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351A -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351A
KR20170038351A KR1020150137620A KR20150137620A KR20170038351A KR 20170038351 A KR20170038351 A KR 20170038351A KR 1020150137620 A KR1020150137620 A KR 1020150137620A KR 20150137620 A KR20150137620 A KR 20150137620A KR 20170038351 A KR20170038351 A KR 2017003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glucose
unit
data
flexible probe
manag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동
Original Assignee
최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동 filed Critical 최규동
Priority to KR1020150137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351A/ko
Publication of KR2017003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측정자의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와,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작동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받아 상기 혈당 데이터를 필터링, 분석, 비교, 저장, 전송, 표시하는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 및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유연 탐침 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를 사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피하조직(Subcutaneous)(S)에 그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Continous Glucose Measuremrnt System with Flexsible Probe}
본 발명은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측정자의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와,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작동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받아 상기 혈당 데이터를 필터링, 분석, 비교, 저장, 전송, 표시하는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 및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유연 탐침 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를 사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피하조직(Subcutaneous)(S)에 그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당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관리할 수 있는 질병이다. 이 질환관리는 통상적으로 환자의 혈당치에 따라 인슐린 주입량을 정하고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인슐린을 투여하여 관리된다. 그러나, 환자 각각의 혈당 수치 및 인슐린 투여에 따른 혈당 변화는 개별 환자마다 모두 상이하므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인슐린 투여량 및 투여 시기/ 간격의 결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폐회로 인슐린 공급(closed-loop insulin delivery)에 의존하는데 이것은 인슐린 탱크에 직접 신호를 전달하는 연속혈당 모니터링(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시스템을 이용하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손가락 끝에서 혈액을 채취하는 기존 효소센서는 측정 빈도를 제한하므로 이러한 CGM에 이용될 수 없다. 최근에 신체에 부착할 수 있는 개선된 버전의 효소센서가 개발되었고 며칠간 혈당을 연속 측정할 수 있도록 병원에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도 몇 가지 제한점이 있는데, 특히 하루 몇 번씩 조정(calibration)이 필요하고 또한 체액을 계속 소모할 뿐 아니라 정해진 시간간격으로만 불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는, 연속적으로 체내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로서 사용자의 피부 삽입되는 니들을 포함하는 혈당 측정 센서로서 센서의 감응성 향상을 위한 나노 구조체를 기반으로 하고, 표면에 선택적 투과성을 이용하여 방해 작용이 제거된 막 구조를 포함하며,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에 의하여 생체 삽입이 가능한 전기화학방식의 연속 혈당 모니터링 센서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존 발명에서 개시된 구성에서는 바늘형으로 사용자의 체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통상적인 기존의 강성 재질의 바늘을 이용하는 경우 도 3에서 "a" 또는 "b"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하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사선 방향으로 삽입될 수밖에 없는 바, 연속적인 혈당 측정을 위하여 센서를 상시 착용하여야 하는 경우 필요한 소정의 삽입 상태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바늘의 길이를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실제로 혈당 측정을 위하여 센서의 주사침이 위치하여야 하는 피하조직(Subcutaneous)(S)을 한참 통과하여 근육층(M) 까지 주사침이 삽입되어 버리므로 효과적인 혈당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주사침의 말단부가 상기 피하조직(Subcutaneous)(S) 까지만 도달하는 짧은 길이로 주사침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주사침이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여야만 한다는 새로운 분제점이 생기는 것은 물론, 사용자에게 이물감, 통증 등을 유발하기에 상시 착용 및 휴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10-1512566 특허문헌 2: 등록특허 10-1454278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로 사용자의 체액을 채취할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 측정이 가능한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를 사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피하조직(Subcutaneous)(S)에 유연 탐침 센서의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 별도의 외부 고정 수단 없이도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물감이나 통증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은, 피측정자의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와,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작동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받아 상기 혈당 데이터를 필터링, 분석, 비교, 저장, 전송, 표시하는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 및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유연 탐침 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를 사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피하조직(Subcutaneous)(S)에 그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작동여부를 감시하는 혈당 센서 감시 모듈(210);과,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 받아 상기 혈당 데이터중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 모듈(220);과, 상기 필터링 모듈(220)에서 필터링된 혈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저장된 피측정자의 혈당 정보 및 정상혈당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산출하는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 및 상기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착용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별도로 사용자의 체액을 채취할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 측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를 사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모세혈관이 잘 분포되어 있는 피하조직(Subcutaneous)(S)에 유연 탐침 센서의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외부 고정 수단 없이도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물감이나 통증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 그램.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의 침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 및 데이터 송수신부(300)를 포함한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피측정자의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표면에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되어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 및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는 비표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비표지 센서를 포함하여,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구성 및 작동 원리에 관해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는 다수의 선행 기술 문헌에서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항상 피측정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피측정자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외부 습격 또는 충격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방수 및 방진케이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유연 탐침 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를 사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혈당 측정을 위한 측정대상이 되는 혈액이 순환되는 모세 혈관이 잘 분포되어 있는 피하조직(Subcutaneous)(S)에 그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가 탄성을 가지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특징에 의하여,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가 사선 방향으로 천천히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 및 피하조직의 강도 및 조직 구성의 특성에 따라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것과 같이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가 도 3에서 "c"로 표시한 점선과 같이 완만한 곡선을 가지면서 삽입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형상을 미리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피측정자의 혈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혈당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측정자가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혈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데이터 송수신부(300)로 송신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00)는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로부터 수신한 혈당 데이터 분석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송수신부(300)는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 인터넷 전화, E-MAIL계정으로 상기 혈당 데이터 분석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인슐린 주사 장치(3)로 상기 혈당 데이터 분석 결과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슐린 주사 장치(3)는 상기 혈당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투여할 인슐린의 양 및 투여 시기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입자란 피측정자(환자), 주치의, 병원, 의원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송수신부(300)는 웹서버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가입자들이 가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가입자들이 상기 웹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에서 산출된 상기 혈당 데이터 분석 결과를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피측정자)에 대해 진로효율 및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료시스템을 제공 가능하며, 당뇨병 환자에 대한 정보/분석 결과를 주치의, 병원(의원) 간 연계하여 제공하므로 주치의, 병원(의원)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상기 정보/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 및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가 서로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 및 데이터 송수신부(300)가 무선으로 연결된다.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혈당 센서 감시 모듈(210) 필터링 모듈(220), 혈당 분석 비교 모듈(230), 전송 모듈(240), 저장모듈(250), 표시 모듈(260), 알림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센서 감시 모듈(210)은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작동여부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가 작동을 안하는 경우, 혈당 센서 감시 모듈(210)은 이를 감지하여 알림 모듈(270)에 신호를 전송하고, 알림 모듈(270)에서는 피측정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알리는 방법은 통합 관리 단말기 본체에 스피커를 부착하여 경고음을 내도록 하거나, 피측정자의 통신수단(전화, 휴대폰, EMAIL)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필터링 모듈(220)은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받고, 상기 혈당 데이터 중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노이즈란 상기 혈당 데이터 중 분석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가 작동을 개시할 때 안정적인 센서 작동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간에 해당하는 혈당 데이터의 경우에는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가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 모듈(220)에서는 상술한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거하게 된다. 또는, 일부 신호 오류에 따른 혈당 데이터 역시 제거 가능하다.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은 필터링 모듈(220)에서 필터링된 혈당 데이터를 분석하고, 미리 저장된 피측정자의 혈당 정보 및 정상 혈당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은 피측정자의 시간별, 날짜별 혈당 데이터를 그래프화 하거나 정상 혈당 데이터와 비교하여 초과된 수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전송 모듈(240)은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를 데이터 송수신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00)는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 모듈(250)은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또는 메모리는 피측정자의 혈당 수치를 실시간적으로 저장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는 예를 들면, 메모리 비휘발성을 가지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일 수 있다.
표시 모듈(260)은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를 가공하여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의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피측정자의 혈당 수치를 실시간적으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시간별/날짜별로 혈당 수치를 그래프를 작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알림 모듈(270)은 측정된 혈당 데이터가 기준이 되는 혈당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에, 피측정자에게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보 방식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전원부, 단말기 전면에 형성되는 LCD 등의 표시창(미표기), 단말기의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부(미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연속적인 사용 및 착용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착용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등 특정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하면) 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
110: 유연 탐침 센서
200: 통합 관리 단말기부
210: 혈당센서 감시 모듈
220: 필터링 모듈
230: 혈당 분석 비교 모듈
240: 전송 모듈
250: 저장 모듈
260: 표시 모듈
270: 알림 모듈
300: 데이터 송수신부

Claims (4)

  1. 피측정자의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작동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받아 상기 혈당 데이터를 필터링, 분석, 비교, 저장, 전송, 표시하는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 및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유연 탐침 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epidemis)(E), 진피(Dermis)(D)를 사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피하조직(Subcutaneous)(S)에 그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탐침 센서(1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의 작동여부를 감시하는 혈당 센서 감시 모듈(210);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 받아 상기 혈당 데이터중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 모듈(220);
    상기 필터링 모듈(220)에서 필터링된 혈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저장된 피측정자의 혈당 정보 및 정상혈당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산출하는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 및
    상기 혈당 분석비교 모듈(23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4.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는 착용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속 혈당 측정 센서부(100)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기부(20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KR1020150137620A 2015-09-30 2015-09-30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KR20170038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20A KR20170038351A (ko) 2015-09-30 2015-09-30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20A KR20170038351A (ko) 2015-09-30 2015-09-30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51A true KR20170038351A (ko) 2017-04-07

Family

ID=5858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20A KR20170038351A (ko) 2015-09-30 2015-09-30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351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424A1 (ko)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0027427A1 (ko)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0027420A1 (ko)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1025260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생체 정보 측정 데이터의 노이즈 처리 방법
US11020027B2 (en) 2017-09-18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glucose exposure and generating glucose exposure estimation model
KR20220145521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KR20220145520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3415B1 (ko) 2021-09-23 2023-01-31 주식회사 알비티 역몰드를 이용한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102497679B1 (ko) 2021-09-15 2023-02-08 주식회사 알비티 서포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102505313B1 (ko) 2021-09-23 2023-03-06 주식회사 알비티 패시브 레이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20230039321A (ko)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42870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용 부착 장치
KR20230042871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는 연속 혈당 감지 시스템
KR20230043276A (ko)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Ag/AgCl 기준 전극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20230043275A (ko)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간섭물질 레이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20230043274A (ko)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Pt black 작업 전극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US11998323B2 (en) 2018-07-31 2024-06-04 I-Sens, Inc.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78B1 (ko) 2012-07-10 2014-10-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혈당 측정용 니들 타입 바이오센서
KR101512566B1 (ko) 2013-10-10 2015-04-1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혈당 모니터링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78B1 (ko) 2012-07-10 2014-10-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혈당 측정용 니들 타입 바이오센서
KR101512566B1 (ko) 2013-10-10 2015-04-1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혈당 모니터링 센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050B2 (en) 2017-09-18 202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glucose exposure and generating glucose exposure estimation model
US11020027B2 (en) 2017-09-18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glucose exposure and generating glucose exposure estimation model
US11998323B2 (en) 2018-07-31 2024-06-04 I-Sens, Inc.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WO2020027427A1 (ko)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0027420A1 (ko)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0027424A1 (ko)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1025260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생체 정보 측정 데이터의 노이즈 처리 방법
JP2022541810A (ja) * 2019-08-07 2022-09-27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生体情報測定データのノイズ処理方法
KR20210018628A (ko) * 2019-08-07 2021-02-18 주식회사 아이센스 생체 정보 측정 데이터의 노이즈 처리 방법
KR20220145521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KR20220145520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42400A (ko) 2021-09-14 2023-10-11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39321A (ko)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7679B1 (ko) 2021-09-15 2023-02-08 주식회사 알비티 서포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20230042871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는 연속 혈당 감지 시스템
KR20230043276A (ko)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Ag/AgCl 기준 전극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20230043275A (ko)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간섭물질 레이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20230043274A (ko)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Pt black 작업 전극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20230042870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용 부착 장치
KR102505313B1 (ko) 2021-09-23 2023-03-06 주식회사 알비티 패시브 레이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KR102493415B1 (ko) 2021-09-23 2023-01-31 주식회사 알비티 역몰드를 이용한 마이크로 니들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8351A (ko)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US20240033429A1 (en) Integrated analyte sensor and infusion device and methods therefo
CA2669294C (en) Analyte sensing apparatus for hospital use
EP2658445B1 (en) Glycemic health metric determination and application
JP4562920B2 (ja) 分析物センサを有するホルタ型モニタシステム
EP3016586B1 (en) Advanced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1101058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lse Hypoglycemic Conditions
US20130102867A1 (en) Glycemic health metric determination and application
US9554703B2 (en) Diabetes care system for detection of an analyte and method for selective data transmission
JP2012020176A (ja) 統合医薬注入/検体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70067846A1 (en) Method and system to derive glycemic patterns from clustering of glucose data
WO2012108935A1 (en) Sensor-based informatics telemedicine disease management solution
JP2010540181A (ja) グルコース・センサ・トランシーバ
EP2001360A2 (en) A health monitor and a method for health monitoring
WO2000078210A9 (en) Characteristic monitor system for use with analyte sensor
CN102883656A (zh) 用于显示分析物传感器数据的方法和系统
KR20150056592A (ko) 인슐린 주입 펌프 명령의 혈당 영향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60145A1 (en) Analyte Monitor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Confirmation Tests
KR20170104602A (ko) 사람의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37890A1 (en) Devices to monitor glucose levels and ischemia
US2024007527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wer Conservation for Implantable Monitors
KR20150038189A (ko) 당뇨병이 있는 사람을 위해 다수의 위험 지표를 사용하여 당뇨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44262A (ko) 자동 검교정 기능을 갖는 혈당 측정 센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혈당 측정 장치
Frontino et al. Future perspectives in glucose monitoring sensors
JP2016537177A (ja) 持続血糖測定システム及び測定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49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14

Effective date: 201904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