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448A -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448A
KR20170037448A KR1020150137091A KR20150137091A KR20170037448A KR 20170037448 A KR20170037448 A KR 20170037448A KR 1020150137091 A KR1020150137091 A KR 1020150137091A KR 20150137091 A KR20150137091 A KR 20150137091A KR 20170037448 A KR20170037448 A KR 20170037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urchase
delivery date
i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454B1 (ko
Inventor
전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5013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4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31Awarding of a frequent usage incentive independent of the monetary value of a good or service purchased, or distance travel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Abstract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쇼핑 정보 수신부;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결정하는 배송 일정 관리부; 각 배송일에 배송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박스 생성부; 상기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각 구매 상품의 구매 횟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배송일에 배송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형성되면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매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원하는 장소까지 상품을 배송 받는 것은 온라인 쇼핑의 큰 장점이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전자 상거래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과정을 거쳐 원하는 상품을 지정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7-000595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각 구매 상품의 구매 횟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제1 배송일에 배송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쇼핑 정보 수신부;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결정하는 배송 일정 관리부; 각 배송일에 배송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박스 생성부; 상기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 생성부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1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에 따라 제1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하고, 상기 할인율을 적용한 상기 제1 박스의 결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을 각 구매 상품의 실제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1 아이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2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2 박스로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상기 제1 박스의 제1 배송일 에서 상기 제2 박스의 제2 배송일로 변경되도록 제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박스에 새롭게 추가된 상품과 대응하여, 제2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달력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각 박스의 배송일과 대응되는 일자에 상품 배송이라는 일정을 추가하도록 제어하는 캘린더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결정하는 단계; 각 배송일에 배송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1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에 따라 제1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하고, 상기 할인율을 적용한 상기 제1 박스의 결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을 각 구매 상품의 실제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1 아이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2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2 박스로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상기 제1 박스의 제1 배송일 에서 상기 제2 박스의 제2 배송일로 변경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박스에 새롭게 추가된 상품과 대응하여, 제2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각 구매 상품의 구매 횟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제1 배송일에 배송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부(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달력 어플리케이션(calendar application)과 연동된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회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하드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태 머신 회로, 및/또는 펌웨어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인스트럭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모듈은,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는 집적 회로 칩과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200, 300),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인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판매 정보를 등록 받고, 등록된 하나 이상의 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등록된 판매 정보에 대한 하나 이상의 구매자인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의 구매, 결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이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또는 구매 주기를 입력 또는 수신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을 구매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200, 300)의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 요청을 분석하여, 임의의 배송일에 배송 및/또는 구매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추출하고, 상기 배송일에 배송 및/또는 구매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하나의 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박스를 시각적으로 도식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의 상품 구매 요청에 대응하여, 구매 금액의 결제가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각 박스의 배송일의 기준일 전에, 예를 들어 3일 전에 각 박스의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를 위한 메시지,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통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판매 정보를 검색하고, 소정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품을 바로 구매하거나, 정기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상품을 구매하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품에 대한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소정의 구매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 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 3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 3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2, 302)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 3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4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 300)들과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사용자 단말기(200, 300)들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 3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1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제어부(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복수의 메뉴,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데이터베이스(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알림 모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쇼핑 정보 수신부(121), 배송 일정 관리부(122), 박스 생성부(123), 정보 제공부(124), 캘린더 관리부(125), 예약 배송 처리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정보 수신부(121)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구매 요청은 각 구매 상품의 옵션 정보, 각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각 구매 상품의 구매 주기,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회수는 1회부터 무한대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구매 주기는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의 기간, 예를 들어 1주일 이상의 시간을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물품을 공급한다고 볼 수 없는, 미리 설정된 임계 기간 이하, 즉 1주일 이하의 기간은 구매 주기로 설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쇼핑 정보 수신부(121)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1 구매 상품을 1회로 즉시 구매하는 제1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2 구매 상품을 1달 주기로 3회 구매하는 제2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3 구매 상품을 2달 주기로 10회 구매하는 제3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쇼핑 정보 수신부(121)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4 구매 상품을 미래의 특정 시점, 예를 들어 내년 12월 23일에 배송되도록 구매할 수 있다. 쇼핑 정보 수신부(121)는 미래의 기념일에 맞춰 선물이 배송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결정한다.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1회 이상 정기적으로 배송 및/또는 구매되도록 설정된 구매 상품이 배송되는 배송일(이하, 정기 배송일)을 결정할 수 있다.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사용자의 배송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을 결정할 수 있다. 배송의 편의를 위해서,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동일한 행정자치구, 또는 동일한 행정동 등을 배송지로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을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서울 강남구’에 거주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을 매달 5일로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송의 편의를 위해서,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서울 강남구’에 인접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을 서울 강남구의 정기 배송일과 동일하게 매달 5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수신한 배송일인 ‘매달 13일’과 일치하거나 인접하도록 제1 사용자의 배송일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수신한 배송일이 존재하는 경우,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사용자가 선택한 배송일을 정기 배송일로 결정해 줄 수 있다. 이런 경우, 거주지의 주소지와 상관 없이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정기 배송일이 동일한 사용자의 구매 상품을 상기 정기 배송일과 동일한 일자에 배송될 수 있도록 정기 배송일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 중에서, 1회 이상의 구매 회수를 가지거나, 소정의 구매 주기를 설정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추출하고, 각 구매 상품의 구매 주기(2주, 1개월, 2개월 이상)를 고려하여, 각 배송일을 기준으로 배송 및/또는 구매되는 구매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이 5일인 경우, 구매 주기를 1 개월로 설정한 제1 구매 상품 및 구매 주기를 2 개월로 설정한 제2 구매 상품, 구매 주기를 3 개월로 설정한 제3 구매 상품을 구매한 제1 사용자의 제1 월의 5일을 배송일로 하는 구매 상품으로, 제1 구매 상품을 분류하고, 제2 월의 5일을 배송일로 하는 구매 상품으로 제1 구매 상품 및 제2 구매 상품을 분류하고, 제3 월의 5일을 배송일로 하는 구매 상품으로, 제1 구매 상품 및 제3 구매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박스 생성부(123)는 각 배송일에 배송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생성한다. 여기서, 박스는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배송일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객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1회의 상품 구매 요청이 복수의 배송 및/또는 구매를 포함하는 경우, 배송 및/또는 구매 회수 만큼의 상품 구매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 구매 요청을 하나의 박스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대로, 제1 사용자의 제1 박스는 제1 구매 상품을 포함하고, 제1 사용자의 제2 박스는 제1 구매 상품 및 제2 구매 상품을 포함하고, 제1 사용자의 제3 박스는 제1 구매 상품 및 제3 구매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 생성부(123)는 각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 또는 총 수량 등에 따라 각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하고, 각 박스의 결제 금액을 상기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스에 포함된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가 3가지 이상 인 경우, 박스 생성부(123)는 미리 설정된 할인 정책에 따라 제1 박스의 할인율을 25퍼센트로 결정하고, 상기 할인율을 적용한 제1 박스의 결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박스에 포함된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가 5가지 이상인 경우, 박스 생성부(123)는 미리 설정된 할인 정책에 따라 제2 박스의 할인율을 40퍼센트로 결정할 수 있다. 박스 생성부(123)는 각 박스에 포함된 구매 상품의 총 수량에 따라 각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박스 생성부(123)는 배송이 완료된 박스에 대해서 소멸, 또는 삭제 시키거나, 완료 처리할 수 있다. 완료 처리된 박스는 더 이상 수정, 편집이 될 수 없도록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박스 생성부(123)는 배송이 완료된 박스는 사용자의 구매 목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말한다.
정보 제공부(124)는 상기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 전송한다. 정보 제공부(124)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 요청을 분석하여, 배송일별로 배송 및/또는 구매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분류하고, 배송일별 구매 상품을 하나의 박스로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의 입출력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된 일체를 말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리 디자인, 또는 설정된 규약대로 표시 화면,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출력 등이 동작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을 각 구매 상품의 실제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1 아이콘(icon)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동일한 정기 배송일에 배송되는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은 각 구매 상품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스에 포함된 ‘하기스 기저귀’와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하기스 기저귀’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하기스 기저귀’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에 대한 더블 탭(double tap)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기스 기저귀’에 대한 상세 정보(구매 정보, 배송 정보, 결제 정보 등)를 보여주는 화면을 제공하거나, 바로 구매가 가능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아이콘에 대한 더블 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구매 상품의 가격 정보, 사이즈 정보, 색상 정보, 단계 정보, 성별 정보, 제조사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팝업 화면(pop-up)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2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2 박스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상기 제1 박스의 제1 배송일에서 상기 제2 박스의 제2 배송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이미지, 아이콘 등)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박스에 새롭게 추가된 상품과 대응하여 제2 아이콘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품을 검색할 수 있는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캘린더 관리부(125)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에 탑재된 달력 어플리케이션(calcender application)과 연동하여, 각 박스의 배송일과 대응되는 일자에 상품 배송이라는 일정을 추가하도록 제어한다. 캘린더 관리부(125)는 배송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을 생성하고, 상기 일정을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배송일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약 배송 처리부(126)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미래의 배송일에 배송되도록 설정된 상품 구매 요청과 대응한 예약 배송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약 배송 처리부(126)는 미래의 배송일에 배송되도록 설정된 구매 상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구매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구매 주기로 정기적으로 배송 및/또는 구매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각 구매 상품의 구매 주기 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배송일 별로 배송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간단한 사용자 입력으로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박스의 배송일 전의 소정의 기간 전, 예를 들어 3일 전에 상기 박스의 결제 금액이 결제되도록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미도시)는 박스의 결제 금액을 바로 결제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 푸쉬 메시지, 문자 메시지 등의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는 박스의 결제 금액을 이전에 결제한 결제 수단,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결제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품 구매 요청 수신 단계(S110), 구매 상품의 배송일 결정 단계(S120), 박스 생성 단계(S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에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구매 요청은 각 구매 상품의 옵션 정보, 각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각 구매 상품의 구매 주기,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회수는 1회부터 무한대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구매 주기는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의 기간, 예를 들어 1주일 이상의 시간을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1 구매 상품을 1회로 즉시 구매하는 제1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2 구매 상품을 1달 주기로 3회 구매하는 제2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3 구매 상품을 2달 주기로 10회 구매하는 제3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제4 구매 상품을 미래의 시점, 예를 들어 내년 12월 23일에 배송되도록 구매할 수 있다.
S120에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결정한다.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1회 이상 정기적으로 배송 및/또는 구매되도록 설정된 구매 상품이 배송되는 배송일(이하, 정기 배송일)을 결정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배송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을 결정할 수 있다. 배송의 편의를 위해서,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동일한 행정자치구, 또는 동일한 행정동 등을 배송지로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을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배송 일정 관리부(122)는 ‘서울 강남구’에 거주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을 매달 5일로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부터 수신한 배송일인 ‘매달 13일’과 일치하거나 인접하도록 제1 사용자의 배송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 중에서, 1회 이상의 구매 회수를 가지거나, 소정의 구매 주기를 설정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추출하고, 각 구매 상품의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배송일을 기준으로 배송 및/또는 구매되는 구매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정기 배송일이 5일인 경우, 구매 주기를 1 개월로 설정한 제1 구매 상품 및 구매 주기를 2 개월로 설정한 제2 구매 상품, 구매 주기를 3 개월로 설정한 제3 구매 상품을 구매한 제1 사용자의 제1 월의 5일을 배송일로 하는 구매 상품으로, 제1 구매 상품을 분류하고, 제2 월의 5일을 배송일로 하는 구매 상품으로 제1 구매 상품 및 제2 구매 상품을 분류하고, 제3 월의 5일을 배송일로 하는 구매 상품으로, 제1 구매 상품 및 제3 구매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S130에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배송일에 배송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생성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대로, 제1 사용자의 제1 박스는 제1 구매 상품을 포함하고, 제1 사용자의 제2 박스는 제1 구매 상품 및 제2 구매 상품을 포함하고, 제1 사용자의 제3 박스는 제1 구매 상품 및 제3 구매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 또는 총 수량 등에 따라 각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하고, 각 박스의 결제 금액을 상기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스에 포함된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가 3가지 이상 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할인 정책에 따라 제1 박스의 할인율을 25퍼센트로 결정하고, 상기 할인율을 적용한 제1 박스의 결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박스에 포함된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가 5가지 이상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할인 정책에 따라 제2 박스의 할인율을 40퍼센트로 결정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박스에 포함된 구매 상품의 총 수량에 따라 각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S140에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 전송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상품 구매 요청을 분석하여, 배송일별로 배송 및/또는 구매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분류하고, 배송일별 구매 상품을 하나의 박스로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을 각 구매 상품의 실제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1 아이콘(icon)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동일한 정기 배송일에 배송되는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은 각 구매 상품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스에 포함된 ‘하기스 기저귀’와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하기스 기저귀’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하기스 기저귀’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에 대한 더블 탭(double tap)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기스 기저귀’에 대한 상세 정보(구매 정보, 배송 정보, 결제 정보 등)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2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2 박스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상기 제1 박스의 제1 배송일에서 상기 제2 박스의 제2 배송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박스에 새롭게 추가된 상품과 대응하여 제2 아이콘을 포함한다.
도 5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500)는 배송일 별로 배송 및/또는 구매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박스, 제2 박스, 제3 박스는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1개월 또는 1주일 마다 배송되는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로서, 각 박스의 구매 상품은 각 구매 상품의 구매 주기 및 구매 회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달 배송 및/또는 구매 되도록 설정된 기저귀 및 생수는 하나 이상의 박스에 포함되고, 2달에 한번씩 배송되도록 설정된 세제는 제1 박스 및 제3 박스에만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박스(a1)가 제1 배송일에 배송되도록 설정된 구매 상품인 세제, 기저귀, 생수를 포함한다면, 제1 박스(a1)는 세제와 대응되는 아이콘(i3), 기저귀와 대응되는 아이콘(i4), 생수와 대응되는 아이콘(i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박스(a2)가 제2 배송일에 배송되도록 설정된 구매 상품인 기저귀, 생수를 포함한다면, 제2 박스(a2)는 기저귀와 대응되는 아이콘 및 생수와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박스는 구매 상품을 추가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아이콘(i2) 및 새롭게 추가된 구매 상품이라는 표시하는 아이콘(i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이번 접속으로 인해 새롭게 추가된 구매 상품은 생수가 된다.
도 6은 달력 어플리케이션(calendar application)과 연동된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 어플리케이션(calendar application)과 연동된 표시 화면(600)은 제1 박스와 대응하여, 제1 배송일과 일치하는 날짜에 배송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은 제1 박스에 포함된 구매 상품인 생수, 기저귀, 세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200, 300: 사용자 단말기
400: 통신망

Claims (12)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쇼핑 정보 수신부;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결정하는 배송 일정 관리부;
    각 배송일에 배송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박스 생성부;
    상기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생성부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1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에 따라 제1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하고, 상기 할인율을 적용한 상기 제1 박스의 결제 금액을 산출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을 각 구매 상품의 실제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1 아이콘으로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2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2 박스로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상기 제1 박스의 제1 배송일 에서 상기 제2 박스의 제2 배송일로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박스에 새롭게 추가된 상품과 대응하여,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달력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각 박스의 배송일과 대응되는 일자에 상품 배송이라는 일정을 추가하도록 제어하는 캘린더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7.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의 구매 회수, 및 구매 주기를 고려하여, 각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결정하는 단계;
    각 배송일에 배송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박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1 구매 상품의 종류의 수에 따라 제1 박스의 할인율을 결정하고, 상기 할인율을 적용한 상기 제1 박스의 결제 금액을 산출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박스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을 각 구매 상품의 실제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1 아이콘으로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박스에 포함된 제2 구매 상품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2 박스로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구매 상품의 배송일을 상기 제1 박스의 제1 배송일 에서 상기 제2 박스의 제2 배송일로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박스에 새롭게 추가된 상품과 대응하여,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37091A 2015-09-25 2015-09-25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8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091A KR101784454B1 (ko) 2015-09-25 2015-09-25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091A KR101784454B1 (ko) 2015-09-25 2015-09-25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448A true KR20170037448A (ko) 2017-04-04
KR101784454B1 KR101784454B1 (ko) 2017-10-11

Family

ID=5858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091A KR101784454B1 (ko) 2015-09-25 2015-09-25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4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71A (ko) * 2019-12-20 2021-06-30 김홍만 온라인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05765A (ko) * 2020-02-19 2021-08-27 엔에이치엔애드 (주) 결제정보 기반 배송관리 방법 및 그 장치
EP3851993A4 (en) * 2018-09-11 2022-04-27 Atrris Corporation TRANSACTION AUDI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957A (ko) 2005-07-05 2007-01-11 (주)인베스트클럽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9670A (ja) * 2006-06-29 2008-01-17 Yamazaki Takashi 料理・食材の受注・配送方法及び配送システム
KR100732480B1 (ko) * 2006-08-11 2007-06-27 서용성 월별/품목별 예약주문 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
JP5119188B2 (ja) * 2009-03-16 2013-01-16 ヤフー株式会社 購入支援装置、購入支援システム、購入支援方法、及び購入支援プログラム
JP5639320B1 (ja) 2014-04-23 2014-12-10 楽天株式会社 サーバ装置、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957A (ko) 2005-07-05 2007-01-11 (주)인베스트클럽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1993A4 (en) * 2018-09-11 2022-04-27 Atrris Corporation TRANSACTION AUDIT SYSTEM
KR20210079571A (ko) * 2019-12-20 2021-06-30 김홍만 온라인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05765A (ko) * 2020-02-19 2021-08-27 엔에이치엔애드 (주) 결제정보 기반 배송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454B1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77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merchant discussion groups
US117832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an online marketplace
US202004020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an online store
US202004021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merchant discussion groups based on merchant categories
WO20200066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centives to users
KR10178445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400785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commerce checkout with delay loading of checkout options
EP39165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 cursor on another user device
KR101699907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A313879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 shedding
JP5775833B2 (ja) 報酬管理システム、報酬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US20230162115A1 (en) Order cancelling ui component management
US20240070761A1 (en) Live view of a website such as an e-commerce store
US202302972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on mobile devices
US20240012485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ipulate virtual model based on physical parameters of gesture input
US118808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er load balancing based on correlated events
US20240028410A1 (en) Resource limit(s) for execution of an executable program on an execution platform based on an attribute(s) of an input(s) on which the executable program is executed
US116154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ducting messaging campaigns responsive to customer events
US202301135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ntent for a user interface
US202303945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JP6774974B2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2301796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onable push notifications
US202303603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ive augmented reality content
US202400284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benchmarking to determine whether an executable program will satisfy one or more performance-based criteria for execution on an execution platform
US202300538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online st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