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509A -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509A
KR20170040509A KR1020150139579A KR20150139579A KR20170040509A KR 20170040509 A KR20170040509 A KR 20170040509A KR 1020150139579 A KR1020150139579 A KR 1020150139579A KR 20150139579 A KR20150139579 A KR 20150139579A KR 20170040509 A KR20170040509 A KR 20170040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transmission
informat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섭
김인표
Original Assignee
(주) 씨아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아이디티 filed Critical (주) 씨아이디티
Priority to KR102015013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509A/ko
Publication of KR2017004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송신부의 충전 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1)은, 전원에 연결되는 1차 코일(11), 상기 1차 코일(11)의 전력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부(12), 상기 송신제어부(12)에서 생성된 충전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송신측 AD 변환부(13), 상기 송신측 AD 변환부(13)의 디지털신호를 대응하는 진동신호로 출력하는 진동소자(14)를 포함하는 송신부(10); 및 상기 1차 코일(11)과의 사이에서 전력을 전송받는 2차 코일(21), 상기 진동소자(14)로부터의 진동신호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진동센서(22), 상기 진동센서(22)로부터의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전보를 생성하는 CPU(23), 및 상기 CPU(23)로부터의 충전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2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 Capable of Outputting Charging Information of Transmitter by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는 무선충전시스템에서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기기의 작동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필요로 하고, 이런 배터리로는 충전식 배터리를 널리 사용하며, 충전식 배터리는 전통적으로 유선(접점) 충전을 적용하였으나, 최근 무선충전(무접점 충전)의 사용이 널리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충전방식으로는 '전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명방식'이 있다. 전자의 전자기유도방식은 근접한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접촉에 가까운 수 센티미터 내의 근거리에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방식이고, 후자의 자기공명방식은 코일 간의 자기공진을 이용하여 1-2 미터 정도 이격된 거리어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방식이다.
도2는 일반적인 전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명방식의 무선충전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시스템(100)은, 송신부(110: 무선충전기)와 수신부(120: 예, 배터리를 구비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를 포함한다. 송신부(110)는 교류전원(111)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송신회로(112)와 전자기유도 또는 가지공명을 위한 1차의 코일(113)을 포함하고, 수신부(120)는 송신부(110)의 1차 코일(113)과의 사이에서 전자기유도 또는 자기 공명을 일으키는 2차 코일(121)과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회로(122)를 포함하며, 배터리(130)를 수신부(120)의 충전회로(122)에 연결하고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1차 코일(113)의 정해진 위치에 2차 코일(121)을 위치시키면, 전자기유도 또는 자기공명에 의해 배터리(130)가 충전된다.
휴대기기 등에 대한 이런 무선충전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전자기유보 방식)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자기공명방식) 등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무선충전시스템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무접점 환경에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전자기유도방식의 경우에 송신부의 1차 코일에 대한 수신부의 2차 코일의 위치가 정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 등과 같이, 충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충전효율이 급변하고 발열 등의 부작용이 수반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적의 무선충전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송신부의 전력송신 정보와 수신부의 전력수신 정보를 송신부와 수신부가 상호 간에 전달하고, 전달된 정보에 따라 충전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고, 또한 현재의 충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충전상태를 최적의 충전상태로 수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전자기유도방식에 대한 WPC의 QI 표준에서는 수신부의 임피던스를 변환하여 무접점 상태의 송신부의 송신 출력단의 전류흐름이 변화되게 하는 방식으로 수신부의 충전정보를 송신부로 전달하여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무선충전시스템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무접점 환경에서 작용하는 것이므로,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충전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양자 간에 무선통신수단을 필요로 하고,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송신부(무선충전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려면, 송신부에 시각적인 표시부 및/또는 청각적인 오디오부를 설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1470호의 '무선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송신부와 수신부에 무선통신부를 설치함으로써,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제어 신어 등을 전송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7391호의 '무선 충전 방법, 무선 충전기, 무선 충전되는 전자 기기'는, 송신부(무선충전기)에 수신부(예, 스마트폰)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오디오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1458712호의 '차량의 무선충전기 상태확인장치 및 그 방법'은, 무선충전기의 정상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상태표시기를 송신부에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충전시스템 환경의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수신부는 자체적인 기능 실현을 위해, 블루투스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의 각종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함께, LCD 터치스크린과 스피커 등의 시청각적인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지만, 송신부(무선충전기)에는 제품의 저렴한 공급을 위해 1차 코일 등 전력송신을 위한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구비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WPC 표준에서는, 전자기유도방식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충전효율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가변주파수형 무선충전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가변주파수형 무선충전시스템은 무선충전에 사용되는 충전주파수를, 예를 들어 최소 110kHz와 최대 205kHz의 범위에서,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정위치에 근접할수록(충전효율이 높을수록) 205kHz에 더 근접한 충전주파수를 사용하고, 1차 코일에 대해 2차 코일이 정위치로부터 이탈할수록(충전효율이 낮을수록) 110kHz 쪽에 더 근접한 충전주파수를 사용하면서 1차 코일에 인가하는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충전효율이 적어도 일정 충전효율 이상으로 유지되게 한다.
그러나 "가변주파수형"에서 충전주파수와 전력을 변경함으로써 충전효율을 보완하더라도, 예를 들어 2차 코일이 1차 코일 충전 가능한 범위 내의 최외곽 위치에 위치할 경우, 최고 충전효율 대비 약 20% 이상의 충전효율 저하가 발생하고, 이 경우 충전효율 보상을 위해 인가하게 되는 과도한 전력의 상승으로 인하여 심각한 발열을 일으킨다.
본 발명자가 제안한 대한민국 특허 10-1196540호의 '충전효율표시장치를 구비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충전효율 표시방법'은, 송신부에 수신부를 근접시켜 충전을 실행할 때,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전자기유도에 사용되고 배터리의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충전주파수를 주파수검출부로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산출된 충전효율을 표시부에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고의 충전효율을 갖는 최적의 위치로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가능한 높은 충전효율로 무선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자가 제안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0349호의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무접점충전방법'은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배터리의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전자기유도에 사용하는 충전주파수를 가변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효율을 보완하는 무선충전시스템에 관련하여, 송신부에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검출부'와 주파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충전주파수 데이터를 수신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설치하는 한편, 수신부에는 송신부의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된 충전주파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한 충전주파수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배터리의 충전효율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출력하는 '알림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고의 충전효율을 갖는 최적의 위치로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가능한 높은 충전효율로 무선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시스템에 관련하여,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충전정보 전송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설치하거나, 송신부에서의 충전 정보 출력을 위해 송신부에 고가의 출력수단(표시부 및/또는 오디오부)을 설치하지 아니하면서도, 송신부에 저비용의 간단한 구성만을 추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송신부의 충전상태를 수신부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출력수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송신부의 충전 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시스템은,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전원에 연결되는 1차 코일, 상기 1차 코일의 전력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부, 상기 송신제어부에서 생성된 충전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송신측 AD 변환부, 상기 송신측 AD 변환부의 디지털신호를 대응하는 진동신호로 출력하는 진동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1차 코일과의 사이에서 전력을 전송받는 2차 코일, 상기 진동소자로부터의 진동신호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진동센서,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전보를 생성하는 CPU, 및 상기 CPU로부터의 충전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의 상기 송신제어부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수신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송신부의 온도정보가 상기 수신부의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충전정보일 수 있다.
상기 송신부의 상기 송신제어부는 주파수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파수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송신부의 충전주파수에 따른 충전효율정보가 상기 수신부의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충전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시스템은,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충전정보 전송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설치하거나, 상기 송신부의 충전정보의 출력을 위해 상기 송신부에 추가로 출력수단을 설치하지 아니하면서도, 상기 송신부에 저비용의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고 상기 수신부에 본 발명의 무선충전시스템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정도만으로, 상기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충전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2는 일반적인 무선충전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시스템(1)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에 사용하기 적합한 전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의 무선충전시스템으로서, 종래의 무선충전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송신부(10)와 수신부(20)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구체예는 송신부(10)로 충전패드와 같은 무선충전기를 예시하고, 수신부(20)로 스마트폰을 예시한 구체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부(10)에서의 충전정보를 수신부(20)에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송신부(10)의 충전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송신부(10)의 충전정보로는, 송신부(10)의 온도와 충전효율 등과 같이 사용자가 무선충전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들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충전정보가 송신부(10)의 온도나 충전효율에 관한 정보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송신부(10)는, 1차 코일(11), 송신제어부(12), 송신측 AD 변환부(13), 및 진동소자(14)를 포함한다.
종래의 무선충전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1차 코일(11)은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장 또는 공명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송신부측의 코일이고, 상기 송신제어부(12)는 송신부(10)에서의 무선충전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시스템이 전자기유도방식의 무선충전시스템인 경우 1차 코일(11)은 전자기유도를 위한 코일이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시스템이 자기공명방식 무선충전시스템인 경우 1차 코일(11)은 공진주파수를 발진하는 코일(송신 코일안테나)이다.
송신제어부(12)에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충전 시에 송신부(10)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12a)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2a)로는, 예를 들어 무선충전기의 송신부에 온도센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NTC 센서(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Sensor)를 적용할 수 있다. NTC 센서는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내려가는 특성을 이용한 온도센서로서,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감소함으로써 입력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통해 온도의 변화를 검출하게 된다.
송신제어부(12)에 온도센서(12a)가 포함됨에 따라, 무선충전과정에서 송신부(10)가 발열하여 그 온도가 정해진 안전온도보다 높게 될 경우에, 그 정도에 따라 송신부(10)의 전력 송신이 제한하거나 중단함으로써 송신부(10)를 보호한다.
송신제어부(12)는,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 10-1196540호에서와 같이,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검출부(12b)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측정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송신측 AD 변환부(13)는,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등을 통하여, 송신제어부(12)에서 생성된 충전정보를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이때의 디지털신호는 송신부(10)와 수신부(20)에서 동일 내용으로 사전에 규정한 예를 들어 '0'과 '1'의 이진 신호의 한자리 이상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송신제어부(12)에 생성된 충전정보가 온도인 구체예를 예로 들면, 온도센서(12a)에서 측정된 온도가 충전에 허용되는 정상온도의 범위일 경우는 '0'으로, 비정상적인 발열로 정상온도를 벗어난 경우는 '1'로 매칭하고, 충전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상태는 '0'으로, 충전을 중단하여야 할 경우는 '1'로 매칭하는 것과 같이, 송신측 AD 변환부(13)에서 이진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송신측 AD 변환부(13)에서 생성된 디지털신호가 '00'인 경우는 '온도정상-충전유지'의 충전정보에 대응하고, '11'인 경우는 '발열-충전중단'의 충전정보에 대응한다.
송신제어부(12)에 생성된 충전정보가 주파수검출부(12b)에 의해 측정된 충전주파수에 따른 충전효율인 경우를 예로 들면, 송신측 AD 변환부(13)는, 검출된 충전주파수에 따른 충전효율이 예를 들어 '불량'인 경우 이진수 '01'로 매칭하고, '보통'인 경우 이진수 '10'로 매칭하며, '양호'인 경우 이진수 '11'로 매칭하는 것과 같이, 이진수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충전효율의 단계는 3단계가 아닌 2단계나 5단계 등으로 달리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시스템에서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제공하는 충전정보가 '온도'와 '충전효율'과 같이 2개 이상인 경우에, 송신측 AD 변환부(13)에서 생성하는 디지털신호에는 해당 충전정보가 '온도'인지 '충전효율'인지 충전정보를 상호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소자(14)는 송신측 AD 변환부(13)로부터의 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공지의 소자이다. 진동소자(13)로서는 수신된 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널리 알려진 진동모터나 필름스피커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진동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의 패턴은, 예를 들어 수신된 디지털신호의 '0'과 '1'을 식별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의 진동인 '징'을 대응시키고, '1'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징~'을 대응시키는 것과 같은 패턴으로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충전정보가 온도인 상기 구체예에서, 예를 들어 송신제어부(12)에 생성된 충전정보에 대응하는 송신측 AD 변환부(13)에서 생성된 디지털신호가 '00'인 경우는, 진동소자(14)는 '징징'으로 진동함으로써 '온도정상-충전유지'의 충전정보를 담은 진동을 출력하고, 디지털신호가 '11'인 경우는 '징~징~'으로 진동함으로써 '발열-충전중단'의 충전정보를 담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정보가 충전효율인 구체예에서 송신제어부(12)에 생성된 충전정보에 대응하는 송신측 AD 변환부(13)에서 생성된 디지털신호가 '01'인 경우에 진동소자(14)는 '징징~'으로 진동함으로써 충전효율이 '불량'이라는 충전정보를 담은 진동을 출력하고, 디지털신호가 '10'인 경우에 진동소자(14)는 '징~징'으로 진동함으로써 충전효율이 '보통'이라는 충전정보를 담은 진동을 출력하고, 디지털신호가 '11'인 경우에 진동소자(14)는 '징~징~'으로 진동함으로써 충전효율이 '양호'라는 충전정보를 담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송신부(10)에 의하면, 일반적인 무선충전기에 구비된 송신부의 구성인 1차 코일(11)과 송신제어부(12)에, 송신측 AD 변환부(13)와 진동서자(14) 등의 간단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송신제어부(12)에서 획득한 송신부(10)의 충전정보(예, 온도 및/또는 충전효율 등)를 진동소자(14)를 통한 진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으로 대표할 수 있는 상기 수신부(20)는, 2차 코일(21), 진동센서(22), CPU(23) 및 출력부(24)를 포함한다.
상기 2차 코일(21)은 1차 코일(11)과의 사이에서 전력을 전송받는 코일이며, 본 발명의 시스템(1)이 전자기유도방식 무선충전시스템인 경우 2차 코일(21)은 전자기유도 코일이고, 본 발명의 시스템(1)이 자기공명방식 무선충전시스템인 경우 2차 코일(21)은 공진주파수를 수신하는 코일(수신 코일 안테나)이다.
상기 진동센서(22)는 송신부(10)의 진동소자(14)로부터의 진동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신호로부터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드라이버를 포함한 통상의 진동 감지기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수신부(20)에는 스마트폰에서의 진동 등을 감지하기 위해 자이로센서(22a)와 가속도센서(22b)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흔히 있는바, 본 발명의 시스템은 수신부(20)의 진동센서(22)로서 이런 자이로센서(22a)와 가속도센서(22b)를 단독 또는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PU(23)는, 스마트폰 등으로 예시되는 수신부(2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프로세서)로서, 무선충전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세스를 통해 무선충전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CPU(23)은 수신측 진동센서(22)로부터의 디지털신호(즉,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로부터, 사전에 정한 규칙에 따라, 대응하는 충전전보를 생성한다.
충전정보가 온도인 상기 구체예에서, CPU(23)은, 디지털신호가 '00'일 경우 '온도정상-충전유지'의 충전정보를 생성하고, 디지털신호가 '11'인 경우 '발열-충전중단'의 충전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충전정보가 충전효율인 상기 구체예에 CPU(24)은, 디지털신호가 '01'일 경우 '불량'의 충전정보를 생성하고, 디지털신호가 '10'인 경우 '보통'의 충전정보를 생성하고, 디지털신호가 '11'인 경우 '양호'의 충전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출력부(24)는 CPU(23)의 제어에 따라 CPU(23)가 생성한 충전전보를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는 시청각적인 정보로 출력한다.
출력부(24)로서는 스마트폰 등으로 예시되는 수신부(20)에 설치되어 있는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24a) 및/또는 오디오부(24a)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4)로서의 표시부(24a)를 통해서는, 송신부(10)에서 전송된 충전정보의 내용에 따라, 예를 들어 LCD 화면을 통해 '무선충전기의 온도가 정상이므로, 계속 충전할 수 있습니다', '무선충전기가 과도하게 발열하여 충전이 중단되었습니다.' 또는 "충전 상태가 '불량'하니 스마트폰의 위치를 정위치로 이동하십시오." 등의 문자와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로서의 오디오(24b)를 통해서는, 송신부(10)에서 전송된 충전정보의 내용에 따라, 예를 들어 수신부(20)의 스피커를 통해 '무선충전기의 온도가 정상이므로, 계속 충전할 수 있습니다', '무선충전기가 과도하게 발열하여 충전이 중단되었습니다.' 또는 "충전 상태가 '불량'하니 스마트폰의 위치를 정위치로 이동하십시오." 등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송신부의 충전정보가 온도와 충전효율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송신부의 충전정보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신부(20)로 전송하여 출력부(24)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신부(20)의 충전정보와 함께 송신부(10)의 충전정보를 수신부(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충전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폰과 같은 수신부(20)에는, 2차 코일(21), 진동센서(22), CPU(23) 및 출력부(24) 등이 이미 구축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무선충전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충전정보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통신모듈을 설치하거나, 송신부의 충전정보의 출력을 위해 송신부에 출력부(표시부 및/또는 오디오부)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단지 송신부(10)에 송신측 AD 변환부(13)와 진동소자(14) 등의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고, 수신부(20)에 본 발명의 무선충전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정도만으로, 송신부(10)의 충전정보를 수신부(20)에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무선충전시스템 10: 송신부(무선충전기)
11: 1차 코일 12: 송신제어부
12a: 온도센서 12b: 주파수검출부
13: 송신측 AD 변환부 14: 진동소자
20: 수신부(예, 스마트폰) 21: 2차 코일
22: 진동센서 22a: 자이로센서
22b: 가속도센서 23: CPU
24: 출력부 24a: 표시부
24b: 오디오부

Claims (3)

  1. 전원에 연결되는 1차 코일(11), 상기 1차 코일(11)의 전력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부(12), 상기 송신제어부(12)에서 생성된 충전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송신측 AD 변환부(13), 상기 송신측 AD 변환부(13)의 디지털신호를 대응하는 진동신호로 출력하는 진동소자(14)를 포함하는 송신부(10); 및
    상기 1차 코일(11)과의 사이에서 전력을 전송받는 2차 코일(21), 상기 진동소자(14)로부터의 진동신호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진동센서(22), 상기 진동센서(22)로부터의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전보를 생성하는 CPU(23), 및 상기 CPU(23)로부터의 충전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24)를 포함하는 수신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의 충전 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10)의 상기 송신제어부(12)는 온도센서(12a)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22)는 상기 수신부(20)에 설치된 자이로센서(22a) 또는 가속도센서(22b)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12a)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송신부(10)의 온도정보가 상기 수신부(20)의 출력부(24)에서 출력되는 상기 충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의 충전 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10)의 상기 송신제어부(12)는 주파수검출부(12b)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검출부(12b)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송신부(10)의 충전주파수에 따른 충전효율정보가 상기 수신부(20)의 출력부(24)에서 출력되는 상기 충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의 충전 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KR1020150139579A 2015-10-05 2015-10-05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KR20170040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79A KR20170040509A (ko) 2015-10-05 2015-10-05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79A KR20170040509A (ko) 2015-10-05 2015-10-05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509A true KR20170040509A (ko) 2017-04-13

Family

ID=5857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579A KR20170040509A (ko) 2015-10-05 2015-10-05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5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9064B2 (en) 2018-01-15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9064B2 (en) 2018-01-15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0142B (zh) 無線負載調變
KR101257676B1 (ko) 무선충전 시스템의 송수신 정렬상태 표시방법 및 장치
US9490651B2 (en) Sweep frequency mode for magnetic resonant power transmission
KR101213649B1 (ko) 이물질 및 무선 충전기기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90054334A (ko) 전력의 경로를 조정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100427B (zh) 电力接收设备及其显示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06558895B (zh) 无线充电装置、无线充电盒及其无线充电方法
US9899862B2 (en) Wireless charger
CN110999030B (zh) 无线充电装置、接收器装置及其相关方法
CN103891098A (zh) 无接点充电系统以及无接点充电方法
JP2017085716A (ja) 送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237155A (ja) 複数電圧仕様対応のバッテリー充電器、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ユニット
KR101386650B1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이물질 감지 방법
EP3125404B1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20052517A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US11588356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devices
KR20170040509A (ko) 송신부의 충전정보를 수신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무선충전시스템
JP6380217B2 (ja) 充電システム、送電器、通信器、送電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105230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a beacon and/or sensor device
JP2023107754A (ja) 無線電力伝送装置及び方法
KR20200013320A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00274390A1 (en) A wireless power transceiver device and an associates method thereof
KR20140099085A (ko) 타이어압력 모니터링시스템의 배터리 충전장치
JP2013229996A (ja) 充電装置
JP2013165616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