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433A -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433A
KR20170036433A KR1020150135591A KR20150135591A KR20170036433A KR 20170036433 A KR20170036433 A KR 20170036433A KR 1020150135591 A KR1020150135591 A KR 1020150135591A KR 20150135591 A KR20150135591 A KR 20150135591A KR 20170036433 A KR20170036433 A KR 2017003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deodorizing
household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조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433A/ko
Publication of KR2017003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11/0017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24F2003/1628
    • F24F2003/166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공동 건물을 이루는 각 세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세대로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환풍관과; 복수개의 환풍관과 각각 연결되며, 환풍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합류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복수개의 환풍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세대 내의 공기를 환풍관을 통해 덕트로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복수개의 배기팬과; 복수개의 환풍관에 각각 설치되며, 덕트로부터 환풍관을 통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탈취하도록 동작되는 복수개의 탈취유닛; 및 복수개의 배기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면, 복수개의 탈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LLECTIVE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 건물에서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상복합 건물 등과 같은 공동 건물에는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주방에는 음식 조리시 주변으로 확산되는 음식 냄새를 배출시키도록 주방에 팬모터가 설치된 랜지후드, 배기덕트로 이루어진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며, 거실 및 각각의 방에도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환기 시스템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환기 시스템은 여러 세대에서 배출된 공기가 통합적으로 배기되도록 마련된 배기덕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이 배기덕트 상부에는 무동력의 배기팬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환기 시스템에 따르면, 각 세대에서 배출된 공기가 배기덕트를 통해 주변의 다른 세대의 실내로 역류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한 세대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 세대의 실내로 혼입되어 주변의 다른 세대에 피해를 줄 수 있고, 이는 이웃 세대 간의 다툼 및 갈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부 세대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 세대의 실내로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는: 공동 건물을 이루는 각 세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세대로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환풍관과; 복수개의 상기 환풍관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환풍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합류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복수개의 상기 환풍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세대 내의 공기를 상기 환풍관을 통해 상기 덕트로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복수개의 배기팬과; 복수개의 상기 환풍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환풍관을 통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탈취하도록 동작되는 복수개의 탈취유닛; 및 복수개의 상기 배기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면, 복수개의 상기 탈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작된 상기 배기팬과 동일한 상기 환풍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탈취유닛이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작된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세대보다 상부에 위치한 세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이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배기팬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배기팬의 동작 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에 의해 동작이 감지된 상기 배기팬과 동일한 상기 환풍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탈취유닛이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작된 상기 배기팬과 동일한 상기 환풍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취유닛은, 상기 환풍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 및 상기 환풍관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반응하는 광촉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는, 340∼3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는, 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는, 상기 환풍관을 통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의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엘이디 사이의 거리가 2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는, 상기 엘이디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는 셀이 복수개 인접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기체(基體) 상에 산화티타늄(TiO2)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는, 상기 셀의 조밀도가 30~260 cell/inch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덕트를 통해 연결된 복수개의 세대의 환풍관 중 어느 한 세대의 환풍관에서 배기가 이루어지면 나머지 다른 세대에 각각 설치된 탈취유닛이 각각 동작되어 각 세대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살균,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부 세대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 세대의 실내로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이디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촉매부를 이용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오염,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악취의 실내 유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자외선 파장에 따른 광촉매의 자외선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엘이디와 광촉매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광촉매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탈취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자외선 파장에 따른 광촉매의 자외선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엘이디와 광촉매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광촉매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100)는, 환풍관(110)과 덕트(120)와 배기팬(130)과 탈취유닛(140)과 동작감지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환풍관(110)은, 공동 건물 상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환풍관(110)은, 공동 건물을 이루는 각 세대(h)에 각각 설치되며, 각 세대(h)로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덕트(120)는, 공동 건물 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환풍관(110)과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덕트(120)는, 환풍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합류되는 상하방향의 유로를 형성한다. 즉 환풍관(110)을 통해 각 세대(h)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다른 세대(h)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덕트(120)에서 합류할 수 있고, 덕트(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팬(130)은, 복수개의 환풍관(110)에 각각 설치된다. 즉 각 환풍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130)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 환풍관(110)에 설치되는 각각의 배기팬(130)은, 각 세대(h) 내의 공기를 환풍관(110)을 통해 덕트(120)로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된다.
탈취유닛(140)은, 복수개의 환풍관(110)에 각각 설치된다. 즉 각 환풍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탈취유닛(140)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탈취유닛(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141)와 광촉매부(145)를 포함한다.
엘이디(141)는, 환풍관(110)에 설치되어 환풍관(110)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되, 340~3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도록 구비된다.
340~3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 중, 특히 36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은 광촉매의 촉매작용을 촉진시켜 유해성분이나 오염, 냄새 등을 분해시키는데 효과가 크다.
자외선 파장에 따른 광촉매의 자외선 흡수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70nm 부근의 파장을 가장 잘 흡수하고, 400nm로 갈수록 흡수율이 선형적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자외선 엘이디(UV LED)를 사용할 때 광촉매 효율이 가장 뛰어나게 활성화되는 피크 파장의 자외선 엘이디는 365n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외선 엘이디의 발광효율 때문인데, 자외선 엘이디의 특성 상 피크 파장이 작은 자외선 엘이디일수록 소자의 발광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낮은 피크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엘이디를 사용하여 광촉매 표면에서 필요한 적정 자외선 세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자외선 엘이디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많은 수의 자외선 엘이디를 사용하면 방열이 더더욱 어려워지고, 비용 자체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를 염두하여 실험한 결과 340nm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엘이디를 사용하게 되면 광촉매에 의한 탈취 효율이 급격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80nm 이상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엘이디를 사용할 때에는 광촉매의 자외선 흡수율 자체가 많이 떨어지게 된다. 실험 결과 피크 파장이 360nm 이상이고 370nm 이하인 자외선 엘이디를 사용해야 광촉매에 의한 탈취 성능을 가장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141)가 36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와 같이 구비되는 엘이디(141)의 작용에 의해 후술할 광촉매부(145)에서의 탈취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광촉매부(145)는, 환풍관(110)에 설치되며, 엘이디(14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반응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촉매부(14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무늬의 격자를 가지는 세라믹 다공체 형태의 기체(基體)에 산화티타늄(TiO2)과 같은 광촉매가 코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체는, 엘이디(141)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는 셀(c)이 기체 상에 바둑판 무늬의 격자를 이루도록 복수개 인접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촉매부(145)는, 셀(c)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로의 방향이 환풍관(141)을 통해 세대(h)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광촉매부(145)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엘이디(141)는, 셀(c)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즉 환풍관(110)을 통해 세대(h)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엘이디(141)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촉매부(145)에서의 탈취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촉매부(145)의 엘이디(141)와 마주보는 면(이하 "전면"이라 한다)과 엘이디(141) 사이의 거리(d)가 20~30㎜인 것으로 예시된다.
광촉매부(145)의 탈취 효율이 엘이디(141)와 광촉매부(145)의 전면(Front face) 간 거리에 따른 공기의 유동특성 변화 및 광촉매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면적과 세기에 의해 달라질 것을 예상하고 실험한 결과, 정사각형의 광촉매부(145)의 한 변의 길이(l)가 55㎜인 경우, 엘이디(141)와 광촉매부(145)의 전면 사이의 거리(d)가 25㎜ 이격되었을 때 탈취 효율이 가장 뛰어났으며, 그 거리(d)가 20㎜ 밑으로 줄어들거나 30㎜를 넘어 늘어난 경우 탈취 효율이 급격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 사이의 거리(d)가 20㎜ 밑으로 너무 가까우면 광촉매필터의 면적 중 자외선이 조사되는 광촉매필터의 면적이 줄어드는 반면 광촉매필터의 단위면적 당 자외선의 세기가 강해져도 광촉매 활성화 효율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 상태(Saturation)가 되고, 아울러 엘이디(141)가 광촉매부(145)와 너무 가까울 경우 자외선이 주로 조사되는 광촉매부(145)의 중간 영역으로는 공기 유동이 잘 되지 않아 활성화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영역에 막상 접촉하는 공기의 양이 더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둘 사이의 거리(d)가 30㎜를 넘어 너무 멀면 광촉매부(145)의 단위면적 당 자외선의 세기가 줄어 광촉매 활성화 정도가 떨어지고, 또 먼 거리 사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안정화되어 층류(Laminar flow)처럼 거동하여 광촉매부(145)의 표면과 접하는 공기의 양 자체가 줄어드는 것이 원인이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광촉매부(145)의 셀(c)의 조밀도가 30~260 cell/inch2 것으로 예시된다.
셀(c)의 조밀도가 30 cell/inch2보다 더 낮은 경우에는 내부이격간격이 4mm 이상 커져 내벽의 면적 자체가 크게 떨어지므로 탈취 효율이 떨어지고, 셀(c)의 조밀도가 260 cell/inch2 이상인 경우에는 내부 이격 간격이 1mm 이하로 좁아져 공기저항이 높아지고 내벽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줄어들어 탈취 효율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셀(c)의 조밀도가 100 cell/inch2 전후인 경우 공기 저항이 증가하지 아니하면서도 필터의 형상 자체가 자외선이 필터 내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가로막아 음영이 발생하는 정도가 크기 않아 탈취 효율이 가장 뛰어나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동작감지부(150)는 각 세대(h)에 설치된 복수개의 배기팬(130)에 각각 설치되어 각 배기팬(130)의 동작 여부를 각각 감지한다.
이러한 동작감지부(150)는, 배기팬(130)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마련된 조작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배기팬(130)의 회전 여부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각 세대(h)에 설치된 복수개의 배기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면 복수개의 탈취유닛(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탈취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각 배기팬(130)에 설치된 동작감지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감지부(150)를 통해 배기팬(130)의 동작이 감지되면, 동작감지부(150)에 의해 동작이 감지된 해당 배기팬(130)과 동일한 환풍관(110)에 설치된 탈취유닛(14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동작이 정지된 탈취유닛(140)을 제외한 나머지 탈취유닛(140)이 동작되도록 탈취유닛(140)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례로서, 제어부(160)는 동작감지부(150)에 의해 동작이 감지된 해당 배기팬(130)과 동일한 환풍관(110)에 설치된 탈취유닛(140), 즉 동작이 정지된 탈취유닛(140)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탈취유닛(140)들이 동작되도록 탈취유닛(140)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60)는 동작감지부(150)에 의해 동작이 감지된 해당 배기팬(130)이 설치된 세대(h)보다 상부에 위치한 세대(h)에 설치된 탈취유닛(140)이 동작되도록 탈취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방식은, 대부분 건물 밖으로 배출될 것이 예상되는 공기에 대해서는 탈취를 실시하지 않고, 공기가 역류하여 세대(h) 내부로 유입될 것이 예상되는 곳에서는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탈취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동 건물을 이루는 복수개의 세대(h) 중 어느 하나의 세대(h1)에서 배기팬(130)을 동작시키면, 해당 세대(h1; 이하 "배출 세대"라 한다)에 설치된 환풍관(110)에서는 배출 세대(h1) 내의 공기를 환풍관(110)을 통해 덕트(120)로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해당 배출 세대(h1) 내의 공기가 배출 세대(h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주방의 음식 냄새, 화장실 악취, 담배 냄새 등과 같은 악취가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출 세대(h1) 밖으로 배출된 공기 및 이와 함께 배출된 악취는 덕트(120)로 배출되고, 덕트(120) 내부의 공기와 합류되면서 덕트(120) 내부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덕트(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덕트(120)와 연결된 각 환풍관(110)을 통해 각 세대(h)의 실내로 역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배출 세대(h1)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 세대(h)의 실내로 혼입되어 주변의 다른 세대(h)에 피해가 갈 수 있게 되고, 이는 이웃 간의 다툼 및 갈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배기팬(130)의 동작 및 이에 따른 배기가 이루어지면, 해당 배기팬(130)에 설치된 동작감지부(150)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감지부(1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60)는, 동작감지부(150)에 의해 동작이 감지된 해당 배기팬(130)과 동일한 환풍관(110)에 설치된 탈취유닛(140), 즉 배출 세대(h1)에 설치된 탈취유닛(14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동작이 정지된 탈취유닛(140)을 제외한 나머지 탈취유닛(140)이 동작되도록 탈취유닛(140)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례로서, 제어부(160)는 배출 세대(h1)에 설치된 탈취유닛(140), 즉 동작이 정지된 탈취유닛(140)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탈취유닛(140)들이 동작되도록 탈취유닛(140)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의 동작 제어에 의해, 배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배출 세대(h1) 이외의 다른 모든 세대(h)의 환풍관(110)에 설치된 탈취유닛(140)들이 동작되고, 이러한 탈취유닛(140)들의 동작에 의해 해당 환풍관(110)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탈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탈취유닛(140)의 동작이 시작된 상태에서, 덕트(120)로부터 환풍관(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141)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작용을 받게 된다.
이에 따르면, 엘이디(141)로부터 조사되는 광촉매 반응의 활성화에 적합한 자외선, 예를 들어 340~3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광촉매부(145)에 조사됨에 따라, 광촉매부(145)에서 광촉매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광촉매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광촉매 반응을 통해, 광촉매부(145) 주변에서 오염,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탈취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와 같이 탈취 작용이 일어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 악취를 제거하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탈취유닛(140) 내부에서 살균, 탈취가 이루어진 공기는, 주방의 음식 냄새, 화장실 악취, 남배 냄새 등과 같은 악취가 제거된 청정 상태로 해당 세대(h)의 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살균, 탈취 작용은 배출 세대(h1)를 제외한 주변의 다른 세대(h)에 설치된 탈취유닛(140) 모두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배출 세대(h1)에서 배출된 악취가 주변의 다른 세대(h)에 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덕트(120) 내에서 상승 기류가 강하게 형성되어 배출 세대(h1)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이와 함께 배출된 악취가 배출 세대(h1)보다 하부에 위치한 세대(h)로 혼입될 우려가 적은 경우에는, 제어부(160)는 동작감지부(150)에 의해 동작이 감지된 해당 배기팬(130)이 설치된 배출 세대(h1)보다 상부에 위치한 세대(h)에 설치된 탈취유닛(140)이 동작되도록 탈취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의 동작 제어에 의해, 배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배출 세대(h1)보다 상부에 위치된 세대(h)의 환풍관(110)에 설치된 탈취유닛(140)들이 동작되고, 이러한 탈취유닛(140)들의 동작에 의해 해당 환풍관(110)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탈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배출 세대(h1)보다 상부에 위치된 세대(h)에서는 탈취유닛(140) 내부에서 살균, 탈취가 이루어져 주방의 음식 냄새, 화장실 악취, 남배 냄새 등과 같은 악취가 제거된 청정 상태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배출 세대(h1)에서 배출된 악취가 혼입될 우려가 큰 세대(h)들에 대한 악취 차단 관리가 보다 집중적으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100)는, 하나의 덕트(120)를 통해 연결된 복수개의 세대(h)의 환풍관(110) 중 어느 한 세대(h1)의 환풍관(110)에서 배기가 이루어지면 나머지 다른 세대(h)에 각각 설치된 탈취유닛(140)이 각각 동작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살균,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부 세대(h1)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 세대(h)의 실내로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100)는, 엘이디(141)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촉매부(145)를 이용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오염,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악취의 실내 유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110 : 환풍관
120 : 덕트
130 : 배기팬
140 : 탈취유닛
141 : 엘이디
145 : 광촉매부
150 : 동작감지부
160 : 제어부
h : 세대
c : 셀
l : 길이

Claims (12)

  1. 공동 건물을 이루는 각 세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세대로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환풍관;
    복수개의 상기 환풍관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환풍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합류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복수개의 상기 환풍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세대 내의 공기를 상기 환풍관을 통해 상기 덕트로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복수개의 배기팬;
    복수개의 상기 환풍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환풍관을 통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탈취하도록 동작되는 복수개의 탈취유닛; 및
    복수개의 상기 배기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면, 복수개의 상기 탈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잇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된 상기 배기팬과 동일한 상기 환풍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탈취유닛이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된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세대보다 상부에 위치한 세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이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배기팬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배기팬의 동작 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에 의해 동작이 감지된 상기 배기팬과 동일한 상기 환풍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탈취유닛이 동작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된 상기 배기팬과 동일한 상기 환풍관에 설치된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상기 탈취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유닛은,
    상기 환풍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 및
    상기 환풍관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반응하는 광촉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340∼3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는, 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상기 환풍관을 통해 세대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의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엘이디 사이의 거리가 2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는, 상기 엘이디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는 셀이 복수개 인접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기체(基體) 상에 산화티타늄(TiO2)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는, 상기 셀의 조밀도가 30~260 cell/inch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KR1020150135591A 2015-09-24 2015-09-24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KR20170036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91A KR20170036433A (ko) 2015-09-24 2015-09-24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91A KR20170036433A (ko) 2015-09-24 2015-09-24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433A true KR20170036433A (ko) 2017-04-03

Family

ID=5858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91A KR20170036433A (ko) 2015-09-24 2015-09-24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43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592A (zh) * 2019-03-11 2019-07-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控制方法、装置及设备
KR20200135671A (ko) 2019-05-24 2020-12-03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210142349A (ko) 2020-05-18 2021-11-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용량 공기조화기용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대용량 공기조화기
KR20220031779A (ko) 2020-09-03 2022-03-1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세척 기능을 가지는 건물용 살균 공조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592A (zh) * 2019-03-11 2019-07-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控制方法、装置及设备
KR20200135671A (ko) 2019-05-24 2020-12-03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210142349A (ko) 2020-05-18 2021-11-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용량 공기조화기용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대용량 공기조화기
KR20220031779A (ko) 2020-09-03 2022-03-1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세척 기능을 가지는 건물용 살균 공조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3769595B2 (ja) 殺菌・脱臭手段を備えた空調装置
KR20170036433A (ko) 공동 건물용 공조장치
JP2015051268A (ja) 空気浄化装置
KR102148432B1 (ko) 살균필터 및 살균장치
JP2007232323A (ja) 天井扇
US201202914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biological Organisms in Commercial Icemakers and Coolers
JP2021511161A (ja) 流体処理装置
KR101676817B1 (ko) 방사형 공간 살균기
KR20170036434A (ko) 가습 기능을 갖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
KR200384758Y1 (ko) 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자외선 램프와 광촉매 타공판을 장착한 공기 디퓨져
JP2007044432A (ja) 脱臭器
KR20100026024A (ko) 살균 디퓨저
KR20160001542A (ko) 공기 청정기
KR102420838B1 (ko) 소음저감형 열회수 환기장치
JP4359758B2 (ja) 空調システム
KR102206281B1 (ko)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JP2007152026A (ja) 空気浄化装置
KR20150014817A (ko) 탈취살균장치를 구비하는 주방 기기
KR20230114761A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JP4736616B2 (ja) 脱臭器
KR101640865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책상
KR102174252B1 (ko) 광촉매 장치
KR20190001052A (ko) 증발기 코어 살균장치
KR20080073472A (ko) 천정 매입형 공기 살균 정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