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437A - 복합 여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복합 여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437A
KR20170038437A KR1020150137799A KR20150137799A KR20170038437A KR 20170038437 A KR20170038437 A KR 20170038437A KR 1020150137799 A KR1020150137799 A KR 1020150137799A KR 20150137799 A KR20150137799 A KR 20150137799A KR 20170038437 A KR20170038437 A KR 20170038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close contact
gaske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섭
이재근
최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전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전병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Priority to KR102015013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437A/ko
Publication of KR2017003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과, 창틀의 양쪽에 각각 실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창틀의 내측을 개폐해주는 제1,2창문과, 제2창문의 한쪽에 설치되어 제1창문의 한쪽과 맞닿는 밀착창문틀이 포함된 복합 여닫이 창호에 있어서, 창틀은 실내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을 형성하고, 내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을 설치하며, 실외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을 설치하고, 밀착창문틀은 실내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제1밀착단을 형성하며, 외측 한쪽 중앙에 중간 가스켓을 설치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을 설치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반대편 한쪽 테두리에 제2밀착단을 형성하며, 제1창문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을 설치하고, 외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에 밀착되는 차폐단을 형성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에 밀착되는 제1밀착단을 형성하며, 제2창문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밀착창문틀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부분을 제외하여 제1밀착단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을 설치하고, 외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에 밀착되고 밀착창문틀의 외측 반대편 한쪽 중앙에 밀착되는 차폐단을 형성하며,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에 밀착되고 제2밀착단에 밀착되는 제1밀착단을 형성하여, 창틀과 제1창문 및 밀착창문틀이 설치된 제2창문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여닫이 창호{A polystrene composit casement window}
본 발명은 복합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3중으로 밀폐시키면서 동시에 한 쌍의 창문 중 하나를 개방에서 폐쇄시 전달되는 외력이 폐쇄되어 있던 한 쌍의 창문 중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해주며, PS(Polystyrene) 단열재를 복합함으로서 단열성능 향상 및 다양한 전사인테리어 필름을 적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해주는 복합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창호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과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는 창문으로 구성되어,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되게 해주었다.
그리고, 여닫이 창호의 폐쇄시,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외의 소음, 냉기, 열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었다.
이에, 특허문헌1은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살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창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 가능한 창호틀;을 포함하고, 상기 창호틀은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과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이 서로 중첩되며,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은 제1,2 창호틀과 창틀의 틈새가 살부와 탄성부재로 불안하게 밀폐되어 있었다.
또한, 제1,2 창호틀 중 하나를 개방에서 폐쇄시 발생되는 외력이, 서로 밀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제1,2 창호틀 중 폐쇄된 하나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동시에 외력에 의한 진동이 유리에 전달되는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1318730호 ( 2013. 10. 10. 등록 )
이에, 본 발명은 한 쌍의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3중으로 밀폐시키면서 동시에 한 쌍의 창문 중 하나를 개방에서 폐쇄시 전달되는 외력이 폐쇄되어 있던 한 쌍의 창문 중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해주는 복합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과, 창틀의 양쪽에 각각 실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창틀의 내측을 개폐해주는 제1,2창문과, 제2창문의 한쪽에 설치되어 제1창문의 한쪽과 맞닿는 밀착창문틀이 포함된 복합 여닫이 창호에 있어서, 창틀은 실내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을 형성하고, 내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을 설치하며, 실외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을 설치하고, 밀착창문틀은 실내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제1밀착단을 형성하며, 외측 한쪽 중앙에 중간 가스켓을 설치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을 설치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반대편 한쪽 테두리에 제2밀착단을 형성하며, 제1창문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을 설치하고, 외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에 밀착되는 차폐단을 형성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에 밀착되는 제1밀착단을 형성하며, 제2창문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밀착창문틀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부분을 제외하여 제1밀착단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을 설치하고, 외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에 밀착되고 밀착창문틀의 외측 반대편 한쪽 중앙에 밀착되는 차폐단을 형성하며,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에 밀착되고 제2밀착단에 밀착되는 제1밀착단을 형성하여, 창틀과, 제1창문 및 밀착창문틀이 설치된 제2창문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창문 및 밀착창문틀이 설치된 제2창문으로 창틀의 내측 폐쇄 시, 창틀의 제1밀착단 및 중간 가스켓 및 실외 가스켓에, 제1창문의 실내 가스켓 및 차폐단 및 제1밀착단과 제2창문의 실내 가스켓 및 차폐단 및 제1밀착단이 밀착되기 때문에, 창틀과 제1,2창문의 틈새가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창문의 실내 가스켓 및 차폐단 및 제1밀착단에, 밀착창문틀의 제1밀착단 및 중간 가스켓 및 실외 가스켓이 밀착되기 때문에, 제1창문과 밀착창문틀의 틈새가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밀착창문틀의 제1밀착단이 형성되지 않은 실내측 부분 및 중간 가스켓이 설치되지 않은 중앙 부분 및 제2밀착단에, 제2창문의 실내 가스켓이 설치되지 않은 실내측 테두리 부분 및 차폐단 및 제1밀착단이 밀착된 상태로, 밀착창문틀이 제2창문에 설치되기 때문에, 밀착창문틀과 제2창문의 틈새가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즉, 창틀과, 제1창문 및 밀착창문틀이 설치된 제2창문의 틈새가 3중으로 밀폐되어 기밀성이 증대되고, 동시에 실외의 소음, 냉기, 열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창문 사이에 밀착창문틀이 구성되기 때문에, 제1창문의 개방에서 폐쇄 시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제2창문의 밀착창문틀에서 흡수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제2창문의 유리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한 유리의 깨짐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PS(Polystyrene) 단열재를 복합함으로서, 단열성능 향상 및 다양한 전사인테리어 필름을 적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의 폐쇄된 상태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의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의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양쪽에 각각 실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창틀(10)의 내측을 개폐해주는 제1,2창문(30)(40)과, 상기 제2창문(40)의 한쪽에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 설치되어 제1창문(30)의 한쪽과 맞닿는 밀착창문틀(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10)은 제1 실내,외 창틀 프레임(11)(12)과, 상기 제1 실내,외 창틀 프레임(11)(12)을 연결해주는 한 쌍의 열차단 연결부재(13)와, 각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13) 중 하나 즉 내측에 위치한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13)에 설치되는 중간 가스켓(14)과, 상기 제1 실외 창틀 프레임(12)에 설치되는 실외 가스켓(15)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내 창틀 프레임(11)은 실내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경사진 형태로 제1밀착단(11a)이 형성되며, 실외 방향의 일측면에 각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13)의 한쪽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설치홈(1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실내 창틀 프레임(11)은 제1밀착단(11a)의 주변으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재질의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는 힌지부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외 창틀 프레임(12)은 실외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15)이 설치되는 제1설치홈(1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외 가스켓(15)은 한쪽이 제1설치홈(12a)에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이 평평한 형태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외 창틀 프레임(12)은 실내 방향의 일측면에 각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13)의 나머지 한쪽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설치홈(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10)의 내측에 위치한 열차단 연결부재(13)는 중간 가스켓(14)이 설치되는 제1설치홈(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 가스켓(14)은 한쪽이 제1설치홈(13a)에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이 길이가 긴 형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창문틀(20)은 제3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21)(22)과, 상기 제3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21)(22)을 연결해주는 한 쌍의 열차단 연결부재(23)와, 각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23) 중 제1창문(30)에 근접한 하나에 설치되는 중간 가스켓(24)과, 상기 제3 실외 창문틀 프레임(22)에 설치되는 실외 가스켓(25)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실내 창문틀 프레임(21)은 실내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경사진 형태의 제1밀착단(21a)이 형성되며, 실외 방향의 일측면에 각 열차단 연결부재(23)의 한쪽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설치홈(2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실내 창문틀 프레임(21)은 제1밀착단(21a)의 주변으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재질의 단열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실외 창문틀 프레임(22)은 실외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25)이 설치되는 제1설치홈(22a)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 방향의 외측 반대편 한쪽 테두리에 평평한 형태의 제2밀착단(2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외 가스켓(25)은 한쪽이 제1설치홈(22a)에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이 평평한 형태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외 창문틀 프레임(22)은 실내 방향의 일측면에 각 열차단 연결부재(23)의 나머지 한쪽이 설치되는 부분에 한 쌍의 제2설치홈(22c)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23) 중 제1창문(30)에 근접한 하나는 중간 가스켓(24)이 설치되는 제1설치홈(2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 가스켓(24)은 한쪽이 제1설치홈(23a)에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이 길이가 긴 형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창문(30)은 제1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31)(32)과, 상기 제1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31)(32)을 연결해주는 한 쌍의 열차단 연결부재(33)와, 상기 제1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31)(32)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34)와, 상기 제1 실내 창문틀 프레임(31)에 설치되는 실내 가스켓(35)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내 창문틀 프레임(31)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11a)(21a)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35)이 설치되도록 제1설치홈(31a)이 형성되고, 실외 방향의 일측면에 각 열차단 연결부재(33)의 한쪽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설치홈(3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실내 창문틀 프레임(31)은 제1설치홈(31a)의 주변으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재질의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제1설치홈(31a)과 제2설치홈(31b) 사이의 일측면에 창틀(10)의 힌지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내 가스켓(35)은 한쪽이 제1설치홈(31a)에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이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외 창문틀 프레임(32)은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15)(25)에 밀착되는 평평한 형태의 제1밀착단(32a)이 형성되며, 실내 방향의 일측면에 각 열차단 연결부재(33)가 나머지 한쪽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설치홈(32b)이 형성된다.
한편, 각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33) 중 하나에는 열차단 연결부재(13)(23)의 중간 가스켓(14)(24)에 밀착되는 차폐단(33a)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내 창문틀 프레임(31)과 유리(34) 사이는 백업부재를 두고 실링재가 실링 처리되며 상기 제1 실외 창문틀 프레임(32)과 유리(34)의 사이는 유리 고정용 가스켓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31)(32)의 내측 중앙에 유리(3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창문(40)은 제2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41)(42)과, 상기 제2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41)(42)을 연결해주는 한 쌍의 열차단 연결부재(43)와, 상기 제2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41)(42)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44)와, 상기 제2 실내 창문틀 프레임(41)에 일부분 설치되는 실내 가스켓(45)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실내 창문틀 프레임(41)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11a)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45)이 설치되도록 제1설치홈(41a)이 형성되고, 실외 방향의 일측면에 각 열차단 연결부재(33)의 한쪽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설치홈(4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실내 창문틀 프레임(41)는 실내 가스켓(45)이 제1설치홈(41a)에 설치되지 않는 외측 테두리의 일부분이 밀착창문틀(20)을 감싸면서 밀착되고, 상기 밀착창문틀(20)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 테두리의 제1설치홈(41a)에 실내 가스켓(45)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실내 창문틀 프레임(41)은 제1설치홈(41a)의 주변으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재질의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제1설치홈(41a)과 제2설치홈(41b) 사이의 일측면에 창틀(10)의 힌지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재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실내 가스켓(45)은 한쪽이 제1설치홈(41a)에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이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실외 창문틀 프레임(42)은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15)과 제2밀착단(22b)에 밀착되는 평평한 형태의 제1밀착단(42a)이 형성되며, 실내 방향의 일측면에 각 열차단 연결부재(43)의 나머지 한쪽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설치홈(4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실외 창문틀 프레임(42)은 밀착창문틀(20)의 제3 실외 창문틀 프레임(22)과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즉, 상기 밀착창문틀(20)의 제3 실외 창문틀 프레임(22)은 제2창문(40)의 제2 실외 창문틀 프레임(42)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각 상기 열차단 연결부재(43) 중 하나에는 중간 가스켓(14)에 밀착되고 중간 가스켓(24)이 설치되지 않은 열차단 연결부재(23)의 외측 반대편 한쪽 중앙에 밀착되는 차폐단(43a)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내 창문틀 프레임(41)과 유리(44) 사이는 백업부재를 두고 실링재가 실링 처리되며 상기 제2 실외 창문틀 프레임(42)과 유리(44)의 사이는 유리 고정용 가스켓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실내,외 창문틀 프레임(31)(32)의 내측 중앙에 유리(4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의 내측이 제1창문(30) 및 밀착창문틀(20)이 설치된 제2창문(4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상세히 말하자면, 상기 창틀(10)의 제1밀착단(11a)에 제1창문(30)에 설치된 실내 가스켓(35)이 밀착되고, 상기 창틀(10)에 설치된 중간 가스켓(14)에 제1창문(30)의 차폐단(33a)이 밀착되며, 상기 창틀(10)에 설치된 실외 가스켓(15)에 제1창문(30)의 제1밀착단(32a)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밀착창문틀(20)의 제1밀착단(21a)에 제1창문(30)에 설치된 실내 가스켓(35)이 밀착되고, 상기 밀착창문틀(20)에 설치된 중간 가스켓(24)에 제1창문(30)의 차폐단(33a)이 밀착되며, 상기 밀착창문틀(20)에 설치된 실외 가스켓(25)에 제1창문(30)의 제1밀착단(32a)이 밀착된다.
즉, 상기 제1창문(30)과, 창틀(10) 및 밀착창문틀(20)의 틈새를 실내 가스켓(35), 중간 가스켓(14)(24), 차폐단(33a), 실외 가스켓(15)(25)으로 밀폐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창문(30)과, 창틀(10) 및 밀착창문틀(20)의 틈새로 공기가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10)의 제1밀착단(11a)에 제2창문(40)에 설치된 실내 가스켓(45)이 밀착되고, 상기 창틀(10)에 설치된 중간 가스켓(14)에 제2창문(40)의 차폐단(43a)이 밀착되며, 상기 창틀(10)에 설치된 실외 가스켓(15)에 제2창문(40)의 제1밀착단(42a)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1밀착단(21a)이 형성되지 않은 밀착창문틀(20)의 일부분을 실내 가스켓(45)이 설치되지 않은 제2창문(40)의 테두리가 감싸면서 밀착되고, 상기 중간 가스켓(24)이 설치되지 않은 밀착창문틀(20)의 열차단 연결부재(23)에 제2창문(40)의 차폐단(43a)이 밀착되며, 상기 밀착창문틀(20)에 형성된 제2밀착단(22b)에 제2창문(40)의 제1밀착단(42a)이 밀착된다.
즉, 상기 제2창문(40)과, 창틀(10) 및 밀착창문틀(20)의 틈새를 실내 가스켓(45), 중간 가스켓(14), 차폐단(43a), 실외 가스켓(15), 제1밀착단(42a), 제2밀착단(22b), 실내 가스켓(45)이 설치되지 않은 제2창문(40)의 테두리로 밀폐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창문(40)과, 창틀(10) 및 밀착창문틀(20)의 틈새로 공기가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창문(30) 및 밀착창문틀(20)이 설치된 제2창문(40)이 개방되도록 손잡이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1창문(30) 및 밀착창문틀(20)이 설치된 제2창문(40)은 힌지부재에 의해 실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창틀(10)과, 제1창문(30) 및 밀착창문틀(20)이 설치된 제2창문(40)의 틈새는 벌어지게 되면서, 창틀(10)의 내측은 공간이 형성되어 개방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손잡이를 사용하여 제1창문(30) 및 밀착창문틀(20)이 설치된 제2창문(40)을 힌지부재를 통해 회전시켜 실외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10)의 내측은 공간이 폐쇄되고, 동시에 상기 창틀(10)과, 제1창문(30) 및 밀착창문틀(20)이 설치된 제2창문(40)의 틈새는 다시 밀폐되면서 공기가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창문(40)이 아닌 상기 제2창문(40)에 설치된 밀착창문틀(20)에 제1창문(30)이 밀착되면서, 창틀(10)의 내측은 폐쇄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창틀 11 : 제1 실내 창틀 프레임
11a : 제1밀착단 12 : 제1 실외 창틀 프레임
13 : 열차단 연결부재 14 : 중간 가스켓
15 : 실외 가스켓 20 : 밀착창문틀
21 : 제3 실내 창문틀 프레임 1a : 제1밀착단
22 : 제3 실외 창문틀 프레임 22b : 제2밀착단
23 : 열차단 연결부재 24 : 중간 가스켓
25 : 실외 가스켓 30 : 제1창문
31 : 제1 실내 창문틀 프레임 32 : 제1 실외 창문틀 프레임
32a : 제1밀착단 33 : 열차단 연결부재
33a : 차폐단 34 : 유리
35 : 실내 가스켓 40 : 제2창문
41 : 제2 실내 창문틀 프레임 42 : 제2 실외 창문틀 프레임
42a : 제1밀착단 43 : 열차단 연결부재
43a : 차폐단 44 : 유리
45 : 실내 가스켓 100 : 복합 여닫이 창호

Claims (1)

  1. 벽체(1)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양쪽에 각각 실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창틀(10)의 내측을 개폐해주는 제1,2창문(30)(40)과, 상기 제2창문(40)의 한쪽에 설치되어 제1창문(30)의 한쪽과 맞닿는 밀착창문틀(20)이 포함된 복합 여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은 실내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11a)을 형성하고, 내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14)을 설치하며, 실외 방향의 내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15)을 설치하고,
    상기 밀착창문틀(20)은 실내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제1밀착단(21a)을 형성하며, 외측 한쪽 중앙에 중간 가스켓(24)을 설치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한쪽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25)을 설치하고, 상기 실외 방향의 외측 반대편 한쪽 테두리에 제2밀착단(22b)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창문(30)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제1밀착단(11a)(21a)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35)을 설치하고, 외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14)(24)에 밀착되는 차폐단(33a)을 형성하고,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15)(25)에 밀착되는 제1밀착단(32a)을 형성하며,
    상기 제2창문(40)은 실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밀착창문틀(20)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부분을 제외하여 제1밀착단(11a)에 밀착되는 실내 가스켓(45)을 설치하고, 외측 중앙에 중간 가스켓(14)에 밀착되고 밀착창문틀(20)의 외측 반대편 한쪽 중앙에 밀착되는 차폐단(43a)을 형성하며, 실외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 실외 가스켓(15)에 밀착되고 제2밀착단(22b)에 밀착되는 제1밀착단(42a)을 형성하여,
    상기 창틀(10)과, 제1창문(30) 및 밀착창문틀(20)이 설치된 제2창문(40)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KR1020150137799A 2015-09-30 2015-09-30 복합 여닫이 창호 KR20170038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99A KR20170038437A (ko) 2015-09-30 2015-09-30 복합 여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99A KR20170038437A (ko) 2015-09-30 2015-09-30 복합 여닫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437A true KR20170038437A (ko) 2017-04-07

Family

ID=5858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799A KR20170038437A (ko) 2015-09-30 2015-09-30 복합 여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4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30B1 (ko) 2013-04-12 2013-10-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여닫이 창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30B1 (ko) 2013-04-12 2013-10-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여닫이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094581B1 (ko) 시스템 창호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630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20190054322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CN106522753A (zh) 内平开纱窗与隔热内平开窗的一体结构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JP2007032947A (ja) 空気調和機の点検扉構造
KR20190002640U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20170038437A (ko) 복합 여닫이 창호
KR100890036B1 (ko) 이중창호 시스템
JPH1113353A (ja) 引き違い窓
KR20130033065A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733388B1 (ko) 밀폐형 미서기창
KR20190120521A (ko) 방음문 구조
KR200248932Y1 (ko) 환기창의 루버 밀폐장치
KR20160043418A (ko) 슬라이딩 창호 유니트
JP6797542B2 (ja) 建具
KR101540049B1 (ko) 에너지 고효율 여닫이 창 구조체
KR20170106742A (ko) 커튼 월 프레임
JP5735076B2 (ja) サッシ
JP2021167569A (ja) 複合建具
KR20220054012A (ko) 슬라이딩 창호
KR101167710B1 (ko) 문틀이 경량화된 단열 복합창호
JPH1037629A (ja) 断熱ドア用の気密材及び断熱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