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552A -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및 키트 - Google Patents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552A
KR20170039552A KR1020160042437A KR20160042437A KR20170039552A KR 20170039552 A KR20170039552 A KR 20170039552A KR 1020160042437 A KR1020160042437 A KR 1020160042437A KR 20160042437 A KR20160042437 A KR 20160042437A KR 20170039552 A KR20170039552 A KR 20170039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mait
fms
mait cell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와카오
지에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홋가이도 다이가쿠
후지레비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홋가이도 다이가쿠, 후지레비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알엘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홋가이도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7003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G01N33/56972White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72Intra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and their receptors, e.g. including ion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e.g. VCAMs, PECAM, LFA-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e.g. VCAMs, PECAM, LFA-3
    • G01N2333/70514CD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e.g. VCAMs, PECAM, LFA-3
    • G01N2333/70517CD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G01N2333/70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1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G01N2333/7158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for chemok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01N2800/101Diffuse connective tissue disease, e.g. Sjögren, Wegener's granulomatosis
    • G01N2800/102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i.e. inflammation of peripheral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42Pain, e.g. neuropathic pain, psychogenic pa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섬유근통증의 판정에 유용한 신규 마커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 그리고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진단 키트.

Description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및 키트{METHOD FOR DIAGNOSING FIBROMYALGIA SYNDROME, AND KIT THEREFOR}
본 발명은,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및 키트 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섬유근통증 환자의 건강인과의 감별 방법, 섬유근통증 환자의 유사 동통성 질환 (척추 관절염, 관절 류머티즘 등) 환자와의 감별 방법, 및 섬유근통증 환자의 동통의 정도를 판정하는 방법, 그리고 그것을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섬유근통증 (FMS) 은, 만성 전신성 동통, 피로, 수면 장애 등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난치병이고, 여성의 이환율이 매우 높으며, 일본에서는 약 200만명의 환자가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FMS 의 진단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발증으로부터 5 ∼ 10 년이 지나 FMS 에 대한 이환이 의심되고, 겨우 FMS 라고 진단되는 경우가 있다. 현재 병원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검사 데이터에 어떤 이상도 보이지 않는 점에서, FMS 는 다른 난치병과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이 때문에, FMS 환자는 정신 질환이라고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또 FMS 를 질환으로서 인정하지 않는 의사도 많은 점에서, FMS 환자는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괴로워하고 있다. FMS 는 발증 초기에 있어서 적절한 치료를 실시하면, 그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발증 초기에 치료 기회를 놓치면 증상은 악화되고, FMS 환자는 참기 어려운 동통과 피로감에 괴로워하여 일상생활도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FMS 의 정확한 진단을 더 곤란하게 하고 있는 것이 다른 유사 질환과의 혼동이다. 전신성 동통은 FMS 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관절 류머티즘 (RA) 및 척추 관절염 (SpA) 등에서도 보인다. 더 복잡한 것으로, FMS 환자는 SpA 나 RA 를 병발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점에서, RA 나 동통의 전문의라도 FMS 의 감별 진단은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 현재 이용되고 있는 FMS 의 진단은 압통점에 있어서의 통증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압통점 시험), 주관적 요소에 의존하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 이들 여러 문제로부터, FMS 를 신속, 정확하고 또한 객관적으로 다른 유사 질환과 감별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FMS 의 판정에 관련해, 분자 마커 등을 이용하는 몇 가지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3).
국제 공개 제1997/014963호 국제 공개 제2012/046708호 국제 공개 제2010/004962호
본 발명은, FMS 의 판정에 유용한 신규 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T 세포의 일종인 MAIT 세포, 및 당해 MAIT 세포 상에 발현하고 있는 분자가 FMS 의 판정에 유용한 마커인 것 등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2〕섬유근통증 환자와, 건강인, 척추 관절염 환자, 및/또는 관절 류머티즘 환자를 감별하기 위한 방법인〔1〕의 방법.
〔3〕상기 표면 항원이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2〕의 방법.
〔4〕상기 MAIT 세포 중, CD8 양성 (CD8) 세포에 대해, CCR7,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측정되는〔2〕의 방법.
〔5〕상기 MAIT 세포 중, CD4 및 CD8 이중 음성 (CD4-CD8- 즉 DN) 세포에 대해, CCR4, CXCR1 및 CD107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측정되는〔2〕의 방법.
〔6〕상기 표면 항원이, CD44 혹은 CXCR1, 또는 그 양방인,〔2〕의 방법.
〔7〕상기 MAIT 세포 중, DN MAIT 세포에 대해, CXCR1 의 발현량이 측정되는〔2〕의 방법.
〔8〕상기 표면 항원이 CXCR4 인〔2〕의 방법.
〔9〕이하 (a) 또는 (b) 의 방법인〔2〕의 방법 :
(a)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한 섬유근통증 환자의 동통의 정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 또는
(b) 전체 T 세포에 대한 CD4 양성 (CD4)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한 섬유근통증 환자를 건강인으로부터 감별하기 위한 방법.
〔10〕생체 시료가 말초혈인〔1〕에 기재된 방법.
〔11〕상기 발현량이 단백질량인〔1〕에 기재된 방법.
〔12〕표면 항원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 항원의 단백질량이 측정되는〔11〕의 방법.
〔13〕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진단 키트.
〔14〕상기 측정 수단이 항체인〔13〕의 진단 키트.
본 발명의 방법 및 키트는 섬유근통증의 판정에 유용하다.
도 1a 는 섬유근통증 (FMS) 환자 유래의 말초혈 단핵세포 (PBMC) 에 있어서의 점막 관련 인배리언트 T 세포 (MAIT 세포) 의 대표적인 형광 활성화 세포 선별 (FACS) 프로필, 그리고 전체 MAIT 세포, CD8MAIT 세포, 그리고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NKG2D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수치는, 집단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MAIT 세포는, CD3 양성 (CD3) 세포에 있어서의 Vα7.2 양성 (Vα7.2) CD161 강양성 (CD161high) 으로서 규정된다.
도 1b 는 건강인 (HD)(n = 16), 섬유근통증 (FMS)(n = 26), 관절 류머티즘 (RA)(n = 21), 및 척추 관절염 (SpA)(n = 36, 샘플 1 개가 없음) 에 있어서의 전체 MAIT 세포의 빈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체 T 세포 (CD3) 에 대한 MAIT 세포 (Vα7.2CD161high) 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모든 데이터를 중앙값으로 나타낸다 (도 1c ∼ h 도 동일). 수평선 : 중앙값 ; 박스 ; 25 퍼센타일 및 75 퍼센타일 ; 휘스커 : 최대 및 최소 (도 1c ∼ h 도 동일). 별표는, 유의차를 나타내는 1 쌍의 군을 나타낸다 (도 1c ∼ h 도 동일). * : P < 0.05, **P < 0.01 (P 값은, 크러스칼·왈리스 검정 후에 던의 보정으로 산출하였다)(도 1c ∼ h 도 동일).
도 1c 는 HD,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CD8MAIT 세포의 빈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체 T 세포 (CD3) 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CD8 MAIT 세포 (Vα7.2CD161high CD8) 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1d 는 HD,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DN MAIT 세포의 빈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체 T 세포 (CD3) 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DN MAIT 세포 (Vα7.2CD161high DN) 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1e 는 HD,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CD4MAIT 세포의 빈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체 T 세포 (CD3) 에 있어서의 CD4 MAIT 세포 (Vα7.2CD161high CD4) 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1f 는 HD,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전체 MAIT 세포 (Vα7.2CD161high) 에서 차지하는 CD8 MAIT 세포 (CD8Vα7.2CD161high) 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g 는 HD,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전체 MAIT 세포 (Vα7.2CD161high) 에서 차지하는 DN MAIT 세포 (CD8-CD4-Vα7.2CD161high) 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h 는 HD,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전체 MAIT 세포 (Vα7.2CD161high) 에서 차지하는 CD4 MAIT 세포 (CD4Vα7.2CD161high) 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케모카인 수용체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평균 형광 강도 (MFI) 를 중앙값으로 나타낸다 (도 2b ∼ h 도 동일). 파선은, 아이소타입 컨트롤의 MFI 를 나타낸다 (도 2b ∼ h 도 동일). 수평선 : 중앙값 ; 박스 ; 25 퍼센타일 및 75 퍼센타일 ; 휘스커 : 최대 및 최소 (도 2b ∼ h 도 동일). 별표는, 유의차를 나타내는 1 쌍의 군을 나타낸다 (도 2b ∼ h 도 동일). * : P < 0.05, **P < 0.01, ***P < 0.001 (논파라메트릭·만-휘트니 U 검정)(도 2b ∼ h 도 동일).
도 2b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공자극 분자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사이토카인 수용체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d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SLAM 패밀리, 메모리 및 활성화 마커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e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NK 수용체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f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D95 (Fas) 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g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인테그린 패밀리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h 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분자의 발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CR4)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나타내어진 세포 표면 항원에 대해, MFI 를 중앙값으로 나타낸다 (도 3b ∼ j 도 동일). 파선은, 아이소타입 컨트롤의 MFI 를 나타낸다 (도 3b ∼ j 도 동일). 수평선 : 중앙값 ; 박스 ; 25 퍼센타일 및 75 퍼센타일 ; 휘스커 : 최대 및 최소 (도 3b ∼ j 도 동일). 도면 중의 수치는, 크러스칼·왈리스 검정 후의 P 값을 나타낸다 (도 3b ∼ j 도 동일). 별표는, 유의차를 나타내는 1 쌍의 군을 나타낸다 (도 3b ∼ j 도 동일). * : P < 0.05, **P < 0.01, ***P < 0.001 (P 값은, 던의 보정으로 산출했다)(도 3b ∼ j 도 동일). total : 전체 MAIT 세포 ; CD8 ; CD8 MAIT 세포 ; DN : DN MAIT 세포 (도 3b ∼ j 도 동일).
도 3b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CR7)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D94)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D15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e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D44)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f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XCR1)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g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XCR4)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h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NKp8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i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D8β)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j 는 HD, FMS, RA, 및 SpA 를 식별하는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CD107a)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혈청 중의 C-reactive protein (CRP) 농도 (좌측 패널), 그리고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혈청 중의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농도 (우측 패널)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평선 : 중앙값 ; 박스 ; 25 퍼센타일 및 75 퍼센타일 ; 휘스커 : 최대 및 최소 (도 4b도 동일). 별표는, 유의차를 나타내는 1 쌍의 군을 나타낸다 (도 4b 도 동일). * : P < 0.05, **P < 0.01, ***P < 0.001 (P 값은, 크러스칼·왈리스 검정 후, 던의 보정에 의해 산출했다)(도 4b 도 동일).
도 4b 는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통증 지표인 Pain Visual Analog Scale (PVAS)(좌측 패널), 그리고 FMS, RA, 및 SpA 에 있어서의 피로 지표인 Fatigue Visual Analog Scale (FVAS)(우측 패널)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 는 26 명의 FMS 환자 (좌측 패널), 21 명의 RA 환자 (중앙 패널), 및 36 명의 SpA 환자 (우측 패널) 의 코호트에 있어서의 PVAS/FVAS 와 MAIT 세포 백분율 (말초혈전 CD3세포에서 차지하는 Vα7.2CD161high 세포의 %) 간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피어만 순위 상관 검정으로 상관성을 해석하였다. * : P < 0.05, r : 상관계수.
도 5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빈도에 대한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약물 복용 일시 중단 전후의 동일 개체 (n = 9) 로부터 채취한 말초혈 유래의 전체 T 세포 (CD3) 에 대한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DN 및 CD4 MAIT 세포 (Vα7.2CD161high) 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통계학적 유의차 및 P 값은, 윌콕슨 일치쌍 부호 순위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 검정에 의한다. 별표는, 유의인 것을 나타낸다. * : P < 0.05.
도 6a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CR4) 에 대한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약물 복용의 일시 중단 전후의 동일 개체 (n = 9) 로부터 채취한 말초혈 유래의 전체 MAIT 세포, CD8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CR4 의 MFI 를 나타낸다 (도 6b ∼ l 도 동일). 통계학적 유의차는, 윌콕슨 일치쌍 부호 순위 검정으로 평가했다 (도 6b ∼ l 도 동일). 별표는, 유의차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6b ∼ l 도 동일). * : P < 0.05, ** : P < 0.01 (도 6b ∼ l 도 동일).
도 6b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CR5)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XCR4)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d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D27)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e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D28)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f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유도성 공자극성 분자 (inducible costimulatory molecule : ICOS)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g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D127)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h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D94)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i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NKp80)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j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D69)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k 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D49d)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l 은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 표면 항원 (CD26) 에 대한 매일의 약물 복용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을 제공한다.
섬유근통증은, 정신적 요소, 수술·사고 등의 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또는 만성 피로 증후군을 요인으로 하여, 동통을 일으키는 기초 질환이 없는 1차 섬유근통증 (원발성) 과, 동통을 일으키는 기초 질환 (류머티즘성 질환,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쇼그렌 증후군, 강직성 척추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을 병발하는 2차 섬유근통증 (속발성) 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판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차 섬유근통증의 판정에 특히 유용하다.
점막 관련 인배리언트 T 세포 (Mucosal-Associated Invariant T (MAIT) cell) 는,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T 세포의 일종이다. MAIT 세포는, 다양성을 갖지 않는 단일의 T 세포 수용체 (TCR), 즉 인배리언트 TCR 을 발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MAIT 세포의 TCRα 사슬은, Vα7.2-Jα33 의 조합뿐이다 (Le Bourhis et al. (2011), Trends in Immunol. 32, 212-218). MAIT 세포는, 이와 같은 인배리언트 TCRα 사슬에 추가로, 특이적인 표면 항원으로서, CD161 (NKRP1 이라고도 불린다) 이나 IL-18 수용체 알파 사슬을 발현한다 (Cosmi et al. (2008), J. Exp. Med. 205, 1903-1916 ; 및 Le Bourhis et al. (2011), Trends in Immunol. 32, 212-218). 따라서, 인간 MAIT 세포는, 일반적인 T 세포 마커 (예, CD3), 그리고 MAIT 세포 특이적인 인배리언트 TCRα 사슬 (Vα7.2-Jα33) 및 CD161 을 발현하는 세포로서 규정할 수 있다.
MAIT 세포는 인간에 있어서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고, 예를 들어 말초혈, 장관 및 간장에 많이 존재하며, 점막 면역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체 시료는, MAIT 세포를 함유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혈액 시료 (예, 말초혈 시료), 점막 시료 (예, 구강 점막 시료, 인두 점막 시료, 장관 점막 시료), 및 생검 시료 (예, 장관 시료, 간장 시료)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체 시료는 혈액 시료이다.
MAIT 세포는, CD4 세포, CD8 세포, 그리고 CD4 및 CD8 이중 음성 (DN) 세포 (CD4-CD8- 세포) 로 구성된다. 따라서, CD4 및 CD8 을 마커로서 사용함으로써, MAIT 세포를 CD4 세포, CD8 세포, 및 CD4-CD8- 세포로 더 분류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은,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은, 예를 들어 T 세포 마커 (예, CD3) 및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를 이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존재 비율의 측정은, T 세포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T 세포수를 측정하고, 이어서 MAIT 세포 마커를 이용하여 MAIT 세포수를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비율을 평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측정은, T 세포 마커 및 MAIT 세포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T 세포수 및 MAIT 세포수를 상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실시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측정은, T 세포 마커 및 MAIT 세포 마커를 이용한 형광 활성화 세포 선별 (FACS) 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혹은, 상기 존재 비율의 측정은, 생체 시료에 있어서의 T 세포 마커의 발현량에 대한 MAIT 세포 마커의 발현량의 상대 비율을 지표로서 사용함으로써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상대 비율은, 생체 시료로부터 조제된 mRNA 추출액 또는 단백질 추출액에 있어서 마커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고, 이어서 그 상대 비율을 평가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상대 비율은, 상기 추출액에 있어서 마커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량을 상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산출되어도 된다.
mRNA 발현량의 측정은, 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량의 측정 수단 (예, 프라이머, 프로브) 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자 발현량의 측정 수단을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자 증폭법, 및 하이브리다이제이션법을 들 수 있다. 유전자 증폭법으로는, 예를 들어 변온 유전자 증폭법 (예, PCR), 및 등온 유전자 증폭법 (예, LAMP, ICAN) 을 들 수 있다. 유전자 증폭법에서는, 역전사 효소가 병용되어도 된다. 하이브리다이제이션법으로는, 예를 들어 노던 블로팅법, 및 마이크로어레이법을 들 수 있다.
단백질 발현량의 측정은, 예를 들어 단백질량의 측정 수단 (예, 항체, 압타머) 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백질량의 측정 수단을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효소 면역 측정법 (EIA)(예, 직접 경합 ELISA, 간접 경합 ELISA, 샌드위치 ELISA), 방사 면역 측정법 (RIA), 형광 면역 측정법 (FIA), 자성 입자법, 면역 크로마토법, 루미네선스 면역 측정법, 스핀 면역 측정법, 웨스턴 블롯법, 라텍스 응집법을 들 수 있다. 항체로는,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개변 항체 (예, 단사슬 항체) 등의 임의의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FMS 환자의 동통의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C 중의 좌측 상부의 도면 (FMS 대 PVAS)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MS 환자의 동통이 격심할수록,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유의하게 적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 동통은 상대적으로 약할 가능성이 있고,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기준치보다 적을 때에 동통은 상대적으로 강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기준치를 설정해도 되고, 예를 들어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제 1 기준치 이상일 때에 동통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약할 가능성이 있고,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제 1 기준치보다 적고 제 2 기준치 이상일 때 동통의 정도는 중간 정도이고,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제 2 기준치보다 적을 때에 동통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강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과 동통의 정도는 반비례의 관계에 있는 점에서, 반비례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로부터 동통의 정도를 추측할 수도 있다.
또, 전체 T 세포에 대한 CD4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FMS 환자를 건강인으로부터 감별할 수 있다. 표 3 및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MS 환자는 건강인에 비해 전체 T 세포에 대한 CD4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유의하게 적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전체 T 세포에 대한 CD4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 피험체는 건강할 가능성이 있고,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이 기준치보다 적을 때에 피험체는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치로는, FMS 환자 및 건강인을 감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된 컷오프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은,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MAIT 세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CD4 세포, CD8 세포, 및 CD4-CD8- 세포로 더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 측정은,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로부터 MAIT 세포를 단리 또는 분리한 후, 단리 또는 분리된 MAIT 세포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측정은, MAIT 세포 마커 및 상기 표현 항원을 이용한 형광 활성화 세포 선별 (FACS) 에 의해, 연속적으로 실시되어도 된다.
혹은,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 측정은,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로부터 MAIT 세포를 단리 또는 분리한 후, 당해 단리 또는 분리된 세포로부터 조제된 MAIT 세포 추출액에 있어서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실시되어도 된다. MAIT 세포의 단리 및 분리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IT 세포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에 대한 항체, MAIT 세포의 분화·증식을 제어하는, MR-1 분자 상에 비타민 B2 의 유도체를 실은 (loaded) 테트라머 분자 (Rahimpour A 등, J. Exp. Med. 2015, Jun 29 ; 212 (7) : 1095-108. doi : 10.1084/jem. 20142110), 또는 그 밖의 MAIT 세포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하여 단리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 MAIT 세포 추출액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 측정은, 당해 표면 항원 mRNA 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또는 당해 표면 항원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당해 표면 항원 mRNA 또는 표면 항원 단백질의 발현량 측정은, 상기 존재 비율의 측정에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은, FMS 환자를 건강인으로부터 감별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경우,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FMS 환자를 건강인으로부터 감별할 수 있다 (표 6 및 도 3a ∼ j).
예를 들어, 전체 MAIT 세포 (CD4, CD8, DN 세포) 에 대해, FMS 환자는 건강인에 비해 CCR4, CCR7, CXCR1,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기준치 이상 또는 기준치 이하일 때에 피험체는 건강할 가능성이 있고,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기준치 미만 또는 기준치를 초과할 때에 피험체는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CD8 MAIT 세포에 대해, FMS 환자는 건강인에 비해 CCR7,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기준치 이상 또는 기준치 이하일 때에 피험체는 건강할 가능성이 있고,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기준치 미만 또는 기준치를 초과할 때에 피험체는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CD4-CD8- MAIT 세포에 대해, FMS 환자는 건강인에 비해 CCR4, CXCR1 및 CD107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 피험체는 건강할 가능성이 있고,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기준치 미만일 때에 피험체는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치로는, FMS 환자 및 건강인을 감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된 컷오프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은, FMS 환자를 RA 환자로부터 감별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경우, CD44 혹은 CXCR1, 또는 그 양방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FMS 환자를 RA 환자로부터 감별할 수 있다 (표 6 그리고 도 3e 및 f).
예를 들어, 전체 MAIT 세포 (CD4, CD8, DN 세포) 에 대해, FMS 환자는 RA 환자에 비해 CD44 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CD44 의 발현량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 피험체는 FMS 가 아니라 RA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고, CD44 의 발현량이 기준치 미만일 때에 피험체는 RA 가 아니라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DN (CD4-CD8-) MAIT 세포에 대해, FMS 환자는 RA 환자에 비해 CXCR1 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CXCR1 의 발현량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 피험체는 FMS 가 아니라 RA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고, CXCR1 의 발현량이 기준치 미만일 때에 피험체는 RA 가 아니라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치로는, FMS 환자 및 RA 환자를 감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된 컷오프값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은, FMS 환자를 SpA 환자로부터 감별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경우, CXCR4 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FMS 환자를 SpA 환자로부터 감별할 수 있다 (표 6 및 도 3g).
예를 들어, 전체 MAIT 세포, 및 DN (CD4-CD8-) MAIT 세포에 대해, FMS 환자는 SpA 환자에 비해 CXCR4 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CXCR4 의 발현량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 피험체는 FMS 가 아니라 SpA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고, CXCR4 의 발현량이 기준치 미만일 때에 피험체는 SpA 가 아니라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치로는, FMS 환자 및 SpA 환자를 감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된 컷오프값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은, SpA 환자를 건강인으로부터 감별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경우,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MAIT 세포 표면의 CD94 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SpA 환자와 건강인을 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 6A, 도 3c).
본 발명은 또, 상기 생체 시료 (예, 혈액 시료) 에 있어서, CRP 혹은 MMP-3, 또는 그 양방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FMS 의 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상기 서술한 방법과 병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양의 측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량 측정과 동일하게 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하면, FMS 를 RA 및/또는 SpA 로부터 감별할 수 있다 (도 4a, 그리고 표 7 및 8). FMS 환자는, RA 및/또는 SpA 환자에 비해 CRP 및 MMP-3 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CRP 및 MMP-3 의 양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 피험체는 FMS 가 아니라 RA 및/또는 SpA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고, CRP 및 MMP-3 의 발현량이 기준치 미만일 때에 피험체는 RA 및/또는 SpA 가 아니라 FMS 에 이환하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치로는, FMS 환자를 RA 환자 및/또는 SpA 환자와 감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된 컷오프값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CRP 혹은 MMP-3, 또는 그 양방의 양을 측정하는 것 등에 의해, RA 를 FMS 및/또는 SpA 로부터 감별하는 것, 그리고 SpA 를 FMS 및/또는 RA 로부터 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 약물에 의한 치료 효과의 판정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FMS 환자의 동통의 정도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존재 비율을 지표로 해서 약물에 의한 동통 경감 효과를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 표면 항원은 건강인에 대해 FMS 환자에서 특이적인 발현량을 나타낼 수 있는 점에서, 약물에 의한 치료 전후 및 치료 중에 있어서, 상기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모니터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표면 항원이 FMS 환자에 특이적인 발현량으로부터 건강인에 보이는 통상적인 발현량으로 변화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함으로써, 약물에 의한 치료 효과를 판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진단 키트를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T 세포 마커 (예, CD3) 의 측정 수단, 및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마커의 측정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량 또는 단백질량의 측정 수단 (예, 2 이상의 프라이머, 프로브, 항체, 또는 압타머) 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수단은 항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MAIT 세포 마커의 측정 수단의 하나로서, Vα7.2 를 인식하는 결합 분자인, 비타민 B2 의 유도체를 실은 (loaded) MR-1 테트라머 분자를 들 수 있다.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 수단으로는, 이와 같은 MAIT 세포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FMS 환자의 동통의 정도 판정용 키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 수단으로서, T 세포 마커 (예, CD3) 의 측정 수단, 및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전체 T 세포에 대한 CD4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건강인으로부터의 FMS 환자의 감별용 키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전체 T 세포에 대한 CD4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측정 수단으로서, T 세포 마커 (예, CD3) 의 측정 수단, 및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에 추가로, MAIT 세포의 분류 마커인 CD4 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진단 키트는, MAIT 세포의 1 이상의 분류 마커 (예, CD4, CD8) 의 측정 수단, 및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량 또는 단백질량의 측정 수단 (예, 2 이상의 프라이머, 프로브, 항체, 또는 압타머) 을 들 수 있다. 본 진단 키트는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T 세포 마커 (예, CD3) 의 측정 수단, 및/또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수단은 항체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건강인으로부터의 FMS 환자의 감별용 키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MAIT 세포 (CD4+/-CD8+/-세포) 에 대해, FMS 환자는 건강인에 비해 CCR4, CCR7, CXCR1,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 및 CCR4, CCR7, CXCR1,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CD8 MAIT 세포에 대해, FMS 환자는 건강인에 비해 CCR7,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 CD8 의 측정 수단, 그리고 CCR7,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CD4-CD8- MAIT 세포에 대해, FMS 환자는 건강인에 비해 CCR4, CXCR1 및 CD107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 CD4 및 CD8 의 측정 수단, 그리고 CCR4, CXCR1 및 CD107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RA 환자로부터의 FMS 환자의 감별용 키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CD44 혹은 CXCR1, 또는 그 양방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체 MAIT 세포 (CD4, CD8, DN 세포) 에 대해, FMS 환자는 RA 환자에 비해 CD44 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 및 CD44 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DN (CD4-CD8-) MAIT 세포에 대해, FMS 환자는 RA 환자에 비해 CXCR1 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 CD4 및 CD8 의 측정 수단, 그리고 CXCR1 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SpA 환자로부터의 FMS 환자의 감별용 키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CXCR4 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DN MAIT 세포 (CD4-CD8-) 에 대해, FMS 환자는 SpA 환자에 비해 CXCR4 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저하하여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MAIT 세포 마커 (예, Vα7.2, Jα33, CD161) 의 측정 수단, 및 CXCR4 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생체 시료 (예, 혈액 시료) 에 있어서, CRP 혹은 MMP-3, 또는 그 양방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FMS 의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본 진단 키트의 구성 요소는, 상기 서술한 진단 키트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진단 키트에 의하면, FMS 를 RA 및/또는 SpA 로부터 감별할 수 있다. 또, 본 진단 키트에 의하면, RA 를 FMS 및/또는 SpA 로부터 감별하는 것, 그리고 SpA 를 FMS 및/또는 RA 로부터 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측정 수단은, 검출용 물질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측정 수단은, 검출용 물질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 (즉, 링커의 사용에 의해) 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출용 물질로는, 예를 들어 효소 (예,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알칼리포스파타아제), 친화성 물질 (예, 스트렙타아비딘, 비오틴), 형광 물질 (예, 플루오레세인,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아네이트, 로다민), 발광 물질 (예, 루시페린, 에쿼린), 방사성 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측정 수단은, 고상 상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고상으로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 (예, 니트로셀루로오스막), 입자, 플레이트 (예, 멀티 웰 플레이트), 디바이스 (예, MAIT 세포 분리용 디바이스) 를 들 수 있다. 고상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머성 물질, 자성 물질, 유리, 금속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예를 들어 본 발명 방법의 실시에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빈출하는 용어에 대해, 이하의 약호를 사용한다.
FMS : 섬유근통증
RA : 관절 류머티즘
SpA : 척추 관절염
HD : 건강인
MAIT 세포 : 점막 관련 인배리언트 T 세포
DN MAIT 세포 : CD4 및 CD8 이중 음성 MAIT 세포 (CD4-CD8- MAIT 세포)
1. 방법
1-1) 환자
피험체는, 26 명의 FMS 환자, 21 명의 RA 환자, 및 37 명의 SpA 환자, 그리고 16 명의 HD 로 구성되어 있었다. 환자의 특징을 표 1 에 요약한다. 모든 FMS 환자는, ACR 기준 [Hauser W 등 (2012) Reumatismo 64 : 194 ∼ 205 ; 및 Scott DL 등 (2010) Lancet 376 : 1094 ∼ 1108] 을 만족하고 있었다. HIV, 당뇨병, 말초 신경 장애, 탈수 (脫髓) 장애 (예, 다발성 경화증), 및 염증성 류머티즘 질환 (예, RA, SpA, 및 류머티즘성 다발 근통) 등의 질환을 병발하고 있는 환자는, FMS 군으로부터 제외하였다. RA 는, 1987년의 ACR 기준 [Scott DL 등 (2010) Lancet 376 : 1094 ∼ 1108] 에 따라 진단하였다. 모든 SpA 환자는, 유럽 척추 관절염 스터디 그룹에 의한 표준 세트 및/또는 뉴욕 기준에 의해 수정된 표준 세트 [Dougados M 등 (2011) Lancet 377 : 2127 ∼ 2137] 를 만족하였다. 모든 RA, SpA, 및 FMS 환자는, 1차 섬유근통증이고 또한 어떠한 생물학적 치료 (예, 항TNF-α 또는 항IL-6 모노클로날 항체) 도 받고 있지 않았다. 어느 SpA 환자도, HLA-B27 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Figure pat00001
1-2) 윤리적 승인
연구 기관 심사 위원회 또는 윤리 위원회의 승인 (홋카이도 대학 대학원 의학 연구과 및 시계탑 기념 병원) 그리고 서면에 의한 환자의 동의서를, 헬싱키 선언에 따라 연구 참가 전에 얻었다.
1-3) 샘플
FMS, RA, SpA, 및 HD 의 말초혈 단핵세포 (PBMC) 를, 피콜 구배를 사용하여 조제하고, 605 ㎚ 필터를 구비한 MACSQuant (Miltenyi, 독일) 를 사용하고, 기보 [Wakao H 등 (2013) Cell Stem Cell 12 : 546 ∼ 558] 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 8 색 형광 활성화 세포 선별 (FACS) 해석에 제공하였다. 세포 표면 항원의 발현에 대해서는, 브릴리언트 바이올렛 421 표지 CD3, 알로피코시아닌 (APC) 표지 CD161, 및 PE/Cy7 또는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아네이트 표지 (FITC) 항Vα7.2 (3C10)의 서브세트에 있어서, 나타낸 피코에리트린 (PE) 표지 항인간 항체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브릴리언트 바이올렛 605 표지 CD4, APC/Cy7 표지 CD8, 및 FITC 또는 PE/Cy7 표지 CD45RO 를 포함하고 있었다. 사용한 PE 표지 세포 표면 항원의 완전한 리스트를, 표 2A 및 B 에 제시한다. 9 명의 FMS 환자에 있어서 샘플 조제 전에, 약물 복용을 최저 48 시간 중단하였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1-4) 통계학
GraphPad Prism (ver.6) 을 사용하여, FACS 데이터의 통계학적 해석을 실시하고, 세포 표면 항원의 발현 강도의 유의차를, 논파라메트릭·만-휘트니 U 검정, 크러스칼·왈리스 검정 및 윌콕슨 일치쌍 부호 순위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 검정으로 평가하였다. 필요에 따라, 던의 보정 (Dunn's multicomponent) 에 의해, P 값을 보정하였다. P 값 < 0.05 인 경우, 유의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였다.
2. 결과 및 고찰
FMS 가 광범위한 동통, 피로, 및 심적 고통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고려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신경내분비 이상을 유발하고, 최종적으로 이들 증상으로 이어지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몇 가지의 보고에 의해, FMS 에 있어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비정상적인 발현이 관찰되고 있다 [Pernambuco AP 등 (2013) Clin Exp Rheumatol 31 : S60 ∼ S63 ; Kadetoff D 등 (2012) J Neuroimmunol 242 : 33 ∼ 38 ; 및 Sturgill J 등 (2014) J Immunol Res 2014 : 938576]. 그러나, 사이토카인의 공급원은 동정되지 않고, 바이오 마커로서의 그들의 잠재적 유용성은 의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다량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산생하는 MAIT 세포 [Wakao H 등 (2013) Cell Stem Cell 12 : 546 ∼ 558] 를 해석하였다. FMS 환자 유래의 MAIT 세포의 대표적인 FACS 프로필 및 부수하는 세포 표면 항원 발현 (NKG2D, NK 수용체) 을 도 1a 에 나타낸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본 질환에 있어서의 전체 MAIT 세포 (CD3 세포의 범위 내에 있어서 Vα7.2CD161high 세포로서 규정된다) 의 백분율을 비교한 바, 그것들은 HD, FMS, RA, 및 SpA 에 있어서 각각 중앙값 (25 퍼센타일 ; 및 75 퍼센타일) : 2.9 % (0.9 ; 4.7), 1.5 % (0.8 ; 2.8), 0.9 % (0.4 ; 2.4), 1.6 % (0.6 ; 2.9) 를 나타내는 것이 발견되었다 (도 1b 및 표 3). 그러나, 이들 질환 간에서 어떠한 MAIT 세포 집단에 있어서 통계학적 유의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MAIT 세포는 주로 CD8세포 및 이중 음성 (DN) 세포, 그리고 약간의 CD4 세포로 구성되는 [Le Bourhis L 등 (2011) Trends Immunol 32 : 212 ∼ 218] 점에서, 각 서브세트를 추가로 해석하였다. 크러스칼·왈리스 검정 후, CD4 MAIT 세포 그리고 DN MAIT 세포에 있어서, MAIT 세포 빈도의 차이가 보였다 (표 4). P 값의 보정에 의해 HD 와 SpA 간에서의 DN MAIT 세포의 빈도 차이의 존재, 및 HD 와 FMS 간에서의 CD4 MAIT 세포의 빈도 차이의 존재가 명확해졌다 (도 1d ∼ e 및 표 3 및 4). 전체 MAIT 세포 (Vα7.2CD161high 세포) 에 있어서의 CD8 MAIT 세포, DN MAIT 세포, 및 CD4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해석한 바, SpA 에서는 HD 와 비교해, CD8 MAIT 세포의 유의한 증가와 함께 DN MAIT 세포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도 1f ∼ g). 이것은, 전체 MAIT 세포 중의 CD8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의 증가 (DN MAIT 세포의 감소와의 균형 작용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가 SpA 를 특징짓는 것이고, SpA 감별 진단의 마커로서 이용할 수 있다. CD4 MAIT 세포가 조금밖에 존재하지 않는 점에서, 이하의 실험에서는 전체 MAIT 세포, CD8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를 사용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본 발명자들은, MAIT 세포의 세포 표면 항원이 HD 와 FMS 의 감별을 가능하게 한다고 추찰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FMS 에서는, HD 와 비교했을 경우, 전체 MAIT 세포 및 CD8 MAIT 세포에 있어서 CCR7 (림프절로의 호밍에 필요로 되는 케모카인 수용체) 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 그리고 DN MAIT 세포에 있어서 CD27 (T 세포 활성화를 위한 공자극 분자) 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아냈다 (도 2a ∼ h, 및 표 5). 대조적으로, HD 와 비교한 경우, MAIT 세포의 모든 서브세트에 있어서, 2 개의 케모카인 수용체인 CCR4 및 CXCR1, 내추럴 킬러 (NK) 수용체인 NKp80, 시그널 전달성 림프구 회합 분자 (Signaling Lymphocyte Associated Molecule (SLAM)) 패밀리인 CD150, 그리고 공수용체 CD8β 가 감소한 한편, 전체 MAIT 세포 및 CD8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D244 (다른 SLAM 패밀리 멤버) 의 감소, 전체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D69 (활성화 마커) 의 감소,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D107a 의 감소가 보였다 (도 2a ∼ h, 및 표 5).
Figure pat00006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HD, FMS, RA, 및 SpA 를 차별화할 수 있는, MAIT 세포의 세포 표면 항원을 해명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크러스칼·왈리스 검정에 의해, CCR4, CCR7, CXCR1, CXCR4, CD94, NKp80, CD150, CD44, CD8β, 및 CD107a 가 이들 3 개의 질환을 감별할 가능성이 있는 마커인 것이 분명해졌다 (표 6A 및 B, 크러스칼·왈리스 검정). P 값 보정 후 (혹은 던의 보정 후), HD, RA 및 SpA 로부터 FMS 를 감별하기 위한 유망한 주요 마커로서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8β, 및 CD107a 를 동정할 수 있었다 (도 3a ∼ j 및 표 6A 및 B, 보정 P 값). 또,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XCR1 및 전체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D44 는, RA 로부터 FMS 를 차별화하기 위한 보조 마커로서 유용할 수 있다 (도 3a ∼ j, 및 표 6A 및 B). CXCR4 는, 전체 MAIT 세포에 있어서 HD 로부터 SpA 를 감별하는 마커이고, 또 전체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 FMS 및 SpA 를 식별하는 데에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도 3a ∼ j, 그리고 표 6A 및 B). 지금까지 검토한 세포 표면 분자 중, 전체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 있어서는 CD94 가, DN MAIT 세포에서는 CXCR1 이, RA 와 SpA 의 감별을 가능하게 한다 (도 3a ∼ j, 그리고 표 6A 및 B).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혈청의 해석에 의해, RA 에서는, FMS 및/또는 SpA 와 비교하면, CRP 의 레벨이 상승하는 것이 나타났다 (도 4a, 그리고 표 7 및 8). FMS 에 있어서의 MMP-3 레벨은, RA 및 SpA 에 있어서의 것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도 4a, 그리고 표 7 및 8). 따라서, CRP 및 MMP-3 은, 이들 질환을 식별하기 위한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가 될 수 있다. CRP 및 류머티즘 인자 등의 바이오 마커에 관계없이, 20 ∼ 50 % 의 RA 환자가, 이들 바이오 마커가 없었다 [Scott DL 등 (2010) Lancet 376 : 1094 ∼ 1108]. 이것은, RA 의 신규 바이오 마커에 대한 잠재적인 니즈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에 관해서, CCR7 은, 전체 MAIT 세포 및 CD8 MAIT 세포에 있어서 HD 로부터 RA 를 감별하기 위한 바이오 마커가 될 수 있다 (도 3a ∼ j, 그리고 표 6A 및 B). 동통 시각적 아날로그 스케일 (Pain Visual Analog Scale : PVAS) 을 비교한 경우, FMS 및 SpA 는, RA 에 비해 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도 4b, 그리고 표 7 및 8). 마찬가지로, FMS 는, RA 에 비해 보다 높은 피로 시각적 아날로그 스케일 (Fatigue Visual Analog Scale : FVAS) 을 나타냈다 (도 4b, 그리고 표 7 및 8). 흥미롭게, FMS 에 있어서 PVAS 와 MAIT 세포 빈도 간에 부 (負) 의 상관성이 존재한 점에서, MAIT 세포가 FMS 의 병태에 어떠한 형태로 관여하는 것이 시사된다 (도 4c). MAIT 세포에 있어서의 세포 표면 항원의 해석 데이터와 조합하면, CRP, MMP-3 및, PVAS 및 FVAS 는, RA 및/또는 SpA 로부터 FMS 를 감별하는 보조 마커로서 유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기 해석 시, FMS 환자는 복약 중이었던 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매일의 복약이 MAIT 세포 서브세트의 빈도, 및 MAIT 세포 표면 분자의 발현 강도에 영향을 주는지의 여부를 평가했다 (표 9). 약물 복용 중단 48 시간 후, CD8 MAIT 세포의 혈중 빈도는 증가한 한편, CD4 MAIT 세포, DN MAIT 세포 및 전체 MAIT 세포에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CD8 MAIT 세포에 약물 감수성이 있고, FMS 의 병태와 밀접하게 관련하는 것을 시사한다 (도 5 및 표 10). 이와 같은 중단은 또, DN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CR4 의 증가, 및 전체 MAIT 세포에 있어서의 CCR5 의 증가를 이끌었지만, CXCR4 발현은 전체 MAIT 세포 및 CD8 MAIT 세포에서 감소했다 (도 6a ∼ l 및 표 11). CCR4 및 CCR5 가, CCL3, CCL3L1, CCL4, CCL5, CCL7, CCL8, 및 CCL11 등의 염증성 케모카인의 수용체인 것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증가는, FMS 의 병태의 일부는 염증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Kadetoff D 등 (2012) J Neuroimmunol 242 : 33-38 ; 및 Sturgill J 등 (2014) J Immunol Res 2014 : 938576]. 약물 복용의 중단에 의해, CD8 MAIT 세포에 있어서 CD27 의 발현 항진이 보였다 (도 6a ∼ l 및 표 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마찬가지로, CD28 의 발현은, MAIT 세포의 모든 서브세트에서 증가했다 (도 6a ∼ l 및 표 11). 이들에 추가로, 다른 공자극 분자 ICOS 의 증가가, 전체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서 보였다 (도 6a ∼ l 및 표 11). CD127 발현도 또, 모든 MAIT 세포 서브세트에서 향상되었다 (도 6a ∼ l 및 표 11). 이들 결과는, FMS 에 있어서의 MAIT 세포가 활성화된 표현형을 갖고 있는 것, 그리고 CD127 (IL-7 수용체 α 사슬) 발현의 상승이 IL-17A 및 IFN-γ 산생 항진에 이르는 것을 시사한다 [Pernambuco AP 등 (2013) Clin Exp Rheumatol 31 : S60 ∼ S63 ; 및 Tang XZ 등 (2013) J Immunol 190 : 3142 ∼ 3152]. CD94 는 전체 MAIT 세포 및 DN MAIT 세포에서 저하하고, 또 전체 MAIT 세포 및 CD8 MAIT 세포에서는 NKp80 이 저하했다 (도 6a ∼ l 및 표 11). HLA-E 다형은 강직성 척추염 발증에 관련되는 [Paladini F 등 (2009) Arthritis Res Ther 11 : R171] 점에서, CD94 의 발현 저하는 (CD94/NKG2A)-(HLA-E) 상호작용의 저하로 이어지고, 이것이 FMS 의 하나의 병인이 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CD69 의 감소도 또, MAIT 세포의 모든 서브세트에서 보였다 (도 6a ∼ l 및 표 11). 이것은, 약물 복용의 중단에 의해 MAIT 세포는 휴지기로 유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CD49d (인테그린 패밀리 멤버) 및 CD26 (디펩티다아제) 은, 전체 MAIT 세포 및 CD8 MAIT 세포에서 증가했다 (도 6a ∼ l 및 표 11). CD49d (very late antigen-4 의 α4 서브유닛) 는 만성 림프구 백혈병 세포의 골수 및 림프 기관으로의 호밍을 담당하는 것, 그리고 MAIT 세포가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뇌내 염증성 병변 중에 발견되어 있는 것 [Brachtl G 등 (2014) Ann Hematol 93 : 361 ∼ 374 ; 및 Illes Z 등 (2004) Int Immunol 16 : 223 ∼ 230] 을 고려하면, MAIT 세포는, 이 분자를 개재하여 호밍 특성을 변화시키고 있고, FMS 의 병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이 예기된다. 약제 복용 중단에 의한 MAIT 세포 상 CD26 의 발현 항진은, RA 치료에 있어서 메토트렉세이트 사용이 CD4T 세포 상의 CD26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Ellingsen, T et al. Scandinavian Journal of Immunology, 66, 451-457 (2007) ; Int Immunol 16 : 223 ∼ 230]. CD26 은, 많은 증식 인자, 케모카인 및 사이토카인 전구체의 절단을 담당하는 점에서, CD26 의 증가는, FMS 에 있어서의 CCL11, IL-1, IL-6, 및 IL-8 등의 염증성 메디에이터 산생 상승을 촉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Rodriguez-Pinto I 등 (2014) Immunol Lett 161 : 200 ∼ 203 ; Bote ME 등 (2013) PLoS One 8 : e74524 ; Garcia JJ 등 (2014) Ann Clin Biochem 51 : 576 ∼ 581 ; Imamura M 등 (2014) Clin Interv Aging 9 : 939 ∼ 944 ; 및 Ou X 등 (2013) Blood 122 : 161 ∼ 169]. 지금까지 FMS 에서 보고되어 있는 다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산생 항진을 감안하면, 이들 산물은, 신경내분비의 이상을 일으키고, 최종적으로 광범위한 동통을 일으키게 한다 [Pernambuco AP 등 (2013) Clin Exp Rheumatol 31 : S60 ∼ S63 ; Yunus MB (2012) Pain Res Treat 2012 : 584573 ; 및 Sturgill J 등 (2014) J Immunol Res 2014 : 938576]. 이것에 관해서, 많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산생하는 MAIT 세포는, 적어도 일부는, FMS 의 병태를 담당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으로, FMS 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모든 항원이, 약물 복용 중단 시에 발현 변화를 나타낸 것은 아닌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CD150, CD244, CD8β, CCR7, 및 CD107a 의 발현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표 5, 그리고 표 6A 및 B, 그리고 데이터 나타내지 않음). 이들 데이터는, MAIT 세포에 있어서의 몇 개의 세포 표면 분자가 진단 마커로서 유용하다는 사실을 전체로서 증명하는 것이고, 나아가서는 그것들이 항경련약, 항우울약, 오피오이드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 등의 여러 가지 약물에 감수성인 것을 나타낸다 (표 9, 그리고 도 5 및 6). 복약과 MAIT 세포에 있어서의 표현형의 변화 간에 있는 신호의 분자 경로 및 기구를 해명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해석은, 여전히 수수께끼인 FMS 의 병인 및/또는 병태에 있어서의 MAIT 세포 기능에 광명을 던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키트는, 섬유근통증 (FMS) 의 판정에 유용하다.

Claims (14)

  1.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근통증 환자와, 건강인, 척추 관절염 환자, 및/또는 관절 류머티즘 환자를 감별하기 위한 방법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항원이 CD4,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AIT 세포 중, CD8 양성 (CD8) 세포에 대해, CCR7, NKp80, CD150 및 CD8β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측정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AIT 세포 중, CD4 및 CD8 이중 음성 (CD4-CD8-) 세포에 대해, CCR4, CXCR1 및 CD107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발현량이 측정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항원이 CD44 혹은 CXCR1, 또는 그 양방인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AIT 세포 중, CD4-CD8- 세포에 대해 CXCR1 의 발현량이 측정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항원이 CXCR4 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이하 (a) 또는 (b) 의 방법인 방법 :
    (a)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한 섬유근통증 환자의 동통의 정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 또는
    (b) 전체 T 세포에 대한 CD4 양성 (CD4) MAIT 세포의 존재 비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한 섬유근통증 환자를 건강인으로부터 감별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생체 시료가 말초혈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량이 단백질량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표면 항원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 항원의 단백질량이 측정되는 방법.
  13.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 중의 MAIT 세포에 대해, (1) 전체 T 세포에 대한 MAIT 세포의 존재 비율, 또는 (2) CD4, CD8, CCR4, CCR7, CXCR1, NKp80, CD150, CD107a, CD8β, CD44, 및 CXCR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표면 항원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섬유근통증의 진단 키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이 항체인 진단 키트.
KR1020160042437A 2015-10-01 2016-04-06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및 키트 KR20170039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6050 2015-10-01
JP2015196050A JP6674759B2 (ja) 2015-10-01 2015-10-01 線維筋痛症の判定のための方法及びキ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52A true KR20170039552A (ko) 2017-04-11

Family

ID=5844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437A KR20170039552A (ko) 2015-10-01 2016-04-06 섬유근통증의 판정 방법 및 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56577B2 (ko)
JP (1) JP6674759B2 (ko)
KR (1) KR201700395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6704A4 (en) * 2019-11-22 2023-12-06 Osaka University DETECTION METHOD FOR CANDIDATE SUBSTANCES THAT CAN BIND WITH MR1 PROTEIN AND BETA2 MICROGLOBULIN PROTEIN CONJUGATE, METHOD FOR PRODUCING A CANDIDATE SUBSTANCE THAT CAN BIND WITH MR1 PROTEIN AND BETA2 MICROGLOBULIN PROTEIN CONJUGATE,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A MAIT CELL LIGAND CANDIDATE SUBST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4963A1 (en) 1995-10-20 1997-04-24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A method for detecting antipolymer antibodies and a diagnostic test kit for use in aiding the diagnosis of silicone related diseases (srd)
WO2010004962A1 (ja) 2008-07-07 2010-01-14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線維筋痛症の検査法
WO2012046708A1 (ja) 2010-10-08 2012-04-12 Axis株式会社 線維筋痛症の診断剤,診断方法及び治療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4963A1 (en) 1995-10-20 1997-04-24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A method for detecting antipolymer antibodies and a diagnostic test kit for use in aiding the diagnosis of silicone related diseases (srd)
WO2010004962A1 (ja) 2008-07-07 2010-01-14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線維筋痛症の検査法
WO2012046708A1 (ja) 2010-10-08 2012-04-12 Axis株式会社 線維筋痛症の診断剤,診断方法及び治療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74759B2 (ja) 2020-04-01
JP2017067693A (ja) 2017-04-06
US20170097364A1 (en) 2017-04-06
US10156577B2 (en)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storick et al. CCR6+ Th cells in the cerebrospinal fluid of persons with multiple sclerosis are dominated by pathogenic non-classic Th1 cells and GM-CSF-only-secreting Th cells
Bonotis et al. Systemic immune aberrations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rellano et al. Th1 and Th17 cells and associated cytokines discriminate among clinically isolated syndrome and multiple sclerosis phenotypes
Wang et al. T helper type 17 cells expand in patients with myasthenia‐associated thymoma
Dolff et al. Disturbed Th1, Th2, Th17 and Treg balance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Yamaguchi et al. Natural killer cells control a T-helper 1 response in patients with Behcet's disease
Chen et al. Marked and persistent eosinophilia in the absence of clinical manifestations
Hou et al. Establishment of the reference intervals of lymphocyte function in healthy adults based on IFN-γ secretion assay upon phorbol-12-myristate-13-acetate/ionomycin stimulation
Zhu et al. Alterations in peripheral T cell and B cell subsets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Lagrelius et al. Cytokine detection by multiplex technology useful for assessing antigen specific cytokine profiles and kinetics in whole blood cultured up to seven days
Çebi et al. CD4+ T cells of myasthenia gravis patients are characterized by increased IL-21, IL-4, and IL-17A productions and higher presence of PD-1 and ICOS
zur Wiesch et al. Pediatric rheumatology Myeloid related proteins MRP8/MRP14 may predict disease flares in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Zhou et al. Aberrant T cell subsets and cytokines expression profile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Cao Dinh et al. Association between immunosenescence phenotypes and pre-frailty in older subjects: does cytomegalovirus play a role?
Bevers et al. Soluble ST2 links inflammation to outcome after subarachnoid hemorrhage
TW202022121A (zh) 肌痛性腦脊髓炎/慢性疲勞症候群(me/cfs)之生物標記
Bahrini et al. Discriminative expression of CD39 and CD73 in Cerebrospinal fluid of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Neuro-Behçet’s disease
Fakhfakh et al. Th17 and Th1 cell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focus on lupus nephritis
Ribeiro et al. Immunomodulatory effect of vitamin D on the STATs and transcription factors of CD4+ T cell subsets in pregnant women with preeclampsia
Zecevic et al. Potential immune biomarkers in diagnosis and clinical management for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Milosevic et al. Use of the NIH consensus criteria in cellular and soluble biomarker research in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A systematic review
JP6674759B2 (ja) 線維筋痛症の判定のための方法及びキット
US2022017090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and treating alzheimers disease
CN103270157A (zh) 产生人il-17的辅助性t细胞检测用标志物及产生人il-17的辅助性t细胞的检测方法
Gupta et al. Altered Balance of Pro-Inflammatory Immune Cells to T Regulatory Cells Differentiates Symptomatic From Asymptomatic Individuals With Anti-Nuclear Antibo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