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443A -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 Google Patents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443A
KR20170035443A KR1020150134270A KR20150134270A KR20170035443A KR 20170035443 A KR20170035443 A KR 20170035443A KR 1020150134270 A KR1020150134270 A KR 1020150134270A KR 20150134270 A KR20150134270 A KR 20150134270A KR 20170035443 A KR20170035443 A KR 2017003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air
air curtain
toilet sea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영
강승우
이현민
주정환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황준영
강승우
이현수
이현민
주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영, 강승우, 이현수, 이현민, 주정환 filed Critical 황준영
Priority to KR102015013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443A/ko
Publication of KR2017003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정 용량의 물이 저장되는 변기 본체; 상기 개구부 주변에 형성된 상연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변기 시트 및 상기 변기 시트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변기 본체 내부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커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에 따르면, 첫째, 변기 본체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세균이 공기 중에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물이 배수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공기에 방향성을 부여하여 공기가 배수구로 배출됨과 동시에 배수의 압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공기에 포함된 냄새도 배출할 수 있으며, 셋째, 세균 증식을 현저히 감소시켜 개인의 위생을 보다 철저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염병과 같이 호홉기 질환에 의한 집단 전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Toilet equipped with air curtain}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화장실에 설치되고, 편리하게 용변의 후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사용자의 용변 또는 노폐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보통 화장실에 설치되는 위생 기구이다.
이러한 변기는 보통 수도에서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변기 수조와, 변기 수조에서 변기 본체로 물을 공급할 때 사용하는 물 공급유닛 및 손잡이 레버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변기 시트로 구성된다.
최근 전염병이나 호홈기 질환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개인위생이 철저해지고, 공공 화장실에도 변기 시트를 일회용으로 커버하는 일회용 시트지를 사용하는 등 공공위생이 강조되고 있다.
근래 발생한 메르스(MERS) 여파로 인해 병원이나 학교 등 불특정 다수의 집단이 공공생활을 하는 경우, 특히나 몸이 불편한 장애우나 또는 어린 아이들의 철저한 개인위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영국의 리즈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미생물학 임상 책임자인 마크 윌콕스와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변기 속에 장염균이 포함된 세균 샘플을 뿌린 후, 변기 뚜껑을 열거나 닫고 물을 내렸을 때 각각 세균의 퍼짐 정도를 측정 하였는데, 실험 결과, 변기 뚜껑을 덮지 않고 물을 내렸을 경우 변기 뒤쪽의 물탱크와 화장실 주변 바닥에서도 세균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물을 내릴 때마다 최대 50방울의 물방울이 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세균 번식이 왕성한 변기에서 공기 중으로 세균이 날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보다 위생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실 세균번식을 방지하는 기술의 하나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0550호에는 물을 내림과 동시에 변기의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뚜껑을 닫는다 하더라도 배수 압력에 의해 뚜껑과 변기 시트 사이로 물방울이 튀거나 공기 중으로 세균이 날리는 염려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여지가 있다. 이에 변기 내부의 공기를 포함한 모든 것을 동시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변기 본체 상에 구비된 변기 시트에 앉아 용변을 보는 중간에 또는 용변을 마친 후, 변기 본체 내부에 저장된 물에서 발생되는 세균과 같은 오염물질을 차단 또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정 용량의 물이 저장되는 변기 본체; 상기 개구부 주변에 형성된 상연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변기 시트 및 상기 변기 시트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변기 본체 내부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커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커튼은 상기 변기 시트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로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변기 시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될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분배관과, 상기 변기 본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배관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에 각각 회전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에 토출되는 공기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제공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노즐 단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하향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는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에어커튼이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물을 내리는 경우와, 변기물 작동 손잡이와 연결된 부표가 하강한 경우와, 상기 변기 본체 내부에 배수압력이 감지된 경우와, 상기 변기 시트 상에서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에어커튼을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에 따르면,
첫째, 변기 본체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세균이 공기 중에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물이 배수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공기에 방향성을 부여하여 공기가 배수구로 배출됨과 동시에 배수의 압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공기에 포함된 냄새도 배출할 수 있으며,
셋째, 세균 증식을 현저히 감소시켜 개인의 위생을 보다 철저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염병과 같이 호홉기 질환에 의한 집단 전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의 에어커튼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의 에어커튼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100)는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정 용량의 물이 저장되는 변기 본체(110)와, 상기 개구부(111) 주변에 형성된 상연부(112)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변기 시트(120)와, 상기 변기 시트(120)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변기 본체(110) 내부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커튼(130) 및 에어커튼(130)을 작동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 시트(120) 상에는 접철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기 커버(20)가 마련된다. 상기 변기 커버(20)는 상기 에어커튼(130)의 기능과 더불어 상기 변기 본체(110)의 개구부(111)를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반한다.
또한 상기 변기 커버(20)의 배면에는 변기 수조(10)가 배치된다. 상기 변기 수조(10)는 외부에 사용자가 물을 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레버(미도시)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레버와 연동하여 수위에 따라서 높이가 조절되는 부표(미도시)와, 부표의 부력에 의해 세정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수 공급유닛(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변기 시트(120)는 상기 변기 커버(20)와 같이 접철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 시트(120)와 변기 커버(20)는 세척 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기 시트(120) 내부에는 변기 본체(110) 내부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커튼(130)이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커튼(130)은 상기 변기 시트(120)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31)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분배관(133)과, 상기 분배관(133)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13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1)은 상기 변기 시트(120)의 일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32)에는 상기 수용공간(132)의 내부를 따라서 상기 분배관(133)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31)과 분배관(133)은 상기 변기 시트(120)를 접철하기 용이하도록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른 재질 한정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분배관(133)은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에어필터(air filter, 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세균 번식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공기 중의 수분이나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공급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습도가 높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분배관(133)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내식성을 갖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배관(133)은 상기 하우징(1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노즐(134)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134)은 상기 하우징(131)의 저면 또는 측면으로 돌출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노즐(134)은 상기 변기 본체(110)의 상연부(112) 상면 또는 상기 개구부(111)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복수개의 노즐(134)은 상기 분배관(133)으로부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분배받아 상기 변기 본체(110) 내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변기 수조(10)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변기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135)도 제어부(140)와 같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135)는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여 공기를 공급하며, 이때 상기 펌프(135)의 설정된 압력은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공기의 토출을 온/오프시킬 수 있고,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별도의 센서 또는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134)의 각 단부에는 가이드부재(136)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36)는 상기 노즐(134) 단부에서 회전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노즐(134)의 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노즐(134)과 연통하는 안내홀(1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홀(137)의 내측에는 토출되는 공기가 하향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경사면(1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36)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노즐(134)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137)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변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물이 배수될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136)를 반시계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36)는 상기 하우징(131)과 변기 본체(110)의 상연부(112) 상에서 완충 기능을 수반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36)의 저면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를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면 토출되는 공기에 방향성이 부여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물방울이나 세균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경사면(138)을 따라서 공기가 하향 경사방향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배수되는 물에 부가적으로 압력을 가해 완벽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게다가 배수되는 물의 방향과 공기의 토출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변기 본체(110) 내부의 냄새를 배수와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36)의 세척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의 작동방법 및 제어방법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100)는 상기 제어부(140)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변기 시트(120) 상에서 설정 거리를 벗어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유무 또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 센서, 포토센서, 차광센서, 근접센서, 광화이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탑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변기 시트(120) 또는 변기 본체(110) 상에서 멀어지는 경우, 즉 용변을 마친 것으로 인지한 경우에 상기 펌프(135)를 설정시간 가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돌려 물을 내리는 경우와, 작동레버와 연결된 부표가 하강한 것을 감지하는 경우와, 상기 변기 본체(110) 내부에 배수 압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별도 구비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에어커튼(130)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에어커튼(130)의 작동 타이밍과, 작동 간격 및 작동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배수가 시작되는 순간에 상기 에어커튼(130)의 전원을 인가하고, 배수가 완료됨과 동시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타이머를 구비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100)를 통하여 상기 변기 본체(110)에서 발생된 물방울과 세균의 비산을 억제하고, 동시에 냄새를 배출하며, 배수압력을 증대시키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110 : 변기 본체 111 : 개구부
112 : 상연부 120 : 변기 시트
130 : 에어커튼 131 : 하우징
132 : 수용공간 133 : 분배관
134 : 노즐 135 : 펌프
136 : 가이드부재 137 : 안내홀
138 : 경사면 140 : 제어부
10 : 변기 수조 20 : 변기 커버

Claims (5)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정 용량의 물이 저장되는 변기 본체;
    상기 개구부 주변에 형성된 상연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변기 시트 및
    상기 변기 시트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변기 본체 내부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커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은,
    상기 변기 시트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로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변기 시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될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분배관과,
    상기 변기 본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배관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에 각각 회전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에 토출되는 공기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제공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노즐 단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하향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에어커튼이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물을 내리는 경우와, 변기물 작동 손잡이와 연결된 부표가 하강한 경우와, 상기 변기 본체 내부에 배수압력이 감지된 경우와, 상기 변기 시트 상에서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에어커튼을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KR1020150134270A 2015-09-23 2015-09-23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KR20170035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70A KR20170035443A (ko) 2015-09-23 2015-09-23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70A KR20170035443A (ko) 2015-09-23 2015-09-23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43A true KR20170035443A (ko) 2017-03-31

Family

ID=5850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270A KR20170035443A (ko) 2015-09-23 2015-09-23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4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940B1 (ko) * 2020-09-03 2021-07-28 나형준 좌변기용 에어커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940B1 (ko) * 2020-09-03 2021-07-28 나형준 좌변기용 에어커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8773B2 (ja) 真空吸引式便器及び真空吸引式便器の作動制御方法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CN103735376A (zh) 一种智能护理床垫
US6772451B2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CN103726560A (zh) 一种卫生马桶
EP3541257B1 (en) A toilet seat for reducing the spread of foul air from a person seated on a toilet
WO2022014784A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2007945B1 (ko) 스마트 양변기
KR20170035443A (ko) 에어커튼을 장착한 변기
WO2015199509A1 (ko)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130103104A (ko) 소변기
KR200430599Y1 (ko) 좌변기의 냄새 제거 장치
KR20190076840A (ko) 변좌 장치 및 토일렛 장치
CN116324341A (zh) 坐便器杀菌装置
KR101226143B1 (ko) 친환경 화장실
CN213329290U (zh) 一种多功能智能除臭装置
KR101544165B1 (ko) 암모니아 제거 기능을 가지는 소변기
CN210369196U (zh) 一种用于小便池的除菌装置
JP7212860B2 (ja) 便座装置
JP7312025B2 (ja) ユニット便器
KR20230001389U (ko)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CN204804015U (zh) 联动清洗式便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