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13B1 -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313B1
KR102360313B1 KR1020210146250A KR20210146250A KR102360313B1 KR 102360313 B1 KR102360313 B1 KR 102360313B1 KR 1020210146250 A KR1020210146250 A KR 1020210146250A KR 20210146250 A KR20210146250 A KR 20210146250A KR 102360313 B1 KR102360313 B1 KR 10236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ir
disposed
coupl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순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순수테크
엄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순수테크, 엄순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순수테크
Priority to KR102021014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승강장, 쉼터, 자전거 보관소, 야외 운동장의 스탠드, 재활용 동네마당 등과 같이 야외에 설치되되,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구성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끼움부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부에 각각 구비된 결합공이 구비되며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조인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간을 포함하며, 한 쌍의 베이스 조인트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조인트의 끼움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볼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조인트와 결합하는 베이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되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요홈이 형성된 사이드월; 길이 방향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인입공간에 결합되고,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사이드월의 요홈에 결합되는 보호패널;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보호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보호패널이 온도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될 때 맞닿는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시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Canopy for prefabricated structures}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승강장, 재래시장 아케이드, 쉼터, 자전거 보관소, 야외 운동장의 스탠드 등과 같이 야외에 설치되되,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구성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
버스승강장, 재래시장 아케이드, 자전거 보관소, 야외 운동장의 스탠드 또는 지붕 그리고 날씨쉼터, 재활용 동네마당 등은 주로 야외에 설치되어 이용자에게 사용 편의성과 그늘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햇빛, 빗물 및 바람을 막아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물의 기본적인 구조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천정부와, 상기 포스트의 측단을 연결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스트는 천정부와 사이드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합성금속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고, 천정부와 사이드부는 채광(採光)이 이루어지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의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562호(2009.09.30., 공개)가 있는데, 외각 프레임부와 다수의 중간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는 다수의 체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측 장변들의 제1절곡점에서 상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하는 제1직립부들과, 상기 연장하는 제1직립부 말단의 제2절곡점에서 외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하는 제1수평부들과, 상기 연장하는 제1수평부의 말단의 제3절곡점에서 하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하는 제2직립부들과, 상기 연장하는 제2직립부의 말단의 제4절곡점에서 직각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수평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각 프레임부는 일단이 개방된 “ㄷ”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지붕부재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을 용이하게 수용하여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한 지붕부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서 지붕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지붕부재의 길이를 열팽창에 의해 늘어나는 길이를 고려하여 제작한 이후 이를 외각 프레임부 또는 중간 프레임부에 결합하고 각각의 구조물에 상응하는 길이 및 폭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562호(2009.09.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구성의 팽창 또는 수축시 구성의 위치 변위 또는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를 개선하며 동시에 완충시트를 구비하여 야외에 설치되어도 온도 변화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켜 현장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공 기간의 단축 및 이를통한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은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끼움부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부에 각각 구비된 결합공이 구비되며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조인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간을 포함하며, 한 쌍의 베이스 조인트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조인트의 끼움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볼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조인트와 결합하는 베이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되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요홈이 형성된 사이드월;
길이 방향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인입공간에 결합되고,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사이드월의 요홈에 결합되는 보호패널;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보호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보호패널이 온도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될 때 맞닿는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시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 조인트의 끼움부에 인입하기 위하여 절곡 형성된 결합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부에는 상기 완충시트의 일측이 맞닿아 지지되는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완충시트의 위치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결합볼트가 맞물리는 결합관체가 더 배치되되, 상기 결합관체는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볼트가 맞물리는 나사공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맞닿는 끼움부의 내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시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피와,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부에 배치되는 결합영역과,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는 완충영역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재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무 조성물은 부타디엔 고무 30 내지 40 중량부, 카본블랙 10 내지 15 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5 내지 10 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내지 1.5 중량부, 석유수지 1.5 내지 2 중량부, 노화방지제 1 내지 2 중량부, 분산제 1.5 내지 2 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 중량부를 부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를 제안한되,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보호패널, 베이스, 사이드월 등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구성이 온도 변화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향상은 물론 각 구성의 결합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조인트에 결합하는 베이스와 사이드월의 구조를 개선하여 현장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전체 시공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를 일부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 조인트와 베이스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완충시트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완충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끼움부(13)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부(13)에 각각 구비된 결합공(14)이 구비되며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조인트(1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22)과,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22)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간(23)을 포함하며, 한 쌍의 베이스 조인트(1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14)에 결합되는 결합볼트(B)를 통해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와 결합하는 베이스(2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되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요홈(33)이 형성된 사이드월(30)와, 길이 방향 단부는 상기 베이스(20)의 인입공간(23)에 결합되고,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사이드월(30)의 요홈(33)에 결합되는 보호패널(40) 및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보호패널(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20) 또는 상기 보호패널(40)이 온도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될 때 맞닿는 베이스(20)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시트(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조인트(10)는 한 쌍의 끼움부(13)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끼움부(13)에는 후술하는 베이스(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4)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조인트(10)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을 연결하되 상판(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는 연결판(12)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연결판(12)은 상판(11)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조인트(10)를 구성하는 상판(11)과 연결판(12)의 길이 및 두께의 비율은 후술하는 패널의 두께 및 하중을 지지하도록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길이 및 두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끼움부(13)는 상기 연결판(12)으로부터 개구된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인입된 베이스(20)의 단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보호패널(40)이 외부 온도에 의해 팽창시 팽창되는 보호패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조인트(10)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의 형태에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호 다른 각도로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패널(40)의 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20)가 결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조인트(10)와 상기 보호패널(40)의 상단을 지지하는 베이스(20)가 결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조인트(10)는 상호가 90°의 각도로 방향 전환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베이스 조인트(10)는 후술하는 사이드월(30)에 결합되어 위치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부(13)에는 각각 베이스(20)와 결합볼트(B)를 통해 결합시 결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결합관체(15)가 더 배치된다.
상기 결합관체(15)는 결합볼트(B)가 맞물리는 결합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부(13)에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관체(15)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연질의 자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지지체(151)가 구비되어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상기 베이스 조인트(10), 베이스(20) 또는 후술하는 보호패널(40)이 팽창 또는 수축시 결합관체(15)가 베이스 조인트(10)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베이스 조인트(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51)는 압착된 상태에서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상기 베이스 조인트(10), 베이스(20) 또는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된 보호패널(40)이 팽창될 때 복원되어 결합관체(15)와 베이스 조인트(10) 내벽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기나 외부 바람에 의한 마찰음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쾌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결합관체(15)에 결합된 결합볼트(B)가 해제되는 것을 예방하여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 방향 양단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 조인트(10)에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22)과,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22)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간(23)을 포함하며, 한 쌍의 베이스 조인트(1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14)에 결합되는 결합볼트(B)를 통해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와 결합한다.
상기 바닥판(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배치된 베이스 조인트(10)의 위치 또는 설계에 따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연속된 웨이브(wave)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21)은 후술하는 보호패널(4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패널(40)이 인입되는 일면은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한 보강용 플랜지(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20)를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6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플랜지(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판(22)은 상기 바닥판(21)의 상면에서 한 쌍이 대칭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21)과 함께 보호패널(40)이 인입되는 인입공간(23)을 형성하며 동시에 인입된 보호패널(40)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수직판(2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21)의 상면에서 폭 방향 양측 테두리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수직판(22)중 어느 하나의 수직판(22)에는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 형성된 결합단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부(24)에는 인입공간(23)에 인입된 후술하는 완충시트(50)의 일단이 맞닿아 위치 변위를 방지하는 걸림턱(2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부(24)는 수직판(2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어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에 인입된 후 결합볼트(B)를 통해 베이스 조인트(1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부(24)를 통해 베이스(20)와 베이스 조인트(10)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미감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상기 걸림턱(25)은 상기 수직판(22)의 일단,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단부(24)가 형성되는 절곡부위에 형성되며, 한 쌍의 걸림턱(25)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턱(25)과 수직판(22)의 내면 사이에는 후술하는 완충시트(50)가 인입되는 시트삽입부(251)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삽입부(251)에 인입된 완충시트(50)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걸림턱(25)에 맞닿아 수직판(22)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를 방지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한 쌍의 수직판(22)중 다른 하나의 수직판(22)은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의 상판(11)과 직접 맞닿지 않는 위치에 단부가 배치된 후 별도의 결합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수직판(22)과 상판(11)이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기 한 쌍의 수직판(22) 모두에 결합단부(24)가 각각 형성되고, 이를 통해 시트삽입부(251)가 인입공간(23)에 한 쌍이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한 쌍의 시트삽입부(251)에 완충시트(5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월(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요홈(33)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격판(31)과 상기 격판(31)을 연결하는 보강판(32)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요홈(33)이 한 쌍의 격판(31)과 보강판(32)을 통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격판(31)은 각각 맞닿는 베이스(20)의 끼움부(13)에 인입되며 결합볼트(B)가 결합하는 체결공(3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32)에는 맞닿는 베이스 조인트(10)의 연결판(12)이 삽입되는 삽입홈(32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사이드월(30)은 보호패널(40)의 폭 방향 측단이 상기 요홈(33)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판(32)은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격판(31)을 연결함과 동시에 격판(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여 상호 대칭되는 위치로 한 쌍의 요홈(33)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때 보강판(32)의 위치 및 개수는 격판(31)의 길이 및 인입되는 보호패널의 개수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32)은 상기 격판(3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도면 중 도시하였으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판(32)의 길이 방향 단부, 정확하게는 상기 격판(31)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보강판(32)에는 상기 삽입홈(3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321)은 보강판(32)이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에 인입될 때 연결판(12)이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사이드월(3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와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 조인트(10)에 길이 방향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0)에 형성된 인입공간(23)측으로 요홈(33)이 개방된 형태로 배치되어 보호패널(40)의 측단이 상기 요홈(33)에 인입된다.
이때 사이드월(30)의 길이 방향 단부가 베이스 조인트(10)에 결합되는 결합볼트(B)를 통해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이때 사이드월(30)과 베이스 조인트(1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베이스 조인트(10)의 연결판(12)이 삽입되는 삽입홈(321)이 형성되어 연결판(12)이 삽입홈(321)에 형성된 상태에서 사이드월(30)과 베이스 조인트(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요홈(33)은 인입되는 보호패널(40)의 측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보호패널(40)이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할 때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거나, 후술하는 완충시트(5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 개를 배치하여 인입된 보호패널(40)의 측단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널(40)은 상기 베이스(20)에 형성된 인입공간(23)과, 상기 사이드월(30)에 형성된 요홈(33)에 결합되어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의 천정 또는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부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패널(40)은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의 천정 또는 측벽을 구성하는 것으로, 햇빛, 빗물, 바람 등이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를 이용하는 사용자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패널(4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의 소재 중 일 예로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폴리카보네이트는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내구성, 내열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여름철 폭염이 발생시 상기 보호패널(40)은 팽창하고, 겨울철 한파 발생시 상기 보호패널(40)은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보호패널(40)이 외부 온도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완충시트(5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시트(50)는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보호패널(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20) 또는 상기 보호패널(40)이 온도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될 때 맞닿는 베이스(2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완충시트(5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공간(51)이 형성된 외피(52)와, 상기 수용공간(51)에 충진되는 충진재(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피(52)는,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부(13)에 배치되는 결합영역(521)과, 상기 충진재(53)가 충진되는 완충영역(522)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결합영역(521)은 외피(5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 내벽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이때 각각의 결합영역(521)에는 맞닿은 내벽과 접착하도록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접착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영역(522)은 상기 외피(52)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영역(521) 사이에 형성되어 충진재(53)가 충진되는 영역으로써 베이스(20) 또는 베이스 조인트(10)의 내벽에 맞닿는다.
이러한 완충영역(522)은 상기 베이스(20)의 시트삽입부(251)에 배치되어 보호패널(40) 또는 베이스(20)가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할 때 맞닿은 보호패널(40) 및 베이스(2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완충영역(522)은 탄성 복원이 가능한 충진재(53)가 배치되거나 탄성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탄성 복원이 가능한 소재의 경우 일 예로,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51)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독립된 다수 개의 완충영역(522)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압축 또는 복귀되는 동작 과정 중 일부가 손상되어도 분할된 다른 영역에 의해 보호패널(40)과 베이스(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51)을 다수 개의 구획라인(54)을 통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다수 개의 완충영역(522)을 가지도록 구획하고, 각각의 완충영역(522)에 충진재(53)를 충진한다. 이를 통해 다수 개의 완충영역(522)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인접한 타 완충영역(522)이 탄성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호패널(40) 및 베이스(20)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완충영역(522)에 충진되는 충진재(53)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완충재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완충 작용과 함께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의 외장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 및 차열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고무 조성물은 부타디엔 고무 30 내지 40 중량부, 카본블랙 10 내지 15 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5 내지 10 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내지 1.5 중량부, 석유수지 1.5 내지 2 중량부, 노화방지제 1 내지 2 중량부, 분산제 1.5 내지 2 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 중량부를 부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를 함유함으로써 완충재 내부에 미세공동이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열전달을 통한 차열성이나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알콕시실란의 수용액으로 액적을 만들고, 여기에 산을 가하여 상기 액적을 가수분해시킨 후, 다시 염기를 가하여 상기 액적을 결합시킴으로써 쉘을 형성한 후, 유기용매로 상기 쉘의 내부를 에칭하여 중공을 형성한 후, 이를 여과,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실리카는 내부 공동이 40 내지 500㎚이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24603호나 다른 문헌들에 개시된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완충시트(50)는 보호패널(40)과 베이스(20) 사이 또는 보호패널(40)과 사이드월(3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보호패널 또는 베이스 또는 사이드월을 탄성 지지하여 온도 변화에 의한 상기 구성의 파손을 방지하여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의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시트(50)의 수용공간(51)을 다수 개의 완충영역(522)으로 분할하여 어느 하나의 완충영역(522)이 파손되더라도 파손되지 않은 완충영역(522)이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보호패널, 베이스, 사이드월을 탄성 지지하여 각 구성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10 : 베이스 조인트
11 : 상판 12 : 연결판
13 : 끼움부 14 : 결합공
15 : 결합관체
151 : 지지체
20 : 베이스
21 : 바닥판 22 : 수직판
23 : 인입공간 24 : 결합단부
25 : 걸림턱
251 : 시트삽입부
30 : 사이드월
31 : 격판 32 : 보강판
33 : 요홈
311 : 체결공 312 : 삽입홈
40 : 보호패널
50 : 완충시트
51 : 수용공간 52 : 외피
53 : 충진재 54 : 구획라인
521 : 결합영역 522 : 완충영역

Claims (5)

  1. 한 쌍의 끼움부(13)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부(13)에 각각 구비된 결합공(14)이 구비되며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조인트(1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22)과,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22)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간(23)을 포함하며, 한 쌍의 베이스 조인트(1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14)에 결합되는 결합볼트(B)를 통해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와 결합하는 베이스(2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되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요홈(33)이 형성된 사이드월(30);
    길이 방향 단부는 상기 베이스(20)의 인입공간(23)에 결합되고,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사이드월(30)의 요홈(33)에 결합되는 보호패널(40);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보호패널(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20) 또는 상기 보호패널(40)이 온도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될 때 맞닿는 베이스(20)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시트(5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한 쌍의 수직판(2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 조인트(10)의 끼움부(13)에 인입하기 위하여 절곡 형성된 결합단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부(24)에는 상기 완충시트(50)의 일측이 맞닿아 지지되는 걸림턱(25)이 형성되어 완충시트(50)의 위치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3)에는,
    상기 결합볼트(B)가 맞물리는 결합관체(15)가 더 배치되되,
    상기 결합관체(15)는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볼트(B)가 맞물리는 나사공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맞닿는 끼움부(13)의 내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체(15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시트(5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공간(51)이 형성된 외피(52)와,
    상기 수용공간(51)에 충진되는 충진재(53)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52)는,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부(13)에 배치되는 결합영역(521)과, 상기 충진재(53)가 충진되는 완충영역(52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53)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무 조성물은 부타디엔 고무 30 내지 40 중량부, 카본블랙 10 내지 15 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5 내지 10 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내지 1.5 중량부, 석유수지 1.5 내지 2 중량부, 노화방지제 1 내지 2 중량부, 분산제 1.5 내지 2 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 중량부를 부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KR1020210146250A 2021-10-29 2021-10-29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KR10236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50A KR102360313B1 (ko) 2021-10-29 2021-10-29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50A KR102360313B1 (ko) 2021-10-29 2021-10-29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313B1 true KR102360313B1 (ko) 2022-02-09

Family

ID=8026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250A KR102360313B1 (ko) 2021-10-29 2021-10-29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562B1 (ko) 2008-03-26 2010-09-24 엄순자 조립식 구조물
KR20130077212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1683817B1 (ko) * 2016-02-24 2016-12-08 디에스(주)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KR101822591B1 (ko) * 2015-09-23 2018-01-26 김철규 조립식 건축물
KR101869535B1 (ko) * 2018-02-05 2018-06-20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차양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562B1 (ko) 2008-03-26 2010-09-24 엄순자 조립식 구조물
KR20130077212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1822591B1 (ko) * 2015-09-23 2018-01-26 김철규 조립식 건축물
KR101683817B1 (ko) * 2016-02-24 2016-12-08 디에스(주)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KR101869535B1 (ko) * 2018-02-05 2018-06-20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차양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6598B2 (en) Translucent panel
KR100717568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101508123B1 (ko) 건물옥상용 조립식 방수패널구조물
KR20170043047A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US20200063430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2360313B1 (ko) 조립식 구조물용 캐노피
KR200394314Y1 (ko) 충격 흡수가 가능한 벽체용 패널 조립체
KR100983562B1 (ko) 조립식 구조물
KR102255116B1 (ko) 커튼월의 내진 결합구조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US20050284074A1 (en) Panel lock building system and hinge
KR101715680B1 (ko) 보강형 골조 및 에어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구조물
KR200423646Y1 (ko)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101742299B1 (ko) 시설물 기둥 어셈블리
KR100511475B1 (ko) 건물 지붕판넬 연결용 신축 크립
CN212176161U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板
KR102198692B1 (ko) 정자형 파고라
CN107524380A (zh) 一种新型十字连接结构
KR101553402B1 (ko) 패널이 장착된 프레임, 이를 이용한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86775B1 (ko) 조립식 콘테이너
KR200316935Y1 (ko) 조립식 단열지붕 시공 구조
GB2427880A (en) Telescopic conservatory
KR100959631B1 (ko) 채광판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지붕 구조
RU2734409C1 (ru) Экструдированная выпуклая пластиковая панель со стоячими фальцами для конструкций кров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