발생하는 편차를 줄여, 균일한 특성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100)에 전도성 부재를 끼워 넣는 구조를 갖지 않고, 베이스(100)와 전도성 부재가 일체화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전도체를 끼워 넣을 때 발생하는 베이스(100) 찌꺼기가 고정 접점(542)과 가동 접점(544)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는 고장을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베이스(100)에 전도성 부재가 매설되게 구성됨으로써 발열체로 작용하는 전도성 부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복사 전도를 최소화 하여 장치의 열변형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작동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즉, 커버 영역(122, 124, 126), 및 격벽(132, 134)이 마련되어 전도성 부재가 베이스(100)에 매설되고 불필요한 열 전달이 차단되어 상기와 같이 바이메탈(520)에 대한 의도하지 아니한 불필요한 열 복사가 방지됨으로써, 정확한 동작온도에서의 작동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베이스(100)의 내부가 절연체로 밀폐되고 단자 사이의 연결 부위가 밀폐, 격리되어 내부의 폭발이 외부의 폭발을 야기 시키지 않고, 외부의 가연성 가스의 내부로 진입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100)을 구성하는 베이스(100)와 커버(120)에 요철이 형성되며 베이스(100) 상에 커버(120)가 덮어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져 베이스(100)와 커버(120)가 견고히 결합되어 베이스(100)의 내부가 신뢰성있게 밀폐됨으로써, 외부의 물, 가스, 먼지등의 내부유입이 방지되어 제품의 고장 발생률을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압축기 과부하 보호장치
100: 베이스
200: 도전 터미널
300: 커버
400: 퓨즈부
500: 과부하 보호 수단

Claims (11)

  1.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있어서,
    절연 재질로 구성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는 입력 터미널, 출력 터미널, 및 중간 터미널을 포함하는 도전 터미널;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터미널과 상기 출력 터미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는 과부하 보호 수단; 및
    상기 베이스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터미널 및 출력 터미널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전기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중간 터미널은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과부하 보호 수단은,
    소정의 전기 저항을 갖는 저항 발열체;
    전도성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 발열체 상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변 리드부; 및
    상기 저항 발열체와 상기 가변 리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해 형상이 가변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 발열체는 일 단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연결되며, 전기 인가에 따라서 열을 발산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는,
    길이 방향 일 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접점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이 상기 출력 터미널과 접촉하는 가동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열에 의해 상기 제1 바이메탈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서 형상이 가변되어 가동접점의 위치가 가변함에 따라서 가동접점과 상기 입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게 구성되되,
    상기 바이메탈은,
    제1 바이메탈, 및 상기 제1 바이메탈 상에 배치되는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이메탈은 원반 형태로 구성되되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어 상기 가변 리드부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구성되며,
    상기 제2 바이메탈은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고,
    상기 제2 동작 온도는 상기 제1 동작 온도보다 높은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메탈은,
    장축 및 단축을 갖되,
    상기 단축이 상기 가변 리드부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바이메탈이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여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어 상기 제1 바이메탈이 상기 제2 바이메탈을 밀어 올릴 때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변 리드부에 대해 접촉하지 않아서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가변 리드부 사이의 접촉 간섭을 발생시키기 않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은,
    하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며 아크형 형상을 갖는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부의 폭보다 확장된 폭을 갖고 원형으로 구성된 제2 수납부를 갖고,
    상기 제1 수납부에 상기 저항 발열체가 수납되며,
    상기 제2 수납부에 상기 제1 바이메탈 및 제2 바이메탈이 수납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수납 공간 내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제1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을 갖고
    상기 제1 격벽과 제2 격벽은 각각 상기 제2 수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가로지르되 상기 제2 수납부와 중첩되는 부분만큼 제거되어 길이 방향으로 제2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1 수납부에 상기 저항 발열체가 수납되고 상기 제2 수납부에 제1 바이메탈 및 제2 바이메탈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상기 가변 리드부가 수납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의 크기는 상기 가변 리드부의 폭과 대응하며,
    상기 제2 간격의 크기는 상기 제2 바이메탈의 단축의 길이와 대응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변 리드부는,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둥글게 만곡된 엠보싱부가 마련되며,
    상기 엠보싱부의 하면은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제1 바이메탈이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여 변형되면 상기 엠보싱부가 밀려져셔 상기 가변 리드부를 통한 상기 입력 터미널과 상기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이 해제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중심과 상기 제1 바이메탈의 중심, 및 상기 제2 바이메탈의 중심은 서로 중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일 축을 형성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권선되는 발열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 코일은,
    곡률을 갖는 아크(arc) 형태로 연장되게 권선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는,
    상기 발열 코일의 상부에 상기 발열 코일을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9.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있어서,
    절연 재질로 구성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는 입력 터미널, 출력 터미널, 및 중간 터미널을 포함하는 도전 터미널;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터미널과 상기 출력 터미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는 과부하 보호 수단;
    상기 베이스를 덮는 커버; 및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는 퓨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터미널 및 출력 터미널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전기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중간 터미널은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과부하 보호 수단은,
    소정의 전기 저항을 갖는 저항 발열체;
    전도성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 발열체 상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변 리드부; 및
    상기 저항 발열체와 상기 가변 리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해 형상이 가변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 발열체는 일 단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연결되며, 전기 인가에 따라서 열을 발산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는,
    길이 방향 일 단이 상기 중간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접점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이 상기 출력 터미널과 접촉하는 가동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열에 의해 상기 제1 바이메탈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서 형상이 가변되어 가동접점의 위치가 가변함에 따라서 가동접점과 상기 입력 터미널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개폐하게 구성되되,
    상기 바이메탈은,
    제1 바이메탈, 및 상기 제1 바이메탈 상에 배치되는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이메탈은 원반 형태로 구성되되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어 상기 가변 리드부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구성되며,
    상기 제2 바이메탈은 중간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접시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만곡 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역전되게 변형되고,
    상기 제2 동작 온도는 상기 제1 동작 온도보다 높은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상기 입력 터미널은,
    외부 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제1 입력 터미널, 및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이격되며 상기 가변 리드부의 상기 가동접점과 접하는 제2 입력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퓨즈부는 퓨즈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퓨즈 수단은,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퓨즈 단자,
    상기 제2 입력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퓨즈 단자, 및
    상기 제1 퓨즈 단자와 상기 제2 퓨즈 단자 사이를 연결하여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소정의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끊어지는 퓨즈선을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입력 터미널이 매설되어 수납되는 제1 수납 홈과
    상기 제2 입력 터미널이 각각 수납되는 제2 수납 홈, 및
    상기 제2 수납 홈과 제2 수납 홈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을 연결하는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퓨즈 단자는 상기 제1 수납 홈에 수납된 상기 제1 입력 터미널 상에 놓여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퓨즈 단자는 상기 제2 수납 홈에 수납된 상기 제2 입력 터미널 상에 놓여 상기 제1 입력 터미널과 연결되며,
    상기 퓨즈선은 상기 채널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퓨즈 단자와 상기 제2 퓨즈 단자를 연결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터미널은 상기 제1 수납 홈에 수납된 부분이 상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 내부 노출면을 가지며,상기 제2 입력 터미널은 상기 제2 수납 홈에 수납된 부분이 상방향으로 노출되눈 제2 내부 노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퓨즈 단자는 상기 제1 내부 노출면 상에 놓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퓨즈 단자는 상기 제2 내부 노출면 상에 놓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1020150139986A 2015-07-14 2015-10-05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10174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86A KR101746149B1 (ko) 2015-10-05 2015-10-05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US15/744,606 US10483067B2 (en) 2015-07-14 2016-07-14 Overload protection device for compressor motor
PCT/KR2016/007686 WO2017010830A1 (ko) 2015-07-14 2016-07-14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86A KR101746149B1 (ko) 2015-10-05 2015-10-05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694A true KR20170040694A (ko) 2017-04-13
KR101746149B1 KR101746149B1 (ko) 2017-06-13

Family

ID=5858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986A KR101746149B1 (ko) 2015-07-14 2015-10-05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383A (ko) * 2021-10-14 2023-04-21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과부하 보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989B1 (ko) * 2020-08-28 2023-01-04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446A (ko) 1998-08-08 2000-03-06 윤종용 반도체장치 제조용 웨이퍼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294B1 (ko) 2005-10-20 2007-01-24 자화전자(주) 압축기 모터 과부하보호 장치
JP2014159754A (ja) 2013-02-19 2014-09-04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446A (ko) 1998-08-08 2000-03-06 윤종용 반도체장치 제조용 웨이퍼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383A (ko) * 2021-10-14 2023-04-21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과부하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149B1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610A (en) Compact protector
US9460876B2 (en) Breaker, and safety circuit and secondary battery circuit provided with the same
WO2013054927A1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
JP6408822B2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US6503647B1 (en) Batter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87774Y1 (ko) 보호 장치
KR101746149B1 (ko)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JP2014235913A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EP2980824B1 (en) Thermoresponsive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483067B2 (en) Overload protection device for compressor motor
JP2015162448A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JP2019114368A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
KR101710679B1 (ko)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0485353Y1 (ko)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JP5804515B2 (ja) ブレーカ
KR102483989B1 (ko)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JP6216152B2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CN202564727U (zh) 无线电器具和基座连接器部分
JP5904659B2 (ja) パック電池
JP2008508746A (ja) セラミック素体の破壊時における伝播の防止のための安全装置
KR20160026564A (ko)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0397437Y1 (ko) 세라믹소체 파괴시 진행성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JP7406279B2 (ja) モータプロテクタ
JP3223641U (ja) 電気遮断後の復帰可能なバックラップ型温度リミッタ
JP5881054B2 (ja) 電気器機内蔵用の無通電タイプのブレー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