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919A -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919A
KR20170037919A KR1020170038432A KR20170038432A KR20170037919A KR 20170037919 A KR20170037919 A KR 20170037919A KR 1020170038432 A KR1020170038432 A KR 1020170038432A KR 20170038432 A KR20170038432 A KR 20170038432A KR 20170037919 A KR20170037919 A KR 20170037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function
wor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균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919A/ko
Publication of KR2017003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BYOD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화상형성장치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METHOD FOR PROCESSING WORKFLOW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팩스기, 복합기 등과 같은 다양한 화상 형성 장치에는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도 상당히 발전하였고,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확산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되고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지 않고도,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YOD(Bring Your Own Device)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BYOD란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기기를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제어하는 기술들의 통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을 이용하여 회사의 정보, 장치 및 시스템 등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직원은 회사에 비치된 업무용 데스크탑이 아닌 개인이 휴대하는 노트북을 이용하여 회사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업무를 할 수 있다.
BYOD 업무환경이 조성되면 직원들이 업무용과 개인용으로 구분하여 여러 기기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므로 생산성 향상, 장치 구입 비용의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BYOD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화상형성장치 단독으로 수행할 수 없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은,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을 조합하여 생성한 워크플로우(workflow)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워크플로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된 상기 워크플로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플로우에 정의된, 상기 제 1 기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만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측면에 따라, 상기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제 3 측면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을 조합하여 생성한 워크플로우(workflow)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워크플로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워크플로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워크플로우에 정의된, 상기 제 1 기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만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수행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이 확장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BYOD(Bring Your Own Device)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BYOD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UP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BYOD 서비스를 위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BYOD 서비스를 위해 연결될 화상형성장치를 디스커버리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들을 디스커버리하는 BYOD 연결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들을 디스커버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BYOD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수행되는 정보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페어링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3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권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페어링 프로세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PIN 코드를 인증한 후 PIN 코드에 할당된 권한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회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페어링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페어링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BYOD 서비스를 이용하여 워크폼을 생성, 관리 및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폼 생성시에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상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폼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작업 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워크플로우를 선택함에 따라,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 1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기능을 실행시킨 후 스캔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을 실행할 때, 그리기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을 실행할 때, 이미지 첨부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 및 문서 발송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문서 발송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 및 공유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는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공유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 및 제 1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발송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은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제 1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발송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집 기능, 및 제 2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워크플로우를 선택함에 따라,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와 제 2 화상형성장치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는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제 2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BYOD(Bring Your Own Device)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BYOD 환경에서 사용자는 BYOD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BYOD 디바이스들이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BYOD 서비스란, 일반적인 BYOD의 의미보단 다소 좁은 의미로서, 개인의 디바이스로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에 엑세스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리소스를 개인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BYOD 환경이란 BYOD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태블릿(tablet) 디바이스이고, 모바일 디바이스(105)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을 뿐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는 태블릿 디바이스, 스마트폰 외에도, 노트북, PDA, 웨어러블 디바이스(시계, 안경 등)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해당될 수 있다.
BYOD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BYOD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에는 BYOD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한다. BYOD 애플리케이션은, BYOD 포털 앱(BYOD portal app)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에 BYOD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제어 커맨드를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BYOD 애플리케이션은 오픈 API(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와 화상형성장치(200)는 동일한 AP(Access Point)를 통해서,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을 통해 무선 연결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에는 조작부(21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조작부(210)를 통해서도 화상형성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조작부(210)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의 조작부(21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은 각각 독립적으로 UI(User Interface) 컨텐츠를 가질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은 조작부(210)에 표시된 UI 컨텐츠들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조작부(210)에 표시된 UI 컨텐츠들과는 다른 화상형성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독립적인 UI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의 BYOD 애플리케이션에는 카피(copy), 스캔(scan) 및 박스(box) 등과 같이 화상형성장치(2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UI 컨텐츠들이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10)에서 가능한 모든 조작을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에 저장된 파일을 간편하게 인쇄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에 저장된 주소록을 이용하여 화상 작업(예를 들어, Scan-to-Email, Scan-to-Cloud 등)을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를 PCL(Printer Command Language),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PS(Post Script) 등과 같은 인쇄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는, 비교적 처리 성능이 낮은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의 리소스가 아닌, 비교적 처리 성능이 높은 화상형성장치(200)의 리소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모바일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하는 BYOD 서비스를 위해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와, 화상형성장치(200)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BYOD 서비스를 위한 연결을 다른 용어로서 페어링(pairing)이라 지칭할 수도 있다. BYOD 서비스를 위한 연결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해당 도면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조작부(210), 메인 제어부(220), 통신부(230), 인쇄부(240), 스캔부(250) 및 팩스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화상형성장치(200)에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들 외에도,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조작부(210)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해 이용하는 하드웨어 구성이다. 조작부(210)는 GUI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10)는 조작을 위한 GUI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GUI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조작 명령을 메인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메인 제어부(22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포함된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20)는 조작부(21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의 조작 및 제어에 필요한 커맨드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20)는 BYOD 서비스를 위해 화상형성장치(200)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의 조작 및 제어에 필요한 커맨드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230)는 BYOD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이다. 통신부(230)는 AP를 통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과 연결되거나,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인쇄부(240)는 메인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인쇄 동작을 수행하고, 스캔부(250)는 메인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스캔 동작을 수행하고, 팩스부(260)는 메인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팩스 동작을 수행한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메인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200)는 일부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200)의 일부 구성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페어링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발행된 임시 크리덴셜(temporary credential)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해 암호화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를 수신한다.
메인 제어부(220)는 암호화된 PIN 코드를 발행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PIN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한다.
메인 제어부(220)는 PIN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된 경우 영구 크리덴셜(permanent credential) 정보를 발행하고, 발행된 영구 크리덴셜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리턴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한다.
도 3a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컨트롤러(110), 디스플레이부(120), 입력부(130), 통신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이동통신 모듈(142) 및 무선통신 모듈(1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도 3a에 도시된 구성들 외에도,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3a에서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들에 대해서 설명될 것이나, 이와 같은 설명은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5)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5)도 도 3a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들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하드웨어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 내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BYOD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화상형성장치(200)가 BYOD 서비스를 위한 연결이 수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 컨트롤러(110)는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들 및 동작들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고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는, BYOD 서비스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GUI 화면을 표시하거나,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된 이벤트(예를 들어, 인쇄 완료 이벤트, 용지 부족 이벤트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BYOD 서비스로써 화상형성장치(200)에 연결되기 위한 과정들에서 필요한 정보들(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결과,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 입력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압전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다양한 컨텐츠들 또는 옵션들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BYOD 서비스로 연결될 화상형성장치(200)에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인증하기 위한 PIN 코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부(120) 및 입력부(130)는,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등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화상형성장치(2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모듈(142) 및 무선통신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42)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이동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이동통신 신호는, 3G(third generation), 4G(fourth generation) 등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 통화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 컨텐츠 데이터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144)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모듈, WLAN(Wi-Fi)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WFD(Wi-Fi Direct)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통신 모듈(144)은, 근거리 무선 연결을 통해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을 통한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이다.
저장부(150)는, 컨트롤러(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데이터들(예컨대, 애플리케이션들(특히, BYOD 애플리케이션), 컨텐츠들(문서들, 사진들,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HDD(hard disk drive), 카드 메모리(예를 들어 SD(Secure Digital) 카드),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컨트롤러(11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일부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일부 구성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140)는 화상형성장치(200)로 페어링 요청을 전송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에 의해 발행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다.
컨트롤러(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PIN 코드를, 수신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통신부(140)는 암호화된 PIN 코드를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0)에서 PIN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영구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는, 앞서 설명된 도 2a 내지 도 3b를 연계하여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들의 구체적인 기능들 및 동작들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BYOD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에는 두 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00)에는 동시에, BYOD 서비스를 위한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이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200)는 동시 접속 가능한 BYOD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0)의 제품 사양, 예를 들어 메모리 사이즈에 따라 동시 접속 가능한 BYOD 디바이스들의 최대 개수를 미리 설정하고, 최대 개수를 초과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BYOD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연결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BYOD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과 화상형성장치(200)는 UP(Unified Protocol)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과 U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20)는 조작부(210)와도 U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UP는 웹 서비스 API로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기반하면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리소스에 접근하고, 생성, 삭제 및 업데이트 등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은 메인 제어부(220)로 UP 커맨드를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20)는 조작부(2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로부터 수신한 UP 커맨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부(240), 스캔부(250) 및 팩스부(260)를 제어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220)는 이벤트 발생시 이를 조작부(210) 및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에 브로드캐스팅한다. 조작부(210)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은 각각 수신한 이벤트를 처리할 필요가 있는 이벤트인지를 판단하고,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동작을 수행하고 처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된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U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메인 제어부(220)는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20)는 UP 웹 서버(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210) 및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및 105)은 클라이언트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들은 UP 웹 서버(221)에 리소스를 요청하고, UP 웹 서버(221)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한다. UP 웹 서버(221)와 클라이언트들은 통신 프로토콜로서 HTTP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HTTP를 이용하면 누구든지 UP 웹 서버(221)에 접속이 가능하고, 플랫폼이 다르더라도 정해진 프로토콜만 사용하면 UP 웹 서버(22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UP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조작부(210) 및 메인 제어부(220)는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200)에 포함된 구성들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조작부(210)가 HTTP를 이용하여 메인 제어부(220)의 UP 웹 서버(221)에 연결 요청 및 작업 요청을 전송하면, 502 단계에서 UP 웹 서버(221)는 조작부(210)를 등록한다. 즉, UP 웹 서버(221)는 조작부(210)로부터 수신한 HTTP 요청에 포함된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세션(session)을 생성한다.
유사하게 50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HTTP를 이용하여 UP 웹 서버(221)에 연결 요청 및 작업 요청을 전송하면, 504 단계에서 UP 웹 서버(22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105)를 등록한다. 즉, UP 웹 서버(22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105)로부터 수신한 HTTP 요청에 포함된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세션을 생성한다.
5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UP 웹 서버(221)는 506 단계 및 507 단계에서 각각 조작부(2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105)에 응답을 전송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UP 웹 서버(221)가 조작부(2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105)로부터 요청을 받았을 때 바로 응답하지 않고, 기다렸다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응답을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롱 폴링(long polling) 방식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BYOD 서비스를 위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UI 화면들은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도시된 것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고 UI 화면들의 배치, 구성 등은 달라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BYOD 디바이스로서, 화상형성장치(200)에 연결되는 과정은 디스커버리(discovery) 프로세스, 페어링(pairing)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event registration) 프로세스로, 크게 3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화상형성장치(200) 간의 통신은 OAuth(Open standard for AUTHorization)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바탕화면 UI(610) 상의 BYOD 애플리케이션(601)을 실행(launch)한다. BYOD 애플리케이션(601)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SAMSUNG 사의 삼성 앱스(Samsung Apps), GOOGLE 사의 구글 플레이 (Google Play), APPLE 사의 앱스토어(AppStore)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BYOD 애플리케이션(601)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공장출하 시에 설치된 기본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BYOD 애플리케이션(601)은 화상형성장치(200)와의 연결, 화상형성장치(200) 제어를 위한 GUI 화면 표시, 화상형성장치(200) 제어를 위한 커맨드 생성 등과 같이, BYOD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BYOD 애플리케이션(601)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커버리를 위한 UI(620)를 표시한다. 디스커버리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들을 검색하는 프로세스로서, UI(620)에는 3개의 화상형성장치들("SCX-5737"(602), "CLX-8650", "SCX-6401n")이 디스커버리되었음이 나타나 있다. 디스커버리된 화상형성장치들에 관해서는, 화상형성장치들의 모델 명칭, IP(Internet Protocol) 주소, 위치 등에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커버리된 화상형성장치들 중에서, BYOD 서비스를 통해 제어하고자(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SCX-5737")(602)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UI(620)에 표시된, 화상형성장치 목록은 모두 BYOD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BYOD 서비스의 지원 여부에 관계 없이 디스커버리될 수도 있다.
BYOD 서비스를 통해 제어하고자(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SCX-5737")(602)가 선택된 경우,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간의 페어링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페어링은, 화상형성장치("SCX-5737")(602)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BYOD 디바이스로서 신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BYOD 디바이스의 연결 세션을 개시하는, 일련의 절차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페어링을 위한 UI(630)를 통해 PIN 코드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PIN 코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에 인증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BYOD 디바이스로서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와 페어링되기 위하여, PIN 코드의 인증이 필요하다.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에서 PIN 코드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화상형성장치("SCX-5737")(602)는 토큰(token) 및 시크릿(secret)을 포함하는 크리덴셜 정보(credential information)와 같은 인증 정보를 발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달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저장부(150)에 수신된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을 저장하고, BYOD 커맨트 전송시에 저장된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를 함께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에 전송함으로써 BYOD 디바이스에 의한 유효한 커맨드임을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에 알려줄 수 있다. 즉, 발행된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를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100)만 BYOD 서비스의 접속을 허용함으로써, PIN 코드의 인증이 없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를 이용한 페어링 프로세스에 관해서는 이하의 도 10 내지 도 16b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에서 PIN 코드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화상형성장치("SCX-5737")(602)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 간의 페어링은 완료되고, 다음으로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이벤트 등록은, BYOD 연결이 수립된 이후에, 화상형성장치("SCX-5737")(602)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이벤트들, 예를 들어 인쇄 완료 이벤트, 용지 부족 이벤트, 용지 걸림 이벤트, 스캔 완료 이벤트 등 중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이벤트 종류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이다. 이벤트 등록을 위한 UI(640)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들 중에서 선택된 "인쇄 완료" 이벤트 및 "스캔 완료" 이벤트에 관해서만 이벤트 발생 알림을 화상형성장치("SCX-5737")(602)로부터 수신하고,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이벤트들에 관해서는 이벤트 발생 알림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BYOD 디바이스로서 화상형성장치(200)에 접속하기 위하여, BYOD 애플리케이션(601) 실행,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가 수행되어야 함이 설명되었다. 이하에서는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BYOD 서비스를 위해 연결될 화상형성장치를 디스커버리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는 도 3a 또는 도 3b에서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70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BYOD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들을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 요청을 생성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디스커버리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때, 통신부(140)는 이동통신 모듈(142)(예를 들어, 3G, 4G 등) 또는 무선통신 모듈(144)(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등)을 통해 디스커버리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702 단계에서, 브로드캐스팅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들이 디스커버리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어떠한 화상형성장치들도 디스커버리되지 않은 경우,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하지만, 디스커버리된 화상형성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 703 단계로 진행된다.
70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디스커버리된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화상형성장치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모델 명칭, BYOD 서비스 지원 여부, 연결 방식, IP 주소, 위치, 설명 또는 즐겨찾기 여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70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커버리된 화상형성장치들 중 BYOD 서비스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어떠한 화상형성장치도 BYOD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하지만, YOD 서비스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705 단계로 진행된다.
7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20)는 BYOD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된 화상형성장치의 목록을 표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커버리 프로세스의 다음 프로세스인 페어링 프로세스의 진행을 위하여 화상형성장치(200)에 페어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들을 디스커버리하는 BYOD 연결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Wi-Fi Direct, NFC, Wi-Fi, Bluetooth, 3G/4G 이동통신 등을 통해 화상형성장치들(201 내지 205)을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Wi-Fi Direct 모듈을 활성화하여 Wi-Fi Direct로 연결 가능한 주변의 화상형성장치("SCX-8230")(201)를 디스커버리할 수 있고, NFC 모듈을 활성화하여 NFC로 연결 가능한 주변의 화상형성장치("SL-C473")(202)를 디스커버리할 수 있고, Bluetooth 모듈을 활성화하여 Bluetooth로 연결 가능한 주변의 화상형성장치("SCX-5737")(205)를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Wi-Fi를 통해 AP(801)에 무선 연결됨으로써 AP(801)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화상형성장치("CLX-8650")(203)를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예를 들어, "CLX-8650")(203)와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에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AP(801)의 중개를 통해 연결된 경우), UPnP(Universal Plug and Play), Bonjour,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multicast Domain Name System(mDNS) 등과 같은 방식들을 사용하여 화상형성장치(예를 들어, "CLX-8650")(203)를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다만, 동일 네트워크 환경이 아닐지라도, 위와 같은 방식들로 디스커버리가 가능하다.
나아가서, 3G/4G 이동통신을 통해 외부의 서버(예를 들어, 웹 서버, 클라우드 서버,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 등)(802)에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서버(802)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의(예를 들어, 다른 지역, 해외 등) 화상형성장치("SL-M4370LX")(204)를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방식들을 이용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화상형성장치들(201 내지 205)을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들을 디스커버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커버리 결과, 도 8에 도시된 5개의 화상형성장치들(201 내지 205)이 디스커버리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커버리 결과를 나타내는 UI(901)를 참고하면, 디스커버리된 화상형성장치들(201 내지 205)의 모델 명칭, BYOD 서비스 지원 여부, 연결 방식, IP 주소, 위치, 설명 또는 즐겨찾기 여부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UI(901)에 표시된 화상형성장치 목록 중에서 원하는 화상형성장치(예를 들어 "SCX-8230")를 선택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BYOD 디바이스로서 화상형성장치(예를 들어 "SCX-82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 따르면, UI(901) 상의 화상형성장치 목록에는 BYOD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들("SCX-5737" 및 "SL-M4370LX")도 표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앞서 도 7의 704 단계 및 705 단계에 따르면, BYOD 서비스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들("SCX-8230", "SL-C473" 및 "CLX-8650")만이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경우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표시될 디스커버리 결과에는 BYOD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들("SCX-5737" 및 "SL-M4370LX")의 목록도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BYOD 서비스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들("SCX-8230", "SL-C473" 및 "CLX-8650")의 목록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BYOD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의미의 페어링 기술은 페어링될 양쪽의 디바이스들 모두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하였고, 두 디바이스들에 각각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페어링될 수 있었다. 즉,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에 설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가(permission)를 제공하고, 디바이스가 전원 온/오프(power on/off) 후에도 동일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디바이스 시스템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authority)을 가지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BYOD 환경에 따르면, 외부 서버(10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BYOD 애플리케이션(1001)은 화상형성장치(200)의 외부(즉,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만 설치될 뿐만 아니라, BYOD 애플리케이션(1001)은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의존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BYOD 서비스를 위한 페어링은 오직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만 설치된 BYOD 애플리케이션(1001)만으로도 수립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BYOD 환경은, 오직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만 설치된 BYOD 애플리케이션(1001)에 의한 권한으로도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만 설치된 BYOD 애플리케이션(1001)으로, 페어링될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BYOD 애플리케이션(1001)의 식별(identity) 및 BYOD 애플리케이션(1001)의 권한(authority) 설정이 요구된다. 여기서, BYOD 애플리케이션(1001)의 식별을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의해 발행된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가 이용될 수 있고, BYOD 애플리케이션(1001)의 권한 설정을 위해서는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가 필요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된 이후에, 화상형성장치(200)는 페어링이 단절(disconnect)될때까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BYOD 애플리케이션(1001)으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종류의 커맨드들(예를 들어, API 호출)은 신뢰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수행되는 정보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입력부(130)는 앞서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PIN 코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PIN 코드를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면, 이에 응답하여 화상형성장치(200)는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를 발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를 리턴한다.
화상형성장치(200)에 의해 발행된,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것들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와 함께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여 BYOD 디바이스의 유효한 커맨드임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알려주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된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인증함으로써 유효한 커맨드임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토큰(token) 및 시크릿(secret)이라는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BYOD 애플리케이션)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들로 사용되는 한 이와 같은 용어들은 다른 용어들(예를 들어, 키(key) 등)로도 변경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페어링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1211 단계 내지 1215 단계는 암호화되지 않은(unsigned) 상태의 정보들이 교환되는 언사인드 프로세스(unsigned process)(1210)이고, 1221 단계 내지 1226 단계는 암호화된(signed) 상태의 정보들이 교환되는 사인드 프로세스(signed process)(1220)일 수 있다. 도 12의 페어링 프로세스는, 도 2a 내지 도 3b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장치(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언사인드 프로세스(unsigned process)(12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BYOD 애플리케이션이 SSL(Secure Sockets Layer)/TLS(Transport Layer Security)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로 페어링 수행을 위한 언사인드(unsigned) API를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이 요청을 허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121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컨트롤러(110))는 BYOD 애플리케이션의 페어링을 실행한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BYOD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미 도 6 내지 도 9에서 설명되었던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및 화상형성장치(200)의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가정한다.
121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통신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제공 가능한 권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권한 정보는,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들 중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는 기능들에 관한 정보로서, 인쇄 기능에 관한 옵션들, 스캔 기능에 관한 옵션들, 팩스 기능에 관한 옵션들, 복사 기능에 관한 옵션들, 상태 변화 이벤트들에 관한 알림들, 에러 이벤트들에 관한 알림들, 작업 처리 이벤트들에 관한 알림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21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통신부(140))는 페어링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0)(통신부(230))로 전송한다.
121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temporary credential information)(임시 토큰(temporary token) 및 임시 시크릿(temporary secret))를 발행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00)(통신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통신부(140))로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리턴한다.
121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PIN 코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PIN 코드를 입력한다. PIN 코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BYOD 디바이스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PIN 코드는 BYOD 환경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또는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에 의해 발행된 것일 수 있다.
122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컨트롤러(11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이용하여, 입력된 PIN 코드를 암호화(encrypt)한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컨트롤러(110))는 해시 알고리즘(hash algorithm), 비밀키 암호화(Secret-Key Encryption) 알고리즘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암호화 방식들에 따라,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로(with) PIN 코드를 암호화한다.
122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통신부(140))는 암호화된 PIN 코드를 화상형성장치(200)(통신부(230))로 전송한다.
한편, 1214 단계에서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가 리턴된 이후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 또는 통신부(230)가 암호화된 PIN 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페어링 프로세스를 취소하고, 발행되었던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폐기(discard)할 수 있다.
122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는 이전에 발행하였던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PIN 코드를 복호화(decrypt)한다.
122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는 복호화된 PIN 코드를 인증한다. 즉,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는 복호화된 PIN 코드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BYOD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부여된 유효한 PIN 코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12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는 PIN 코드의 인증 결과 PIN 코드가 유효한 경우, 영구 크리덴셜 정보(permanent credential information)(영구 토큰(permanent token) 및 영구 시크릿(permanent secret))를 발행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00)(통신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통신부(140))로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를 리턴한다.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게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영구 크리덴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갖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영구적(permanent)"의 용어는, 화상형성장치(2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가 폐기될 때까지 유효한 것으로 유지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는 PIN 코드의 복호화가 완료되었으므로,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폐기(discard)한다. 즉,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는 페어링 프로세스의 일부인 PIN 코드의 암호화/복호화 프로세스에만 이용될 뿐이다.
임시 토큰과 영구 토큰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고, 임시 시크릿과 영구 시크릿도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1225 단계에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12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N 코드에 할당된 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상형성장치(200)(통신부(230))는 1225 단계에서 PIN 코드에 할당된 권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도 15의 1501)를 모바일 디바이스(100)(통신부(140))로 회신할 수도 있다.
122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메인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컨트롤러(110) 및 통신부(140))는 페어링 세션을 개시한다. 이로써, 페어링 프로세스는 완료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BYOD 디바이스로서 신뢰될 수 있다.
도 13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권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를 참고하면, 권한 정보는 도 12의 121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권한 정보는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들 중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는 기능들에 관한 정보로서, "saaLocalUiAccess", "saaJobCreation", "saaJobControl", "saaServiceMode", "saaUpComplete", "saaReadCardReader", "saaManageApplicationInstallation", "saaObtainThirdPartySession", "saaObtainSafeCredentials", "saaObtainUnsafeCredentials"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제공 가능한 권한들에 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크리덴셜 정보(토큰 및 시크릿)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에 도시된 토큰("jjhhmht6kngt545") 및 시크릿("aalljnzxy678687jasd")은, 임시 토큰(temporary token) 및 임시 시크릿(temporary secret)에 해당되거나, 또는 영구 토큰(permanent token) 및 영구 시크릿(permanent secret)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페어링 프로세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jj12ejefjf933") 및 임시 시크릿(cd93rwhskf))(1401)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PIN 코드("CD123456AB")를 입력받은 경우,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jj12ejefjf933") 및 임시 시크릿(cd93rwhskf))(1401)를 이용하여 PIN 코드("CD123456AB")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PIN 코드(1402)는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jj12ejefjf933") 및 임시 시크릿(cd93rwhskf))(1401)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PIN 코드(1402)를 복호화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복호화된 PIN 코드("CD123456AB")(1403)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BYOD 디바이스로 동작하기 위한 유효한 PIN 코드를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효한 PIN 코드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f49hesfi39e") 및 영구 시크릿("sdf9q0qjf03"))(1404)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f49hesfi39e") 및 영구 시크릿("sdf9q0qjf03"))(1404)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로써, 페어링 프로세스는 완료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BYOD 디바이스로서 신뢰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f49hesfi39e") 및 영구 시크릿("sdf9q0qjf03"))(1404)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삭제하기 전까지는, BYOD 서비스를 위하여 계속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BYOD 디바이스로서 화상형성장치(200)에 특정 커맨드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저장된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f49hesfi39e") 및 영구 시크릿("sdf9q0qjf03"))(1404)를 특정 커맨드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BYOD 디바이스가 전송한 유효한 커맨드임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증시켜 줄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200)는 어떠한 디바이스가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 없이 커맨드를 전송할 경우, 이 커맨드에 대해서는 유효하지 않는 커맨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를 갖지 않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커맨드가 전송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이 제어 커맨드를 무시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PIN 코드를 인증한 후 PIN 코드에 할당된 권한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회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PIN 코드의 종류마다, 사용 가능한 권한, 유효기간 등을 지정한 관리 테이블(1500)이 도시되어 있다.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A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입력된 PIN 코드가 "CD123456AB"인 경우를 가정한다. 화상형성장치("MFP A")(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PIN 코드의 복호화 결과 PIN 코드가 "CD123456AB"인 경우, PIN 코드 "CD123456AB"에 할당된 권한("∞"), 유효기간("∞") 등에 관한 정보(1501)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회신할 수 있다. 따라서, PIN 코드 "CD123456AB"가 부여된 BYOD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권한 및 유효기간의 제한 없이 화상형성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200)는 PIN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된 경우, PIN 코드에 부여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접근 가능한 권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PIN 코드가 "SF8FW93KS"이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A가 아닌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BYOD 디바이스로 동작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설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B라 할지라도,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입력된 PIN 코드가 "SF8FW93KS"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MFP A")(200)의 인쇄 및 스캔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고, 2015년 12월 31일까지만 화상형성장치("MFP A")(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다.
관리 테이블(1500)은 BYOD 환경의 관리자 또는 어느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지정된 BYOD 디바이스 설정 정보로서, PIN 코드 값들마다 별개의(서로 다른) 권한, 유효기간 등과 같은 권한 정보들이 지정된 테이블일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0) 또는 BYOD 환경의 관리자는 관리 테이블(1500)을 설정하여 BYOD 디바이스의 권한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6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페어링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160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페어링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로 전송한다.
160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에 의해 발행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수신한다.
160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PIN 코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입력부(130)를 통해 PIN 코드를 입력한다.
160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이용하여, 입력된 PIN 코드를 암호화(encrypt)한다.
16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암호화된 PIN 코드를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로 전송한다.
160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에 의해 PIN 코드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PIN 코드에 할당된 권한 정보(도 15의 관리 테이블(1500)에 의해 지정된 정보(1501))와 함께,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를 수신한다.
1607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제어 명령과 함께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를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로 전송한다. 이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BYOD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페어링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161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페어링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로부터 수신한다.
161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발행하고,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로 전송한다.
161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에 의해 암호화된 PIN 코드를 수신한다.
161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PIN 코드를 복호화(decrypt)한다.
161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복호화된 PIN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PIN 코드가 유효하지 않다면 페어링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하지만, PIN 코드가 유효하면, 1616 단계로 진행된다.
161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임시 임시 크리덴셜 정보(임시 토큰 및 임시 시크릿)를 폐기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위한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를 발행한다.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로 전송한다.
1617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PIN 코드에 할당된 권한 정보(도 15의 관리 테이블(1500)에 의해 지정된 정보(1501))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로 전송한다.
1618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로부터 영구 크리덴셜 정보(영구 토큰 및 영구 시크릿)와 제어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제어 커맨드에 따른 화상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의한 BYOD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BYOD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200)에는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1, 102 및 103)이 각각 BYOD 디바이스로서 연결될(페어링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들(101, 102 및 103)은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에 해당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1)는 화상형성장치(200)에 BYOD 디바이스로서 페어링된 경우, 특정 이벤트("작업 처리(job processing)")의 발생에 대한 알림만을 수신하도록 원하는 이벤트 종류를 등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1)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 중 모바일 디바이스(101)가 수신하고자 하는 이벤트 목록에 관한 등록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인쇄 완료, 스캔 완료 등과 같은 화상 작업 처리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1)의 통신부(140)는 등록된 이벤트에 관한 알림을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200)는 이벤트 목록에 포함된 이벤트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된 경우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모바일 디바이스(101)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디바이스(101)가 다른 종류의 이벤트들에 관해서 등록하지 않은 경우,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에러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되어도 모바일 디바이스(101)에는 이 에러 이벤트 발생에 관한 알림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에러 발생("Device Error")에 관한 이벤트를 등록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1)의 통신부(14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된 에러(예를 들어, 용지 부족, 용지 걸림, 토너 부족 등)에 관한 이벤트만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된 모든 이벤트("All event")를 등록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의 조작부(210)와 동일하게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이벤트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해 등록된 이벤트(예를 들어, "event A")가 발생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이벤트("event A")의 발생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로 푸시하는 이벤트 전송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해 등록된 이벤트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될 때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데이터 푸시 방식을 이용하여 바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이벤트 발생의 알림을 통지한다. 데이터 푸시 방식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이벤트 알림 메시지(1801)("100 페이지 인쇄 완료!")가 바로 제공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지시한 이벤트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잘 처리되었는지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문제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뿐만 아니라, 이벤트("event A")에 관하여 등록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에게도 이벤트("event A")의 발생에 관한 알림이 푸시될 수도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에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웹소켓(WebSocket)이 사용될 수 있다. WebSocket은 실시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로서,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WebSocket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 사이에 소켓 포트(socket port)가 설정되어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WebSocket를 위한 소켓 포트로서, 오픈 포트인 80 포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8에서는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 간의 이벤트 전송 방식이 데이터 푸시 방식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 폴링(polling) 방식 또는 데이터 롱 폴링(long polling)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전송 방식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a를 참고하면, 연결 수립 방법은 앞서 도면들에서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들은 도 19a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9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페어링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발행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190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해 암호화된 PIN 코드를 수신한다.
19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제어부(220)는 암호화된 PIN 코드를 발행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PIN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한다.
19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통신부(230)는, 메인 제어부(220)에 의해 PIN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된 경우, 영구 크리덴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리턴한다.
도 19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b를 참고하면, 연결 수립 방법은 앞서 도면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들은 도 19b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91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화상형성장치(200)로 페어링 요청을 전송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에 의해 발행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다.
191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PIN 코드를, 수신된 임시 크리덴셜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191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암호화된 PIN 코드를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한다.
191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PIN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영구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BYOD 서비스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순서를 정의하는 워크폼(workform)을 설정하고, 설정된 워크폼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BYOD 서비스를 이용하여 워크폼을 생성, 관리 및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YOD 환경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워크폼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워크폼이란 화상형성장치(200A, 200B)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순서를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지원하고, 휴대가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화상형성장치(200A, 200B)란 스캐너, 프린터, 팩스 또는 복합기 등과 같이 스캔, 인쇄 및 팩스 등의 화상형성작업의 수행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워크폼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화상형성장치(200A, 200B)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이용하는 작업을 원하는 순서대로 조합하여 워크폼을 생성할 수 있다. 워크폼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워크폼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생성 및 관리되며, 워크폼이 실행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중심이 되어 워크폼에 정의된 순서에 따라 작업 수행을 관리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실행된 워크폼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A, 200B)의 기능을 이용하는 작업이 수행될 순서에는 화상형성장치(200A, 200B)에 작업 수행 명령을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이용하는 작업이 수행될 순서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 구성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워크폼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00A, 200B)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조합하여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크폼은 화상형성장치(200A)가 스캔을 수행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 또는 SMB(Server Message Block) 서버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복합기(200B)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워크폼은 화상형성장치(200A)의 팩스 문서 수신으로 시작될 수도 있으며, 중간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문서 또는 이미지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워크폼 생성이 가능하며, 워크폼의 다양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YOD 서비스를 이용하는 워크폼을 구성하는 3 가지 요소는 입력(input), 변환(transform) 및 전송(transmit)이다. 즉, 워크폼을 통한 작업의 수행은, 작업의 대상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작업 대상을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YOD 서비스를 이용하는 워크폼을 설정하는 과정은 크게 3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입력 소스를 설정하고, 그 다음으로 변환 방법을 설정하며, 마지막으로 전송 목적지를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워크폼을 설정하고 실행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처음으로, 작업 대상을 입력받을 입력 소스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카메라" 앱(app)을 선택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을 작업 대상으로서 입력받는다.
이어서, 입력받은 작업 대상을 변환하는 방법을 설정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변환 없이 목적지로 전송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작업 대상을 전송할 전송 목적지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촬영된 사진을 인쇄하고자 하므로, 전송 목적지는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또는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가 될 수 있다. 전송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디스커버리(discovery)를 수행하고,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110)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목록(2110)에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모델명 및 위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110) 중에서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의 속성을 "인쇄"로 지정함으로써 전송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쇄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커버리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케이퍼빌리티(capability)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케이퍼빌리티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옵션 항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옵션 항목들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선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장치와 페어링(pairing)을 시도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 단계에서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언제든지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대기하며, 이벤트(event)가 발생할 경우, 즉 워크폼이 실행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사진이 촬영될 경우, 촬영된 사진을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며 인쇄를 요청한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의 생성시에는 전송 목적지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고, 추후에 워크폼이 실행되어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화상형성장치가 입력 소스로서 선택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장치의 디스커버리 및 페어링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워크폼 설정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3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입력 소스 설정, 변환 방법 설정 및 전송 목적지 설정이 완료되면, 워크폼(2120)이 생성 및 저장된다. 저장되는 워크폼(2120)의 명칭은 "Camera => Print"와 같이 워크폼(2120)에서 정의된 작업의 내용 및 수행 순서가 식별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후에 저장된 워크폼(2120)을 선택하고 실행시킴으로써 워크폼(2120)에서 정의된 작업들이 순서에 따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워크폼 목록에서 "Camera => Print" 워크폼(2120)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자동으로 카메라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카메라 기능의 실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사진이 촬영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사진을 워크폼(2120)에서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며 인쇄를 요청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되어 워크폼(2120)에 저장된 인쇄 옵션을 함께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인쇄 옵션은 앞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한 사진을 수신한 인쇄 옵션에 따라 인쇄함으로써 워크폼(2120)의 실행은 완료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2301 단계에서 사용자는 입력 소스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앱을 선택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을 작업 대상으로서 입력받는다.
2302 단계에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전송 목적지를 설정하고자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2303 단계에서 사용자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 목적지로 설정하고, 속성을 "인쇄"로 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인쇄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송 목적지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송 목적지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시도한다. 페어링 수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부분을 참조한다.
230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설정된 입력 소스 및 전송 목적지에 따라서 워크폼을 생성 및 저장한다. 이때, 워크폼의 명칭은 워크폼에서 정의하는 작업 내용 및 수행 순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복합기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240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워크폼을 실행한다. 이때, 실행되는 워크폼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촬영된 사진을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인쇄하도록 작업 수행 순서를 정의하고 있다. 워크폼이 실행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자동으로 카메라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카메라 기능의 실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2402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2403 단계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촬영된 사진을 미리 설정된 인쇄 옵션 설정과 함께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는 2401 단계에서 실행된 워크폼에서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장치이다. 인쇄 옵션은 앞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화상형성장치(200)를 전송 목적지로 설정하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시에 이미 페어링을 수행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2401 단계에서 워크폼이 실행된 이후에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24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한 사진을 수신한 인쇄 옵션에 따라서 인쇄함으로써 워크폼은 종료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처음으로, 사용자는 작업 대상, 즉 스캔 이미지를 입력받을 입력 소스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한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510)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510) 중에서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의 속성을 "스캔"으로 지정함으로써 입력 소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캔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커버리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케이퍼빌리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케이퍼빌리티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스캔 옵션 항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옵션 항목들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선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pairing)을 시도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 단계에서 입력 소스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언제든지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대기하며, 이벤트(event)가 발생할 경우, 즉 워크폼이 실행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이 수행될 경우, 스캔 이미지를 입력 소스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의 생성시에는 입력 소스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고, 추후에 워크폼이 실행되어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치의 디스커버리 및 페어링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워크폼 설정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3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하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입력받은 스캔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이미지 에디터(image editor)" 앱을 변환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즉, 워크폼 수행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이미지 에디터" 앱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스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집된 스캔 이미지를 전송할 전송 목적지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이메일(email)" 앱을 전송 목적지로 설정하였다. 즉, 편집이 완료된 스캔 이미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이메일" 앱을 통해 이메일로 전송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미지를 전송할 이메일 주소를 미리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소스 설정, 변환 방법 설정 및 전송 목적지 설정이 완료되면, 워크폼(2520)이 생성 및 저장된다. 저장되는 워크폼(2520)의 명칭은 "Scan => Edit => Email"과 같이 워크폼(2520)에서 정의된 작업의 내용 및 수행 순서가 식별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후에 저장된 워크폼(2520)을 선택하고 실행시킴으로써 워크폼(2520)에서 정의된 작업들이 순서에 따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워크폼 목록에서 "Scan => Edit => Email" 워크폼(2520)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입력 소스로 지정된 화상형성장치(200)를 알려주고, 스캔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안내에 따라 입력 소스로 지정된 화상형성장치(200)로 다가가서 스캔을 수행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획득한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 소스로 지정된 화상형성장치(200)에게, 스캔이 수행되면 스캔 이미지를 자신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커맨드를 미리 전송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는 스캔이 완료되면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면, 워크폼에 정의된 바에 따라 자동으로 "이미지 에디터" 앱을 실행시킨다. "이미지 에디터"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스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캔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완료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메일" 앱을 실행시키고, 편집된 이미지를 워크폼에 저장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한다. 이때, 이미지가 전송되는 이메일 주소는 앞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27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 소스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고자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2702 단계에서 사용자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 소스로 설정하고, 속성을 "스캔"으로 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스캔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소스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 소스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시도한다. 페어링 수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부분을 참조한다.
2703 단계에서 사용자는 변환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에디터 앱을 선택한다. 즉, 사용자는 워크폼 수행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에디터 앱을 통해서 스캔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2704 단계에서 사용자는 전송 목적지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메일 앱을 선택한다. 즉, 편집이 완료된 스캔 이미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메일 앱을 통해 이메일로 전송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미지를 전송할 이메일 주소를 미리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27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설정된 입력 소스, 변환 방법 및 전송 목적지에 따라서 워크폼을 생성 및 저장한다. 이때, 워크폼의 명칭은 워크폼에서 정의하는 작업 내용 및 수행 순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280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워크폼을 실행한다. 이때, 실행되는 워크폼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도록 작업 수행 순서를 정의하고 있다.
280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 소스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스캔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스캔을 수행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요청과 함께 워크폼에 저장된 스캔 옵션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스캔 옵션은 앞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화상형성장치(200)를 입력 소스로 설정하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28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는 2802 단계에서 스캔 요청과 함께 수신한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28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시에 이미 페어링을 수행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2801 단계에서 워크폼이 실행된 이후에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면, 워크폼에 정의된 바에 따라 이미지 에디터 앱을 실행하고, 28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스캔 이미지를 편집한다.
스캔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면, 280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메일 앱을 실행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함으로써 워크폼은 종료된다. 이때, 이미지가 전송될 이메일 주소는 앞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처음으로, 사용자는 작업 대상, 즉 스캔 이미지를 입력받을 입력 소스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한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910)을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910) 중에서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의 속성을 "스캔"으로 지정함으로써 입력 소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캔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커버리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케이퍼빌리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케이퍼빌리티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스캔 옵션 항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옵션 항목들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선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시도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 단계에서 입력 소스로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언제든지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대기하며,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즉 워크폼이 실행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이 수행될 경우, 스캔 이미지를 입력 소스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의 생성시에는 입력 소스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고, 추후에 워크폼이 실행되어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치의 디스커버리 및 페어링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워크폼 설정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3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하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입력받은 스캔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이미지 에디터" 앱을 변환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즉, 워크폼 수행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이미지 에디터" 앱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스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집된 스캔 이미지를 전송할 전송 목적지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된 이미지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를 전송 목적지로 설정한다. 전송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920)을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목록(2920)에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모델명 및 위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검색된 장치들의 목록(2920) 중에서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의 속성을 "인쇄"로 지정함으로써 전송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소스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와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전송 목적지로 설정하였다. 도 29를 참조하면, 입력 소스로서는 "Development team"에 위치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였고, 전송 목적지로서는 "OA room"에 위치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어떤 화상형성장치는 스캔 기능을 지원하지만 컬러 인쇄를 지원하지 않고, 다른 화상형성장치는 컬러 인쇄를 지원하지만 스캔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쇄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전송 목적지로 화상형성장치를 설정시 인쇄 옵션을 설정하는 방법은 앞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선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장치와 페어링을 시도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 단계에서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언제든지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대기하며,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즉 워크폼이 실행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스캔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될 경우, 편집된 이미지를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며 인쇄를 요청한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의 생성시에는 전송 목적지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고, 추후에 워크폼이 실행되어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치의 디스커버리 및 페어링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워크폼 설정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3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입력 소스 설정, 변환 방법 설정 및 전송 목적지 설정이 완료되면, 워크폼(2930)이 생성 및 저장된다. 저장되는 워크폼(2930)의 명칭은 "Scan => Edit => Print"와 같이 워크폼(2930)에서 정의된 작업의 내용 및 수행 순서가 식별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후에 저장된 워크폼(2930)을 선택하고 실행시킴으로써 워크폼(2930)에서 정의된 작업들이 순서에 따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워크폼 목록에서 "Scan => Edit => Print" 워크폼(2930)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입력 소스로 지정된 화상형성장치(200)를 알려주고, 스캔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안내에 따라 입력 소스로 지정된 화상형성장치(200A)로 다가가서 스캔을 수행하면, 화상형성장치(200A)는 획득한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 소스로 지정된 화상형성장치(200A)에게, 스캔이 수행되면 스캔 이미지를 자신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커맨드를 미리 전송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A)는 스캔이 완료되면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A)로부터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면, 워크폼에 정의된 바에 따라 자동으로 "이미지 에디터" 앱을 실행시킨다. "이미지 에디터"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스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캔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완료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편집된 이미지를 워크폼(2930)에서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200B)로 전송하여 인쇄를 요청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되어 워크폼(2930)에 저장된 인쇄 옵션을 함께 화상형성장치(200B)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인쇄 옵션은 앞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B)는 수신한 이미지를 수신한 인쇄 옵션에 따라 인쇄함으로써 워크폼(2930)의 실행은 완료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31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 소스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고자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3102 단계에서 사용자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 소스로 설정하고, 속성을 "스캔"으로 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스캔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소스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 소스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시도한다. 페어링 수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부분을 참조한다.
3103 단계에서 사용자는 변환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에디터 앱을 선택한다. 즉, 사용자는 워크폼 수행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에디터 앱을 통해서 스캔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3104 단계에서 사용자는, 3101 단계의 디스커버리 수행 결과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 목적지로 설정하고, 속성을 "인쇄"로 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3102 단계에서 입력 소스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전송 목적지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쇄 옵션을 설정하여 워크폼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송 목적지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송 목적지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시도한다. 페어링 수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부분을 참조한다.
31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설정된 입력 소스, 변환 방법 및 전송 목적지에 따라서 워크폼을 생성 및 저장한다. 이때, 워크폼의 명칭은 워크폼에서 정의하는 작업 내용 및 수행 순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워크폼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320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워크폼을 실행한다. 이때, 실행되는 워크폼은 어느 화상형성장치(200A)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200B)에서 인쇄하도록 작업 수행 순서를 정의하고 있다.
320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 소스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200A)에 스캔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A)에서 스캔을 수행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요청과 함께 워크폼에 저장된 스캔 옵션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스캔 옵션은 앞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화상형성장치(200A)를 입력 소스로 설정하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32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A)는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A)는 3202 단계에서 스캔 요청과 함께 수신한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32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A)는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A)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시에 이미 페어링을 수행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3201 단계에서 워크폼이 실행된 이후에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A)로부터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면, 워크폼에 정의된 바에 따라 이미지 에디터 앱을 실행하고, 32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스캔 이미지를 편집한다.
스캔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면, 320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편집된 이미지를 전송 목적지로 설정된 화상형성장치(200B)로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인쇄 옵션을 편집된 이미지와 함께 화상형성장치(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인쇄 옵션은 앞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화상형성장치(200B)를 전송 목적지로 설정하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B)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폼 생성시에 이미 페어링을 수행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3201 단계에서 워크폼이 실행된 이후에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3207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B)는 수신한 사진을 수신한 인쇄 옵션에 따라서 인쇄함으로써 워크폼은 종료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크폼 생성시에 화상형성장치가 입력 소스 또는 전송 목적지로서 선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워크폼 생성시의 페어링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폼 생성시에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상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3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 소스 또는 전송 목적지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고자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사용자는 검색된 디바이스의 목록 중에서 원하는 화상형성장치(200)를 선택한다.
화상형성장치(200)가 선택되면, 330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요청을 전송한다.
330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PIN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PIN을 입력받는다.
330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수신한 PIN을 전송하며 등록을 요청한다.
33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한 PIN이 미리 저장된 PIN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PIN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3302 단계로 돌아가서 PIN 입력을 다시 요청하고, PIN이 일치한다면 3306 단계로 진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토큰(token) 및 시크릿(secret)과 같은 보안 정보를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3306 단계에서 수신한 토큰 및 시크릿을 이용하여 이후에 화상형성장치(200)에 접근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3301 단계부터 3306 단계는 기기 등록 단계(3310)에 해당되며, 기기 등록이 완료된 후에는 등록된 기기의 속성을 설정하는 속성 설정 단계(3320)가 이어진다. 속성 설정 단계(3320)는 3307 단계부터 3309 단계로 구성된다.
3307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케이퍼빌리티를 요청하고, 3308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케이퍼빌리티를 응답한다. 이때, 케이퍼빌리티는 화상형성장치(200)가 수행 가능한 기능, 디바이스 상태 정보 및 설정 가능한 옵션 항목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3309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면에 선택 가능한 기능 및 설정 가능한 옵션 항목들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기능을 선택하고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0)를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 소스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속성으로 "스캔"을 지정하고, 스캔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0)를 인쇄를 하기 위한 전송 목적지로서 사용자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속성으로 "인쇄"를 지정하고, 인쇄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화상형성장치(200)간의 페어링은 워크폼 생성시가 아닌 워크폼 실행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폼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3401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워크폼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화상형성장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입력 소스로 설정한다. 즉, 작업 대상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소스로서 화상형성장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작업 대상을 획득하기 위한 기능을 설정한다.
3402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이용한 변환 방법을 설정한다. 즉, 입력 소스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대상을 변환하기 위한 방법을 설정한다.
3403 단계에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전송 목적지로 설정한다. 즉, 3402 단계에서 설정된 변환 방법에 의해 변환된 작업 대상을 전송할 목적지로서 화상형성장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 예를 들면 이메일 주소 등을 설정한다.
340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앞선 단계들에서 설정된 입력 소스, 변환 방법 및 전송 목적지를 정의하는 워크폼을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 작업 요청을 하려고 할 때, 화상형성장치가 이미 다른 작업을 수행 중이라면, 사용자는 수행 중인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작업을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작업 예약 방법을 제공한다.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작업 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350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로부터 작업 대기 정보 확인 요청을 수신한다. 즉,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00)가 현재 다른 작업을 수행 중이어서 새로운 작업을 수행하려면 대기해야 하는지에 대한 확인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요청할 수 있다.
350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화상형성장치(200)에 작업 대기 요청 정보를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200)는 3503 단계에서 작업 대기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는 다른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을 수행 중이라면, 현재 화상형성장치(200)의 상태 정보 및 작업 예약을 요청한 다른 대기자가 몇 명 있는지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작업 대기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350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작업 예약 요청을 수신하면, 3505 단계에서 작업 예약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다.
작업 예약 요청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200)는 350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기 번호를 전송한다.
3507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다른 사용자의 작업 완료를 확인하면, 3508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다른 사용자의 작업 완료 알림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는, 다른 사용자의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알림이 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작업 완료 알림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동안 작업을 예약한 사용자에게 우선권이 부여된다. 따라서, 이 구간 동안에는 화상형성장치(200)는 작업을 예약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로부터 작업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하지만, 작업을 예약한 사용자가 작업 완료 알림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작업 요청을 하지 않는다면, 예약자에 대한 우선권은 소멸된다.
3509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작업 완료 알림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작업 요청을 수신한다면, 35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작업 수행 요청을 전송하고, 351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요청 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도 36 및 도 37에는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작업 예약 방법의 수행 과정을 구체적인 도면으로 표현하였다.
도 3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다른 사용자의 작업을 수행하는 중이라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서 작업 대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작업 대기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화상형성장치(200)는 카피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는 정보 및 작업을 예약한 다른 사용자가 2명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화면에서 "예약"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예약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화상형성장치(200)는 대기 번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다른 사용자의 작업 완료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알림을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는 "Scanner is now available"과 같이 현재 화상형성장치(200)가 사용 가능하다는 알림이 표시된다.
알림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되면, 알림이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200)는 락(lock)되어 예약자에게 우선권이 부여된다. 만약,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화상형성장치(200)에 NFC 태깅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업을 요청하면, 화상형성장치(200)의 락이 해제되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요청 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BYOD 환경에서, 사용자는 BYOD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화상형성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다양한 제품 타입의 화상형성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들은 각각의 제품 타입 또는 모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UI(User Interface)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들의 제품 타입 또는 모델 종류와 상관없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은 BYO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UP(Unified Protocol) 통신을 공통으로 수행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제품 타입 또는 모델 종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가지는 각각의 UI의 형태와 상관없이, 사용자는 UP 통신을 수행하는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들이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지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지원하는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3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8을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컨트롤러(110), 디스플레이부(120), 입력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RAM(미도시), ROM(미도시), CPU(미도시), GPU(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AM, ROM, CPU, 및 GPU 등은 데이터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가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GPU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GPU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GPU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12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110)는 입력부(130)에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30)는 키패드,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표시 패널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하나의 BYOD 애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제품 타입 또는 모델 종류의 화상형성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들과 UP(Unified Protocol)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저장부(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컨트롤러(11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들에 관한 정보,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워크플로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다양한 UP 커맨드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BYOD 애플리케이션과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각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애플리케이션들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들이 지원하는 각각의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는 각각의 기능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30)를 통한 BYOD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BYOD 애플리케이션을 가져와서,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러(11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워크플로우를 저장부(150)로부터 가져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워크플로우를 선택받을 수 있다. 워크플로우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이 조합된 형태이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 있다. 컨트롤러(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40)는 선택된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화상형성장치(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1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임의의 기능이 실행 완료되면 그 다음 처리 순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YOD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이 순서대로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선택한 경우,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컨트롤러(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워크플로우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대로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스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200)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110)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화상형성장치(200)가 UP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되면,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캔 기능이 실행 완료되면 그 다음 처리 순서의 편집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를 제어하여, 스캔 기능과 같은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편집 기능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워크플로우를 처리할 수 있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관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더라도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단계 39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BYOD 서비스 요청에 따라,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으며, BYOD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워크플로우를 선택받을 수 있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 있다.
단계 39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화상형성장치(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단계 39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200)의 제 1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임의의 기능이 실행 완료되면 그 다음 처리 순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의 처리 순서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의 처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기능에 관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한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을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해, 구체적인 워크플로우들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설명의 편의상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라고 지칭한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의 처리 순서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의 처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이와 같은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40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BYOD 서비스 요청에 따라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선택받을 수 있다.
40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연결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1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워크플로우를 선택함에 따라,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BYOD 서비스 요청에 따라,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사전에 미리 정의된 형태의 워크플로우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후 수정" 이라는 워크플로우가 표시될 수 있다. 사전에 미리 정의된 워크플로우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워크플로우들이 포함된 워크플로우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워크플로우를 확인하고, 원하는 워크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워크플로우를 터치하여, 워크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연결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최초 연결인 경우, 상대 장치를 등록하는 등록 절차를 거치고, 최초 연결이 아닌 경우,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함으로써, 워크플로우 처리를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40을 참고하면, 401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제어하여,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스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40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스캔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UP 커맨드가 UP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될 수 있다.
4025 단계에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스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UP 커맨드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40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가 스캔한 스캔 문서를 UP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도 42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을 실행시킨 후 스캔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 후 수정"이라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먼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2를 참고하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제공되는, 스캔 기능에 관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현재 제공되는 케이퍼빌리티 정보, 즉, 원고 사이즈, 원고 방향, 양면 스캔, 컬러 모드 등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스캔 옵션, 스캔 문서의 저장 위치, 파일 이름 등이 포함된 UP 커맨드가 스캔 기능을 실행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UP 커맨드에 따라, 스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스캔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스캔 기능의 실행 상태를 웹 소켓(Web socket) 방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스캔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스캔중임을 나타내는 팝업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스캔할 문서가 여러 페이지인 경우, 다음 페이지에 대한 스캔 기능 실행 여부를 묻는 팝업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스캔 기능이 실행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스캔 문서가 수신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수신중임을 나타내는 팝업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스캔 문서의 수신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스캔 후 수정"이라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캔 기능이 실행 완료된 것으로 보고, 다음 처리 순서인 편집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수신한 스캔 문서를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편집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40을 참고하면, 403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스캔 문서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편집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스캔 문서가 수신되면,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캔 기능이 실행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다음 처리 순서인 편집 기능의 실행을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40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된 편집 기능의 실행 명령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수신된 스캔 문서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에 편집 기능을 실행한 편집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3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스캔 문서와 함께 표시된 다양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스캔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되는 편집 툴에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사진 촬영 툴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고, 그리기 툴은 그림판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으며, 이미지 첨부 툴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도 44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을 실행할 때, 그리기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의 편집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그리기 툴을 선택하면, 그리기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리기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캔 문서의 이미지에 선이나 모양을 그려넣을 수 있다. 그리기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는 선 색깔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 화면과, 선 두께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기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 인터페이스의 "X" 버튼을 눌러, 그리기를 종료할 수 있다.
도 45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을 실행할 때, 이미지 첨부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의 편집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이미지 첨부 툴을 선택하면, 이와 연동되어 있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첨부할 이미지가 선택되면, 이미지 첨부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지 첨부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캔 문서에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다. 이미지 첨부에 관한 조작 인터페이스는 첨부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우측 하단의 위치 조정 버튼을 길게 눌러 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하고, 좌측 상단의 확인 버튼을 눌러 조정된 위치에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다. 우측 상단의 제거 버튼을 눌러 첨부하려고 하였던 이미지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미지 첨부가 종료되면, 이미지가 첨부된 스캔 문서가 저장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이미지 확대/축소/이동 툴을 이용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캔 후 수정"이라는 워크플로우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에 해당하는 편집 애플리케이션과 편집 툴에 연동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처리될 수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 및 문서 발송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에서 예로 들은 워크플로우와 비교해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문서 발송 기능이 더 조합된 워크플로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워크플로우를 "스캔 후 수정 및 발송"이라 지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편집 기능 및 문서 발송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우선이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는 문서 발송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마지막인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워크플로우가 처리될 수 있다.
도 46에서, 단계 4605 내지 단계 4640은 도 40에서 설명한 단계 4005 내지 단계 4040과 그 설명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음 단계인 4645부터 이하 설명한다.
4645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마지막 순위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는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문서 발송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문서 발송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46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를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를 외부 기기로 발송하는 문서 발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편집 문서에 대해 문서 발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7은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문서 발송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 후 수정 및 발송"이라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문서 편집이 종료되면, 발송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송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에서 편집 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 문서를 선택하여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편집 문서의 발송을 위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편집 문서를 발송하고, 문서 발송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캔 후 수정 및 발송"이라는 워크플로우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에 해당하는 편집 애플리케이션과 문서 발송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처리될 수 있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 및 공유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에서 예로 들은 워크플로우와 비교해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공유 기능이 더 조합된 워크플로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워크플로우를 "스캔 후 수정 및 공유"라 지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편집 기능 및 공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우선이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는 공유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마지막인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워크플로우가 처리될 수 있다.
도 48에서, 단계 4805 내지 단계 4840은 도 40에서 설명한 단계 4005 내지 단계 4040과 그 설명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음 단계인 4845부터 이하 설명한다.
4845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마지막 순위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는 공유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유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공유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48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를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를 공유하는 공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편집 문서에 대해 공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9는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공유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 후 수정 및 공유"라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문서 편집이 종료되면, 공유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유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에서 편집 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 문서를 선택하여 문서 공유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유 애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편집 문서의 공유를 위해 문서 전송 및 공유를 수행할 수 있는 "S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최근 사용한 공유 애플리케이션들을 별도로 보여주는 숏 컷(short cut) 기능에 따라, "S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편집 문서를 외부 기기와 공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캔 후 수정 및 공유"이라는 워크플로우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에 해당하는 편집 애플리케이션과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처리될 수 있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 및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문서 발송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에서 예로 들은 워크플로우와 비교해보면,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문서 발송 기능이 더 조합된 워크플로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6에서 예로 들은 워크플로우와 비교해 보면, 문서 발송 기능을 실행하는 주체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아닌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워크플로우를 "스캔 후 수정 및 대리 발송"이라 지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편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우선이고,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문서 발송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마지막인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워크플로우가 처리될 수 있다.
도 50에서, 단계 5005 내지 단계 5040은 도 40에서 설명한 단계 4005 내지 단계 4040과 그 설명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음 단계인 5045부터 이하 설명한다.
5045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마지막 순위를 가지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문서 발송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제어하여,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문서 발송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문서 발송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50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편집 문서에 대한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문서 발송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편집 문서에 대한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문서 발송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편집 문서에 대한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UP 커맨드가 UP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될 수 있다.
5055 단계에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편집 문서에 대한 문서 발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UP 커맨드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506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편집 문서에 대한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1은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문서 발송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 후 수정 및 대리 발송"이라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문서 편집이 종료되면, 발송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송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에서 편집 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 문서를 선택하고, 제 1 화상형성장치(200-1)가 지원하는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 문서에 대한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UP 커맨드가 UP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편집 문서와 함께 편집 문서의 수신처 및 문서 발송 명령을 수신하고, 편집 문서를 발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워크플로우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문서 발송이 곤란한 경우, 문서 발송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편집 문서를 발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캔 후 수정 및 대리 발송"이라는 워크플로우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에 해당하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처리될 수 있다.
도 5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관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더라도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설명의 편의상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들을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라고 지칭한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제 1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제 2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52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 및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는 제 2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 및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는 제 2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BYOD 서비스 요청에 따라,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으며, BYOD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워크플로우를 선택받을 수 있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 있다.
단계 52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하고,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제 1 화상형성장치(200-1) 및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와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데,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우선이고,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는 제 2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마지막인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워크플로우가 처리될 수 있다.
단계 52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가 지원하는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제공되는, 제 1 기능에 관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한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을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2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52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능이 실행된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한 제 2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된 제 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 2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제 1 화상형성장치(200-1)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및 제 2 화상형성장치(200-2)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해, 구체적인 워크플로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스캔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 및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의 인쇄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워크플로우를 "스캔 후 수정 및 인쇄"라 지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편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사양의 컬러 인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우선이고,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는 인쇄 기능의 처리 순서가 가장 마지막인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워크플로우가 처리될 수 있다.
53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BYOD 서비스 요청에 따라 BYO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 및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는 인쇄 기능이 조합된 워크플로우를 선택받을 수 있다.
53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하고,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연결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인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를 연결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4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워크플로우를 선택함에 따라,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BYOD 서비스 요청에 따라,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사전에 미리 정의된 형태의 워크플로우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후 수정 및 출력" 또는 "스캔 수정 후 저장" 과 같이 복수 개의 워크플로우들이 포함된 워크플로우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워크플로우를 확인하고, 원하는 워크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스캔 후 수정 및 출력"이라는 워크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캔 기능을 실행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인쇄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와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 및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페어링 프로세스, 및 이벤트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함으로써, 워크플로우 처리를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53을 참고하면, 531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는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제어하여,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스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53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스캔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UP 커맨드가 UP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 전송될 수 있다.
5325 단계에서,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스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UP 커맨드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되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53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가 스캔한 스캔 문서를 UP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533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스캔 문서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편집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스캔 문서가 수신되면,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캔 기능이 실행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다음 처리 순서인 편집 기능의 실행을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53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로부터 수신된 스캔 문서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에 편집 기능을 실행한 편집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5345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마지막 순위를 가지는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는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쇄 기능을 지원하는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를 제어하여,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인쇄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캔 문서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의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53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편집 문서에 대한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편집 문서에 대한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인쇄 기능을 지원하는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를 제어할 수 있도록, 편집 문서에 대한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UP 커맨드가 UP 통신 방식에 따라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로 전송될 수 있다.
5355 단계에서,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는 편집 문서에 대한 인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지원하는 인쇄 기능은 제 1 화상형성장치(200-1)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 있다.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UP 커맨드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되는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536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쇄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편집 문서에 대한 인쇄 기능의 실행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5는 스캔 문서를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의 인쇄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 후 수정 및 출력"이라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문서 편집이 종료되면, 인쇄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쇄할 문서를 선택하는 화면에서 편집 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 문서를 선택하고,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를 제어할 수 있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 2 화상형성장치(200-2)가 지원하는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YO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편집 문서에 대한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UP 커맨드가 UP 통신 방식에 따라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화상형성장치(200-2)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편집 문서에 대해 인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화상형성장치(200-2)에서 실행되는 인쇄 기능의 실행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캔 후 수정 및 출력"이라는 워크플로우는 제 1 화상형성장치(200-1)나 제 2 화상형성장치(200-2)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리소스에 해당하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들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을 조합하여 생성한 워크플로우(workflow)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워크플로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된 상기 워크플로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플로우에 정의된, 상기 제 1 기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만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 1 화상형성장치로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1 기능에 관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을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는 제 2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제 2 기능이 더 조합되고,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화상형성장치를 더 연결하며,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이 실행된 결과에 대한 상기 제 2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된 제 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제 2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능은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 기능이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은 문서를 편집하는 편집 기능일 때,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스캔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캔 문서에 대해 상기 편집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문서 발송 기능이 더 조합되고,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문서를 상기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를 외부 기기로 발송하는 상기 문서 발송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공유 기능이 더 조합되고,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문서를 상기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를 외부 기기와 공유하는 상기 공유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플로우는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발송 기능이 더 조합되고,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문서를 상기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상기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문서 발송 기능의 실행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는 제 2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인쇄 기능이 더 조합되고,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화상형성장치를 더 연결하며,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문서를 상기 편집 기능으로 편집한 편집 문서에 대한 상기 인쇄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된 제 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기능의 실행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을 조합하여 생성한 워크플로우(workflow)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워크플로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워크플로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워크플로우 처리에 이용되는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워크플로우에 정의된, 상기 제 1 기능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만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에 대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을 실행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1 기능에 관한 케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명령을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연결된 제 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는 제 2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제 2 기능이 더 조합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화상형성장치를 더 연결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만의 기능이 실행된 결과에 대한 상기 제 2 기능의 실행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연결된 제 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제 2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70038432A 2017-03-27 2017-03-27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20170037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432A KR20170037919A (ko) 2017-03-27 2017-03-27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432A KR20170037919A (ko) 2017-03-27 2017-03-27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90A Division KR20160076371A (ko) 2014-12-22 2014-12-22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919A true KR20170037919A (ko) 2017-04-05

Family

ID=5858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432A KR20170037919A (ko) 2017-03-27 2017-03-27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9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915B2 (en) Method of processing workflow in which a func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function of a mobile device are combined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038322B1 (en) Method of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mobi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037954B1 (en) Method of generating workform by using byod service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750049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10312238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EP314816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142094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모바일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JP669025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
US202101053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4020157A1 (en) Output system, system, output method, and carrier means
JP645115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01439B2 (ja) プリントシステム、仲介サーバ、印刷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2069802A (ja) 出力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認証方法
JP2021060974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KR20160076421A (ko) Byod 서비스를 이용한 워크폼의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EP39854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utput system, out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7041698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通信方法
JP2018195268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111718B (zh) 在移动设备与成像装置之间建立连接的方法、成像装置和移动设备
KR20170037919A (ko)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20170058342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60076305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JP2016174228A (ja) 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3866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127559A (ja) 画像送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