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390A -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390A
KR20170036390A KR1020150135488A KR20150135488A KR20170036390A KR 20170036390 A KR20170036390 A KR 20170036390A KR 1020150135488 A KR1020150135488 A KR 1020150135488A KR 20150135488 A KR20150135488 A KR 20150135488A KR 20170036390 A KR20170036390 A KR 2017003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evaluation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058B1 (ko
Inventor
유병용
박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가 제1기준대수 이상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 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샘플링된 속도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값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오차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METHOD OF CREATING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COLLECTED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수를 기반으로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로 이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구간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행 및 시간 비용을 최소화하고, 차량을 최대한 분산시킴으로써 교통량 집중화를 방지하여 한정되어 있는 도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정보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이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산출되며, 교통정보 제공 장치들은 특히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구간별 평균속도를 반영하여 교통정보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도데이터에는 도로의 링크, 각 링크별 노드 리스트, 각 노드의 좌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종래 교통정보 제공 장치들은 이러한 지도데이터 및 프로브차량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링크별 평균속도 또는 특정 구간별 평균속도를 계산하여 교통정보를 산출하였다.
예를 들어 교통이 원활한 도로에는 파란색, 지체(또는 서행)중인 도로에는 노란색, 정체중인 도로에는 빨간색 정보를 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로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실제 도로상황은 원활하게 소통되는데 반해 지도에는 지체 상황으로 표시되고 있거나, 그 반대로 실제 도로상황은 정체상황인데 반해 지도에는 원활한 상황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42445호(2007.04.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하여 제공하는 교통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은 서버가 제1기준대수 이상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 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샘플링된 속도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값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오차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 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1개의 표본부터 제2기준대수개의 표본까지 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준대수는 상기 제2기준대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설정주기 동안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GPS 궤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미리 생성된 유효성 평가 모형 및 정보가 수집된 프로브차량의 숫자에 근거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유효성 평가 결과에 따라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성 평가 결과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성 평가 결과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서버가 다른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속도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된 서비스 속도에 따라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궤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제1기준대수 이상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 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샘플링된 속도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값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오차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가 수집되는 프로브차량의 숫자를 기준으로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에서 생성된 평가 모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100)는 정보 수집부(110),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부(120), 유효성 평가부(130), 서비스 속도 생성부(140) 및 교통 정보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다수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으로부터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교통정보를 실제 주행 중인 각 차량에 제공하는 교통정보 서비스 서버(즉,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일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프로브차량으로부터 GPS 궤적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10)는 각각의 차량으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집하거나, 도로에 설치된 교통정보 수집장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부(120)는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되어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수집되는 교통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유효성 평가부(130)는 설정주기 동안 수집된 특정 링크(또는 구간)의 교통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즉 유효성 평가부(130)는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하여 수집되는 교통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서비스 속도 생성부(140)는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되는 실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각 링크 또는 특정 구간의 서비스 속도(교통정보 제공을 위해 산출되는 대표속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속도 생성부(140)는 유효성 평가부(130)의 평가 결과에 따라 서비스 속도의 생성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속도 생성부(140)는 다른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교통정보 제공부(150)는 서비스 속도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서비스 속도에 따라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각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정보 제공부(150)는 특정 구간의 지체 또는 정체 여부, 서비스 속도 등을 교통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에서 생성된 평가 모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은 도로의 특정 구간(예: 특정 링크)에 대해 수행되는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으로, 각각의 링크별(구간별)로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100)는 먼저 제1기준대수 이상의 프로브차량의 정보를 수집한다(S200). 즉 서버(100)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최소대수(예: 30대) 이상의 프로브차량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1기준대수 이상의 정보 수집은 도로의 특정 링크에 국한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기준대수는 자연현상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를 수 있는 최소한의 프로브차량의 대수일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상기 단계(S20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한다(S210). 예를 들어, 서버(100)는 프로브차량의 GPS 궤적 정보로부터 특정 링크에 대한 해당 프로브차량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산출된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20) 이후, 서버(100)는 랜덤 샘플링 기법을 통해 1대의 표본부터 제2기준대수의 표본까지 각각 임의로 추출하고, 각 대수별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과 상기 단계(S210)에서 선정된 기준값과의 오차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한다(S22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1개의 표본부터 제2기준대수개(예: 15대)의 표본까지(1개의 표본, 2개의 표본, …, 15개의 표본) 샘플링을 수행하고, 각 대수별로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며, 계산된 각 대수별 평균값들(15개의 평균값들)과 상기 단계(S210)에서 선정된 기준값과의 오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각 대수별 오차들을 통해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표본의 개수별 평균값과 전체 평균값(기준값) 사이의 오차가 해당 프로브차량의 수에 대한 유효성(예: 100% - 오차 비율(%))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수집된 정보의 유효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보가 수집된 프로브차량의 대수가 적고 특정 프로브차량으로부터 이상치 정보가 수집될 경우, 해당 링크의 교통정보의 오류가 발생하여 이용자가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집된 정보의 유효성을 프로브차량의 수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실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 도로(링크)별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평가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때, 제1기준대수는 제2기준대수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계적 측면에서, 표본이 특정대수 이하일 경우에는 그 대수가 증가할수록 유효성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나, 특정대수 이상일 경우에는 샘플링 결과에 따른 유효성이 크게 변하지 않고 선형적으로 일정값만 변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이러한 현상을 참고하여 제1기준대수보다 작은 제2기준대수를 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도로의 특정 구간(예: 특정 링크)에 대해 수행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으로, 복수개의 도로들에 대한 교통정보 제공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100)는 먼저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한다(S300).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기준대수 이상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하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 하고, 샘플링된 속도들의 평균값과 기준값의 오차를 계산하며, 계산된 오차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설정주기 동안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GPS 궤적 정보를 수집한다(S310). 즉 여기서 설정주기는 교통정보의 제공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10) 이후, 서버(100)는 상기 단계(S300)에서 생성된 유효성 평가 모형 및 정보가 수집된 프로브차량의 숫자에 근거하여 상기 단계(S310)에서 수집된 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한다(S32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할 경우, 정보가 수집된 프로브차량의 수가 10대 이상이라면 90% 이상의 유효성을 가지나, 9대 이하라면 90% 미만의 유효성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서버(100)는 상기 단계(S320)의 유효성 평가 결과에 따라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한다(S330).
예를 들어, 서버(100)는, 유효성 평가 결과가 임계값(예 : 90%) 이상인 경우, 상기 단계(S3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속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수집된 정보의 유효성이 높으므로, 수집된 정보만으로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더라도 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 서버(100)는 상기 단계(S31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들의 속도의 평균값을 서비스 속도로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유효성 평가 결과가 임계값 미만이었다면, 서버(100)는 다른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속도 정보 및 상기 단계(S3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속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수집된 정보의 유효성이 낮은 경우에는, 이를 통해 생성된 서비스 속도의 신뢰성이 낮으므로, 서버(100)는 다른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대표속도(타CP의 서비스 속도)와 상기 단계(S31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산출되는 서비스 속도를 통합하여 보다 신뢰성이 높은 서비스 속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속도 생성 이후, 서버(100)는 서비스 속도에 따라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각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가 수집되는 프로브차량의 숫자를 기준으로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유효성 평가 결과에 따라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정보 수집부
120: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부
130: 유효성 평가부
140: 서비스 속도 생성부
150: 교통 정보 제공부

Claims (11)

  1. 서버가 제1기준대수 이상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 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샘플링된 속도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값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오차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 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1개의 표본부터 제2기준대수개의 표본까지 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대수는 상기 제2기준대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4. 서버가 설정주기 동안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GPS 궤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미리 생성된 유효성 평가 모형 및 정보가 수집된 프로브차량의 숫자에 근거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유효성 평가 결과에 따라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성 평가 결과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성 평가 결과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서버가 다른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속도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속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된 서비스 속도에 따라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제1기준대수 이상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따른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 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샘플링된 속도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값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오차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차량의 속도들을 랜덤 샘플링 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1개의 표본부터 제2기준대수개의 표본까지 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대수는 상기 제2기준대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KR1020150135488A 2015-09-24 2015-09-24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KR10241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88A KR102418058B1 (ko) 2015-09-24 2015-09-24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88A KR102418058B1 (ko) 2015-09-24 2015-09-24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90A true KR20170036390A (ko) 2017-04-03
KR102418058B1 KR102418058B1 (ko) 2022-07-06

Family

ID=5858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488A KR102418058B1 (ko) 2015-09-24 2015-09-24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5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1187A (ja) * 1992-09-30 1994-04-22 Mazda Motor Corp 交通情報報知装置
KR20040060624A (ko) * 2002-12-30 2004-07-06 에스케이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장치에서의 원시자료 수집 제공 장치
JP2008152577A (ja) * 2006-12-18 2008-07-03 Xanavi Informatics Corp 交通情報配信方法、交通情報配信装置および車載端末装置
JP2011138431A (ja) * 2009-12-29 2011-07-14 Toshiba Corp 道路運転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2155383A (ja) * 2011-01-24 2012-08-16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指標算出装置、交通指標算出方法および交通指標算出プログラム
JP2013109625A (ja) * 2011-11-22 2013-06-06 Denso Corp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40146917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웨이브엠 교통정보 품질 검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1187A (ja) * 1992-09-30 1994-04-22 Mazda Motor Corp 交通情報報知装置
KR20040060624A (ko) * 2002-12-30 2004-07-06 에스케이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장치에서의 원시자료 수집 제공 장치
JP2008152577A (ja) * 2006-12-18 2008-07-03 Xanavi Informatics Corp 交通情報配信方法、交通情報配信装置および車載端末装置
JP2011138431A (ja) * 2009-12-29 2011-07-14 Toshiba Corp 道路運転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2155383A (ja) * 2011-01-24 2012-08-16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指標算出装置、交通指標算出方法および交通指標算出プログラム
JP2013109625A (ja) * 2011-11-22 2013-06-06 Denso Corp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40146917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웨이브엠 교통정보 품질 검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058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cedure for the Calibration of Simulation Models
CN105321338B (zh) 一种交通事件的处理方法及交通事件系统
CN106781486B (zh) 基于浮动车数据的交通状态评价方法
CN104133618B (zh) 进行终端设备推荐页面展示的方法及系统
CN105809967A (zh) 一种车流量展示方法及装置
Chiogna et al. Stable isotope characterization of the Vermigliana catchment
CN107491825A (zh) 一种约车处理方法及系统
CN103294594A (zh) 一种基于测试的静态分析误报消除方法
CN104464307A (zh) 一种基于视频的隧道交通拥堵事件自动检测方法及装置
CN106161282A (zh) 一种基于云计算环境的节约带宽资源租赁成本的方法
US201502495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utomatic scanning action
Lavrenz et al. Strategic methods for modernizing traffic signal maintenance management and quantifying the impact of maintenance activities
CN107564291A (zh) 一种基于rfid的交通量溯源分析方法及系统
Ko et al. Measuring control delay components using second-by-second GPS speed data
WO2015189497A1 (fr) Procédé d'aide a la conduite destine a sensibiliser le conducteur d'un véhicule a la consommation en carburant et/ou autre source de consommation du véhicule
CN111194001A (zh) Lte指纹定位校正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418058B1 (ko) 수집된 교통정보의 유효성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유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CN103279816A (zh) 基于活动窗口统计终端工作效率的方法和系统
KR102418043B1 (ko) 교통정보 제공 방법
Chen et al. Capacity reliability of signalized intersections with mixed traffic conditions
Jianmei et al. A bus arrival time prediction method based on gps position and real-time traffic flow
CN112558581A (zh) 高级驾驶辅助系统功能的测试方法和测试装置
KR102384433B1 (ko) 교통정보 정확도 평가 모형 생성 방법 및 교통정보 정확도 평가 모형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Clairais et al. Calibration of the fundamental diagram based on loop and probe data
KR102395924B1 (ko) 도로 교통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