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498A - 터렛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터렛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498A
KR20170035498A KR1020150134397A KR20150134397A KR20170035498A KR 20170035498 A KR20170035498 A KR 20170035498A KR 1020150134397 A KR1020150134397 A KR 1020150134397A KR 20150134397 A KR20150134397 A KR 20150134397A KR 20170035498 A KR20170035498 A KR 2017003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ret
door frame
center
central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0762B1 (ko
Inventor
윤상훈
손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7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터렛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은, 해양 구조물의 문풀(moon pool) 내부로 하부 터렛(turret)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문풀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하부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각도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하부 터렛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인입된 상기 하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하부 터렛의 상부로 상부 터렛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상부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 하는 단계 및 상기 문풀의 상부 영역에 인입된 상기 상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렛 설치 방법{Method for installing turret}
본 발명은 터렛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구조물의 문풀(moon pool)에 설치되는 터렛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서 가스 또는 원유를 시추하는 시추선(drill ship)이나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는 시추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터렛(turret)을 구비하고 있다.
터렛은 보통 선박의 한쪽 선단부, 통상 선수부에 마련된 수직 개구부 또는 문풀(moon pool)에 장착되고, 체인 등에 의해 해저의 광구 플랫폼(subarea well platform)에 고정되어 선박을 계류하게 한다.
또한, 터렛은 선박이 터렛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선박에 설치되어, 시추작업을 하는 동안 광구 플랫폼으로부터 선박으로의 가스 또는 원유의 이송을 위한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이송경로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가스 또는 원유가 이송되는 동안에 해상의 선박이 바람, 파도 또는 조류에 의해 유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선박이 고정된 터렛을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선박의 유동과 무관하게 가스 또는 원유가 고정된 터렛 내부의 튜브 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KR 10-1487999 (2015.02.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양 구조물의 문풀에 대한 터렛의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렛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은 해양 구조물의 문풀(moon pool) 내부로 하부 터렛(turret)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문풀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하부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각도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하부 터렛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인입된 상기 하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하부 터렛의 상부로 상부 터렛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상부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 하는 단계 및 상기 문풀의 상부 영역에 인입된 상기 상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는, 상기 문풀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중심 가이드부재와,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중심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심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 중심 가이드부재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에서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심 가이드부재의 상면은, 상기 상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하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하부 터렛을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상부 터렛을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터렛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와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aspect)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은 해양 구조물의 문풀(moon pool) 내부로 터렛(turret)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문풀에 위치하는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상기 문풀에 위치하는 각도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터렛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인입된 터렛을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밀어 상기 인입된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심 가이드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렛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와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터렛 설치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문풀에 대한 터렛의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문풀에 설치된 터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터렛과 문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터렛과 문풀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중심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터렛과 문풀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각도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중심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문풀에 설치된 터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10)은 해양 구조물의 문풀(moon pool)(20)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터렛(10)은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으로 분리될 수 있다. 터렛(10)의 크기나 중량이 인양 조건을 넘어서는 경우 또는 터렛(10)을 문풀에 설치하기 위한 설비가 부족한 경우에는, 터렛(10)을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으로 분리하여 문풀 내부에 설치하므로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터렛(10)은 하나의 실린더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양 구조물은 잭업 드릴링 리그, 잭업 리그, 시추선, 바지선, 해양작업선, 해양플렌트 및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자항능력을 가지는 선박뿐만 아니라 해양에 설치되는 모든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터렛과 문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터렛과 문풀의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중심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문풀(20)의 상부 영역은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와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와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는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 내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한다. 이 때,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는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문풀(20)의 중심 영역에서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문풀(20)에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문풀(20)의 상부 영역은 문풀(20) 내부에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이 위치하는 경우에 상부 터렛(11)이 인입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물풀(20)의 하부 영역은 문풀(20) 내부에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이 위치하는 경우에 하부 터렛(12)이 인입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문풀(20)의 중심 영역은, 터렛(10)이 인입되는 영역, 다시 말해 실린더 형상의 영역의 중심 영역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와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는 물풀(20)의 상부 영역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도와 90도 사이의 위치(B)와, 90도와 180도 사이의 위치(C)와, 180도와 240도 사이의 위치(E)와 270도와 0도 사이의 위치(F)에 각각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와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A, D)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6개의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를 통해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더 세밀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문풀(20)에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면, 제1 및 제2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의 상면은, 상부 터렛(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는 제1 수직부(212)와, 제1 수직부(212)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수직부(212)와 제1 각도(a1)를 이루는 제1 경사부(214)와, 제1 경사부(214)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직부(212)와 제1 경사부(214)를 통해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을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인입된 상부 터렛(11)의 상부 돌출부재가 제1 수평부(216)에 안착될 수 있다. 다만,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면, 제1 각도(a1)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는 제2 수직부(222)와, 제2 수직부(222)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2 수직부(222)와 제2 각도(a2)를 이루는 제2 경사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수직부(222)와 제2 경사부(224)를 통해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면, 제2 각도(a2)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터렛과 문풀의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각도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중심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문풀(20)의 하부 영역은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와 각도 가이드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는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 내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각도 가이드부재(230)는 인입되는 하부 터렛(12)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또한, 각도 가이드부재(230)와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는 문풀(20)의 하부 영역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도와 90도 사이의 위치(G, H)와, 90도와 180도 사이의 위치(J, K)와, 180도와 270도 사이의 위치(L, M)과, 270도와 0도 사이의 위치(O, P)에 각각 각도 가이드부재(230)와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도 가이드부재(23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I, N)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를 통해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더 세밀하게 가이드하고, 복수의 각도 가이드부재(230)를 통해 인입되는 하부 터렛(12)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더 세밀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문풀(20)에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문풀(20)의 인입되는 하부 터렛(12)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면,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와 각도 가이드부재(230)의 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한다고 함은, 인입된 하부 터렛(12)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문풀(20)의 0도 상의 위치와 하부 터렛(12)의 0도 상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도 가이드부재(230)는 복수의 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돌기(232)는 하부 터렛(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122)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232)는 하부 돌출부재(122)가 안착되는 영역의 좌측과 우측에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부 터렛(12)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면, 복수의 돌기(23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기(232)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도 가이드부재(230)의 중심, 예를 들어 상기 안착 홈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돌기(232)는 제4 수직부와, 상기 제4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4 수직부와 제4 각도를 이루는 제4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4 수직부와 제4 경사부를 통해 인입되는 하부 터렛(12)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인입되는 하부 터렛(12)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면, 상기 제4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는 제3 수직부와, 상기 제3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3 수직부와 제3 각도를 이루는 제3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수직부와 제3 경사부를 통해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면, 상기 제3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의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10)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충격흡수부재(120)는 터렛(120)이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 240) 및 각도 가이드부재(230)와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터렛(10)이나 문풀(20)의 도장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는 하부 터렛(12)이 충격흡수부재(120)를 포함하는 경우만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 터렛(11) 또는 일체화된 터렛(10)이 충격흡수부재(120)를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은 하부 터렛(12) 인입 단계(S410), 하부 터렛(12) 가이드 단계(S420), 하부 터렛(12) 고정 단계(S430), 상부 터렛(11) 인입 단계(S440), 상부 터렛(11) 가이드 단계(S450), 상부 터렛(11) 고정 단계(S460) 및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 결합 단계(S47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부 터렛(12) 인입 단계(S140)는, 크레인 등의 인양 수단을 이용하여 하부 터렛(12)을 문풀(20)의 내부로 인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 터렛(12) 가이드 단계(S420)는, 인양 수단을 통해 하부 터렛(12)을 문풀(20)의 내부로 인입하면서,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 240)를 통해 인입되는 하부 터렛(12)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문풀(2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각도 가이드부재(230)를 통해 인입되는 하부 터렛(12)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이 때,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 240)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각도 가이드부재(230)의 복수의 돌기(232)는 하부 터렛(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122)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돌기(232)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도 가이드부재(230)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 240)는, 문풀(2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와, 문풀(2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는,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문풀(20)의 중심 영역에서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터렛(12)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 240) 및 각도 가이드부재(230)와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 터렛(12) 고정 단계(S430)는, 문풀(20)의 하부 영역에 인입된 하부 터렛(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122)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하부 터렛(12)을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밀어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 가이드부재(130)의 안착홈에 설치된 제1 하부 잭킹부재(235)를 통해 하부 돌출부재(12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제3 중심 가이드부재(240)에 설치된 제2 하부 잭킹부재(245)를 통해 하부 터렛(12)을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밀어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문풀(20)의 하부 영역에 인입된 하부 터렛(12)을 고정시킬 수 있다면, 하부 터렛(12)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터렛(11) 인입 단계(S440)는, 크레인 등의 인양수단을 통해 상부 터렛(11)을 문풀(20)의 내부로 인입하여, 하부 터렛(12)의 상부에 적층시킨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터렛(12) 가이드 단계(S450)는, 인양 수단을 통해 상부 터렛(11)을 문풀(20)의 내부로 인입하면서,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를 통해 인입되는 상부 터렛(11)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한다. 이 때,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의 상면은 상기 상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터렛(11)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와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터렛(11) 고정 단계(S460)는, 문풀(20)의 상부 영역에 인입된 상부 터렛(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부 터렛(11)을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밀어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중심 가이드부재(21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상부 돌출부재를 제1 상부 잭킹부재(215)를 통해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제2 중심 가이드부재(220)에 설치된 제2 상부 잭킹부재(225)를 통해 상부 터렛(11)을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밀어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문풀(20)의 상부 영역에 인입된 상부 터렛(11)을 고정시킬 수 있다면, 상부 터렛(11)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을 결합시키는 단계(S470)는 각각 분리된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을 결합시킨다. 이 때,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을 결합시키는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가능한 모든 결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은 터렛(10) 인입 단계(S510), 터렛(10) 가이드 단계(S520) 및 터렛(10) 고정 단계(S53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은 하나의 일체화된 터렛(10)을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터렛(10) 인입 단계(S510)는 해양 구조물의 문풀(20) 내부로 터렛(10)을 인입한다. 이 때, 이용되는 인양 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터렛(11)과 하부 터렛(12)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수단에 비해 큰 사이즈를 필요로 한다.
터렛(10) 가이드 단계(S520)는 문풀(20)에 위치하는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 240)를 통해 인입되는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문풀(20)에 위치하는 각도 가이드부재(230)를 통해 인입되는 터렛(10)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에서는 하나의 일체화된 터렛(10)을 설치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에서와 달리, 하나의 중심 가이드부재(210, 220, 240)만으로도 터렛(10)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문풀(20)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터렛(10) 고정 단계(S530)는, 터렛(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인입된 터렛(10)을 문풀(20)의 중심 영역으로 밀어 인입된 터렛(10)을 고정한다. 이 때,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중심 영역으로 밀기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렛 설치 방법의 구성과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 문풀(moon pool)
10: 터렛(turret)
11: 상부 터렛
12: 하부 터렛
210, 220, 240: 중심 가이드부재
230: 각도 가이드부재

Claims (11)

  1. 해양 구조물의 문풀(moon pool) 내부로 하부 터렛(turret)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문풀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하부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각도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하부 터렛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인입된 상기 하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하부 터렛의 상부로 상부 터렛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상부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 하는 단계; 및
    상기 문풀의 상부 영역에 인입된 상기 상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는,
    상기 문풀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중심 가이드부재와, 상기 문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중심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되는, 터렛 설치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 중심 가이드부재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에서 더 멀리 이격되는, 터렛 설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 가이드부재의 상면은,
    상기 상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터렛 설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하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형성하는, 터렛 설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되는, 터렛 설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하부 터렛을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미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상부 터렛을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미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터렛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중심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각도 가이드부재와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터렛 설치 방법.
  11. 해양 구조물의 문풀(moon pool) 내부로 터렛(turret)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문풀에 위치하는 중심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터렛의 중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의 위치로 가이드하고, 상기 문풀에 위치하는 각도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인입되는 터렛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터렛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인입된 터렛을 상기 문풀의 중심 영역으로 밀어 상기 인입된 터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렛 설치 방법.
KR1020150134397A 2015-09-23 2015-09-23 터렛 설치 방법 KR10175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97A KR101750762B1 (ko) 2015-09-23 2015-09-23 터렛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97A KR101750762B1 (ko) 2015-09-23 2015-09-23 터렛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98A true KR20170035498A (ko) 2017-03-31
KR101750762B1 KR101750762B1 (ko) 2017-06-26

Family

ID=5850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397A KR101750762B1 (ko) 2015-09-23 2015-09-23 터렛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3430A (zh) * 2016-05-24 2019-01-04 蓝水能源服务有限公司 转塔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916B1 (ko) * 2018-03-30 2019-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의 가이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99B1 (ko) 2013-09-26 2015-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터릿 계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99B1 (ko) 2013-09-26 2015-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터릿 계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3430A (zh) * 2016-05-24 2019-01-04 蓝水能源服务有限公司 转塔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762B1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174B2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US8911179B2 (en) Dual-derrick ice-worthy jack-up drilling unit
US10029760B2 (en) Low heave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US7328747B2 (en) Integrated buoyancy joint
WO2011120209A1 (zh) 一种深吃水桁架立柱组合式平台
KR101753993B1 (ko)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
CN106715255A (zh) 具有多孔转塔笼的浮式转塔系泊
KR101750762B1 (ko) 터렛 설치 방법
KR101741523B1 (ko) 해양플랫폼
WO2012104309A2 (en) Production unit for use with dry christmas trees
KR101290804B1 (ko) 반잠수식 시추선
KR20120001055U (ko) 시추선을 위한 트롤리 레일의 리세스 타입 구조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KR20160007947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20150120731A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140006276A (ko)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KR102477560B1 (ko) 복합 해양구조물
KR101690966B1 (ko) 해양 구조물의 레그 설치 공법
KR101370525B1 (ko) 준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준 고정식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80000309U (ko)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KR101945521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KR20140002121A (ko) 위치가변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KR101774883B1 (ko) 시추선
KR101487460B1 (ko) 선박의 레그 탑재 방법
KR101519540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