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641A - 조립식 건축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641A
KR20170035641A KR1020150134798A KR20150134798A KR20170035641A KR 20170035641 A KR20170035641 A KR 20170035641A KR 1020150134798 A KR1020150134798 A KR 1020150134798A KR 20150134798 A KR20150134798 A KR 20150134798A KR 20170035641 A KR20170035641 A KR 2017003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anels
assembly
curved panel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591B1 (ko
Inventor
김철규
이상훈
정기숙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철규
정기숙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규, 정기숙, 이상훈 filed Critical 김철규
Priority to KR102015013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5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된 판재 형상을 갖고, 상호 조립되어 아치형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곡면 패널; 상기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곡면 패널을 조립하는 복수의 제1 조립 부재;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곡면 패널을 조립하는 복수의 제2 조립 부재; 및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는 수평 골격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된 판재 형상의 복수의 곡면 패널을 상호 조립하여 아치형 벽체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을 건축하되, 골격 부재를 아치형 벽체의 내부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조립식 건축물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A fabricated house}
본 발명은 아치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건축물은, 미리 만들어져 유통성을 가지는 자재를 조립하여 축조하는 건축물으로서, 주로 건축 공사장 등의 현장 사무실, 간이 숙소, 창고, 군용 주택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건축물은 사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조립식 건축물은 팬션, 및 농업용 하우스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건축물은 다양한 재질로 구조로 건축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발포 폴리스틸렌의 재질을 가지며, 아치형 벽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일반적으로 완충재나 위생 용기로 사용되고 있는데, 발포 폴리스틸렌을 낮은 발포 배열로 발포하면 높은 강도를 가져 건축 구조재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인체에 무해하며, 단열성이 높은 장점을 가진다. 또한, 아치형 벽체는, 유선형 구조를 가져 뛰어난 단열성과 바람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며, 기둥이나 보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심플한 구조를 가져 지진의 발생 시에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발포 폴리스틸렌의 재질로 형성되며 아치형 벽체로 이루어진 종래의 건축물은, 발포 폴리스틸렌의 재질로 형성되며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된 판 재 형상의 복수의 곡면 패널을 상호 조립하여 아치형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건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곡면 패널의 상호 조립을 위하여, 곡면 패널은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 조립홈을 가진다. 따라서, 한 쌍의 곡면 패널이 상하면이나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곡면 패널에 각각 형성된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접착제가 도포된 조립 부재를 삽입하여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을 서로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방식을 응용하여 복수의 곡면 패널을 상호 조립함으로써 아치형 벽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축물은, 아치형 벽체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골격 부재 없이 곡면 패널을 한 쌍 단위로 조립할 수 있는 조립 부재를 이용하여 건축하므로, 아치형 벽체의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치형 벽체의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된 판재 형상을 갖고, 상호 조립되어 아치형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곡면 패널;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한 쌍의 곡면 패널을 조립하는 복수의 제1 조립 부재;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한 쌍의 곡면 패널을 조립하는 복수의 제2 조립 부재; 및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는 수평 골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상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1 조립홈; 및 하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2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1 조립 부재는 각각,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1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2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수평 골격 부재는,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1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2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는 밴딩 골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일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3 조립홈; 및 타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4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2 조립부재는 각각, 복수의 곡면 패널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 막대 형상을 갖고,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3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4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밴딩 골격 부재는, 복수의 곡면 패널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 막대 형상을 갖고,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3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4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평 골격 부재와 밴딩 골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며, 수평 골격 부재와 밴딩 골격 부재 중 나머지 하나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평판의 판재 형상을 갖고, 상호 조립되어 아치형 벽체와 결합 가능한 수직형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평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과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과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을 상호 조립시키는 복수의 제3 조립 부재; 및 수직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평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한 쌍의 평면 패널을 상호 조립시키는 복수의 제4 조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평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밴딩 골격 부재와 연결되어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하는 수직 골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상면에 형성되는 제5 조립홈; 및 하면에 형성되는 제6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3 조립 부재는 각각,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2 조립홈과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과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의 제5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7 조립홈; 및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8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4 조립 부재는 각각,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수직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서로 배치된 한 쌍의 평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의 제7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평면 패널의 제8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수직 골격 부재는,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평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평면 패널의 제7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평면 패널의 제8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정면과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리세스홈을 포함하며,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정면과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리세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제1 리세스홈에 장착되며, 식물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식물성 매트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제2 리세스홈에 장착되며, 식물성 재질로 형성된 제2 식물성 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2 식물성 매트는 각각, 톱밥, 쌀겨, 및 짚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곡면 패널의 배면과 복수의 평면 패널의 배면에 각각 부착되며, 아치형 벽체와 수직형 벽체 각각의 내측면을 이루는 반사 시트; 및 복수의 곡면 패널의 정면과 복수의 평면 패널의 정면에 각각 몰탈이 도포되어 형성되며, 아치형 벽체와 수직형 벽체 각각의 외측면을 이루는 몰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곡면 패널과 평면 패널은 각각 발포 폴리스티렌의 재질을 가지며, 제1 내지 5 조립 부재는 각각 발포 폴리스티렌,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지며, 수평 골격 부재, 밴딩 골격 부재, 및 수직 골격 부재는 각각 발포 폴리스티렌보다 강한 강도의 금속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밴딩 골격 부재와 수직 골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며, 밴딩 골격 부재와 수직 골격 부재 중 나머지 하나는,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된 판재 형상의 복수의 곡면 패널을 상호 조립하여 아치형 벽체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을 건축하되, 골격 부재를 아치형 벽체의 내부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조립식 건축물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평판의 판재 형상을 갖는 복수의 평면 패널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아치형 벽체와 수직형 벽체를 각각 갖는 조립식 건축물을 건축하되, 골격 부재를 수직형 벽체의 내부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조립식 건축물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곡면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곡면 패널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베이스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1 조립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2 조립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조립식 건물의 수평 골격 부재 및 밴딩 골격 부재가 설치되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와 밴딩 골격 부재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와 밴딩 골격 부재의 다른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골격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밴딩 골격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골격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1 리세스홈 및 제1 식물성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곡면 패널의 배면도.
도 13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개방부에 칸막이 벽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태내는 조립식 건물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결합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평면 패널의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평면 패널의 정면도.
도 17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3 조립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와 수직형 벽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4 조립 부재를 이용한 수직형 벽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 밴딩 골격 부재, 및 수직 골격 부재가 설치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밴딩 골격 부재와 수직 골격 부재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직 골격 부재를 이용한 수직형 벽체의 골격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2 리스세홈과 제2 식물성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패널의 배면도.
도 23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개방부에 칸막이 벽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태내는 조립식 건물의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곡면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곡면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베이스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제1 조립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제2 조립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은 곡면 패널(10), 베이스 부재(30), 제1 조립 부재(40), 제2 조립 부재(50), 수평 골격 부재(60), 및 밴딩 골격 부재(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곡면 패널(10)은 복수 개가 마련되며,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된 판재 형상을 각각 갖고, 복수 개가 상호 조립되어 곡면 패널(10)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아치형 벽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치형 벽체(20)는 양측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30)에 의해 지면 상에 고정되며, 아치형 벽체(20)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의 내부 공간(1a)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방부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 즉, 곡면 패널(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곡면 패널(1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이와 함께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 즉, 곡면 패널(10)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곡면 패널(1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아치형 벽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이란 아치형 벽체(20)의 원주면의 접선 방향 즉, 곡면 패널(10)의 원주면의 접선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곡면 패널(10)을 상호 조립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패널(10)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내지 4 조립홈(11)(12)(1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홈(11)은 곡면 패널(10)의 상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며, 제2 조립홈(12)은 곡면 패널(10)의 하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제3 조립홈(13)은 곡면 패널(10)의 일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며, 제4 조립홈(14)은 곡면 패널(1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곡면 패널(10)의 타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조립홈(14)에는 각각, 제1 조립 부재(40), 제2 조립 부재(50), 수평 골격 부재(60), 및 밴딩 골격 부재(70) 등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이를 통해 복수의 곡면 패널(10)을 상호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곡면 패널(10)의 곡률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패널(10)은 4개의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할 경우에 아치형 벽체(20)의 단면이 반원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될 수 있다.
곡면 패널(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곡면 패널(10)은 발포 폴리스틸렌(Expandable Polystylene, EPS)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인체에 무해하며, 단열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는 재료이다. 이러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일반적으로 완충재나 위생 용기로 사용되고 있으나, 낮은 발포 배열로 발포할 경우에는 높은 강도를 가져 건축 구조재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이 설치되는 지면 상에 설치되며, 곡면 패널(10)과 조립되어 아치형 벽체(20)를 지면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가 설치되는 지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부재(30)는 곡면 패널(10)과 조립될 수 있도록 상면에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32)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벽체(20)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곡면 패널(10)의 하단부를 베이스 부재(30)의 요홈(32)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아치형 벽체(20)를 지면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곡면 패널(10)의 하단부는 외측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베이스 부재(30)의 요홈(32)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조립 부재(4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10)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은,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조립하기 위하여, 제1 조립 부재(40)와 후술할 수평 골격 부재(60)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제1 조립 부재(40)는 곡면 패널(10)을 한 쌍 단위로만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고, 수평 골격 부재(60)는 개수 제한 없이 2 이상의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일괄적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조립 부재(40)와 수평 골격 부재(60)는 차이점을 갖는다.
제1 조립 부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패널(10)의 제1 조립홈(11)과 제2 조립홈(12)에 삽입될 수 있는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조립 부재(40)는,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10) 중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10)의 제1 조립홈(11)과 다른 하나의 곡면 패널(10)의 제2 조립홈(12)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조립 부재는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10)을 상호 조립하게 된다.
제1 조립 부재(40)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1 조립홈(11)과 제2 조립홈(12)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조립 부재(4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조립 부재(40)는 발포 폴리스틸렌, 및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조립 부재(5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10)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은,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조립하기 위하여, 제2 조립 부재(50)와 후술할 밴딩 골격 부재(70)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제2 조립 부재(50)는 곡면 패널(10)을 한 쌍 단위로만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고, 밴딩 골격 부재(70)는 개수 제한 없이 2 이상의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일괄적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 조립 부재(5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차이점을 갖는다.
제2 조립 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패널(10)의 제3 조립홈(13) 및 제4 조립홈(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 단부의 사이의 중간부가 곡면 패널(10)과 동일한 곡률된 만곡된 막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조립 부재(50)는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10) 중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10)의 제3 조립홈(13)과 다른 하나의 곡면 패널(10)의 제4 조립홈(14)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조립 부재(50)는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10)을 상호 조립하게 된다.
제2 조립 부재(50)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3 조립홈(13)과 제4 조립홈(14)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조립 부재(5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립 부재(50)는 제1 조립 부재(40)와 동일하게 발포 폴리스틸렌, 및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평 골격 부재(60)는 아치형 벽체(20)를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대응하여, 밴딩 골격 부재(70)는 아치형 벽체(20)를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한다.
제1 조립 부재(40)와 제2 조립 부재(50)는,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으나, 곡면 패널(10)을 한 쌍 단위로만 결합시킬 수 있다는 제약이 갖는다. 따라서, 제1 조립 부재(40)와 제2 조립 부재(50)만 이용하여 아치형 벽체(20)를 형성할 경우에는 아치형 벽체(20)에 인가된 외력이 골고루 분사되지 못하여 아치형 벽체(2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은,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 및 길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할 수 있는 수평 골격 부재(60) 및 밴딩 골격 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 및 밴딩 골격 부재가 설치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와 밴딩 골격 부재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와 밴딩 골격 부재의 다른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골격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밴딩 골격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의 골격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평 골격 부재(60)는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며, 아치형 벽체(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치형 벽체(2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밴딩 골격 부재(70)는 곡면 패널(10)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어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아치형 벽체(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치형 벽체(20)를 원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치형 벽체(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 조립 부재(40)와 제2 조립 부재(50)를 보조하여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에 대한 골격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각각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각각, 제1 조립 부재(40)와 제2 조립 부재(50)를 형성하는 발포 폴리스틸렌이나 목재보다 강한 강도를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아치형 벽체(2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서로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아치형 벽체(20)의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가 서로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를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골격 부재(60)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밴딩 골격 부재(7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서브 밴딩 골격 부재(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 밴딩 골격 부재(72)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72a)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수평 골격 부재(60)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서브 밴딩 골격 부재(72)의 중공(72a)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60a)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골격 부재(60)의 결합 돌기(60a)를 서브 밴딩 골격 부재(72)의 중공(72a)에 끼움 결합하여, 서브 밴딩 골격 부재(72)를 수평 골격 부재(60)와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아치형 벽체(20)에 인가된 외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골격 부재(6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 수평 골격 부재(62)로 이루어지고, 밴딩 골격 부재(7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 수평 골격 부재(62)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62a)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밴딩 골격 부재(70)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서브 수평 골격 부재(62)의 중공(62a)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결합 돌기(70a)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 골격 부재(70)의 결합 돌기(70a)를 서브 수평 골격 부재(62)의 중공(62a)에 끼움 결합하여, 서브 수평 골격 부재(62)와 밴딩 골격 부재(7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아치형 벽체(20)에 인가된 외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둘 중 어느 하나를 일체로 제조하고, 둘 중 나머지 하나를 복수 개의 절편 단위로 제조한 후에,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조립식 건축물의 건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밴딩 골격 부재(70)의 길이 또한 함께 길어져야 된다. 그런데, 밴딩 골격 부재(7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금속 재질의 막대를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시키는 만곡 가공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필요로 하는 밴딩 골격 부재의 길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길어지면 만곡 가공 작업에 어려움이 뒤따른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밴딩 골격 부재(7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복수의 서브 밴딩 골격 부재(72)를 마련하여 수평 골격 부재(6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다양한 구조와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수평 골격 부재(60)와 밴딩 골격 부재(70)의 구체적인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평 골격 부재(60)는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평 골격 부재(60)는 제1 조립 부재(40)와 일응 유사하게 곡면 패널(10)의 제1 조립홈(11)과 제2 조립홈(12)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골격 부재(60)는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의 제1 조립홈(11)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의 제2 조립홈(12)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수평 골격 부재(60)는, 곡면 패널(10)을 한 쌍 단위로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는 제1 조립 부재(40)와는 달리,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열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일괄적으로 조립하는 것이다. 수평 골격 부재(60)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1 조립홈(11)과 제2 조립홈(12)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은 제2 조립 부재(50)에 의하여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조립된다.
이와 같이 수평 골격 부재(60)가 설치됨에 따라, 아치형 벽체(20)의 내부에는 아치형 벽체(2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평 골격 부재(60)가 설치되므로, 수평 골격 부재(60)가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아치형 벽체(20)에 인가된 외력이 수평 골격 부재(60)에 의해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산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밴딩 골격 부재(70)는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 사이에 개재된다.
이를 위하여, 밴딩 골격 부재(70)는 제2 조립 부재(50)와 일응 유사하게 곡면 패널(10)의 제3 조립홈(13)과 제4 조립홈(14)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딩 골격 부재(70)는,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의 제3 조립홈(13)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의 제4 조립홈(14)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밴딩 골격 부재(70)는, 곡면 패널(10)을 한 쌍 단위로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는 제2 조립 부재(50)와는 달리,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2개의 열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을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일괄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밴딩 골격 부재(70)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3 조립홈(13)과 제4 조립홈(14)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10)은 제1 조립 부재(40)에 의하여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조립된다.
이와 같이 밴딩 골격 부재(70)가 설치됨에 따라, 아치형 벽체(20)의 내부에는 아치형 벽체(20)를 원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밴딩 골격 부재(70)가 설치되므로, 밴딩 골격 부재(70)가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아치형 벽체(20)에 인가된 외력이 밴딩 골격 부재(70)에 의해 아치형 벽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산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1 리세스홈 및 제1 식물성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곡면 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곡면 패널(10)은 제1 리세스홈(15) 및 제1 식물성 매트(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세스홈(15)은, 곡면 패널(10)의 정면(10a)과 배면(10b)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식물성 매트(16)는 제1 리세스홈(15)에 장착되며, 식물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곡면 패널(10)이 발포 폴리스틸렌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곡면 패널(10)의 일부 영역에 홈부가 마련되더라도 발포 폴리스틸렌의 강한 강도로 인하여 조립식 건축물(1)에 대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패널(10)에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는 제1 리세스홈(15)을 마련함으로써, 단위 곡면 패널(10)당 사용되는 발포 폴리스틸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의 건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리세스홈(15)은 곡면 패널(10)의 정면(10a)과 배면(10b) 양쪽 모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곡면 패널(10)은 정면(10a)이 조립식 건축물(1)의 외부를 향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건축물(1)의 내부를 향하는 곡면 패널(10)의 배면(10b)에 제1 리세스홈(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세스홈(15)의 개수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어도 한 개의 제1 리세스홈(15)을 곡면 패널(10)에 마련할 수 있다.
제1 식물성 매트(16)는 제1 리세스홈(15)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리세스홈(15)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1 식물성 매트(16)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톱밥, 쌀겨, 및 짚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식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세스홈(15)에 식물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식물성 매트(16)를 장착함에 따라, 환경을 보호하고, 제1 식물성 매트(16)가 조립식 건축물(1)의 내부 공간(1a)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내부 공간(1a)으로 습기를 방출하여 조립식 건축물(1)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리세스홈(15)에 제1 식물성 매트(16)를 장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리세스홈(15)에 제1 식물성 매트(16)를 장착하지 않고 제1 리세스홈(15)을 빈 공간으로 놔두거나 혹은 식물성이 아닌 다른 재질을 갖는 매트를 제1 리세스홈(15)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1의 조립식 건축물의 개방부에 칸막이벽을 설치한 상태를 나태내는 조립식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은, 칸막이벽(80)을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벽(80)은 아치형 벽체(2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마련된 개방부에 설치되어 조립식 건축물(1)의 내부 공간(1a)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칸막이벽(80)은 복수 개의 칸막이 패널이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칸막이벽(80)에는 출입문(90)과 창문(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칸막이벽(8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곡면 패널(10)과 동일하게 발포 폴리스틸렌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은, 복수의 곡면 패널(10)의 각각의 배면(10b)에 부착되며, 아치형 벽체(20)의 내측면을 이루는 반사 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건축물(1)을 농업용 시설, 예를 들어, 버섯 재배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뛰어난 단열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아치형 벽체(20)의 내측면을 이루는 복수의 곡면 패널(10) 각각의 배면(10b)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반사 시트(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은, 복수의 곡면 패널(10) 각각의 정면(10a)에 몰탈이 도포되어 형성되며 아치형 벽체(20)의 외측면을 이루는 몰탈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몰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인 건축물에 사용되는 몰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평면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평면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3 조립 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벽체와 수직형 벽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4 조립 부재를 이용한 수직형 벽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곡면 패널(10), 제1 조립 부재(40), 제2 조립 부재(50), 수평 골격 부재(60), 밴딩 골격 부재(70), 평면 패널(100), 베이스 부재(120), 제3 조립 부재(130), 제4 조립 부재(140), 및 수직 골격 부재(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평면 패널(100)을 상호 조립하여 형성한 수직형 벽체(1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과 차이점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조립식 건축물(2)은, 곡면 패널(10), 제1 조립 부재(40), 제2 조립 부재(50), 수평 골격 부재(60), 및 밴딩 골격 부재(70) 등을 상호 조립하여 형성한 아치형 벽체(20)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만 언급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평면 패널(100)은 복수 개가 마련되며, 평판의 판재 형상을 갖고, 복수 개가 상호 조립되어 수직형 벽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 즉, 평면 패널(100)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평면 패널(10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수직형 벽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은, 아치형 벽체(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가리킨다.
평면 패널(100)은 평면 패널(100)의 상면과 곡면 패널(10)의 하면이 밀착되도록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 즉, 평면 패널(100)의 높이 방향으로 곡면 패널(10)과 조립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수직형 벽체(110)와 아치형 벽체(20)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벽체(20)의 양측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한 쌍의 수직형 벽체(1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1)보다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만큼 높은 높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평면 패널(100) 또는 평면 패널(100)과 곡면 패널(10)을 상호 조립하기 위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패널(100)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5 내지 8 조립홈(101)(102)(103)(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조립홈(101)은 평면 패널(100)의 상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며, 제6 조립홈(102)은 평면 패널(100)의 하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제7 조립홈(103)은 평면 패널(100)의 일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며, 제8 조립홈(104)은 일측면과 대향되는 평면 패널(100)의 타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제5 내지 제8 조립홈(101)(102(103)(104)에는 각각, 제3 조립 부재(130), 제4 조립 부재(140), 및 수직 골격 부재(150) 등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이를 이용하여 평면 패널(100)들 또는 평면 패널(100)과 곡면 패널(10)을 상호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평면 패널(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평면 패널(100)은 곡면 패널(10)과 동일하게 발포 폴리스틸렌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4는 평면 패널(100)이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단일층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수직형 벽체(11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평면 패널(100)이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다층으로 배치된 수직형 벽체(1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평면 패널(100)이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단일층으로 배치되어 수직형 벽체(110)가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20)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이 설치되는 지면 상에 설치되며, 평면 패널(100)과 조립되어 수직형 벽체(110)를 지면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0)는 평면 패널(100)과 조립될 수 있도록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미도시)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패널(100)의 하단부를 베이스 부재(120)의 요홈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수직형 벽체(110)를 지면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 패널(100)의 하단부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베이스 부재(120)의 요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3 조립 부재(13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10)과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100)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제3 조립 부재(1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패널(10)의 제2 조립홈(12)과 평면 패널(100)의 제5 조립홈(101)에 삽입될 수 있는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3 조립 부재(130)는, 아치형 벽체(20)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배치된 곡면 패널(10)의 제2 조립홈(12)과 상기 곡면 패널(10)과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하도록 배치된 평면 패널(100)의 제5 조립홈(101)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 조립 부재(130)는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곡면 패널(10)과 평면 패널(100)을 상호 조립하게 된다.
제3 조립 부재(130)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곡면 패널(10)의 제2 조립홈(12) 및 평면 패널(100)의 제5 조립홈(101)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조립 부재(1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조립 부재(130)는 발포 폴리스틸렌, 및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4 조립 부재(14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평면 패널(100)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평면 패널(100)을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평면 패널(100)을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조립하기 위하여, 제4 조립 부재(140)와 후술할 수직 골격 부재(150)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제4 조립 부재(140)는 평면 패널(100)을 상호 조립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고, 수직 골격 부재(150)는 밴딩 골격 부재(70)와 연결되어 수직형 벽체(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4 조립 부재(140)와 수직형 벽체(110)는 차이점을 갖는다.
제4 조립 부재(14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패널(100)의 제7 조립홈(103) 및 제8 조립홈(104)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4 조립 부재(140)는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밀착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10)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100)의 제7 조립홈(103)과 다른 하나의 평면 패널(100)의 제8 조립홈(104)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 조립 부재(140)는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평면 패널(100)을 상호 조립하게 된다.
제4 조립 부재(140)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7 조립홈(103) 및 제8 조립홈(104)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4 조립 부재(14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4 조립 부재(140)는 제3 조립 부재(130)와 동일하게 발포 폴리스틸렌, 및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직 골격 부재(150)는 수직형 벽체(110)를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조립 부재(130)와 제4 조립 부재(140)는, 평면 패널(100)들 또는 곡면 패널(10)과 복수의 평면 패널(100)을 상호 조립할 수 있으나, 평면 패널(100)과 곡면 패널(10)을 한 쌍 단위로만 결합시킬 수 있다는 제약을 갖는다. 따라서, 제3 조립 부재(130)와 제4 조립 부재(140)만 이용하여 평면 패널(100)들 또는 평면 패널(100)과 곡면 패널(10)을 상호 조립할 경우에는, 수직형 벽체(110)에 인가된 외력이 골고루 분사되지 못하여 수직형 벽체(11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직 골격 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 골격 부재(1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9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평 골격 부재, 밴딩 골격 부재, 및 수직 골격 부재가 설치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밴딩 골격 부재와 수직 골격 부재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수직 골격 부재를 이용한 수직형 벽체의 골격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수직 골격 부재(150)는,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며, 수직형 벽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직형 벽체(110)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수직형 벽체(1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직형 벽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3 조립 부재(130) 및 제4 조립 부재(140)를 보조하여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 골격 부재(15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수직 골격 부재(150)는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수직 골격 부재(150)는 제3 조립 부재(130)와 제4 조립 부재(140)를 형성하는 발포 폴리스틸렌이나 목재보다 강한 강도를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수직형 벽체(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수직 골격 부재(150)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수직 골격 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골격 부재(150)는 밴딩 골격 부재(70)와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골격 부재(150)와 밴딩 골격 부재(70)는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직 골격 부재(150)와 밴딩 골격 부재(70)가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수직 골격 부재(150)와 밴딩 골격 부재(70)의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 골격 부재(70)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70b)을 포함하며, 수직 골격 부재(150)는 밴딩 골격 부재(70)의 중공(70b)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150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골격 부재(150)의 결합 돌기(150a)를 밴딩 골격 부재(70)의 중공(70b)에 끼움 결합하여, 수직 골격 부재(150)와 밴딩 골격 부재(7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아치형 벽체(20)와 수직형 벽체(110)에 인가된 외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골격 부재(150)가 내부에 형성된 중공(미도시)을 포함하고, 밴딩 골격 부재(70)가 수직 골격 부재(150)의 중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수직 골격 부재(150)의 구체적인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수직 골격 부재(150)는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평면 패널(100)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100) 사이에 개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 골격 부재(150)는,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평면 패널(100)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100) 각각의 제7 조립홈(103)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100) 각각의 제8 조립홈(104)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으로는 평면 패널(100)이 단일층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골격 부재(150)는 수직형 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평면 패널(100) 중 어느 하나의 제7 조립홈(103)과 다른 하나의 제8 조립홈(104)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수직 골격 부재(150)의 결합 돌기(150a)가 밴딩 골격 부재(70)의 중공(70b)에 끼움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직 골격 부재(150)는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7 조립홈(103)과 제8 조립홈(104)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수직 골격 부재(150)가 설치됨에 따라, 수직형 벽체(110)의 내부에는 수직형 벽체(110)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직 골격 부재(150)가 설치되어 수직형 벽체(110)의 높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아치형 벽체(20) 및 수직형 벽체(110)의 하중이나 아치형 벽체(20) 및 수직형 벽체(110)에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이 수직 골격 부재(150)에 의해 분산되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제2 리세스홈 및 제2 식물성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평면 패널(100)은 제2 리세스홈(105) 및 제2 식물성 매트(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세스홈(105)은, 평면 패널(100)의 정면(100a)과 배면(100b)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식물성 매트(106)는 제2 리세스홈(105)에 장착되며, 식물성 재질로 형성된다.
평면 패널(100)이 발포 폴리스틸렌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평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홈부가 마련되더라도 발포 폴리스틸렌의 강한 강도로 인하여 조립식 건축물(2)에 대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패널(100)에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는 제2 리세스홈(105)을 마련함으로써, 단위 평면 패널(100)당 사용되는 발포 폴리스틸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의 건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 리세스홈(105)은 평면 패널(100)의 정면(100a)과 배면(100b) 양쪽 모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평면 패널(100)은 정면(100a)이 조립식 건축물(2)의 외부를 향하므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건축물(2)의 내부를 향하는 평면 패널(100)의 배면(100b)에 제2 리세스홈(10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리세스홈(105)의 개수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어도 한 개의 제2 리세스홈(105)을 평면 패널(100)에 형성할 수 있다.
제2 식물성 매트(106)는 제2 리세스홈(105)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리세스홈(105)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2 식물성 매트(106)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식물성 매트(106)는 제1 식물성 매트(16)와 동일하게 톱밥, 쌀겨, 및 짚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식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리세스홈(105)에 제2 식물성 매트(106)를 장착함에 따라, 환경을 보호하고, 제2 식물성 매트(106)가 조립식 건축물(2)의 내부 공간(2a)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내부 공간(2a)으로 습기를 방출하여 조립식 건축물(2)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 리세스홈(105)에 제2 식물성 매트(106)를 장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리세스홈(105)에 제2 식물성 매트(106)를 장착하지 않고 제2 리세스홈(105)을 빈 공간으로 놔두거나 혹은 식물성이 아닌 다른 재질을 갖는 매트를 제2 리세스홈(105)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3은 도 14의 조립식 건축물의 개방부에 칸막이벽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식 건축물의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칸막이벽(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벽(160)은 아치형 벽체(20)와 수직형 벽체(11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마련된 개방부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의 내부 공간(2a)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칸막이벽(160)은 복수 개의 칸막이 패널이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칸막이벽(160)에는 출입문(170)과 창문(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칸막이벽(16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칸막이벽(160)은 평면 패널(100)과 동일한 발포 폴리스틸렌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복수의 평면 패널(100) 각각의 배면(100b)에 부착되며, 수직형 벽체(110)의 내측면을 이루는 반사 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건축물(2)을 농업용 시설, 예를 들어, 버섯 재배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뛰어난 단열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수직형 벽체(110)의 내측면을 이루는 복수의 평면 패널(100) 각각의 배면(100b)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반사 시트(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복수의 평면 패널(100) 각각의 정면(100a)에 몰탈이 도포되어 형성되며, 수직형 벽체(110)의 외측면을 이루는 몰탈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몰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곡면 패널(10)과 동일하게 일반적인 건축물에 사용되는 몰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2 : 조립식 건축물
10 : 곡면 패널
20 : 아치형 벽체
30 : 베이스 부재
40 : 제1 조립 부재
50 : 제2 조립 부재
60 : 수평 골격 부재
70 : 밴딩 골격 부재
80 : 칸막이벽
90 : 출입문
100 : 평면 패널
110 : 수직형 벽체
120 : 베이스 부재
130 : 제3 조립 부재
140 : 제4 조립 부재
150 : 수직 골격 부재
160 : 칸막이벽
170 : 출입문

Claims (20)

  1. 미리 정해진 곡률로 만곡된 판재 형상을 갖고, 상호 조립되어 아치형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곡면 패널;
    상기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곡면 패널을 조립하는 복수의 제1 조립 부재;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곡면 패널을 조립하는 복수의 제2 조립 부재; 및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는 수평 골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상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1 조립홈; 및
    하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2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조립 부재는 각각,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1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2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수평 골격 부재는,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1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2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는 밴딩 골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일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3 조립홈; 및
    타측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제4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조립부재는 각각,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3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4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밴딩 골격 부재는,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아치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아치형 벽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3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곡면 패널의 제4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골격 부재와 상기 밴딩 골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골격 부재와 상기 밴딩 골격 부재 중 나머지 하나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8. 제4항에 있어서,
    평판의 판재 형상을 갖고, 상호 조립되어 상기 아치형 벽체와 결합 가능한 수직형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평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과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과 상기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을 상호 조립시키는 복수의 제3 조립 부재; 및
    상기 수직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평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평면 패널을 상호 조립시키는 복수의 제4 조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평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밴딩 골격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에 대한 골격을 형성하는 수직 골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상면에 형성되는 제5 조립홈; 및
    하면에 형성되는 제6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조립 부재는 각각,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의 제2 조립홈과 상기 어느 하나의 곡면 패널과 상기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된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의 제5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7 조립홈; 및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8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 조립 부재는 각각,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수직형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서로 배치된 한 쌍의 평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패널의 제7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평면 패널의 제8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수직 골격 부재는,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수직형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평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평면 패널의 제7 조립홈과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게 배치된 다수의 평면 패널의 제8 조립홈이 합체되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정면과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리세스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정면과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리세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은 각각,
    상기 제1 리세스홈에 장착되며, 식물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식물성 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평면 패널은 각각,
    상기 제2 리세스홈에 장착되며, 식물성 재질로 형성된 제2 식물성 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식물성 매트는 각각, 톱밥, 쌀겨, 및 짚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의 배면과 상기 복수의 평면 패널의 배면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아치형 벽체와 상기 수직형 벽체 각각의 내측면을 이루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복수의 곡면 패널의 정면과 상기 복수의 평면 패널의 정면에 각각 몰탈이 도포되어 형성되며, 상기 아치형 벽체와 상기 수직형 벽체 각각의 외측면을 이루는 몰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패널과 상기 평면 패널은 각각 발포 폴리스티렌의 재질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5 조립 부재는 각각 발포 폴리스티렌,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지며,
    상기 수평 골격 부재, 상기 밴딩 골격 부재, 및 상기 수직 골격 부재는 각각 발포 폴리스티렌보다 강한 강도의 금속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골격 부재와 상기 수직 골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밴딩 골격 부재와 상기 수직 골격 부재 중 나머지 하나는,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KR1020150134798A 2015-09-23 2015-09-23 조립식 건축물 KR10182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98A KR101822591B1 (ko) 2015-09-23 2015-09-23 조립식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98A KR101822591B1 (ko) 2015-09-23 2015-09-23 조립식 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641A true KR20170035641A (ko) 2017-03-31
KR101822591B1 KR101822591B1 (ko) 2018-01-26

Family

ID=5850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798A KR101822591B1 (ko) 2015-09-23 2015-09-23 조립식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5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109A (ko) 2021-08-19 2021-09-15 임춘만 노후된 선박에 위치한 빌딩로봇으로; 펄 위에 떠있는 공공임대아파트
KR20220127444A (ko) * 2021-03-11 2022-09-20 장세웅 체결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20220127441A (ko) * 2021-03-11 2022-09-20 장세웅 경량빔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9496A1 (pl) * 2019-04-02 2020-10-05 Adam Kalinowski System panelowo-modułowy warstwowej ściany do kształtowania struktur przestrzennych zapewniających komfort klimatyczny użytkownikom oraz służący do produkcji roślinnej
KR102561911B1 (ko) * 2021-06-17 2023-08-01 주식회사 승신건설 폴리우레아가 도포된 유리섬유 강화형 조립식 하우스
KR102542221B1 (ko) * 2021-06-23 2023-06-23 주식회사 승신건설 조립식 하우스의 시공방법
KR102360313B1 (ko) * 2021-10-29 2022-02-09 주식회사 순수테크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12Y1 (ko) * 2000-03-11 2000-09-01 남궁성 아치형 저온창고 및 버섯 재배용 하우스
JP5683897B2 (ja) * 2010-08-27 2015-03-11 株式会社タカショー 複合断熱材を用いた建築物、および建築物の断熱工法
KR101505065B1 (ko) * 2014-10-23 2015-03-30 그린스타 주식회사 조립형 알루미늄제 비닐하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44A (ko) * 2021-03-11 2022-09-20 장세웅 체결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20220127441A (ko) * 2021-03-11 2022-09-20 장세웅 경량빔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20210113109A (ko) 2021-08-19 2021-09-15 임춘만 노후된 선박에 위치한 빌딩로봇으로; 펄 위에 떠있는 공공임대아파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591B1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591B1 (ko) 조립식 건축물
US4004387A (en) Panels and the method of same for house construction
EP2522788B1 (en) Load transfer device
EP2898157B1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KR20180085984A (ko)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20170028934A (ko) 벽 구조물용 건축 블럭
KR101910173B1 (ko) 조립식 모듈, 조립식 주택 및 조립식 주택 시공방법.
AU2017351956B2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EP2481868B1 (en) Sound-attenuation element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KR101925956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CN104364451A (zh) 建筑用组装式墙体框架及利用此的天花板框架
JP5912465B2 (ja) 建物及び建物の製造方法
RU2680156C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панель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указанной панели
JP2018025058A (ja) 断熱材、壁ユニット、断熱壁の施工方法および家屋
KR101830357B1 (ko)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EP3430211B1 (en) Construction assembly in the form of free-standing cold rooms comprised of modular construction units
RU2354788C1 (ru) Деревометаллическ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RU2818384C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здание замкнутого тип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готовых модулей и панелей
KR102699065B1 (ko) 조립식 주택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CA2722104A1 (en) Modular house building system
RU2782392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модуля здания
KR101275002B1 (ko)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패널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H11107367A (ja) 住宅の骨組構造
KR101925969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코너 지지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