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883A -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 - Google Patent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883A
KR20170036883A KR1020150132594A KR20150132594A KR20170036883A KR 20170036883 A KR20170036883 A KR 20170036883A KR 1020150132594 A KR1020150132594 A KR 1020150132594A KR 20150132594 A KR20150132594 A KR 20150132594A KR 20170036883 A KR20170036883 A KR 2017003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dysuria
omij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다애
장윤영
김광현
이상호
전찬석
이현용
Original Assignee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883A/en
Publication of KR2017003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8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urinary disturbances and a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urinary disturbance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functional health food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s,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iper Longum L. extract, Euryale ferox, Allium tuberosum, Cucurbita moschata, Poria cocos, Schisandra chinensis, Lindera strychnifolium, Cuscuta chinensis and Polygonum cuspidatum. A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natural extrac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ncreases the urination interval by simultaneously intervening in various mechanisms involved in urinary disturbances; reduces the detrusor pressure and increases the bladder volume; suppresses the contraction of detrusor muscles and induces the relaxation of detrusor muscles, and thus has an excellent effect on the prevention, treatment, or alleviation of various urinary disturbances.

Description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필발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epper and a complex extract of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uar,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Composition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dysuria.

배뇨 장애는 정상적인 배뇨 형태를 벗어난 일체의 배뇨 행위를 말한다. 배뇨 장애는 남녀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데 신경학적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인성 방광, 비신경인성 원인에 의한 하부요로증상과 전립선비대증, 요실금으로 대표되는 여성비뇨기 질환을 포함한다(요실금학회, 2003). 배뇨장애는 성인에서 유병율이 높게 보고되고 있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데 특히 남성에서 선형적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배뇨장애로 인한 하부요로증상 중 남, 녀 모두에서 빈뇨 및 과민성방광으로 대표되는 저장기 장애 증상의 유병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뇨기 장애, 배뇨 후 증상 순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Urinary dysfunction refers to any urination that is out of normal urination. Urinary dysfunction may be present in any man or woman, including neurogenic bladder caused by neurological abnormalities,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ue to non-neuronal causes, female urinary disease typified by urinary incontinence, and urinary incontinence (2003). Urinary disorders are reported to be prevalent in adults and increase with age, especially with a linear increase in men. In th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ue to dysuria, it is known that the prevalence of dysuria is highest in both men and women. It is reported to be the most common symptom of dysuria and urinary symptoms.

과민성방광과 같은 여러 가지 배뇨장애 증상은 음료의 섭취를 제한해야 하고 화장실에 자주 가야 하는 귀찮음을 경험하며,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에 영향을 받으며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없는 것 등으로 인하여 개인의 삶의 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으므로 (김증임, 김영호, & 안현철, 2002; 이유식, 2001a) 다양한 측면에서 개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Symptoms of various dysuria, such as overactive bladder, may limit the intake of beverages, experience annoyance that you often have to go to the toilet, be affected by interpersonal and social life, have hygiene problems, (2002), "The Effects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the Quality of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과민성방광 증후군(overactive bladder syndrome, OAB syndrome)은 최근 질환의 개념이 정립된 복합적인 증상군으로 요로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병인이 없는 조건하에서 절박성요실금(urgency incontinence)의 유무에 관계없이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방광에 차는 동안 방광이 비정상적으로 자주 수축함으로 소변이 자주 마려운 빈뇨(하루 8회 이상), 소변을 참기가 힘들어 급히 화장실을 가야 하는 절박뇨, 소변이 마려울 때 충분히 참지 못하고 소변이 새서 옷을 적시는 절박요실금, 야간 수면중 1회 이상 소변을 봐야 하는 야간 빈뇨의 증상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과민성 방광의 증상들은 대개 배뇨근(방광)의 불수의 수축과 관련되어서 과활동성방광(bladder hyperactivity) 상태를 초래한다. Overactive bladder syndrome (OAB syndrome) is a complex syndrome in which the concept of a recent disease is established.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incontinence) During this period, the bladder was abnormally shrunk frequently, causing frequent urination (more than 8 times a day), difficulty in urinating and urgency to go to the toilet, urination, Refers to the appearance of one or more symptoms of urgent urinary incontinence, or nighttime urinary symptoms that require urination at least once during nighttime sleep. Symptoms of irritable bladder usually result in involuntary contractions of the detrusor (bladder) leading to bladder hyperactivity.

방광은 평활근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뇨기능은 신경계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과민성방광과 같은 다양한 배뇨 장애는 평활근과 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과민성방광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뇌질환이나 척수손상에서 비롯되는 신경인성(neurogenic) 및 남성의 전립선 비대증으로 대표되는 방광출구폐색(outlet obstruction), 여성의 골반구조의 약화, 요도와 방광의 국소 질환 등에 의해서도 나타나지만 배뇨근 세포의 노화, 원인불명의 배뇨근 기능장애 등에 의해 초래되는 경우가 많아 아직 주요 발병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김태형, 중앙의대지 28(3), p143-149, 2003). Because the bladder is composed of smooth muscle and the voiding function is controlled by the nervous system, various voiding disorders such as overactive bladder can occur due to smooth muscle and nervous system abnormalities. The cause of irritable bladder is usually caused by neurogenic and spinal cord injuries, and outlet obstruc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men's enlargement of the prostate gland, weakening of the pelvic structure of the woman, local diseases of the urethra and bladder , But it is not clear yet whether the major cause of the disease is caused by the aging of the detrusor cells or the uncontrolled detrusor dysfunction (Kim Tae-hyung, Chungtaeji 28 (3), p143-149, 2003).

과민성방광 증후군이 노화의 한 과정은 아니지만 나이를 먹음에 따라 발생확률은 증가한다. 남녀 비는 비슷하지만, 절박성요실금은 여성에서 더 흔히 발생한다. 국내에서도 12.7%에서 30.5%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유럽의 한 조사에서 과민성방광은 40세 이상 남자의 16%에서, 여자의 17%에서 발생하며 특히 75세 이상의 남자는 42%, 여자는 31%에 이를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이러한 통계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비슷하다 (2011,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과민성방광지침서). 과민성방광증은 기본적 신체 활동부터, 성생활, 사회 활동까지 사회적, 정신적으로 영향을 주어 삶의 질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환자를 대상한 HRQOL(health-related quality-of-life)설문 조사 결과, 과민성방광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당뇨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Liberman JN, Hunt TL, Stewart WF, Wein A, Zhou Z, HerzogAR,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with symptoms of overactive bladder: results from a U.S. community-based survey. Urology 2001;57:1044-50). Although irritable bladder syndrome is not a process of ag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increases with age. Men and women are similar, but urge incontinence is more common in women. In Europe, a prevalence of overactive bladder is 16% in men over 40 years old, 17% in women, 42% in men over 75 years old and 31% in women over 75 years old. , And these statistics are similar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2011, Korea Urinary Incontinence Association, Overactive Bladder Handbook). The results of the health-related quality-of-life (HRQOL) survey of the patients showed that irritable bladder diseas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quality of life due to soci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on basic physical activities, The effect of diabetes on the quality of life was greater than that of diabetes (Liberman JN, Hunt TL, Stewart WF, Wein A, Zhou Z, and Herzogar, Urology 2001; 57: 1044-50).

과민성 방광의 초기 표준 치료로 현재 항무스카린 제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효과를 확실히 입증할만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임상 시험 (controlled clinical trial)의 보고는 없으며, 이 약제들이 가지고 있는 신경계에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항콜린 성질 때문에 10명중 1-2명 꼴로 구갈 및 변비, 눈부심(blurred vision), 급성 요폐 등의 부작용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수분의 섭취의 조절이 필요한 배뇨장애 환자의 경우 복약순응도를 떨어지게 하는 원인으로 보고되며, 이런 이유로 과민성 방광과 같은 배뇨장애의 새로운 대안적인 약물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지, J Korean Continence Soc 2009;13:7-22).Currently, antimuscarinic agents are widely used as an initial standard therapy for irritable bladder. However, there is no report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to prove the efficacy yet, Due to its anticholinergic propert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1-2 of 10 patients develop side effects such as dry mouth, constipation, blurred vision, and acute ejaculation. These side effects are reported to cause poor compliance with micturition dysfunction patients who need to control their water intake, and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a continuing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alternative drugs for dysuria such as overactive bladder J Korean Continence Soc 2009; 13: 7-22).

절박 뇨실금은 심한 요절박 증상 후에 갑작스럽게 불수의적인 요누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특정한 광경, 소리, 흐르는 물과의 접촉, 자세변화 등이 유발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박뇨는 요절박이라고도 하며, 소변을 보고자 하는 욕구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증상을 말하고, 일단 배뇨를 위한 느낌이 감지되면 배뇨를 참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즉시 소변을 보지 못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방광이 제멋대로 수축하여 소변이 찔끔거리는 절박성 요실금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빈뇨는 하루 4~6회 배뇨를 하며, 1회 배뇨량이 약 300cc 정도인 정상 성인과 달리 24시간 동안 8회 이상의 소변을 보는 경우라고 정의되었으나, 2002년 국제요실금학회에서는 환자 자신이 소변을 너무 자주 본다고 느끼는 경우를 빈뇨라고 정의하여 빈뇨의 정의를 확대한 바 있다. 빈뇨는 과다한 수분섭취, 배뇨근 과활동성, 방광용적 감소, 방광의 과민감성 등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이상 배뇨 증상을 말하는 배뇨 장애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야간뇨는 밤에 자다가 일어나서 소변을 보는 것을 말하며, 야간의 요량이 일일 배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야간다뇨 및 그렇지 않은 야간빈뇨로 구분된다. 야간뇨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배뇨 전후에 수면이 동반되어야 하며 야간빈뇨가 있는 환자는 수면 중에 수시로 잠을 깨고 쉽게 잠에 들지 못하므로 수면에 방해를 받아 주간에 졸립고 피곤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 노인에서는 낙상이나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야간빈뇨는 연령, 생활습관, 다뇨, 야간다뇨, 방광장애, 수면장애, 심리적 요인 등과 같은 여러 인자들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간질성 방광염은 방광동통증후군 또는 만성방광염이라고도 한다. 박테리아 감염 등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이 없으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방광상피세포에 결함이 생겨 소변과 혈류 사이의 방광점막벽이 손상됨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방광내 염증이나 방광의 혈관장애, 방광점막손상 및 정신신체장애 등도 유발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남녀 모두에게 생기지만 90% 정도가 여성에게 나타나며 주로 40대 중반에 생긴다.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감각성 절박뇨와 빈뇨가 나타나며 대부분 방광통을 호소한다. 특히 소변이 차 있을 때는 증상이 더 심하고 배뇨할 때에는 통증이 거의 없다. 야간에도 1~2회 이상 평균4회의 소변을 보는데, 혈뇨는 거의 없다. 낮에는 최소 8회 이상 평균 16회의 소변을 보며, 정상인의 경우 1회 배뇨량이 250㎖ 이상이지만 이 질환에 걸린 환자의 양은 평균 75㎖이다. 환자 4명 중 3명이 성행위로 인하여 증상이 더욱 심해지며, 생리주기·스트레스·음식 등도 증상 악화에 영향을 미친다. 치료를 위하여 항우울제 투여와 마취후 방광수압확대술, 방광박리술, 방광확대술, 요로전환술 등의 수술을 시행하거나 항콜린계 약물이나 알파아드레날린수용체 차단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steroid), 질산은, 헤파린 등의 약물을 투여하기도 하나 치료 효과는 크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배뇨 장애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물의 필요성이 있다. Urinary incontinence is a sudden, involuntary urinary leak that occurs after a severe episode, and it is known that urinary incontinence is caused by specific sight, sound, contact with flowing water, and postural changes. Emptied urine is also called epigastric papillary, and the urge to urinate is a sudden onset of symptoms, and once the sensation of urination is detected, it means that you can not tolerate urination. In this case, if you do not see urine immediately, it can cause pain, and it is known that bladder can shrink freely and urge urine to squeeze urge incontinence. Urinary urination was defined as urination 4 to 6 times a day and urine more than 8 times per 24 hours, unlike normal adults with a urination volume of about 300cc per urine. However, in 2002, the International Incontinence Society The definition of frequency is defined as frequency. Urinary frequency is one of the typical symptoms of urinary dysfunction, which refers to abnormal urination symptoms, such as excessive water intake, detrusor activity and activity, decreased bladder volume, and sensitivity to bladder. Nighttime urine refers to nighttime sleeping and urination. Nighttime urine is classified into nighttime urine, which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daily urination, and nighttime urine, which is not. In order to be defined as nocturia, sleep must be accompanied before and after urination. Patients with nighttime urination often fall asleep during sleep and can not easily fall asleep, which interferes with sleep, causing sleepiness and fatigue during the daytime and hindering daily life . In addition, the risk of falling or fracture increases in the elderly. Nighttime frequency is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everal factors such as age, lifestyle, polyuria, nocturnal enuresis, bladder dysfunction, sleep disturbance, and psychological factors. Interstitial cystitis is also called bladder pain syndrome or chronic cystitis. There is no characteristic pathologic findings such as bacterial infection, and the exact cause has not yet been revealed. Although it is known that bladder epithelial cells are defective and the bladder mucosal wall between the urine and blood flow is damaged, inflammation in the bladder, vascular disturbance of the bladder, bladder mucosal injury and psychosomatic disorder can also be triggered factors. It occurs in both men and women, but about 90% occurs in women and occurs mainly in the mid-forties. Symptoms include abnormal sensory urgency and frequent urination. Especially when urine is cold, the symptoms are more severe and when urinating, there is little pain. Even at night, urine is seen on average four times more than once or twice, but there is little hematuria. At least 8 times a day, the average urine is 16 times. In normal people, the amount of urination at one time is more than 250 ml, but the amount of the patient is 75 ml. Three out of four patients become more aggravated by sexual intercourse, and the menstrual cycle, stress, and food also affect symptoms.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anesthesia followed by bladder drainage, bladder ablation, bladder augmentation, urinary conversion, or anticholinergic drugs,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antihistamines, steroids, silver nitrate, heparin However, there is a need for new drugs for the treatment of such urinary disorders.

특히, 이러한 배뇨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인체에 독성 또는 위험성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 내지 천연 소재를 이용한 치료제에 대해서는 개발된 약물을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천연 소재의 복합적 시너지 효과를 이용한 연구 개발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식품 또는 약제의 소재로 손쉽게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배뇨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복합 추출물 기반의 치료제 내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연구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Particularly, for the treatment of such urinary disorders, drugs developed for natural or natural substances that can be used without toxicity or risk to the human body are rarely foun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a synergistic effect of natural materials are not available at all .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search and develop a therapeutic agent or a health functional food based on a complex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urinary disturbance by using natural products that can be easily used as a food or pharmaceutical material.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배뇨 장애를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들을 예의 연구하던 중, 필발 추출물과 혼합될 수 있는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필발 추출물과 함께 사용될 때 인체에 어떠한 유해작용도 없이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studying natural products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reat and ameliorate various dysuria, and have found that they can be mixed with a petroleum extract, a guar, a mangin, a bamboo, an omija, a mis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confirming that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in prevention,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urinary disturbance without any harmful action to the human body whe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the extrac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anese, omega, omega,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Als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And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본 발명은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and, gua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물,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n-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함수 알코올(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일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또는 함수 에탄올(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above-mentioned extracts of Piper Longum L.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and, guacamole, indigo, bamboo, omija,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which is extracted with at least one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ol, propylene glycol,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one or more extracting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 ethyl acetate, n-hexane,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More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water, an alcohol or a hydrated alcohol (aqueous alcohol solution). The alcohol may be methanol, ethanol or isopropanol. More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water or a functional ethanol (aqueous solution of ethano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용매인 알코올이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함수 메탄올(메탄올 수용액) 또는 함수 에탄올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wherein the alcohol as the extraction solvent is an anhydrous or hydrated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eferably, the alcohol may be hydrous methanol (aqueous methanol solution) or hydrous ethanol.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함수 에탄올(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lcohol may be hydrous ethanol (aqueous solution of ethano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이 30 내지 100 부피 %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수 저급 알코올은 30 내지 100 부피(volume/volume; vol/vol) %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수 저급 알코올은 30 내지 95 부피 %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수 저급 알코올은 95 부피 %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wherein the anhydrous or low-functional alcohol is 30 to 100% by volume of methanol or ethanol. Preferably, the functional lower alcohol may be an aqueous 30 to 100 volume / volume (vol / vol) ethanol solution. More preferably, the functional lower alcohol may be an aqueous solution of 30 to 95% by volume ethanol. More preferably, the functional lower alcohol may be a 95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포화 n-부탄올에 가용된 추출물일 수 있고,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디클로로포메탄 또는 아세트산 에틸에 가용된 추출물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oiding dysfunction. The polar solvent-soluble extract may be an extract soluble in a solvent selected from water, methanol, but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in saturated n-butanol, and the non-polar solvent soluble extract may be dissolved in dichloromethane or ethyl acetate Lt; / RTI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배뇨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There is provide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배뇨압을 감소시키고, 방광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것인, 배뇨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The volume of which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배뇨근 수축 억제 및 배뇨근 이완을 유도하는 것인, 배뇨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hibiting detrusor contraction and inducing detrusor relaxation by extracting the Piper Longum L. extract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무스카린 M3 또는 무스카린 M2 수용체를 저해하는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bal (Piper Longum L.) extract, and gum, Ja, the South and, Poria cocos, Schizandra, ohyak, tosaja and call the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usse or muscle Karin M 3 muscarinic M < 2 > recepto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β3-adrenegic 수용체의 작용제인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gonists of the pilbal (Piper Longum L.) extract, and gum, Ja, the South and, Poria cocos, Schizandra, ohyak, tosaja and No. 3 are one or more kinds of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uscle β receptor -adrenegic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oiding dys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뇨 장애가 과민성 방광증후군, 절박요실금, 절박뇨, 빈뇨, 야간뇨 및 간질성 방광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wherein the dysuri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veractive bladder syndrome, urgency incontinence, urgency, urinary frequency, nocturia and interstitial cystitis.

또한 본 발명은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or preven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anese, omega, omega, And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e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뇨 장애는 과민성 방광증후군, 절박요실금, 절박뇨, 빈뇨, 야간뇨 및 간질성 방광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ysuria, wherein the dysuri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veractive bladder syndrome, urge incontinence, urgency, urinary frequency, nocturia and interstitial cystiti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dysuria.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r Longum L. extract for use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ysuria,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am, omega, omega, And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r Longum L. extract for use in preventing or ameliorating a dysuria, and a method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dysuria by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per Longum L. extract, And to provide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ysuria, which comprises a Piper Longum L. extract and a group consisting of a spermatozoa, a goat, a mangin, a bamboo, an omija, And to provide the use of at least one selected extra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유류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투여하여 배뇨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ls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ysuria by administering to a subject comprising a mammal.

본 발명의 필발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천연 추출물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배뇨 장애에 관여하는 다양한 기전에 동시에 관여함으로써 배뇨 간격을 증가시키고, 배뇨압을 감소시키고 방광의 용적을 증가시키며, 배뇨근의 수축을 억제하고 배뇨근의 이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배뇨 장애를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필발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에 의한 복합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에 따라 다양한 배뇨 장애를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and, guar,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tosaja and janggang are not only harmless to human body but also have various mechanisms involved in dysuria It is effective to prevent, treat or ameliorate various voiding disorders because it can increase voiding interval, decrease urine pressure, increase bladder volume, inhibit detrusor contraction and induce relaxation of detrusor muscle. Do.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treat various dysuria according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combined extracts of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extract of Liliaceae, Guju, Nam-In, Bomyeong, Omija, O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도 1은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처리에 의한 배뇨횟수, 배뇨량 및 일회 배뇨량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urination, the amount of urination, and the amount of urination caused by the treatment with the compound extract of Lilium and Omija.

본 발명은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and, gua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ovided.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 추출물은 필발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혼합된 추출물을 의미한다. The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extract of a mixture of a petal extract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obiotic, a guar, a southern, a bamboo, an omija, a miso, a tortoise and a callus root.

바람직하게, 필발 및 검인의 복합 추출물, 필발 및 구자의 복합 추출물, 필발 및 남과인의 복합 추출물, 필발 및 복령의 복합 추출물, 필발 및 오미자의 복합 추출물, 필발 및 오약의 복합 추출물, 필발 및 토사자의 복합 추출물, 또는 필발 및 호장근의 복합 추출물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bined extracts of the petals and the probes, the combined extracts of the petals and the goats, the combined extracts of the petals and the male and female, the combined extracts of the petals and the petals, the combined extracts of the petals and the oats, Complex extract, or a combination extract of Lilium and Liliaceae.

또한, 필발 추출물과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 추출물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ract may be a combined extract of at least two kinds of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aceae extract and Seongin, Gujwa, Namhaein, Byeongryeong, Omija, Omega, Sorghum and Hojanggang.

복합 추출물은 상기 필발과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먼저 혼합한 후 추출한 복합 추출물이거나, 필발과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각각 추출한 후 이를 혼합한 복합 추출물일 수 있다. The complex extract may be a complex extract obtained by firstly mix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mentioned petals, probucol, guacamole, ginseng, bamboo, omija, And extracts of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mboo shoots, omija, oak, algae, and carrageenan, respectively, and then mixing them.

본 발명의 필발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배뇨 장애에 관여하는 다양한 기전에 동시에 관여함으로써 배뇨 간격을 증가시키고, 배뇨압을 감소시키고 방광의 용적을 증가시키며, 배뇨근의 수축을 억제하고 배뇨근의 이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배뇨 장애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는 방광뿐 아니라 척수와 척수상부 경로의 신경계(enteric nervous system)에서 방광의 수축 및 이완에 관여하는 무스카린 M3수용체 또는 무스카린 M2수용체를 저해하거나, β3-adrenegic 수용체(beta-3 adrenergic receptor)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등의 작용효과를 가지며, 특히 천연물 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에 의해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더욱 현저한 효과를 보인다.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and, guaja,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tosaja and phyllotaxis are not on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also participating in various mechanisms involved in dysuria This may increase the voiding interval, decrease the voiding pressure, increase the volume of the bladder, inhibit the contraction of the detrusor, and induce relaxation of the detrusor. The preventive, curative and ameliorative effects of the compoun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the bladder but also the muscarinic M 3 receptor or muscarinic M 2 receptor involved in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bladder in the nervous system of the spinal cord and spinal cord upper part (enteric nervous system) And activating β 3 -adrenergic receptor receptors. In particular,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is more remarkable in prevention,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micturition disorder .

본 발명의 “필발(Piper Longum L.)” 은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필발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발의 열매(Piperis Longi Fructus) 일 수 있다.The term " Piper Longum L. "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stem, leaf, roots, fruit or seed which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cultivation, harvest or market and exhibits an effect of preventing, And may be preferably Piperis Longi Fructus.

본 발명의 “검인(Euryale ferox)” 은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검인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검인의 씨(Euryales Semen)일 수 있다.The "Euryale fer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ny stem, leaf, root, fruit or seed of a proband, which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cultivation, harvesting or marketing, and can be used to prevent, treat or ameliorate dysuria , Preferably the seed of the proband (Euryales Semen).

본 발명의 “구자(Allium tuberosum)” 는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구자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자의 씨(Allii Tuberosi Semen) 일 수 있다.The term " Allium tuberosum "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stem, leaf, root, fruit or seed which can be cultivated, harvested, or marketed without limitation and exhibits an effect of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dysuria Preferably, a seed of Allii Tuberosi Semen.

본 발명의 “남과인(Cucurbita moschata)” 은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남과인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남과인의 씨(Cucurbitae Semen)일 수 있다.The term " Cucurbita moschata "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stem, leaf, root, fruit and seed of a male and female which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cultivation, collection or sale and exhibit the prevention, Preferably, a seed of a person and a person (Cucurbitae Semen).

본 발명의 “복령(Poria cocos)” 은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균체의 어떠한 부분이라도 사용가능하다. The "Poria coco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ltivated, harvested, or marketed without limitation, and any part of the cells can be used so long as they exhibit the preventive, therapeutic or ameliorative effect of dysuria.

본 발명의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는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오미자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미자의 열매(Schisandrae Fructus)일 수 있다.The term " Schisandra chinensis "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ny stem, leaf, root, fruit or seed of an omija tha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cultivation, collection or sale, and exhibits an effect of preventing, Preferably, Schizandrae Fructus. ≪ / RTI >

본 발명의 “오약(Lindera strychnifolium)” 은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오약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약의 줄기, 뿌리(Linderae Radix) 일 수 있다.The term " Lindera strychnifolium " may include any stem, leaf, roots, fruit or seed of an ophthalmic solution, which may be cultivated, harvested or marketed without limitation and exhibits the preventive, Preferably Lindauer Radix. ≪ RTI ID = 0.0 >

본 발명의 “토사자(Cuscuta chinensis)” 는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토사자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토사자의 씨(Cuscutae Semen)일 수 있다.The term " Cuscuta chinensis "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ny stem, leaf, root, fruit or seed which can be cultivated, harvested, or marketed without limitation, and exhibits an effect of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dysuria And preferably a seed of Cuscutae Semen.

본 발명의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 은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 호장근의 줄기, 잎, 뿌리, 열매,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호장근의 뿌리, 줄기(Polygoni Cuspitati Rhizoma et Radix)일 수 있다.The "Polygonum cuspidatu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stem, leaf, roots, fruit and seeds of a root, which can be cultivated, harvested, or marketed without restriction and exhibit the preventive, And may be preferably a root, stem (Polygoni Cuspitati Rhizoma et Radix).

본 발명의 필발,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 추출물 각각은 통상적인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 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들은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n-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함수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일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또는 함수 에탄올일 수 있다.Each of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with a common extraction solvent, for example, water, water, and the like; Anhydrous or hydroalcohol;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dichloromethane;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 glycerin,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Or may be extracted with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one or more extracting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 ethyl acetate, n-hexane,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More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water, alcohol or hydrated alcohol. The alcohol may be methanol, ethanol or isopropanol. Even more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water or a functional ethanol.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발,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 추출물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은 10 내지 100 부피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부피 %, 또한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부피 %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는 물 또는 30 내지 95 부피 % 에탄올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 알코올'로 기재되는 것은 '부피% 알코올'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Preferably, the extracts of Lilium, Rhizoma, Guadia, Namhae, Bomyeong, Omija, Ojak, Sorghum and Rhizom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with an anhydrous o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s an extraction solvent, The anhydrous or hydrated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ay be 10 to 100% by volume, preferably 30 to 100% by volume, and more preferably 70 to 100% by volume of methanol or ethanol.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water or 30 to 95% by volume ethanol. Hereinafter, what is referred to as '% alcohol'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volume% alcohol'.

예컨대, 상기 추출물들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extracts are preferably, but not necessarily, prepa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1) 필발,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건조 후 세절하는 단계;(1) a step of drying and then remov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etal, a proband, a goat, a southern person, a bamboo shoot, an omija, a miso, a sorghum and a callus root;

(2) 세절된 상기 천연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2) extracting the extracted natural product by adding an extracting solvent to the natural product;

(3)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3) cooling and extracting the extract;

(4) 여과된 추출물 농축하는 단계; (4) concentrating the filtered extract;

상기 단계 (1)에 사용되는 추출물은 재배, 채취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단계 (1)의 건조는 그늘진 곳에 건조하는 음건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ract used in the step (1) may be cultivated, harvested, or marketed without limitation, and the step (1)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shade drying in a shady place.

상기 단계 (2)의 추출은 교반 추출, 환류 냉각 추출물,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온도는 50 내지 120 ℃인 것이 바람직하며, 80 내지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2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횟수는 1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회 또는 3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 단계의 추출은 천연물의 1 배 내지 20배 부피량만큼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xtraction in step (2) may be performed by an extraction method such as stirring extraction, refluxing cooling extract, cold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50 to 120 ° C, more preferably 80 to 100 ° C.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to 20 hours, more preferably 2 to 5 hours. Further, the number of extraction times may be 1 to 5, and more preferably 2 or 3 times. The extraction in step (2) may be carried out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in an amount of 1 to 20 times the volume of the natural product.

상기 (3) 단계의 여과는 100~ 500메쉬로 여과할 수 있으나, 300메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tration in the step (3) may be performed at 100 to 500 mesh, but 300 mesh is preferably used.

상기 (4) 단계의 농축은 10 내지 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에서 농축시킬 수 있고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centration in the step (4) may be carried out at 10 to 100 ° C, preferably at 50 to 80 ° C,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vacuum decompression condense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더하여 (5) 단계의 건조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step of step (5), and the drying may be performed using a vacuum drying method, a vacuum drying method, a boiling drying method, a spray drying method, or a freeze dry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필발,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들의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들의 분획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사용하는 농도구배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ractions of the above extracts, such as the extracts of Pepper, Sauter, Guza, Nam-In, Bokryeong, Omija, Ojak, Sorghum and Sorghum. The fraction extract of the above extracts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the extract obtained by using an anhydrous or hydro-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s an extraction solvent, using a mixed solvent of anhydrous or hydro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cetonitrile and water as a mobile phase, ≪ RTI ID = 0.0 > and / or < / RTI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포화 n-부탄올에 가용된 추출물일 수 있고,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디클로로포메탄 또는 아세트산 에틸에 가용된 추출물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oiding dysfunction. The polar solvent-soluble extract may be an extract soluble in a solvent selected from water, methanol, but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saturated n-butanol, and the non-polar solvent-soluble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or ethyl acetate Lt; / RTI >

본 발명의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기존의 배뇨 장애 치료제의 표적인 항무스카린 기전뿐만 아니라, β3-adrenegic 수용체의 cAMP 신호전달 경로에도 관여할 수 있으므로 배뇨 장애에 관여하는 복합 기전을 타깃으로 할 수 있어 다양한 배뇨 장애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 extract of Piper Longum 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and, guar,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It may be involved in the cAMP signal transduction pathway of β 3 -adrenegic receptor as well as the carin mechanism, so that it can target a complex mechanism involved in dysuria, thereby improving various dysuria.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배뇨압을 감소시키고, 방광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배뇨근 수축 억제 및 배뇨근 이완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Thus, the combin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reduce the urination pressure and increase the volume of the bladder. In addition, the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uce detrusor contraction inhibition and detrusor relaxation.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무스카린 M3 또는 무스카린 M2 수용체를 저해하는 것일 수 있으며, β3-adrenegic 수용체의 작용제일 수 있다. The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hibit muscarinic M 3 or muscarinic M 2 receptors and may be an agent of the β 3 -adrenegic receptor.

M3/M2 수용체는 부교감신경 작용 수용체로써 눈, 비뇨기, 위장관, 심혈관계에 분포하며, 관련된 질환 또는 증상으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만성 기관지염, 천식, 성인/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만성 호흡 폐쇄, 기관지 과반응성, 폐 섬유증, 폐 기종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 과민성 장 증후군, 경련성대장염, 위십이지장 궤양, 위장 경련 또는 운동기능항진증, 게실염, 위장 평활근의 경련을 동반하는 동통; 신경원성 빈뇨증, 신경원성 방광, 야뇨증, 정신신체적 방광, 방광 경련 또는 만성 방광염과 관련된 실금, 과민성 방광 증후군, 급뇨증 또는 빈뇨증을 포함하는 배뇨 장애 등이 있다.The M 3 / M 2 receptor is a parasympathetic neural receptor that is distributed in the eye, urinary tract, gastrointestinal tract, and cardiovascular system, and the related diseases or symptoms includ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hronic bronchitis, asthma, adult /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Bronchial reactivity, pulmonary fibrosis, pulmonary or allergic rhinitis, irritable bowel syndrome, convulsive colitis, gastroduodenal ulcer, gastrointestinal seizures or hypermobility, diverticulitis, convulsions of the gastrointestinal smooth muscle; Dysuria including urinary incontinence, neurogenic enuresis, neurogenic bladder, enuresis, mental-physical bladder, incontinence associated with bladder spasms or chronic cystitis, irritable bladder syndrome, feeding or urinary incontinence.

β3-adrenegic 수용체는 방광체부 및 갈색지방세포와 백색지방세포에 분포하며, 관련된 질환 또는 증상으로는 과체중, 비만, 내당능 장애, 제1형 당뇨, 제2형 당뇨, 절박뇨, 야뇨증 및 요실금, 신경원성방광, 과민성 방광 증후군, 급뇨증 또는 빈뇨증을 포함하는 배뇨 장애 등이 있다.The β 3 -adrenegic receptor is distributed in the bladder, brown adipose, and white adipocytes, and the related diseases or symptoms include overweight, obesity, impaired glucose tolerance, type 1 diabetes, type 2 diabetes mellitus, Bladder outlet obstruction, bladder outlet obstruction, irritable bladder syndrome, urination or urin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배뇨 장애”는 배뇨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정상적인 배뇨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장애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배뇨근의 이상 수축 또는 이완과 같은 배뇨근의 저활동성, 배뇨근의 불안정, 감각성 절박뇨 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장애일 수 있다. 특히 배뇨 장애는 바람직하게는 빈뇨, 야간뇨, 절박뇨, 요실금, 야뇨증을 포함하는 저장 증상; 약뇨, 분산뇨, 간헐뇨, 요주저, 복압배뇨, 배뇨 말 요점적을 포함하는 배뇨 증상; 잔뇨감, 배뇨 후 요점적을 포함하는 배뇨 후 증상 또는 간질성 방광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민성 방광증후군, 절박요실금, 절박뇨, 빈뇨, 야간뇨 및 간질성 방광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Therefore, the " dysuria of the present invention " may include various disorders outside the normal urinary pattern associated with urination, such as low activity of detrusor muscle such as abnormal contraction or relaxation of detrusor, detrusor instability, sensory urgency This can be a disability caused by In particular, the urinary disorder is preferably a symptom of storage, including urinary frequency, nocturia, urgency, urinary incontinence, enuresis; Urinary symptoms including urinary symptoms,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frequency, urinary frequency;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incontinence, urinary incontinence, intermittent urination, interstitial cystitis, interstitial cystitis, interstitial cystitis, urinary retention, urinary symptoms and interstitial cystitis,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배뇨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hormone therapy, drug 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for prevention, treatment, or improvement of dysuria.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의약 발명 부분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의약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락토오즈, 덱스트로오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즈, 메틸 셀룰로오즈,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by add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For formulation, refer to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eans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or example, there may be mentioned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lso include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and the like.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Such solid preparations can be prepared by incorporating into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have.

피부 투여를 위해 언급할 수 있는 예로는 더스팅 파우더, 에멀젼, 현탁액, 오일, 스프레이, 연고, 그리지 연고, 크림 페이스트, 겔, 폼, 또는 용액을 생성시키는데 적합하고, 경피 약물 전달체(TTS: Transdermal therapeuticsystem)에 적합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가 있다. 본 발명의 국소용 약학제제는 반고체상 제형일 수 있으며 특히 연고(용액 연고, 현탁액 연고), 크림, 겔 또는 페이스트가 있다. 유상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지방 알콜,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지방산, 예를 들면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 액상 또는 고체상 파라핀 또는 오조케라이트, 액상 내지 고체상 왁스,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천연 지방 또는 일부 합성 지방, 예를 들면 코코넛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유, 예를 들면 수소화된 피넛 또는 캐스터 오일, 또는 글리세롤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가 있다. 적합한 유화제로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리알코올 또는 이것의 산화에틸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올레에이트 및/또는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등,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롤,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세틸 설페이트 또는 나트륨 스테아릴 설페이트가 있으며 이들은 상기 지방 알코올, 예를 들면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크림 건조를 방지하는 제제, 예를 들면 폴리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수상에 첨가하거나 또는 보존제, 향료 등을 수상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Examples which may be mentioned for skin administration a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dusting powders, emulsions, suspensions, oils, sprays, ointments, ointments, creams, pastes, gels, foams or solutions, and may be formulated as transdermal therapeutics (TTS) ) And / or excipients. The topical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mi-solid formulations, in particular ointments (ointments, suspension ointments), creams, gels or pastes. Lactic alcohol,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or stearic acid, liquid or solid paraffin or ozokerite, liquid or solid waxes, for example, For example, isopropyl myristate, natural or partially synthetic fats such as coconut fatty acid triglycerides, hydrogenated oils such as hydrogenated peanut or castor oil, or fatty acid partial esters of glycerol, such as glycerol monostearate or glycerol There is distearate. Suitable emulsifiers include surfactants, such as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polyalcohols or fatty acid esters of ethylene oxide adducts thereof, such as polyglycerol fatty acid esters or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sorbitan fatty acid esters such as Sorbitan oleate and / or sorbitan isostearate, isostearate, sterol or polyoxyethylene fatty alcohol ethers or fatty acid esters, anionic surfactants, for example alkali metal salts of fatty alcohol sulfates, such as sodium lauryl Sodium cetyl sulfate or sodium stearyl sulfate,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presence of the fatty alcohol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cetyl alcohol or stearyl alcohol. Among them, it is possible to add an agent for preventing the drying of the cream, for example, a polyalcohol such as glycerol, sorbitol, propylene glycol and / or polyethylene glycol to the aqueous phase or to add a preservative, perfume or the like to the aqueous phase.

그러나 상기 열거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등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liste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the like, and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되는 복합 추출물의 적용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필발 추출물은 60 kg 성인을 기준으로 1일 1 내지 2400 mg/day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day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적용은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 추출물을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예를 들면, 경피,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complex extract to be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body weight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administration route and the period,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administration " means introducing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oiding dys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ient by any appropriat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oiding dys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can be administered via any conventional route. For example, the wilt extract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1 to 2400 mg / day, preferably 10 to 1000 mg / day, based on 60 kg adult, and the applic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It can also be applied. 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0.0001 to 50% by weight of the complex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mammals such as humans by various routes, for example, transdermal, oral, intravenous,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injection.

또한 본 발명은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or preventing dysuria comprising an extract of Piper Longum L.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camole, manganese, omega, omega, And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ement.

본원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2002년 8월 26일 제정된 한국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FUNCTIONAL HEALTH FOODS ACT)에 정의된 식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캅셀·분말·과립·액상·환 등의 형태로 제조·가공한 식품을 포함한다.The health functional fo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ose defined in the Korean Health Function Act (FUNCTIONAL HEALTH FOODS ACT) enacted on August 26, 2002. Specifically,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includes foods prepared or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or rings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useful functions in the human body.

상기 배뇨 장애는 배뇨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정상적인 배뇨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장애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배뇨근의 이상 수축 또는 이완과 같은 배뇨근의 저활동성, 배뇨근의 불안정, 감각성 절박뇨 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장애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과민성 방광증후군, 절박요실금, 절박뇨, 빈뇨, 야간뇨 및 간질성 방광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The voiding disorder may include various disorders outside the normal voiding pattern associated with voiding, and may be a disorder caused by low activity of detrusor muscle, instability of detrusor, sensory urgency, etc., such as abnormal contraction or relaxation of detrusor muscle And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ritable bladder syndrome, urge incontinence, urgency, urinary frequency, nocturia and interstitial cystitis.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고,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contain flavors such a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 Protective colloid thickening agent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as well as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and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 / RTI >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any one of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 confectionery, pizza, ramen, gum, ice cream, soup, beverage, tea, functional water, drink, alcoholic beverage, .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The above health functional food may further contain food additives, and the suitability of such food additives as "food additives" shall be determined by the Gener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ha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levant standards and standards.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ubstances found in the above-mentioned "food additives" include natural products such as ketones, chemical products such as glycine, potass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persimmon extracts, licorice extracts, crystalline celluloses, high- , A sodium L-glutamate preparation, a noodle-added alkaline agent, a preservative preparation, a tar coloring agent, and the like.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의 필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식품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 포함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dded to foods containing beverages, can be appropriately added or decreased as necessary, and preferably 1 to 15 wt% %. ≪ / RTI >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값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균등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numerical values set forth herein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equivalent ranges unless otherwise indicat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제조예들에서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천연물들은 경동시장의 부영 약업사(서울 동대문구 왕산로 147) 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xamples, examples and prepar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Examples and Preparation Examples are provided only for the purpose of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Production Examples, Examples and Preparation Examples. The natural products for the preparation of the extracts in the following preparations were purchased from UYONG Pharmaceutical Co., Ltd., Kyeongdong market (Wonsan-ro 147, Dongdaemun-gu, Seoul).

제조예1Production Example 1 . . 필발Petal 추출물 및  The extract and 분획물의Fraction 제조 Produce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1.  1.1. 필발Petal 물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water extract

음건한 필발 열매 100g에 1 L의 물을 가하여 95 ℃ 항온수욕조(현대과학, B-90)에서 3 시간 30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추출물은 여지를 이용해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50-60℃ 조건의 감압농축하였으며, 이로부터 고형물 87.1 %의 필발 추출물 연조엑스 (필발 물 추출물) 9.6±0.1g을 수득하였다. 1 L of water was added to 100 g of sham and the mixture was refluxed for 3 hours and 30 minutes in a constant-temperature water bath (Hyundai Scientific, B-90). The extract thus obtained was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filter paper,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50-60 ° C. From this, 9.6 ± 0.1 g of a volumetric excretion extract (volumetric water extract) of 87.1% solids was obtained.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2.  1.2. 필발Petal 30  30 부피%volume%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필발 3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음건한 필발 열매 1 Kg에 6.0 L의 3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80-90 ℃ 항온수욕조(현대과학, B-90)에서 3 시간 30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추출물은 여지를 이용해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50-60℃ 조건의 진공회전증발기(EYELA, N-1100)를 이용해 증발농축하였으며, 진공 건조기(JEI0 Tech, OV-12)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필발 3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수득하였다.To prepare a 3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6.0 L of a 3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1 kg of shrunken volumetric flour and the mixture was heated at 80-90 DEG C for 3 hours and 30 minutes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Hyundai Scientific, B-90) .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by evaporation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EYELA, N-1100) under the condition of 50-60 ° C, and dried in a vacuum dryer (JEI0 Tech, OV-12) for 12 hours And dried to obtain a 3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3.  1.3. 필발Petal 물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water extract

음건한 필발 열매 각 5g을 100 mL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80-90 ℃ 항온수욕조(현대과학, B-90)에서 3 시간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여지를 이용해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50-60℃ 조건의 진공회전증발기(EYELA, N-1100)를 이용해 증발농축하였으며, 진공 건조기 (JEIO Tech, OV-12)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필발 물 추출물 0.76g을 수득하였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Five grams of each shade of the volumetric flour was refluxed for 3 hours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Hyundai Scientific, B-90) using 100 mL of purified water.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by evaporation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EYELA, N-1100) at 50-60 ° C and dried over a period of 12 hours using a vacuum drier (JEIO Tech, OV-12) To obtain 0.76 g of a wilted water extrac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4.  1.4. 필발Petal 유기용매Organic solvent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추출용매를 물 대신 각각 에탄올, 95부피% 에탄올 수용액,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로 달리하고 상기 제조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추출용매로 각각 디클로로 메탄, 클로로포름, 헥산을 용매를 달리할 때는 60-70 ℃ 항온수욕조(현대과학, B-90)에서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0.21g 내지 0.81g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표 1에 나타내었다.The extraction solvent was changed to ethanol, 95 vol.% Aqueous ethanol solution, methanol and ethyl acetate instead of water, and an extra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2. The extr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2, except that dichloromethane, chloroform, and hexane were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and the solvent was extracted from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Hyundai Scientific, B-90) at 60-70 ° C . The extract obtained was 0.21 g to 0.81 g, which is specifically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5.  1.5. 필발Petal 에탄올 수용액 농도별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s by Ethanol Aqueous Solution Concentration

추출용매를 에탄올 30부피%, 50부피%, 70부피%, 95부피% 에탄올 수용액으로 달리하고 상기 제조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0.61g 내지 0.86g 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표 2에 나타내었다.Extr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2 except that the extraction solvent was changed to 30% by volume of ethanol, 50% by volume, 70% by volume and 95% by volume of ethanol aqueous solution. The extract obtained was 0.61 g to 0.86 g, which is specifically shown in Table 2.

[표 2][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6.  1.6. 필발Petal 95부피%95 vol%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Aqueous ethanol extract 유기용매Organic solvent 분획물의Fraction 제조 Produce

음건한 필발 열매 1kg을 약 10 L의 95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항온수욕조(JISICO, J-BAL)에서 3 시간 30분 동안 2 회 환류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여지를 이용해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50-60℃ 조건의 진공회전증발기(EYELA, N-1100)를 이용해 증발농축하였으며, 진공 건조기 (JEIO Tech, OV-12)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필발 95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82.99g을 수득하였다. 상기 필발 95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분획여두에 증류수 1.5L를 가하여 현탁한 뒤, 1.2내지 1.5L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진탕하였으며 유기용매의 층분리를 확인한 뒤 해당 유기용매를 취해 감압농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트산 에틸, 수포화 n-부탄올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유기용매 분획물 (56.13g 내지 2.2g)및 유기용매층을 제외한 물층 분획물 약10g이 제조되었고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One kilogram of the shabby volumetric flour was subjected to reflux extraction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JISICO, J-BAL) for 3 hours and 30 minutes using about 10 L of a 95 vol% aqueous ethanol solution.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by evaporation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EYELA, N-1100) at 50-60 ° C and dried over a period of 12 hours using a vacuum drier (JEIO Tech, OV-12) To obtain 82.99 g of an aqueous 95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The above aqueous solution of 95% by volume of ethanol fraction was suspended in 1.5 L of distilled water, and 1.2 to 1.5 L of an organic solvent was added thereto. The organic solvent was separated and the organic solvent was remov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The organic solvent fraction (56.13 g to 2.2 g) and the fraction of the water layer except for the organic solvent layer were prepared in the order of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and n-butanol saturated with wat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표 3][Table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오미자 에탄올 수용액 농도별 추출물의 제조  2. Preparation of extracts by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 of Omija ethanol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1. 오미자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2.1. Preparation of aqueous solution of omija ethanol

오미자 에탄올 수용액 농도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된 오미자 열매 각 80 g에 800 mL의 해당 부피의 에탄올 30부피%, 50부피%, 95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달리 가하고 80-90℃ 항온수욕조(현대과학, B-90)에서 3 시간 30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추출물은 여지를 이용해 감압 여과한 후, 여액을 50-60℃ 조건의 진공회전증발기(EYELA, N-1100)를 이용해 증발농축하였으며, 진공 건조기(JEIO Tech, OV-12)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오미자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42.25g 내지 50.47g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표 4에 나타내었다.To prepare an extract of Omiza ethanol aqueous solution concentration, each of 80 g of dried Omiza fruit was added with 30 vol%, 50 vol%, and 95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of 800 mL of the corresponding volume of ethanol, Science, B-90) for 3 hours and 30 minutes.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by evaporation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EYELA, N-1100) under the condition of 50-60 ° C, and dried in a vacuum dryer (JEIO Tech, OV-12) for 12 hours And dried to prepare an aqueous solution of Omija ethanol. The extracts obtained were 42.25 g to 50.47 g, which are shown in Table 4 in detail.

[표 4][Tabl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2. 오미자  2.2. Schisandra 50%에탄올50% ethanol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aqueous solution extract

오미자 5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된 오미자 열매 100.1 g에 900mL의 5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80-85 ℃ 항온수욕조 (한솔테크, HS_SWB_D_6)에서 6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추출물은 여지를 이용해 감압여과한 후, 여액을 50-60℃ 조건의 진공회전증발기(EYELA, N-1100)를 이용해 증발농축하였으며, 진공 건조기(JEIO Tech, OV-12)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오미자 5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0.9g을 수득하였다.To prepare an aqueous 50 vol.% Ethanol solution of Omija, 900 mL of 5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100.1 g of dried Omiza fruit, and the mixture was refluxed for 6 hours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HS-SWB_D_6) at 80-85 ° C.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by evaporation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EYELA, N-1100) under the condition of 50-60 ° C, and dried in a vacuum dryer (JEIO Tech, OV-12) for 12 hours And dried to obtain 40.9 g of an aqueous 5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of Omija.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3. 검인, 구자,  However, 남과인Men and women , 복령, 오미자, , Byeongryeong, Omiza, 오약Broken egg , 토사자 및 , Soil and 호장근Hojo Chang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상기 제조예2와 동일하게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에 대해서도 농도별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imilarly to Preparation Example 2, aqueous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s were prepared for each of the probes, guacamole, mangin, phosphorus, erythritol, erythritol and talc.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4.  4. 필발Petal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의 제조 And Omija complex extract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필발 3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및 상기 제조예 2.2에서 제조된 필발 50 %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각각 1:1, 3:1 및 1:3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The 30%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and the 50%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2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1, 3: 1 and 1: 3, respectively, .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5.  5. 필발Peta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Extracts, and probes, 남과인Men and women , 복령, 오미자, , Byeongryeong, Omiza, 오약Broken egg , 토사자 및 , Soil and 호장근Hojo Chang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 제조 Preparation of complex extracts of extracts selected from extracts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필발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혼합하여 각각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Each of the combined extracts was prepared by separately blending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x extract, Seongin, Guju, Nam-In, Bok-rye, Omija,

실시예Example 1.  One. SHRSHR 비 마취 배뇨횟수 평가 모델을 통한  Through non-anesthesia frequency assessment model 필발Petal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의 효과  And Omija complex extract

1.1 실험동물 1.1 Experimental animals

12 주령의 수컷 SHR 을 SLC (Japan) 로부터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낮, 밤을 12 시간 주기로 조절하였고, 음식과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18 주령의 SHR에 용매 및 제조예 4의 약물을 배합한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투여 후 배뇨 횟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12 week old male SHR was purchased from SLC (Japan). Day and night were adjusted to 12-hour cycles, and food and water were freely availabl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urination after administering a mixture of the solvent and the preparation of Example 4 to the 18-week-old SHR with the compound extract of Lilium and Omija.

10.2 10.2 필발Petal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의 배뇨횟수 감소 효과 And Omija Complex Extract

동일한 SHR에 실험 첫째 날에는 용매를 투여하고, 두 번째 날에는 상기 제조예 4의 약물을 배합한 복합 추출물 (필발 3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과 오미자 5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1:1, 3:1 및 1:3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조)을 300mg/kg으로 투여하였으며, 이틀간의 투여 볼륨 (volume)은 kg/10ml로 같도록 하였다. 이때 첫째 날 투여된 용매는 DMSO/10% Cremophor EL=1:9, vol/vol이다.On the same day, the solvent was administered to the same SHR, and on the second day, the combined extract (3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5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1: 1, 3: 1 and 1: 3) was administered at a dose of 300 mg / kg, and the volume of administration for two days was equal to kg / 10 ml. At this time, the solvent administered on the first day was DMSO / 10% Cremophor EL = 1: 9, vol / vol.

용매를 투여한 SHR의 측정 결과를 배뇨 횟수 지표의 대조군으로 삼았으며, 실험 약물을 투여한 SHR 를 실험군으로 하였다. 용매와 실험 약물이 투여된 SHR를 바로 대사 케이지에 넣고, 급수만 공급한 상태에서 16 시간 (PM 5시~AM 9시) 동안 isometric transducer (Harvard apparatus)와 MP150 (BIOPAC systems model no. MP150CE)을 이용하여 배뇨 횟수를 측정하였다. 용매 (첫째 날)와 실험 약물 (두 번째 날) 투여 후 16 시간 동안의 배뇨 횟수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Paired t-test).The results of the SHR administration of the solvent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of the urination frequency index, and the SHR to which the experimental drug was administered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SHR with the solvent and the experimental drug was immediately placed in the metabolic cage and the isometric transducer (Harvard apparatus) and MP150 (BIOPAC systems model no. MP150CE) were maintained for 16 hours (PM 5 to AM 9) The number of urination was measured.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ata of the number of urination for 16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drug (the first day) and the experimental drug (the second day).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1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and FIG.

[표 5][Table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표5 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복합 추출물 모두 과민성방광에서 나타나는 빈뇨와 관련된 변수인 배뇨 횟수에서 용매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배합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3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과 오미자 50 부피%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3:1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조한 복합 추출물이 과민성 방광증에 대해 다른 배합비의 복합 추출물보다 가장 우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As shown in Table 5 and FIG. 1, all of the manufactured complex extrac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number of urination, which is a variable related to frequency of urination, in the overactive bladder compared to the solvent control,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combined extract prepared by mixing 3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50 vol.% Ethanol aqueous solution at a weight ratio of 3: 1 showed the most excellent improvement effect compared with the combined extract of other blending ratio for the irritable bladder.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른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은 단독 추출물과 대비하여 현저한 배뇨 장애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를 보였다. Compared with the singl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und extract of Pemphil and Omij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remarkable prevention,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the dysuria.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1. 의약품의 제조 1. Manufacture of medicines

1.1. 1.1. 산제의Sanje 제조 Produce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100mg100 mg of Lilac and Omija complex extract

유당 100mgLactose 100mg

탈크 10mgTalc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and filled in airtight bags to prepare powders.

1.2. 정제의 제조1.2. Manufacture of tablets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100mg100 mg of Lilac and Omija complex extract

옥수수전분 100mgCorn starch 100 mg

유당 100mgLactose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Magnesium stearate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ablets a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the usual preparation method of tablets.

1.3. 캡슐제의 제조1.3. Preparation of capsules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100mg100 mg of Lilac and Omija complex extract

옥수수전분 100mgCorn starch 100 mg

유당 100mgLactose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Magnesium stearate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apsule preparation method and filled in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1.4. 주사제의 제조1.4. Injection preparation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100mg100 mg of Lilac and Omija complex extract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Sterile sterilized water for injection

pH 조절제 적량pH adjuster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2 ml) per 1 ampoule in accordance with the usual injection method.

1.5. 1.5. 액제의Liquid 제조 Produce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100mg100 mg of Lilac and Omija complex extract

설탕 20gSugar 20g

이성화당 20g20g per isomer

레몬향 적량Lemon incense quantity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Purified water was added to make a total of 1,00 ml.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usual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agent, and then filled in a brown bottle and sterilized to prepare a liquid agent.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2. Manufacture of health functional foods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100mg100 mg of Lilac and Omija complex extract

비타민 혼합물 적량Vitamin mixture quantity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70 [mu] g of vitamin A acetate

비타민 E 1.0 ㎎Vitamin E 1.0 mg

비타민 B1 0.13 ㎎0.13 mg vitamin B1

비타민 B2 0.15 ㎎0.15 mg of vitamin B2

비타민 B6 0.5 ㎎0.5 mg vitamin B6

비타민 B12 0.2 ㎍0.2 [mu] g vitamin B12

비타민 C 10 ㎎10 mg vitamin C

비오틴 10 ㎍Biotin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Nicotinic acid amide 1.7 mg

엽산 50 ㎍50 ㎍ of folic acid

판토텐산 칼슘 0.5 ㎎Calcium pantothenate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Mineral mixture quantity

황산제1철 1.75 ㎎1.75 mg of ferrous sulfate

산화아연 0.82 ㎎0.82 mg of zinc oxide

제1인산칼륨 15 ㎎15 mg of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제2인산칼슘 55 ㎎Secondary calcium phosphate 55 mg

구연산칼륨 90 ㎎Potassium citrate 90 mg

탄산칼슘 100 ㎎100 mg of calcium carbonate

염화마그네슘 24.8 ㎎24.8 mg of magnesium chloride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예, 영양캔디 등)에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 is comparatively mixed with a component suitable for a health functional food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nd the above components may be mixed And then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example, a nutritious candy, etc.)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3. 건강기능성 음료의 제조 3. Preparation of Health Functional Drink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 100mg100 mg of Lilac and Omija complex extract

구연산 1000 ㎎Citric acid 1000 mg

올리고당 100 g100 g of oligosaccharide

매실농축액 2 gPlum concentrate 2 g

타우린 1 gTaurine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Purified water was added to a total of 900 ml

통상의 건강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functional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mixture was heated at 85 DEG C for about 1 hour with stirring, and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o obtain a sterilized 2-liter container, which was sealed and sterilized, It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the composition ratio is a mixture of the components suitable for the preferred beverage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ble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varied according to the regional and national preferences such as the demand level, the demanding country, and the intended use.

Claims (14)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iper Longum L. extract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ar,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herein the extrac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 glycerin,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Wherein the composition is extracted with an extraction solv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lcohol is an anhydrous or hydrated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은 30 내지 100 부피 %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nhydrous or low-boiling alcohol is methanol or ethanol in an amount of 30 to 100% by volume.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추출물은 배뇨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ined extract increases the voiding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추출물은 배뇨압을 감소시키고, 방광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인, 배뇨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ined extract reduces the urine pressure and increases the volume of the bladder.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추출물은 배뇨근 수축 억제 및 배뇨근 이완을 유도하는 것인, 배뇨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lex extract inhibits detrusor contraction and induces detrusor relaxation.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추출물은 무스카린 M3 또는 무스카린 M2 수용체를 저해하는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ined extract inhibits muscarinic M 3 or muscarinic M 2 receptor.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추출물은 β3-adrenegic 수용체의 작용제인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ined extract is an agonist of? 3- adrenergic recep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장애는 과민성 방광증후군, 절박요실금, 절박뇨, 빈뇨, 야간뇨 및 간질성 방광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ysuri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veractive bladder syndrome, urgent urinary incontinence, urgency, urinary frequency, nocturia and interstitial cystit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 is a compound extract of Lilium and Omija,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ysuria. 필발(Piper Longum L.) 추출물, 및 검인, 구자, 남과인, 복령, 오미자, 오약, 토사자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Piper Longum L. extract, and a health func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urinary problems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biotics, guinea pigs, mangin, phosphorus, omija, omega, fo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장애는 과민성 방광증후군, 절박요실금, 절박뇨, 빈뇨, 야간뇨 및 간질성 방광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 선택된 것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The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dysuri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veractive bladder syndrome, urgent urinary incontinence, urgency, urinary frequency, nocturia and interstitial cystiti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필발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인, 배뇨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13. The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ysuria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extract is a compound extract of Lilium and Omija.
KR1020150132594A 2015-09-18 2015-09-18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 KR201700368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94A KR20170036883A (en) 2015-09-18 2015-09-18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94A KR20170036883A (en) 2015-09-18 2015-09-18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883A true KR20170036883A (en) 2017-04-03

Family

ID=5858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594A KR20170036883A (en) 2015-09-18 2015-09-18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88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18A (en) * 2018-10-29 2020-05-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prostate disease comprising Allium tuberosum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18A (en) * 2018-10-29 2020-05-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prostate disease comprising Allium tuberosum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en) Composition for differentiating muscle stem cell to muscle cel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weakness disease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enhancing exercise capacity comprising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KR101887157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woman menopause symptom comprising extract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JP6898905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dysuria containing Indian pepper extract
JP2022009308A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climacteric symptoms or osteoporosis
KR101189108B1 (en) A composition contain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for improving sexual function
KR101910013B1 (en)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pain comprising herb extract
KR20170114534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woman menopause symptom comprising extract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KR101902510B1 (en) Composition for anti-stress effect,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20170036883A (en)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complex extracts
KR20150110949A (en)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of voiding disorder comprising herbal extract
KR100850503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erectile dysfunction and erection maintenance contain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KR102275268B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 or osteoporosis
KR20110019977A (en) Composition for protection and treatment of stress and panic disorder
KR20190016013A (en) Composition for anti-stress effect,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102594107B1 (en) Composition for antifatique or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mixed extract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and Agastache rugosa
KR102347819B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 or osteoporosis
US10806766B2 (en) Method for treating,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KR102496864B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aliurus ramosissimus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51380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veractive bladder comprising non-polar solvent subfraction from Zingiber officinale extract
KR10155588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EP3449736B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 or osteoporosis
KR10151379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etrusor underactivity comprising aqueous subfraction from Zingiber officinale extract
KR20240074940A (en) Compositon comprising Liriope platyphylla as an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and treating dementia disease
CN112203651A (en) Agent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cturnal pollakisuria
KR20220046031A (en) Composition comprising fraxinus rhynchophylla extract for antidepressant and antis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