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306A -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306A
KR20170038306A KR1020150137479A KR20150137479A KR20170038306A KR 20170038306 A KR20170038306 A KR 20170038306A KR 1020150137479 A KR1020150137479 A KR 1020150137479A KR 20150137479 A KR20150137479 A KR 20150137479A KR 20170038306 A KR20170038306 A KR 20170038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atty acid
cosmetic composition
arginine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안나
신지식
조영석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13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306A/ko
Publication of KR2017003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L-알지닌 및 지방산을 포함하되,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NP - 2 ≤ NA ≤ NP + 2
(상기 관계식 1에서, NP는 알킬포스페이트의 탄소수이며, NA는 지방산의 탄소수이다.)

Description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with enhanced lamellar structur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지며, 사용감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은 화장품에 많이 도입되어 쓰이고 있으며, 유상에 녹인 후 오일의 확산에 의해 계면에서 형성되고, 피부 보습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액정은 피부 지질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화장품 재료로 사용시 보습력이 높아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액정은 일정량의 결정수(bounded water)를 포집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분은 구속받지 않는 물(free water)과는 달리 증발이 잘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즉, 이렇게 포집된 결정수들은 피부 위에서 액정과 같이 머물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보유 수분량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29764호는 유상부와 겔화제부를 사용하여 라멜라 형태의 다중액정막 겔 페이스트를 만들고, 여기에 생리 활성 물질을 투입하여 생리 활성 물질이 캡슐화된 라멜라 형태의 다중액정 겔 페이스트를 얻으며, 이를 수상부와 혼합 교반하여 1차 유화시켜 구상의 다중액정막 캡슐을 얻고, 라인형(LINE TYPE) 초고속 미립자 분쇄기에 투입하여 2차 유화시켜 나노사이즈의 다중액정막 캡슐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있다.
더불어 액정은 피부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피부미용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78500호는 (a)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에 상기 유용성 활성 물질을 투입하고 고압 유화하여 1차 안정화된 비이온 계면활성제 베시클을 제조하는 단계,(b) 인지질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에 상기 1차 안정화된 비이온 계면활성제 베시클을 투입하고 고압 유화하여 2차 안정화된 스핀고좀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유상 및 수상을 균일하게 혼합한 유화 베이스에 상기 2차 안정화된 스핀고좀을 투입하여 3차 안정화된 라멜라 액정 유화 베이스를 제조하고 있다.
상기 제조된 라멜라 액정 유화 베이스를 화장료 조성으로 사용하여 활성 물질의 역가가 우수하게 보존되므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이러한 안정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피부 지질 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 보습 및 면역 효과를 갖는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효과 및 이점에도 액정을 포함하는 제형은 다소 끈적이는 느낌으로 인해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남아있으며, 제형 안정도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2976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785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지며, 오일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감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L-알지닌 및 지방산을 포함하되,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NP - 2 ≤ NA ≤ NP + 2
(상기 관계식 1에서, NP는 알킬포스페이트의 탄소수이며, NA는 지방산의 탄소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알킬포스페이트와 지방산 및 L-알지닌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보다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라멜라 구조에 의해 수분 보유 능력이 우수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시, 미끌거림이 줄어들고 산뜻하며 촉촉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보습 효능 평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존의 비누계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과 중화제, 지방알코올 등 제한된 처방요소와 공정에 따라 라멜라 형성 여부가 달라지고, 그로 인해 유화입자의 재연성 있는 안정도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오일 함량에 제한이 있었으며, 점도를 조절함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알킬포스페이트와 지방산 및 L-알지닌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보다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라멜라 구조에 의해 수분 보유 능력이 우수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시, 미끌거림이 줄어들고 산뜻하며 촉촉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L-알지닌 및 지방산을 포함하되,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계식 1]
NP - 2 ≤ NA ≤ NP + 2
(상기 관계식 1에서, NP는 알킬포스페이트의 탄소수이며, NA는 지방산의 탄소수이다.)
기존 비누 유화의 경우, 아미노산을 중화제로 사용했을 때 KOH로 중화한 것 대비 제형 안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알킬포스페이트와 지방산을 함께 사용할 경우, L-알지닌으로 중화함에도 불구, 보다 강화된 라멜라 구조가 형성되어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알킬포스페이트의 알킬기와 지방산의 알킬기의 사슬 길이를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조절해줌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관계식 1을 벗어나는 경우, 지방산이 석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좋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알킬포스페이트와 지방산 및 L-알지닌을 함께 사용했을 시, 알킬포스페이트와 L-알지닌, 지방산과 L-알지닌이 서로 전하작용하여 전하 콤플렉스(charge complex)를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전하 콤플렉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조성물의 pH를 적정 범위로 조절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체예로, 화장료 조성물의 pH는 6 내지 9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7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전하 콤플렉스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보다 강화된 라멜라 액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라멜라 구조의 용이한 형성을 위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없이 알킬포스페이트와 L-알지닌만 사용하는 경우, 라멜라 구조는 형성되나 지방산을 첨가한 것 대비 제형 안정도가 크게 떨어지며, 점증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알킬포스페이트의 사용 함량이 제한되어 오일의 함량을 과량으로 사용할 수 없다. 상세하게, 지방산 없이는 조성물 중 약 4 중량% 밖에 오일을 첨가할 수 없으나, 지방산을 사용할 경우 최대 15 중량% 정도까지 오일의 함량을 늘릴 수 있다. 반면, 알킬포스페이트 없이 지방산과 L-알지닌만 사용하는 경우, 일부 지방산 분자들끼리 결정화되어나, 불규칙하게 결정화되면 지방산의 석출이 일어날 수 있어서 제형의 안정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조성물에 있어, 알킬포스페이트 : L-알지닌의 몰비는 1 : 0.01~10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알킬포스페이트 : L-알지닌의 몰비는 1 : 0.1~3일 수 있다. 또한, 조성물에 있어, L-알지닌 : 지방산의 몰비는 1 : 0.01~10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L-알지닌 : 지방산의 몰비는 1 : 0.1~3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라멜라 구조가 잘 형성되며, 지방산의 석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의 경우, 일부는 L-알지닌으로 중화되어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고 중화 안 된 것은 점도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알킬포스페이트는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미리스틸포스페이트, 세틸포스페이트, 스테아릴포스페이트 또는 베헤닐포스페이트 등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세틸포스페이트 또는 스테아릴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지방산은 선정된 알킬포스페이트를 기준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지방산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방산은 구체적으로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또는 리그노산 등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또는 에센스 등의 기초 화장용,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또는 컨실러 등의 메이크업용, 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의 기능성 화장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킨, 로션 또는 에센스 등의 기초 화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상(dispersed phase)인 유상 성분과 연속상(continuous phase)인 수상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상 성분은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L-알지닌, 지방산 및 오일을 포함하되,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계식 1]
NP - 2 ≤ NA ≤ NP + 2
(상기 관계식 1에서, NP는 알킬포스페이트의 탄소수이며, NA는 지방산의 탄소수이다.)
이때,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L-알지닌, 및 지방산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재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오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에스테르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케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또는 페닐트리메치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화수소계 오일은 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 올레핀계 탄화수소 오일,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오일 등이 있으며, 비 한정적인 일 예로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이소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스쿠알렌, 폴리부텐, 폴리데센 또는 폴리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스테르계 오일은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탄화수소계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스쿠알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오일은 천연오일, 합성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천연오일은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비 한정적인 일 구체예로,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아몬드유, 야자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옥수수유, 대두유, 유채꽃유, 동백유, 면실유, 월견초유, 호호바오일, 팜오일, 코코넛오일, 로즈힙오일 또는 마카다이마오일 등일 수 있으며, 동물성 오일은 난황오일, 상어간유, 에뮤오일 또는 밍크오일 등일 수 있으며, 광물성 오일은 파라핀, 바셀린 또는 세레신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에스테르계 오일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구체적인 성분은 앞서 설명한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에스테르계 오일에서 천연오일을 제외한 것과 동일한 바,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오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진 않으며 목적에 맞게 그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오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1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족 알코올, 왁스, 폴리올 및 점증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지방족 알코올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C12~24인 포화 지방족 알코올일 수 있다. 비 한정적인 구체예로, 미리스틸 알코올, 라우로일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바틸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지방족 알코올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진 않으나,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왁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석유계 왁스, 동식물 왁스, 합성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석유계 왁스는 파라핀 왁스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왁스동식물 왁스는 칸데릴라로우 왁스, 카나우바 왁스, 밀랍, 목랍, 경질 라놀린, 면납, 백랍, 콜레스테롤, 식물스테롤 또는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피마자유, 대두유, 아보카드유, 올리브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면실유, 팜유, 동백유 또는 우지 등의 경화유를 들 수 있다. 또한, 합성 왁스는 PE 왁스, PP 왁스, Syncrowax ERL-C 또는 Syncrowax HR-C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동식물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칸데릴라로우 왁스, 카나우바 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진 않으나,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및 이소프렌글리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폴리올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진 않으나,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2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점도를 제공하여 사용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잔탄검, 아라비아검, 히드록시에틸 구아검, 카르복시메틸 구검, 구아검, 덱스트란, 트래거캔스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점증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진 않으나,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외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목적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pH 조절제, 방부제, 살균제, 색소, 향료 또는 펄제 등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중량%)에 따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에 대한 제형 안정도 평가를 표 2에, 보습 효능 평가를 도 1에, 사용감 평가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단위: 중량 %)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세틸에칠섹사노에이트 2 2 2 2
스쿠알란 8 8 8 8
스테아르산 2 2 2 0
모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세틸알코올 0.5 0.5 0.5 0.5
카나우바왁스 0.5 0.5 0.5 0.5
세틸포스페이트 1 1 0 1
디메치콘 2 2 2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5 5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L-알지닌 0.5 0 0.5 0.5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20 0.2 0.2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L-알지닌을 미첨가하여 지방산의 중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였으며, 비교예 2는 세틸포스페이트를 미첨가하여 지방산염에 의해 비누계 유화 제형은 형성되나 추가적인 라멜라 형성은 막았으며, 비교예 3은 스테아르산을 미첨가하여 지방산염 계면활성제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익일 양호 불량
(경도하락)
양호 불량
(경도하락)
냉동(-15℃) 1달 이상 안정 불안정(분리) 1달 이상 안정 불안정(분리)
고온(45℃) 1달 이상 안정 불안정(분리) 불안정(분리) 불안정(분리)
고온(60℃) 1달 이상 안정 불안정(분리) 불안정(분리) 불안정(분리)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경우, 저온 및 고온 환경 하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제형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제형 안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미끌거림
실시예 1 5
비교예 1 10
비교예 2 12
비교예 3 18
사용감(미끌거림)의 평가는 감성 평가로 진행하였으며, 동량의 내용물을 10명의 피부에 도포하여 20점 만점에 각 제형에 점수를 주어 평균을 구하였다.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미끌거림이 현저히 낮아 매우 산뜻한 사용감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L-알지닌 및 지방산을 포함하되,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관계식 1]
    NP - 2 ≤ NA ≤ NP + 2
    (상기 관계식 1에서, NP는 알킬포스페이트의 탄소수이며, NA는 지방산의 탄소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6 내지 9인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있어, 알킬포스페이트 : L-알지닌의 몰비는 1 : 0.01~10인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있어, L-알지닌 : 지방산의 몰비는 1 : 0.01~10인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포스페이트는 미리스틸포스페이트, 세틸포스페이트, 스테아릴포스페이트 또는 베헤닐포스페이트인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또는 리그노산인 화장료 조성물.
  7. C14~22의 알킬포스페이트, L-알지닌, 지방산 및 오일을 포함하되,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관계식 1]
    NP - 2 ≤ NA ≤ NP + 2
    (상기 관계식 1에서, NP는 알킬포스페이트의 탄소수이며, NA는 지방산의 탄소수이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족 알코올, 왁스, 폴리올 및 점증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37479A 2015-09-30 2015-09-30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79A KR20170038306A (ko) 2015-09-30 2015-09-30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79A KR20170038306A (ko) 2015-09-30 2015-09-30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06A true KR20170038306A (ko) 2017-04-07

Family

ID=5858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479A KR20170038306A (ko) 2015-09-30 2015-09-30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3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764A (ko)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20040078500A (ko)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토코페롤 3중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764A (ko)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20040078500A (ko)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토코페롤 3중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276B1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4036B1 (ko) 화장료
JP399350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445554B (zh) Creamy O / W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490713B1 (ko)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8949A (ko)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KR100760167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1561010B1 (ko) 유중 수형 유화화장료
KR101094477B1 (ko) pH 감응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2630A (ko) 항주름제 및 adam 저해제
JP6342155B2 (ja) 皮膚用シート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0678364B1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002289A (ja) 不全角化抑制剤
KR102334491B1 (ko) 유중수형(w/o) 라멜라 액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080206371A1 (en) Novel burn treatment composition
KR102463133B1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0168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48535B1 (ko)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cl-peg)공중합체의 용해도 향상을 통해 안정화된 에멀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306A (ko) 강화된 라멜라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