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42A - 총열브로칭장치 - Google Patents

총열브로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42A
KR20170039342A KR1020150138330A KR20150138330A KR20170039342A KR 20170039342 A KR20170039342 A KR 20170039342A KR 1020150138330 A KR1020150138330 A KR 1020150138330A KR 20150138330 A KR20150138330 A KR 20150138330A KR 20170039342 A KR20170039342 A KR 2017003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ching tool
workpiece
tool
total hea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327B1 (ko
Inventor
정정환
Original Assignee
한국브로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브로치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브로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3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7/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 B23D37/22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7/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 B23D37/02Broaching machines with horizontally-arranged working tools
    • B23D37/04Broaching machines with horizontally-arranged working tools for broaching inne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7/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 B23D37/14Broaching machines with rotatably-arranged working tools
    • B23D37/16Broaching machines with rotatably-arranged working tools for broaching helic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1/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1/04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tool-carry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1/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1/06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clamping, or eject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3/00Broaching tools
    • B23D43/005Broaching tools for cutting helical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소재(10)가 내부에 저장되고, 소재(10)의 외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를 공급 및 배출하는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과;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에 의해 이동되는 소재(10)의 일단이 삽입되고, 소재(10)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소재파지수단(500)과;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10)의 내부에 강선을 형성하는 총열브로칭툴(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삽입 및 배출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400)과;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에 의해 소재(1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관통홀(12)에 강선을 형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600);을 포함하는 총열브로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총열브로칭툴을 이용하여 소재의 관통홀 내주면에 강선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회전드릴 및 프레스 가공에 비해 강선의 성형 정밀도가 향상되고, 강선의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재의 공급 및 배출, 그리고 총열브로칭툴의 공급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투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강선의 제조시 효율적인 가공작업이 이루어져 가공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총열브로칭장치{Barrel broaching machine}
본 발명은 총열브로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재의 관통홀 내부에 총열브로칭툴을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당겨주어 소재의 관통홀 내주면에 강선을 형성하는 총열브로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열 내부의 나선형 홈은 강선(rifling)이라 불리며, 발사되는 총알에 회전을 주면서 궤도의 안정성과 파괴력을 한층 더 높여준다. 이처럼 강선은 탄환에 회전 관성을 부여하여 안정된 탄도를 가지게 하고 파괴력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다.
강선은 산과 골로 이뤄진 요철 구조를 가지며 총열 내부에 나선형으로 가공된다. 총열 안쪽에 나선형 홈을 깍는 회전 드릴에 의하여 가공하기도 하나, 현재의 대량 생산 체제에서는 강한 힘과 열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총열에 나선형 강선을 형성하는 총열 형성방법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개공보 20-2009-000195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라이프 총열은 산과 골로 이뤄진 요철 구조를 가지며 총열 내부에 나선형으로 가공된다. 총열 안쪽에 나선형 홈을 깍는 회전 드릴에 의하여 가공하기도 하나, 현재의 대량 생산 체제에서는 강한 힘과 열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제조과정 중 강선의 경계부에 잔류 응력 및 초기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탄환을 발사하면 인장 하중에 의하여 그 균열이 커질 수 있다.
또한, 회전드릴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강선은 가공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가공정밀도가 떨어져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20-2009-000195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의 관통홀 내부에 총열브로칭툴을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당겨주어 소재의 관통홀 내주면에 강선을 형성하는 총열브로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소재가 내부에 저장되고, 소재의 외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를 공급 및 배출하는 소재 공급 및 배출수단과, 소재 공급 및 배출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 공급 및 배출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소재의 일단이 삽입되고, 소재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소재파지수단과, 상기 소재파지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의 내부에 강선을 형성하는 총열브로칭툴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의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을 삽입 및 배출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과, 상기 소재파지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파지수단에 의해 소재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총열브로칭툴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총열브로칭툴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의 관통홀에 강선을 형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소재 공급 및 배출수단은, 상기 소재파지수단의 우측면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경사플레이트가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다수개의 소재가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안내되는 소재공급함과, 상기 소재공급함의 일측에 설치되며, 단일의 소재 하단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일의 소재를 상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소재승강부재와, 상기 소재승강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소정 각도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재안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소재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측 소재안착홈의 소재를 좌측 소재안착홈으로 이동시키는 소재운반부재로 이루어지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소재파지수단의 좌측면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공이 완료된 다수개의 소재가 저장되는 소재저장부와, 상기 소재파지수단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면에 이송레일이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이송레일에 전후로 이동하게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는 제1,2파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소재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파지수단은, 상기 소재 공급 및 배출수단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소재지지블럭과, 상기 소재지지블럭의 중앙에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내부에 브로칭툴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소재고정클램프가 방사상으로 이동되어 소재의 끝단을 파지하는 소재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브로칭툴공급수단은, 상기 소재파지수단의 좌측에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브로칭툴지지블럭과,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브로칭툴클램프가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의 끝단을 파지하는 브로칭툴고정부재와, 상기 브로칭툴고정부재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지지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총열브로칭툴의 외측을 지지하는 브로칭툴지지부재와,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소재의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을 삽입 및 배출하는 브로칭툴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브로칭툴이동수단은, 상기 소재파지수단의 우측에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회전스핀들이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스핀들의 끝단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고정클램프가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의 끝단을 파지하고, 상기 회전스핀들과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브로칭툴클램프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로칭툴당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재의 공급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소재의 관통홀 내부에 총열브로칭툴이 자동으로 삽입되고, 브로칭툴이동수단에 의해 총열브로칭툴이 회전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자동으로 관통홀 내주면에 강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총열브로칭툴을 이용하여 소재의 관통홀 내주면에 강선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회전드릴 및 프레스 가공에 비해 강선의 성형 정밀도가 향상되고, 강선의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재의 공급 및 배출, 그리고 총열브로칭툴의 공급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투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강선의 제조시 효율적인 가공작업이 이루어져 가공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총열브로칭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 공급 및 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파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파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고정부재와 브로칭툴지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몸체와 브로칭툴클램프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몸체와 브로칭툴클램프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몸체와 브로칭툴클램프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총열브로칭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 공급 및 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파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파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총열브로칭장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소재(10)가 내부에 저장되고, 소재(10)의 외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를 공급 및 배출하는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과,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에 의해 이동되는 소재(10)의 일단이 삽입되고, 소재(10)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소재파지수단(500)과,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10)의 내부에 강선을 형성하는 총열브로칭툴(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삽입 및 배출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400)과,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에 의해 소재(1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관통홀(12)에 강선을 형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6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10)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소재(10)의 중앙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관통홀(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2)의 내주면에는 후술한 총열브로칭툴(20)에 의해 강선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소재(10)의 관통홀(12) 내주면에 형성되는 강선은 총열브로칭툴(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은 도 3과 같이, 상기 관통홀(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좌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나선형 강선형성리브(25)가 돌출 형성되는 강선형성부(24)와, 상기 몸체부(22)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며, 클램프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평탄면이 형성되는 파지부(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은 상기 소재(10)의 내부에 삽입되고, 회전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당겨져 내부에 강선을 형성한다.
도 1에는 상기 총열브로칭장치의 메인테이블(1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테이블(100)은 일반적인 테이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인테이블(100)은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소재파지수단(500), 브로칭툴공급수단(400), 브로칭툴이동수단(600) 등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양측에는 도 2와 같이, 공급테이블(102)과, 저장테이블(104)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공급테이블(102)과 상기 저장테이블(104)은 일반적인 지지테이블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공급테이블(102)과 상기 저장테이블(104)은 상부면에는 후술할 소재공급부(210)와 소재저장부(280)가 설치되어 지지된다.
즉, 상기 메인테이블(100)이 도 1과 같이,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중앙 양측에 각각 상기 공급테이블(102)과 상기 저장테이블(104)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중앙에는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은, 소재공급부(210), 소재저장부(280), 소재파지부(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공급부(210)는,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우측면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경사플레이트(214)가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다수개의 소재(10)가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안내되는 소재공급함(212)과,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일측에 설치되며, 단일의 소재(10) 하단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일의 소재(10)를 상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소재승강부재(240)와, 상기 소재승강부재(2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소정 각도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재안착홈(25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소재고정플레이트(250)와,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측 소재안착홈(252)의 소재(10)를 좌측 소재안착홈(252)으로 이동시키는 소재운반부재(2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공급함(212)은 도 6과 같이,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소재(10)가 내부에 저장되어 보관되는 부분이다.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바닥면에는 경사플레이트(214)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플레이트(214)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바닥면에 좌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경사플레이트(214)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소재공급함(212)에 저장되는 다수개의 소재(10)를 좌측방향으로 구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측면에는 간격조절부재(220)가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220)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222)와,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측면에 중앙에 설치되며,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224)와, 상기 이송가이드(224)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구획플레이트(222)의 고정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구획플레이트(222)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바(226)와, 상기 구획플레이트(222)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22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바(2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조절부재(220)는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내부에 저장되는 소재(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저장공간을 구획하여 소재(10)가 정렬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우측면에는 소재공급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소재공급홀(230)은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우측면 하단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소재공급홀(230)은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내부에 저장되는 다수개의 소재(10) 중 단일의 소재(1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측면에는 소재승강부재(24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승강부재(240)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플레이트(242)와, 상기 승강플레이트(24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2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플레이트(242)의 상단부에는 단일의 소재(10)가 안착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242)가 상기 승강실린더(244)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242)의 경사면을 따라 소재(1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후술할 소재고정플레이트(250)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소재승강부재(240)의 좌측 상단에는 소재고정플레이트(25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승강부재(240)의 양단에 직교하게 설치된다.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상부면에는 좌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함몰 형성되는 다수개의 소재안착홈(25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는 상기 소재승강부재(240)에 의해 안내되는 단일의 소재(10)가 안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하부에는 소재운반부재(26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운반부재(260)는,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면에 복수개의 소재파지홈(264)이 형성되는 소재운반플레이트(262)와,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를 지지하는 하단플레이트(266)와, 상기 하단플레이트(266)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플레이트(266)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상하이송실린더(268)와,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68)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68)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소재운반실린더(27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내부에 세워진 상태로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는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하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술할 상하이송실린더(268)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소재안착홈(252)의 소재(10)를 파지한다.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의 하부에는 하단플레이트(266)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플레이트(266)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하단플레이트(266)의 하부에는 상하이송실린더(268)가 설치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68)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68)는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에 안착된 소재(10)를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68)의 하부에는 소재운반실린더(27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운반실린더(270)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소재운반실린더(270)는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68)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68)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우측 소재안착홈(252)에 소재(10)가 안착되면,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우측 소재안착홈(252)의 소재(10)를 파지하고, 상기 소재운반실린더(270)가 상기 소재운반플레이트(262)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소재안착홈(252)에 소재(10)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테이블(104)의 상측에는 소재저장부(28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저장부(280)는 도 2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소재저장부(280)의 내부에는 강선 가공이 완료된 다수개의 소재(10)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소재공급부(210)와 상기 소재저장부(280)의 상측에는 소재파지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파지부(300)는,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면에 이송레일(304)이 설치되는 수평프레임(302)과,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이송레일(304)에 전후로 이동하게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송플레이트(310)와,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는 제1,2파지부재(300,3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302)은 일반적인 사각프레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프레임(302)은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106)에 끝단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302)은 상기 소재공급부(210), 소재파지수단(500), 소재저장부(280)의 상측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수평프레임(302)의 상측에는 이송레일(304)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레일(304)은 일반적인 레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레일(304)은 상기 수평프레임(302)의 상부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후술할 좌우이송플레이트(31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이송레일(304)의 상측에는 좌우이송플레이트(310)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302)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는 상기 이송레일(304)을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302)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는 하부에는 후술할 제1,2파지부재(300,334)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의 상부면 중앙에는 좌우이송실린더(312)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실린더(312)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이송실린더(312)는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상하이송부재(314)가 설치된다. 상기 상하이송부재(314)는,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의 좌,우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바(316)와, 상기 승강바(316)와 치차 결합되며, 양단부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회전바(318)와, 상기 회전바(318)와 치차결합되며, 상기 회전바(318)를 회전시키는 상하이송모터(3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바(316)의 측면에 형성되는 치차에 상기 회전바(318)의 양단이 치차 결합되고, 상기 상하이송모터(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바(316)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바(316)의 하부에는 전후이송부재(322)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부재(322)는,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바(316)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전후이송몸체(324)와, 상기 전후이송몸체(324)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전후이송몸체(324)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326)와, 상기 기어박스(326)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박스(326)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326)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후이송모터(3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이송부재(322)는 전후이송모터(328)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박스(326)가 전달하고, 상기 기어박스(326)에 결합된 상기 이송스크류가 상기 전후이송모터(328)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된다.
상기 전후이송부재(322)의 하부에는 제1,2파지부재(300,334)가 설치된다. 상기 제1파지부재(330)는 상기 전후이송몸체(324)의 좌측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1파지부재(330)는, 도 10과 같이, 하단부에 한 쌍의 클램프(332)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의 측면을 파지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좌,우(도 9참조)로 이송된다.
상기 제2파지부재(334)는 상기 전후이송몸체(324)의 우측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2파지부재(334)는 하단부에 한 쌍의 파지롤러(336)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의 측면을 파지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좌,우(도 9참조)로 이송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우이송실린더(312)에 의해 좌우이송플레이트(310)가 상기 소재공급부(2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하이송부재(314)가 상기 제1,2파지부재(300,334)를 하부로 이동시켜 소재(10)를 파지한다. 상기 제1,2파지부재(300,334)에 소재(10)가 파지되면 상기 상하이송부재(314)를 상기 제1,2파지부재(300,334)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송실린더(312)가 상기 제1,2파지부재(300,334)를 상기 소재파지수단(5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2파지부재(300,334)는 상기 상하이송부재(314)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전후이송부재(322)가 작동되어 상기 소재파지수단(500) 측으로 소재(10)가 이송되고,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에 소재(10)가 삽입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고정부재와 브로칭툴지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로칭툴공급수단(400)은,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좌측에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브로칭툴지지블럭(402)과,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브로칭툴클램프(408)가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끝단을 파지는 브로칭툴고정부재(404)와, 상기 브로칭툴고정부재(404)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지지홀(41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외측을 지지하는 브로칭툴지지부재(410)와,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414)와,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소재(10)의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삽입 및 배출하는 브로칭툴이송부재(4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은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좌측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의 우측면(도 13참조)에는 브로칭툴고정부재(404)가 설치된다. 상기 브로칭툴고정부재(404)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의 우측면 중앙에 고정되는 고정몸체(406)와, 상기 고정몸체(40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강선형성부(24)를 파지하는 브로칭툴클램프(40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로칭툴고정부재(404)는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의 우측면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강선형성부(24)를 파지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브로칭툴고정부재(404)의 우측에는 브로칭툴지지부재(410)가 설치된다.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지지홀(412)이 형성된다.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지지홀(412) 내부에는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몸체부(22)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양측에는 좌우이동부재(414)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414)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414)의 끝단은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고정부재(404)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삽입되는 경우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22)의 중앙을 지지한다.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하부에는 브로칭툴이송부재(420)가 설치된다. 상기 브로칭툴이송부재(420)는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0)의 중앙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좌우이송스크류바(422)와, 상기 좌우이송스크류바(4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우이송스크류바(42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몸체(424)와, 상기 좌우이송스크류바(422)의 끝단에 벨트 결합되며, 상기 좌우이송스크류바(422)를 정,역 회전시키는 스크류바회전모터(4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로칭툴이송부재(420)는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하단 양측이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송스크류바(42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몸체(424)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상기 소재(10)의 관통홀(12) 내부에 삽입 및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재파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로칭툴공급수단(400)의 우측에는 소재파지수단(500)이 설치된다.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은, 상기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소재지지블럭(502)과, 상기 소재지지블럭(502)의 중앙에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내부에 브로칭툴삽입홀(506)이 형성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504)와, 상기 가이드몸체(504)의 외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소재고정클램프(512)가 방사상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끝단을 파지하는 소재고정부재(5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지지블럭(502)은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중앙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소재지지블럭(502)의 내부에는 가이드몸체(504)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몸체(504)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504)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브로칭툴삽입홀(50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504)는 상기 소재지지블럭(502)의 중앙에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삽입홀(506)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삽입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좌우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몸체(504)의 좌측면에는 소재고정부재(51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고정부재(5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몸체(504)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고, 우측면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소재고정클램프(512)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고정클램프(512)는 상기 소재파지부(300)에 의해 소재(10)가 공급되는 경우에 소재(10)의 우측 끝단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소재고정클램프(512)에 의해 소재(10)가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2)의 내부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삽입되는 총열브로칭툴(20)이 상기 가이드몸체(504)의 브로칭툴삽입홀(506)을 통해 후술할 브로칭툴이동수단(600) 측으로 안내된다.
도 1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몸체와 브로칭툴클램프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몸체와 브로칭툴클램프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몸체와 브로칭툴클램프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우측 상단에는 브로칭툴이동수단(600)이 설치된다. 상기 브로칭툴이동수단(600)은,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우측에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0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회전스핀들(606)이 설치되는 회전몸체(604)와, 상기 회전스핀들(606)의 끝단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고정클램프(614)가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끝단을 파지하고, 상기 회전스핀들(606)과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로칭툴당김부재(6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2)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레일(110)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좌우 이동시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좌우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상부면에는 회전몸체(60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몸체(604)는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몸체(604)의 내부에는 회전스핀들(606)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스핀들(606)은 일반적인 스핀들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스핀들(606)은 상기 회전몸체(604)의 좌우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후술할 스핀들모터(608)와 연결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몸체(604)의 상측에는 스핀들모터(608)가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모터(608)는 일반적인 회전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핀들모터(608)는 구동벨트에 의해 상기 회전스핀들(606)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스핀들(606)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스핀들(606)의 좌측단에는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가 설치된다.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의 중앙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브로칭툴고정홀(612)이 형성되어, 내부에 총열브로칭툴(20)의 파지부(26)가 삽입된다.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의 좌측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클램프(614)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클램프(614)는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26)의 삽입 및 배출에 따라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26)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의 우측단은 상기 회전스핀들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스핀들(606)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즉,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가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파지하고, 상기 회전스핀들(606)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회전시킨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하부에는 브로칭툴당김부재(620)가 설치된다. 상기 브로칭툴당김부재(620)는, 상기 메인테이블(100)의 우측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0)의 중앙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류(622)와, 상기 이송스크류(6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622)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블럭(624)과, 상기 이송스크류(622)의 끝단에 벨트 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류(622)를 정,역 회전시키는 당김모터(6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로칭툴당김부재(6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하단 양측이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스크류(62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블럭(62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파지된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를 우측 방향으로 당겨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재(1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된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파지부(26)가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핀들(606)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소재(10)의 관통홀(12) 내주면에 나선형의 강선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총열브로칭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소재공급함(212)의 내부에 다수개의 소재(10)가 저장되고, 소재승강부재(240)에 의해 단일 소재(10)가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우측 소재안착홈(252)에 삽입된다. 상기 소재안착홈(252)에 삽입된 소재(10)는 소재운반부재(260)에 의해 순차적으로 좌측 소재안착홈(252)으로 이동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에 소재(10)가 안착된다.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의 상측으로 소재파지부(300)가 이동되어 제1,2파지부재(300,334)에 의해 소재(10)의 양단이 각각 파지되고, 소재파지수단(500)으로 이동된다. 상기 소재파지수단(500) 측으로 이동된 소재(10)는 상기 제1,2파지부재(300,334)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에 삽입된다.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에 소재(10)가 삽입되면,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소재고정클램프(512)가 중앙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을 끝단을 파지하여 소재를 고정한다.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에 소재(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좌측에 설치된 브로칭툴공급수단(400)이 작동된다.
상기 브로칭툴공급수단(400)은 총열브로칭툴(20)을 좌우 방향으로 길게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관통홀(12)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삽입한다. 상기 소재(10)의 관통홀(12)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삽입할 때에는 파지부(26), 몸체부(22), 강성형성부(24) 순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브로칭툴공급수단(400)은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가이드몸체(504)를 관통하여 우측단으로 돌출될 때까지 삽입한다.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우측으로 돌출된 상기 파지부(26)는 브로칭툴이동수단(600)의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에 상기 파지부(26)가 삽입되면 회전스핀들(606)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고, 브로칭툴당김부재(620)가 상기 총열브로칭툴(20)를 우측 방향으로 당겨주어 소재(10)의 관통홀(12) 내주면에 강선을 형성한다.
즉,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소재(10)의 관통홀(12) 내부에서 회전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나선형의 강성형성리브(25)가 상기 소재(10)의 관통홀(12) 내주면에 절삭하여 상기 관통홀(12)의 내주면에 나선형 강선을 형성한다.
상기 소재(10)의 강선 브로칭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소재파지부(300)가 가공이 완료된 소재(10)의 양단을 파지하여 소재저장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메인테이블 200.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
210. 소재공급부 280. 소재저장부
300. 소재파지부 400. 브로칭툴공급수단
500. 소재파지수단 600. 브로칭툴이동수단

Claims (5)

  1.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소재(10)가 내부에 저장되고, 소재(10)의 외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를 공급 및 배출하는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과;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에 의해 이동되는 소재(10)의 일단이 삽입되고, 소재(10)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소재파지수단(500)과;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10)의 내부에 강선을 형성하는 총열브로칭툴(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삽입 및 배출하는 브로칭툴공급수단(400)과;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에 의해 소재(1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관통홀(12)에 강선을 형성하는 브로칭툴이동수단(600);을 포함하는 총열브로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은,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우측면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경사플레이트(214)가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다수개의 소재(10)가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안내되는 소재공급함(212)과, 상기 소재공급함(212)의 일측에 설치되며, 단일의 소재(10) 하단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일의 소재(10)를 상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소재승강부재(240)와, 상기 소재승강부재(2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소정 각도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재안착홈(25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소재고정플레이트(250)와, 상기 소재고정플레이트(250)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측 소재안착홈(252)의 소재(10)를 좌측 소재안착홈(252)으로 이동시키는 소재운반부재(260)로 이루어지는 소재공급부(210)와;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좌측면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공이 완료된 다수개의 소재(10)가 저장되는 소재저장부(280)와;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면에 이송레일(304)이 설치되는 수평프레임(302)과,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이송레일(304)에 전후로 이동하게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송플레이트(310)와,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는 제1,2파지부재(300,334)로 이루어지는 소재파지부(300);를 포함하는 총열브로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은,
    상기 소재공급 및 배출수단(200)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소재지지블럭(502)과;
    상기 소재지지블럭(502)의 중앙에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내부에 브로칭툴삽입홀(506)이 형성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504)와;
    상기 가이드몸체(504)의 외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소재고정클램프(512)가 방사상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끝단을 파지하는 소재고정부재(510);를 포함하는 총열브로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칭툴공급수단(400)은,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좌측에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브로칭툴지지블럭(402)과;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브로칭툴클램프(408)가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끝단을 파지는 브로칭툴고정부재(404)와;
    상기 브로칭툴고정부재(404)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지지홀(41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외측을 지지하는 브로칭툴지지부재(410)와;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지지부재(4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414)와;
    상기 브로칭툴지지블럭(4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소재(10)의 내부에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을 삽입 및 배출하는 브로칭툴이송부재(420);를 포함하는 총열브로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칭툴이동수단(600)은,
    상기 소재파지수단(500)의 우측에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0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회전스핀들(606)이 설치되는 회전몸체(604)와;
    상기 회전스핀들(606)의 끝단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고정클램프(614)가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총열브로칭툴(20)의 끝단을 파지하고, 상기 회전스핀들(606)과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로칭툴클램프부재(61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브로칭툴당김부재(620);를 포함하는 총열브로칭장치.
KR1020150138330A 2015-10-01 2015-10-01 총열브로칭장치 KR10175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30A KR101757327B1 (ko) 2015-10-01 2015-10-01 총열브로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30A KR101757327B1 (ko) 2015-10-01 2015-10-01 총열브로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42A true KR20170039342A (ko) 2017-04-11
KR101757327B1 KR101757327B1 (ko) 2017-07-12

Family

ID=5858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30A KR101757327B1 (ko) 2015-10-01 2015-10-01 총열브로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0722A (zh) * 2021-06-17 2021-08-06 重庆速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拉床的上下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751A (ko) 2021-11-18 2023-05-25 예상백 총열용 브로칭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51U (ko) 2007-08-27 2009-03-04 김창환 라이플 총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8783A1 (en) * 2006-05-02 2007-11-08 Bartlein Tracy M Method and apparatus for rifling a firearm barrel
KR101536602B1 (ko) * 2015-02-06 2015-07-15 주식회사 아이엠티 소재 자동 공급 및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51U (ko) 2007-08-27 2009-03-04 김창환 라이플 총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0722A (zh) * 2021-06-17 2021-08-06 重庆速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拉床的上下料装置
CN113210722B (zh) * 2021-06-17 2022-04-15 重庆速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拉床的上下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327B1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9726B2 (en) Peeling machine
CN103600112B (zh) 轴芯扁位加工装置
CN109732389A (zh) 棒料深孔钻自动上下料机
KR101658454B1 (ko)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CN108555374B (zh) 一种汽车用一体式管体切割、堆码机构
KR101757327B1 (ko) 총열브로칭장치
JP2011062755A (ja) 紙管切断機
CN105195838B (zh) 一种自动攻丝机
CN102699184A (zh) 用于螺旋地桩生产的自动冲孔设备
CN103978231A (zh) 衬套专用加工设备
CN102699683A (zh) 螺旋地桩自动生产线
CN108715916A (zh) 一种自动淬火机床
CN210702590U (zh) 一种自动上件座
CN102699476A (zh) 用于螺旋地桩生产的自动穿片焊接设备
CN215973818U (zh) 一种自动上料装置
CN202411819U (zh) 螺旋地桩自动生产线
CN109848489A (zh) 一种多功能螺纹加工设备
CN102699590B (zh) 焊接机械手
CN101323023A (zh) 一种车床的送料装置
KR101071238B1 (ko) 인풋샤프트의 가공방법
CN108856892A (zh) 一种把手自动送料断料倒角自动化设备
KR101504126B1 (ko) 다축 홀 가공기의 치공구 장치
CN108687367B (zh) 一种钻头卡槽加工机床
CN204019122U (zh) 平头机
CN202438876U (zh) 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