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354A -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 Google Patents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354A
KR20170037354A KR1020150136841A KR20150136841A KR20170037354A KR 20170037354 A KR20170037354 A KR 20170037354A KR 1020150136841 A KR1020150136841 A KR 1020150136841A KR 20150136841 A KR20150136841 A KR 20150136841A KR 20170037354 A KR20170037354 A KR 2017003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housing
agent
li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702B1 (ko
Inventor
오상혁
Original Assignee
(주)더조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조아사 filed Critical (주)더조아사
Priority to KR102015013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7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약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는 목부를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목부에 설치되고, 제2 약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 상측에 위치하고, 누름 조작됨에 의해 상기 서브 하우징을 뚫어 상기 제2 약제가 낙하하여 상기 제1 약제에 섞이게 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캡을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HYBRID CHEMICALS BOTTLE FOR COLOR PERM}
본 발명은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펌을 위해서는 알칼리성인 파마약과 산성인 염색약을 섞어 시술한다.
이를 위해 알칼리성의 파마약과 산성인 염색약이 혼합된 채로 유통할 수 있다. 그러나 알칼리와 산이 만나 중성이 되는 불완전성으로 인해, 제품력은 좋으나 일주일이라는 짧은 유통기간의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파마약과 염색약을 별도로 유통하게 되면, 시술자는 컬러펌 시술시 마다 파마약과 염색약을 별도의 용기에 섞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의 약제를 하나의 용기에 담아 유통하면서도 사용 시에 그 둘을 편리하게 섞을 수 있게 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는, 제1 약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는 목부를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목부에 설치되고, 제2 약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 상측에 위치하고, 누름 조작됨에 의해 상기 서브 하우징을 뚫어 상기 제2 약제가 낙하하여 상기 제1 약제에 섞이게 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상기 리세스부에 의해 상기 바닥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 캡은,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상기 서브 하우징을 향해 연장된 개폐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서브 하우징을 마주하는 면에서 외부 면까지 관통된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로드는, 확대부; 및 상기 확대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확대부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축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대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로드는, 상기 확대부에서 상기 축소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점차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의 침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체결 홈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캡은, 누름 조작됨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체결 홈에 구속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에 의하면, 이종의 약제가 하나의 용기에 담겨 유통되면서도 사용 시에 그 둘이 편리하게 섞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의 조립 상태 중 조작 캡(150)이 눌리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의 조립 상태 중 조작 캡(150)이 눌려진 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를 거꾸로 세워 복합 약제를 토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는, 메인 하우징(110), 서브 하우징(130), 및 조작 캡(150)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은, 제1 약제(C1)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인 하우징(110)은, 구체적으로 몸통부(111)와, 목부(113)를 가질 수 있다.
몸통부(11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통부(111)의 내부 공간에는 제1 약제(C1)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약제(C1)는 파마약일 수 있다.
목부(113)는 몸통부(111)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몸통부(111) 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목부(113)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체일 수 있다. 목부(113)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나사산에는 커버(미도시)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130)은, 제1 약제(C1)와 별도로 제2 약제(C2)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서브 하우징(130)은, 바닥부(131)와, 벽부(135)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131)의 중앙에는 리세스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32)에 의해, 바닥부(131) 중 주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부분은 차단부(133)라 칭한다.
벽부(135)는 바닥부(13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다. 벽부(135)는 대체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벽부(135)의 단부에는 체결 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홈(137)은 벽부(135)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그루브(groov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131) 및 벽부(135)는 목부(113)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진다. 바닥부(131)와 벽부(135)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공간에는 제2 약제(C2)가 저장될 수 있다. 제2 약제(C2)는 염색약일 수 있다.
조작 캡(150)은 서브 하우징(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누름 조작됨에 의해 서브 하우징(130)을 뚫어 제2 약제(C2)가 낙하하여 제1 약제(C1)에 섞이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조작 캡(150)은, 덮개부(151)와, 개폐 로드(155)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151)는, 서브 하우징(130)에 대응하여 그의 상측을 덮는 구성이다. 덮개부(151)는 목부(11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목부(11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덮개부(151)의 중앙에는 토출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52)는 덮개부(151)의 서브 하우징(130)을 마주하는 면에서 외부와 마주하는 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51)의 하면에는, 체결 홈(137)에 구속되는 체결 돌기(153)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로드(155)는 덮개부(151)에서 서브 하우징(130)을 향해 연장된 것이다. 개폐 로드(155)는, 축소부(156), 확대부(157), 및 침투부(158)를 가질 수 있다.
축소부(156)는 덮개부(151)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구성이다.
확대부(157)는 축소부(156)의 자유단에 연결되며, 축소부(156)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다. 확대부(157)는 리세스부(13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 리세스부(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침투부(158)는 확대부(157)의 자유단에서 연장된다. 침투부(158)는 차단부(133)를 뚫기 적합하도록, 첨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의한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에 제2 약제(C2)를 담아 보관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의 조립 상태 중 조작 캡(150)이 눌리기 전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서브 하우징(130)은 바닥부(131)와 벽부(135)에 의해 제2 약제(C2)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다. 또한, 차단부(133)에 의해 바닥부(131)에 구멍이 뚫린 것은 아니므로, 제2 약제(C2)는 그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130)에 제2 약제(C2)가 저장된 채로, 서브 하우징(130)은 메인 하우징(110)의 목부(113)에 끼워진다. 서브 하우징(130)이 목부(113)에 끼워진 후에는, 제2 약제(C2)를 목부(113) 내에 추가로 부을 수 있다.
이후, 조작 캡(150)을 또한 목부(113)에 설치한다. 그에 의해, 조작 캡(150)의 개폐 로드(155), 구체적으로 확대부(157) 및 침투부(158)는 리세스부(132)에 위치하게 된다. 덮개부(151)는 목부(113)의 내주면과 밀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151)와 벽부(135)는 일정한 이격 거리를 갖는다.
다음으로, 제2 약제(C2)가 제1 약제(C1)에 섞여서 복합 약제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의 조립 상태 중 조작 캡(150)이 눌려진 후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조작 캡(150), 구체적으로 덮개부(151)가 눌려짐에 의해, 침투부(158)는 차단부(133)를 뚫고서 몸통부(111) 내로 하강하게 된다. 확대부(157)가 침투부(158)를 뚫고 내려감에 의해, 침투부(158)도 리세스부(132)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구멍이 형성된다.
확대부(157)가 차단부(133)를 뚫고 나와서 축소부(156)가 리세스부(132) 및 구멍이 뚫린 차단부(133)에 위치하게 되면, 축소부(156)와 리세스부(132)[및 구멍 뚫린 차단부(133)] 사이의 틈새로 제2 약제(C2)가 흘러내린다. 제2 약제(C2)는 몸통부(111) 내로 흘러내려서, 제1 약제(C1)와 섞이게 된다.
또한, 덮개부(151)의 하강에 의해 체결 돌기(153)가 체결 홈(137)에 구속됨에 의해, 상기 틈새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를 이용한 컬러펌 시술을 위한 상황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100)를 거꾸로 세워 복합 약제를 토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컬러펌 시술자는 용기(100)를 거꾸로 들어서, 제1 약제(C1)와 제2 약제(C2)의 혼합액(복합 약제)(C3)을 퍼머를 하려는 자의 머리에 토출할 수 있다. 복합 약제(C3)는 상기 틈새를 거쳐서 서브 하우징(130) 내로 이동한 후, 토출구(152)를 통해 외부로 토출 된다.
결과적으로, 시술자는 조작 캡(150)을 누르기만 하면, 제1 약제(C1)와 제2 약제(C2)가 섞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그 후 용기(100)를 거꾸로 들어서 제1 약제(C1)와 제2 약제(C2)가 혼합된 복합 약제(C3)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110: 메인 하우징
111: 몸통부 113: 목부
130: 서브 하우징 131: 바닥부
135: 벽부 150: 조작 캡
151: 덮개부 155: 개폐 로드

Claims (10)

  1. 제1 약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는 목부를 구비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목부에 설치되고, 제2 약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 상측에 위치하고, 누름 조작됨에 의해 상기 서브 하우징을 뚫어 상기 제2 약제가 낙하하여 상기 제1 약제에 섞이게 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캡을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벽부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상기 리세스부에 의해 상기 바닥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캡은,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상기 서브 하우징을 향해 연장된 개폐 로드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서브 하우징을 마주하는 면에서 외부 면까지 관통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로드는,
    확대부; 및
    상기 확대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확대부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축소부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로드는,
    상기 확대부에서 상기 축소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점차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의 침투부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체결 홈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캡은, 누름 조작됨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체결 홈에 구속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KR1020150136841A 2015-09-25 2015-09-25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KR10179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41A KR101794702B1 (ko) 2015-09-25 2015-09-25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41A KR101794702B1 (ko) 2015-09-25 2015-09-25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354A true KR20170037354A (ko) 2017-04-04
KR101794702B1 KR101794702B1 (ko) 2017-11-08

Family

ID=5858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841A KR101794702B1 (ko) 2015-09-25 2015-09-25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78B1 (ko) * 2019-04-03 2020-11-05 카페24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251Y1 (ko) * 2004-01-12 2004-03-30 (주)코레드 이중용기 구조
CA2688275A1 (en) 2007-05-31 2008-12-04 Genmab A/S Stable igg4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702B1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2412B2 (ja) 連結容易な移送システム
KR20120009423A (ko) 용시 혼합 용기
KR20110016832A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DK162207B (da) Tokomponentemballage
KR102332817B1 (ko) 이중 용기
ES2845729T3 (es) Cápsula dispensadora
KR20120009424A (ko) 용시 혼합 용기
KR20140045536A (ko) 투석을 위한 용기
ES2673933T3 (es) Botella de dosis única y tapón medidor asociado mejorado
KR101829548B1 (ko) 혼합형 미용 시린지
KR101794702B1 (ko) 컬러펌용 복합 약제 용기
JP6442324B2 (ja) 二重容器
JP7053593B2 (ja) 液体を収容する医療用パッケージのコネクタ
JP2016159937A (ja) 積層剥離容器
JP6534354B2 (ja) 混合容器
KR101640159B1 (ko) 일체형 주사 키트
KR200423697Y1 (ko) 용기 조립체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CN210556616U (zh) 瓶及其瓶盖装置
KR101129482B1 (ko) 잠금구조가 구비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JP4453105B2 (ja) 二剤混合容器
JP6587550B2 (ja) 吐出容器
JP6416004B2 (ja) 粉体投与容器
KR20150000028U (ko) 오일캡슐용 화장품 용기
IT201800003313A1 (it) Dispositivo di tappatura di un fal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ed atto al prelievo della miscela ottenuta tramite siring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