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406A -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406A
KR20170036406A KR1020150135528A KR20150135528A KR20170036406A KR 20170036406 A KR20170036406 A KR 20170036406A KR 1020150135528 A KR1020150135528 A KR 1020150135528A KR 20150135528 A KR20150135528 A KR 20150135528A KR 20170036406 A KR20170036406 A KR 20170036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distilled water
sterilization
heating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459B1 (ko
Inventor
유동수
Original Assignee
한성의료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의료산업(주) filed Critical 한성의료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13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4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소용량 고압 스팀 멸균 시스템은, 스팀발생을 위한 증류수가 보관되는 급수조, 급수조의 증류수가 공급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공간부에 공급되는 증류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 스팀발생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어 균을 살균하는 멸균챔버, 및 멸균챔버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스팀발생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증류수를 입자크기가 작게 상기 공간부로 분무(噴霧)하는 노즐부,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증류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증류수를 분무시켜 가열함으로써 입자크기가 작은 분무액을 가열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분무액을 기화시킬 수 있어 스팀발생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체 멸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급수조 전체를 가열하여 증류수를 기화시킴에 따라 기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STERILIZATION SYSTEM BY HIGH PRESSURE STEAM}
본 발명은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압 증기를 안정적으로 빨리 생성하여 보다 신속하게 멸균할 수 있는 멸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구의 경우 사용한 후 폐기처리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으나 멸균처리하여 다시 재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구 등이 있는데, 멸균처리시 약품으로 멸균처리하거나 고온의 스팀을 가하여 멸균시키는 방법이 있다.
고온의 스팀으로 멸균하는 방법으로서, 멸균 챔버내에 일정량의 증류수를 채운상태에서 전기히터를 통해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멸균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멸균챔버내에 채워진 증류수 전체를 가열하여야 함에 따라, 가열된 증류수가 증발하여 증기로 될 때까지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멸균장치의 작동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소비전력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멸균챔버내의 증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증류수에 의하여 의료기구 등이 재차 감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0365705 B1
'의료용 소형 고압증기 멸균기의 진공 및 온수에 의한 급수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스팀발생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보다 신속하게 의료기구의 멸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팀발생 공간과 멸균공간을 분리함으로써 멸균처리에 사용된 증류수에 의한 2차 오염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은, 스팀발생을 위한 증류수가 보관되는 급수조; 상기 급수조의 증류수가 공급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에 공급되는 증류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어 균을 살균하는 멸균챔버; 및 상기 멸균챔버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부는, 상기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증류수를 입자크기가 작게 상기 공간부로 분무(噴霧)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증류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증류수를 분무시켜 가열함으로써 입자크기가 작은 분무액을 가열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분무액을 기화시킬 수 있어 스팀발생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체 멸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급수조 전체를 가열하여 증류수를 기화시킴에 따라 기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급수조 및 멸균챔버 공간이 동일한 종래 멸균 시스템에서 잔존하는 오염된 증류수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였던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멸균공간과 증기발생 공간이 구분되어 증기발생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판 형상으로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분무액과 접촉면이 증가하여 증류수의 분무액이 기화되는 시간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멸균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멸균챔버 내에 잔존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멸균챔버로 외기를 가하여 건조하기 위한 송풍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멸균 공정후 멸균챔버내에 잔존하는 오염된 증류수에 의한 2차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증류수를 분무시켜 가열함으로써 입자크기가 작은 분무액을 가열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분무액을 기화시킬 수 있어 스팀발생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체 멸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급수조 전체를 가열하여 증류수를 기화시킴에 따라 기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급수조 및 멸균챔버 공간이 동일한 종래 멸균 시스템에서 잔존하는 오염된 증류수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였던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멸균공간과 증기발생 공간이 구분되어 증기발생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무액과 접촉면이 증가하여 증류수의 분무액이 기화되는 시간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멸균 공정후 멸균챔버내에 잔존하는 오염된 증류수에 의한 2차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의 멸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의 스팀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100)은, 급수조(110), 스팀발생부(120), 멸균챔버(130) 및 본체부(140)를 포함한다.
급수조(110)는, 후술하는 스팀발생부(120)에 의하여 증기로 기화되는 증류수가 보관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소용량으로 멸균 시스템(100)을 구현함에 따라 후술하는 본체부(140)와 별도로 위치되어 급수라인이 연결되어 스팀발생부(120)로 증류수를 공급한다.
이러한 급수조(110)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증류수 보관용기를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멸균 시스템(100) 자체에서 급수조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컴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팀발생부(120)는, 상기 급수조(110)로부터 공급되는 증류수를 기화시켜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하우징(121), 노즐부(123) 및 가열부(125)를 포함한다.
하우징(121)은, 내부에 증류수를 가열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내부 저면에는 가열부(125)가 구비되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증류수를 기화시킬 수 있게 한다.
노즐부(123)는 급수조(110)로부터 급수되는 증류수를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입자크기가 작게 분무(噴霧)시킨다. 증류수가 분무된 분무액은 그 입자가 작기 때문에 가열부(125)에 의하여 보다 빠르게 기화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급수되는 증류수가 내부 공간에 저수되면서 가열부(125)에 의하여 가열하게 되면 가열 부피가 커짐에 따라 기화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걸리나 이와 같이 증류수를 분무시키게 되면 가열 부피가 적으므로 보다 빨리 기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부(125)는 판형상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증류수가 분무된 분무액과 접촉면을 증가시켜 보다 빠르게 분무액을 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
멸균챔버(130)는, 상호 분리될 수 있는 상판 및 하판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손잡이(133)가 구비된다. 상판 및 하판(131)이 결합되면서 내부에 멸균 공간을 형성하고 하판 또는 상판(131)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공(135) 및 멸균 모드가 완료된 후 내부의 스팀이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공(137)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염된 의료기구 등이 멸균되는 공간(멸균챔버)와 스팀을 발생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급수조 및 멸균챔버 공간이 동일한 종래 멸균 시스템에서 잔존하는 오염된 증류수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였던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체부(140)는, 전면에 상기 멸균 챔버(13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급수 및 배기 라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며, 멸균챔버(130)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그 유입공(135) 및 배기공(137)과 연통되어 유립 라인 및 배기 라인이 완성될 수 있도록 유입연결부(145) 및 배기연결부(147)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멸균 챔버(13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본체부(14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본체부(140)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 즉, 결합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멸균 챔버(130)의 유입공(135) 및 배기공(137)과, 본체부(140)의 유입 연결부(145) 및 배기 연결부(147)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스팀이 유입되거나 배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부(140)의 배면에는 유입연결부(145)와 배기연결부(147)가 배관에 의하여 본체부(140)외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멍(141)(143)이 형성된다.
본체부(140)의 전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9)가 구비되고, 멸균 시스템(100)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구동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패널부(148)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스팀발생부(120)에서 스팀을 발생시켜 멸균챔버(130)로 공급하여 멸균작업이 진행되는 멸균모드가 종료된 후 멸균챔버(130) 내에 잔존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1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기부(150)는 멸균모드시에는 밸브를 차단시켜 외부로 스팀이 배기되지 않도록 하여 멸균챔버(130)내부가 스팀이 공급되면서 고압을 유지하면서 멸균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세팅된 멸균모드가 종료되면 밸브가 오픈되어 멸균챔버(130)내의 압력에 의하여 외부로 스팀이 배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스팀이 외부로 배기되면서 자연건조가 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고 멸균챔버(130)내에서 배기되지 않고 잔존하는 스팀에 의하여 2차 오염될 수 있으므로 멸균챔버(130)를 인위적으로 건조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송풍모터부(160)를 구비한다.
송풍모터부(160)는 미리 세팅된 멸균모드가 종료되면 구동되어 외기를 유입시켜 스팀발생부(120)를 거쳐 멸균챔버(130)로 공급시켜 건조시킨다. 이때,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필터(16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팀발생부(120)에서 스팀이 발생하면서 설계시 반영된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넘어가는 경우 감압될 수 있도록 안전밸브(12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소용량 고압 스팀 멸균 시스템(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본체부(140)로부터 멸균챔버(13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본체부(140) 외부로 빼낸 후, 상판 및 하판(131)을 분리시켜 하판 상에 멸균시킬 의료기구 등을 올려놓고 상판 및 하판(131)을 결합시켜 의료기구 등을 수납한다.
의료기구가 수납된 멸균챔버(130)를 본체부(140)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밀어넣어 멸균챔버(130)에 형성된 유입공(135) 및 배기공(137)이 본체부(140)에 마련된 유입연결부(145) 및 배입연결부(147)와 결합되어 급수라인 및 배기라인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급수라인 및 배기라인이 형성된 후, 본체부(140)의 전면부에 마련된 패널부(148)를 통하여 작업자가 멸균 명령을 입력하면, 스팀발생부(120)가 가동되고 동시 또는 일정시간 경과후 급수펌프(117)가 구동되면서 체크밸브(118)가 열리면서 급수조(110)의 증류수가 스팀발생부(120)로 공급된다.
스팀발생부(120)로 공급된 증류수는 노즐부(123)에 의하여 분무되면서 기화되어 스팀이 발생되고, 일정한 압력이 되면 체크밸브(123)가 열리면서 스팀이 멸균챔버(130)로 공급된다.
이때, 배기부(150)는 폐쇠된 상태이므로 스팀이 공급되면서 멸균챔버(130) 내부는 고압을 유지하면서 고온의 스팀에 의하여 의료기구가 멸균되게 된다. 이러한 멸균모드가 미리 세팅된 시간동안 유지된 후, 멸균작업이 완료되면 배기부(150)가 열리면서 멸균챔버(130)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스팀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스팀이 외부로 배기되면서, 멸균챔버(130) 내부에 잔존하는 스팀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송풍모터부(160)가 작동되어 외부의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유입하면 체크밸브(161)가 열리면서 멸균챔버(130) 내부로 외기가 공급되어 건조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항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멸균 시스템 110 : 급수조
120 : 스팀발생부 121 : 하우징
123 : 노즐부 125 : 가열부
127 : 안전밸브 130 : 멸균챔버
131 : 상판 및 하판 133 : 손잡이부
135 : 유입공 137 : 배기공
140 : 본체부 145 : 유입연결부
147 : 배기연결부 150 : 배기부
160 : 송풍모터부
118, 123, 161 : 체크밸브

Claims (4)

  1. 스팀발생을 위한 증류수가 보관되는 급수조;
    상기 급수조의 증류수가 공급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에 공급되는 증류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어 균을 살균하는 멸균챔버; 및
    상기 멸균챔버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부는,
    상기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증류수를 입자크기가 작게 상기 공간부로 분무(噴霧)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무되는 증류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판 형상으로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 위치되는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멸균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멸균챔버 내에 잔존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멸균챔버로 외기를 가하여 건조하기 위한 송풍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KR1020150135528A 2015-09-24 2015-09-24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KR10187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28A KR101878459B1 (ko) 2015-09-24 2015-09-24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28A KR101878459B1 (ko) 2015-09-24 2015-09-24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406A true KR20170036406A (ko) 2017-04-03
KR101878459B1 KR101878459B1 (ko) 2018-07-13

Family

ID=5858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28A KR101878459B1 (ko) 2015-09-24 2015-09-24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4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31A (ko) * 2018-10-23 2020-05-07 (주) 홍익메디칼시스템즈 카세트타입 고압증기멸균기
CN115068641A (zh) * 2022-08-10 2022-09-20 绍兴迈亚塔菌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高压灭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039A (ja) * 1998-05-15 1999-11-24 Kenichi Nishimura 病院用除菌装置及び除菌方法
CA2268042A1 (en) * 1999-04-06 2000-10-06 Scican, A Division Of Lux & Zwingenberger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team sterilization of medical and dental instruments
US20090078320A1 (en) * 2007-09-26 2009-03-26 Paul Marttila Steam exhaust assembly
US20090081090A1 (en) * 2007-09-26 2009-03-26 Dayman Jeffrey G Sterilizer with modular pressure housing for a sterilization chamb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31A (ko) * 2018-10-23 2020-05-07 (주) 홍익메디칼시스템즈 카세트타입 고압증기멸균기
CN115068641A (zh) * 2022-08-10 2022-09-20 绍兴迈亚塔菌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高压灭菌设备
CN115068641B (zh) * 2022-08-10 2024-03-22 浙江迈亚塔菌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高压灭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459B1 (ko)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829B1 (ko) 살균고
JP5785211B2 (ja) 滅菌装置
KR101921472B1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장치
EP3100747B1 (en) Sterilized work system
JP5834106B2 (ja) 除染液噴霧装置、並びに除染液噴霧装置を備えたアイソレータ
KR20120065503A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밀폐된 공간의 멸균장치
JP4388555B2 (ja) エンクロージャ用生物汚染浄化装置
JP6684551B2 (ja) 除菌方法、除菌装置
JP2017531525A (ja) マルチキャピラリーチューブを通して気化および配合される過酸化水素およびオゾンを使用する殺菌装置
CN104159619B (zh) 蒸汽杀菌装置
US20170368216A1 (en) Plasma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Items
CN105436116A (zh) 一种实验器材清洗装置
KR101878459B1 (ko) 소용량 고속 고압증기 멸균 시스템
ES2688754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generar vapor de agua y peróxido de hidrógeno gaseoso
US8323582B2 (en) Quantitative liquid injection device of plasma sterilizer
KR20180052988A (ko) 간이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 방법
KR20120015174A (ko) 소독장치
JP6180219B2 (ja) 殺菌装置
CN208598829U (zh) 一种卡式灭菌器
JP6531810B2 (ja) 無菌作業システム
KR100856057B1 (ko) 소독기
US202003605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porized hydrogen peroxide cleaning of contents of a chamber of a container
KR101424179B1 (ko)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의 건조장치
CN109395109B (zh) 消毒柜及消毒方法
JP3131209U (ja) 湿り空気を用い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