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696A - 전력 계통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계통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696A
KR20170035696A KR1020150134919A KR20150134919A KR20170035696A KR 20170035696 A KR20170035696 A KR 20170035696A KR 1020150134919 A KR1020150134919 A KR 1020150134919A KR 20150134919 A KR20150134919 A KR 20150134919A KR 20170035696 A KR20170035696 A KR 20170035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mote
unit
address value
remot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696A/ko
Publication of KR2017003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장치는 계통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가 수신한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운영상태를 표시하고 상태 변동 여부를 확인하는 계통해석부, 상기 계통해석부에서 해석될 데이터를 원격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상기 계통 해석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통해석부는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에 저장된 원격소장치의 데이터를 저장한 주소값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에 저장된 상기 원격소장치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통해석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계통 감시 장치{APPARATUS FOR SUPERVISORY OF POWER SYSTEM}
본 실시 예는 전력 계통 감시 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 계통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증대는 전력계통을 복잡화, 다양화, 대용량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발생되는 대규모 정전사고는 전력계통에 대한 자료 취득 및 가시제어시스템의 취약성에 기인하여 초기 소규모 사고를 신속하게 감지, 대응하지 못해 전 전력계통으로 파급확산된 결과로, 에너지 시스템에서의 전력계통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상태 자료취득과 계통해석 및 원격감시제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종래 전력계통관리시스템의 경우 광범위한 전력계통에 대한 자료 수집이나, 자료연계가 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중요한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계통 해석 응용 프로그램은 계통 해석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SCADA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 취득 및 분석하여 계통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SCADA로부터 계통해석부에 제공되는 데이터들은 주기적으로 모든 데이터들에 대해 전송하고, 계통해석부는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일괄 복사하여 취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일정 주기마다 상기한 데이터 동기화 동작을 실행함에 따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 또는 장치의 비정상 종료 및 기능 정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때문에 계통해석부는 비정상적이거나 완전하지 않은 데이터를 취득하여 분석하게 된다. 따라서, 이로인한 데이터 분석 오류 및 그에 따른 사고 발생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 예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계통 해석 알고리즘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상호 동기화되는 데이터의 안정화 및 정상적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전력 계통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장치는 계통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가 수신한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운영상태를 표시하고 상태 변동 여부를 확인하는 계통해석부, 상기 계통해석부에서 해석될 데이터를 원격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상기 계통 해석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통해석부는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에 저장된 원격소장치의 데이터를 저장한 주소값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에 저장된 상기 원격소장치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통해석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력계통설비에 대해 취득된 자료에 대해 계통 운영의 정량화 및 안정적인 데이터 취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신속하게 취득 및 분석할 수 있어,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 측면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계통 해석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계통 해석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에너지관리장치(100), 원격감시 제어 장치(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200), 원격소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격소장치(210)는 현장제어 장치로 원격지에 설치된 현장계기 및 센서로부터 변전소(220) 또는 발전기(230)의 전력량, 무효 전력량, 변압기 온도 데이터, 차단기 상태 정보 등을 수집하여 유무선 통신장치와 통신선로를 통해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소장치(21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명령을 전송 받고, 상기 전송 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소장치(210)를 중앙 집중식으로 감시/제어하는 장치로, 원격소장치(210)가 수집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선로를 통해 에너지관리장치(100)로 전송한다.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소장치(210)들로부터 수집되는 이종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데이터들은 각각의 주소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소정 주기마다 상기 원격소장치(210)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해당 주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장치(100)는 전체 전력공급 계통에 대한 정보를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를 통해 수집하고, 전력계통의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시스템이다.
에너지관리장치(10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확인 및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장치(100)느 통신부(110), 저장부(120), 회로생성부(130), 계통해석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격소장치(210)의 제어 신호를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3)는 계통해석부(140)에서 해석하는 계통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리드 및 복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계통해석부(140)의 데이터베이스(145)에 기 저장된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 저장 주소값에 기초하여 해당 주소값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 및 복사할 수 있는 동작 알고리즘일 수 있다.
회로생성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형상을 생성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 회로생성부(130)는 수집되는 데이터가 예를 들어 차단기등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계통 정보인 경우 해당 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가 생성한 시스템에 대한 전기회로 및 전압,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즉, 회로생성부(130)는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확인 및 그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을 위한 정보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전기적 기호 및 노드 등을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계통해석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를 기초하여 전력계통의 정상운영 시나 휴전 및 고장을 상정하여 전력계통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통해석부(140)는 토폴로지 생성모듈(141), 상태 추정모듈(142), 조류 연산 모듈(143), 상정 고장 해석 모듈(144) 및 계통 해석 데이터베이스(145)를 포함할 수 있다.
토폴로지 생성모듈(141)은 전력계통의 연결상태를 결정 및 표시할 수 있다.
상태 추정모듈(142)은 취득자료의 오차를 보정하고 미취득자료를 추정하여 정확한 계통 운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조류 연산모듈(143)은 통신부(110)를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를 기초하여 모선전압, 선로조류, 위상각 등을 계산하여 선로 과부하, 모선전압 유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상정고장 해석모듈(144)은 전력계통설비의 고장을 상정하고 전력계통 운영상태를 분석하여 상정고장 시 전력계통상태를 계통 운영에 반영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145)는 계통해석부(140)내에서 실행되는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145)는 원격제어 감시장치(200)에 저장되는 원격소장치(210)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145)는 원격제어 감시장치(200)가 원격소장치(210)들로부터 수집되어 각 데이터 또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저장 주소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주소값은 원격제어 감시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 등 다양한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고 있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145)는 상기 주소값에 기초하여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한 시간 정보(카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145)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기 확인된 주소값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수집하기 위한 수집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집주기는 사용자 설정 시간,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요청 시간 또는 이벤트 발생 시점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에서 장치의 사고 정보 또는 데이터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에너지관리장치(100)의 전반전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계통해석부(140)에서 해석하는 계통정보를 통해 급전명령을 내려 전력계통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계통해석부(140)에서 해석되는 계통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일정 시점 또는 특정 시점에 계통해석부(140)의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주소값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확인된 주소값에 기초하여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주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 및 복사할 수 있다. 상기 리드 및 복사된 데이터는 계통해석부(140)의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기초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계통해석부의 데이터 취득 동작 및 그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드(310)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모드 실행에 따라 데이터 수집 주기의 도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320) 상세하게,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는 기 설정된 데이터 수집 주기 이외에도 사용자 요청 시점 또는 데이터 확인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확인 요구 조건의 경우 오류 데이터 확인 등에 대한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잇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하면 계통해석부(140)의 데이터베이스(145)에 기 저장된 계통해석부의 각 모듈(141 내지 144)에서 해석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주소값을 확인할 수 있다.(S330)
상세하게, 상기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형태, 데이터의 내용 및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있는 위치에 대한 주소값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될 수있다.
상기 계통해석부(140)의 계통 해석 데이터 베이스부(145)에 저장되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에 대한 주소값은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각 취득된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주소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통해석부(14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에 수집되어 저장된 데이터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주소값을 주기적 또는 필요 시점 마다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확인된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값을 참조하여 계통해석부(140)에서 해석될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주소값에 기초하여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리드(S340)하여 계통해석부(140)의 데이터베이스(145)로 복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계통해석부(140)의 각 모듈에서 해석될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주소값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계통해석부(!40)의 데이터베이스(145)로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 수집 주기 시점 마다 데이터베이스(145)에 기 저장된 데이터 주소값에 기초하여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주소값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를 리드 및 복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드(410)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모드 실행에 따라 데이터 수집 주기의 도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420)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른 데이터 수집 실행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S430) 상기 데이터 수집 동작은 기 설명된 내용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주기가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데이터 주소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40)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원격소장치(2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주소값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소값 변경여부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변경 알림에 대한 이벤트 신호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변경 주소값 변경 이벤트를 감지하고,(S440) 상기 감지된 변경 이벤트에 기초하여 변경된 주소값에 대한 정보를 계통해석부(140) 데이터베이스(145)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드(S510)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모드 실행에 따라 데이터 수집 주기의 도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520)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하면 계통해석부(140)의 데이터베이스(145)에 기 저장된 계통해석부의 각 모듈(141 내지 144)에서 해석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주소값을 확인하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확인된 주소값의 데이터를 리드 및 복사하는 데이터 수집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S530)
제어부(150)는 데이터 수집 주기가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원격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540)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원격감시 제어장치(200)가 원격소장치(210)에서 수집된 데이터 중 장치의 사고 이벤트 또는 데이터 오류 발생 여부가 감지하면, 상기 발생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에너지관리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벤트 데이터가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S550)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이벤트 데이터에 대하여 계통해석부(140)에서 데이터 해석을 위해 기 저장된 해당 데이터의 주소값을 확인할 수 있다.(S560)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주소값에 기초하여 원격감시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주소값의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S570)
제어부(150)는 상기 리드되는 데이터를 계통해석부(140)의 데이터베이스(145)로 복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정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에너지 관리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회로생성부
140: 계통해석부
141: 토폴로지 생성모듈 142: 상태 추정모듈
143: 조류 연산모듈 144: 상정고장 해석모듈
145: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
150: 제어부
200: 원격감시 제어장치
210: 원격소장치 220: 변전소
230: 발전기

Claims (5)

  1. 계통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가 수신한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운영상태를 표시하고 상태 변동 여부를 확인하는 계통해석부;
    상기 계통해석부에서 해석될 데이터를 원격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상기 계통 해석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통해석부는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에 저장된 원격소장치의 데이터를 저장한 주소값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에 저장된 상기 원격소장치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통해석부 데이터베이스;를포함하는 전력 계통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마다 상기 계통해석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격감시 제어장치의 데이터 주소값에 기초하여 해당 주소값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전력 계통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소장치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주소값이 변경되는 주소값 변경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변경된 주소값으로 상기 계통해석부 데이터베이스의 주소값 정보를 변경하는 전력 계통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 수신 시점에 해당 데이터의 주소값을 확인하고 상기 원격감지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전력 계통 감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해석부는
    전력계통의 연결상태를 결정 및 표시하는 토폴로지 생성모듈;
    취득 자료의 오차를 보정하고 미취득자료를 추정하여 계통운영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 추정모듈;
    취득자료를 기초하여 모선전압, 선로조류, 위상각을 연산하고, 분석하는 조류 연산모듈;
    계통설비의 고장을 상정하고 계통의 운영상태를 분석하여 상정고장 시 계통 사태를 계통 운영에 반영하는 상정고장 해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계통 감시 장치.
KR1020150134919A 2015-09-23 2015-09-23 전력 계통 감시 장치 KR20170035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919A KR20170035696A (ko) 2015-09-23 2015-09-23 전력 계통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919A KR20170035696A (ko) 2015-09-23 2015-09-23 전력 계통 감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696A true KR20170035696A (ko) 2017-03-31

Family

ID=5850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919A KR20170035696A (ko) 2015-09-23 2015-09-23 전력 계통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6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13A1 (ko) * 2017-09-28 2019-04-04 주식회사 스타코프 전력/전력량 계측 및 전력품질 분석장치의 가상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계측 데이터를 획득, 전송 및 처리하는 방법
KR101978246B1 (ko) * 2017-12-08 2019-08-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선로 사활선 분석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13A1 (ko) * 2017-09-28 2019-04-04 주식회사 스타코프 전력/전력량 계측 및 전력품질 분석장치의 가상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계측 데이터를 획득, 전송 및 처리하는 방법
US11280817B2 (en) 2017-09-28 2022-03-22 Starkoff Co., Ltd. Virtualization structure for power/power amount metering and power quality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transmitting and processing meter data using same
KR101978246B1 (ko) * 2017-12-08 2019-08-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선로 사활선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17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deploying and implementing power system computer applications
US95904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268712B1 (ko)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8593151B2 (en) Inductive monitoring of a power transmission line of an electrical network
AU2011238726A1 (en) Systems and method for obtaining a load model and related parameters based on load dynamics
US8027795B2 (en) Load model generation for estimating a load value from a base load value in a system
JP2012512619A (ja) 電力グリッドの供給停止および故障状況の管理
KR101081368B1 (ko) 전력 손실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85292B2 (ja) 発電出力の推定方法、推定装置、及び推定プログラム
JP2009033811A (ja) 計測・監視システム、その電力品質計測装置、プログラム
KR20130119044A (ko) 전력 계통 감시 및 제어시스템에서 고장전류 제어 방법
US20150025700A1 (en) Apparatus and method remotely monitoring building state
CN103117597A (zh) 风力发电箱式变压器智能监控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40100165A (ko) 전력계통운영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5696A (ko) 전력 계통 감시 장치
JP2015011408A (ja) 電力抑制方法、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JP6436329B2 (ja) 分散型電源の状態検知プログラム、記録媒体、監視端末及び通信装置
KR20200057227A (ko) LoRa 무선 통신 기반 태양광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012966B2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equipment management method
JP2020530754A (ja) 下流イベントおよび測定値に基づいた送電網アセットの順位付け
KR101466604B1 (ko) 태양 전지 모듈 고장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40005551A (ko) 데이터 취득 장치 및 방법
US20210044100A1 (en) Electronic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grids
KR102011330B1 (ko) Hvdc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측정장치 및 데이터측정방법
KR102493594B1 (ko) 계측 장치와 전력 계량기 간의 시각을 동기화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