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729A -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729A
KR20170034729A KR1020150133404A KR20150133404A KR20170034729A KR 20170034729 A KR20170034729 A KR 20170034729A KR 1020150133404 A KR1020150133404 A KR 1020150133404A KR 20150133404 A KR20150133404 A KR 20150133404A KR 20170034729 A KR20170034729 A KR 2017003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terminal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짱
Priority to KR102015013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729A/ko
Publication of KR2017003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04W4/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포함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차된 주변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하면서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등을 자동으로 실시간 연산하고 주차위치의 확인 필요가 있는 경우에 촬영된 이미지와 연산된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등의 정보를 출력하며 필요한 경우 가족, 친구, 대리운전자 등과 같이 지정된 상대방에게 주차된 주변이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하므로 주차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확인하는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환경이미지와 주차 시작시간이 포함된 주차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 연산하고 주차정보와 함께 출력하거나 지정된 상대방에 무선 전송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이미지로 저장하고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며 가족, 친구, 대리운전자와 같은 타인에게 전송하여 쉽게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Portable apparatus of recognition car parking position on real ti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포함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차된 주변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하면서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등을 자동으로 실시간 연산하고 주차위치의 확인 필요가 있는 경우에 촬영된 이미지와 연산된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등의 정보를 출력하며 필요한 경우 가족, 친구, 대리운전자 등과 같이 지정된 상대방에게 주차된 주변이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하므로 주차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커지고 여가시간 증가로 인하여 국민 2.6 명당 1 대의 차량(자동차)이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최근에 집계 및 통계 되었다고 한다.
이하의 본 발명 설명에서 차량과 자동차는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에 건설된 아파트의 경우 대단위 지하 주차장이 건설되어 있고 할인매장이나 백화점 및 건물 등에서도 주차공간이 넓은 대형 지하 주차장, 노상주차장, 주차빌딩이 이미 건설되었거나 신규 건물의 경우 필수적으로 건설, 확보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형 주차장 특히, 지하 주차장 또는 주차빌딩 등의 주차공간은 각각의 층마다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차된 위치를 운전자가 기억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차위치 확인을 위하여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차위치를 매번 메모, 관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형 노상 주차장의 경우에도 차량의 주차위치를 정확히 기억하거나 메모하지 아니하는 경우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찾기 어렵고, 주차위치를 찾기 쉬운 소규모 주차장이거나 도로변 주차장 등의 경우에도 처음 방문한 지역이거나 생소한 지역인 경우 주차위치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지하 주차장, 주차빌딩, 노상주차장, 도로변 소규모 주차장, 지역별 주차장 등이 포함되는 모든 주차장을 주차장으로 기재하고 설명과 이해를 돕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14767호(2005.09.07.)에 의한 “주차위치 인식 기억장치”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대형주차장(10), 주차장 층 수(20), 층에 위치한 호수명(30), 호수명에 각각 붙여진 번호(40), 수동기계전자식 기억 기록장치(50), 자동차(60), 사용자(70)이다.
일 예로, 대형주차장(10)에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하여 사용자(70)는 대형 주차장(10)에 가서 자동차(60)를 주차시킨다.
사용자(70)는 주차위치를 파악 한 후 자동차 열쇠에 붙어있는 수동 기계전자식 기억 기록장치(50)를 꺼내 버튼 또는 톱니바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주차장의 이름, 층 수, 호수명, 번호를 선택하므로 기억하지 않아도 자동차의 주차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종래기술은 주차위치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이름, 층, 호, 번호 등을 운전자가 일일이 확인하고 직접 메모 또는 기록하여 저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운전자(사용자)의 실수로 잘못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저장된 오류정보에 의하여 주차위치 확인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타인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거나 또는 대리운전자를 호출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주차위치를 말로 간단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주차장에 입고한 시간과 출고한 시간을 계산하여 무상주차 허용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시간에 대하여 규정된 시간 단위로 주차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주차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자신의 자동차를 찾기 위하여 시간을 불필요하게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차한 위치를 운전자가 직접 확인한 후 메모 또는 기록하는 번거로움 없이 주차된 주변의 환경이미지를 확보하여 기록 저장하므로 주차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가족, 친구, 대리운전자가 포함되는 타인에게 신속하며 간편하고 정확하게 알려주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14767호(2005.09.07.) “주차위치 인식 기억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사진(환경이미지)으로 촬영 저장하고 주차된 시간과 요금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필요한 경우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 이미지,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정보를 출력 표시하여 정확하게 확인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 이미지와 좌표정보를 가족, 친구, 대리운전자가 포함되는 타인에게 정확하며 신속하게 통보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은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확인하는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환경이미지와 주차 시작시간이 포함된 주차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 연산하고 주차정보와 함께 출력하거나 지정된 상대방에 무선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변의 환경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1개 이상 다수 촬영하고 촬영된 시간 정보와 연계시켜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각각 기록 저장하는 주차촬영부; 상기 주차촬영부에 접속하여 상기 환경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성되는 각 기능부의 운용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감시하는 스마트제어부;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다운로드된 주차어플을 저장하고 설치하여 운용하는 주차어플부; 및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방식으로 지정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며 엘비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며 터치에 의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터치멀미입출력부; 및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며 좌표정보로 실시간 분석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지피에스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신호를 와이파이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와이파이무선부; 및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알에프아이디 방식과 엔에프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동시 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태그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비콘이 방송하는 신호를 무선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비콘무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주차촬영부, 스마트제어부, 주차어플부, 이동통신 무선부, 터치멀미입출력부, 지피에스부, 와이파이무선부, 근거리태그부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어플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최신 버전의 주차어플을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접속된 주차어플베이스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 설치하고 주차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치된 주차아이콘이 활성화 운용을 위하여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차어플을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고 촬영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촬영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주차된 주차위치를 멀티미디어 신호로 촬영한 하나 이상 다수의 환경이미지를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3 단계에서 환경이미지를 촬영하고 나서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로부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좌표정보를 분석하고 자체 활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환경이미지와 좌표정보를 연계시켜 할당된 해당 영역에 주차정보로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주차정보를 저장하고 나서 저장된 주차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상기 주차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출력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엘비에스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엘비에스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상기 엘비에스 신호로부터 좌표정보를 분석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 4 단계로 궤환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촬영하지 않고 태그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에프아이디 방식, 엔에프시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모두의 방식으로 태그 접속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좌표정보, 주변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주차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제 5 단계로 진행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7 단계에서 태그하지 않은 상태이며 비콘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설치된 비콘이 방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좌표정보와 주변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주차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제 5 단계로 진행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5 단계에서 주차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주차정보를 지정된 상대방에 전송하는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지정된 상대방과 이동통신 방식, 와이파이 방식, 엔에프시 방식, 알에프아이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동시 접속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제 9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은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확인하는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환경이미지와 주차 시작시간이 포함된 주차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실시간 연산된 주차시간, 주차요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휴대단말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은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확인하는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환경이미지와 지피에스지도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에 무선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항, 제 12 항,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주차 만료예정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단위 시간의 만료 10분 전에 알람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사진(환경이미지)으로 촬영 저장하고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필요한 경우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주변의 환경 이미지,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정보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출력 표시하여 확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된 위치 주변의 환경이미지와 좌표정보를 가족, 친구, 대리운전자가 포함되는 지정된 타인에게 전송하여 주차된 위치를 정확하며 신속하고 쉽게 확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자동차 주차위치 자동인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설명하는 세부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건물 형식 주차장에 주차하고 촬영하여 저장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노상 주차장에 주차하고 촬영하여 저장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건물 형식 주차장에 주차하고 태그나 비콘 방식으로 확보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 설명을 위한 도시도,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노상 주차장에 주차하고 태그나 비콘 방식으로 확보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 설명을 위한 도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운영과 운용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사용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설명하는 세부 기능 구성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건물 형식 주차장에 주차하고 촬영하여 저장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노상 주차장에 주차하고 촬영하여 저장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건물 형식 주차장에 주차하고 태그나 비콘 방식으로 확보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 설명을 위한 도시도 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노상 주차장에 주차하고 태그나 비콘 방식으로 확보된 주차정보를 출력한 상태 설명을 위한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900)은 휴대단말기(1000), 이동통신시스템(2000), 주차어플베이스서버(3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태그(4000), 비콘(5000), 와이파이터미널(6000)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0)는 차량(950)이 주차장 내에 주차된 위치와 주변의 이미지(환경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주차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주차 시작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 연산하며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주차정보를 멀티미디어(환경이미지)로 출력하거나 지정된 상대방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하에서 이미지(image)와 환경이미지와 멀티미디어(multimedia)는 특정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찾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고 같은 의미의 용어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신호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문자와 기호와 숫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가 포함되는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로 이루어지는 신호이다.
휴대단말기(1000)는 주차촬영부(1010), 스마트제어부(1020), 주차어플부(1030), 이동통신무선부(1040), 터치멀미입출력부(1050), 지피에스부(1060), 와이파이무선부(1070), 근거리태그부(1080), 비콘무선부(10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주차촬영부(1010)는 차량(950)이 주차된 주변의 환경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1개 이상 다수 촬영하고 촬영된 시간 정보와 연계시켜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각각 기록 저장한다.
주차촬영부(1010)는 내장된 조도센서에 의하여 주간과 야간을 주변의 밝기측정 방식으로 구분하고, 자동제어에 의하여 주간에는 가시광선으로 촬영하며, 일기변화에 의하여 가시광선으로 촬영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한 조도이거나 야간에는 적외선으로 촬영할 수 있다.
주차촬영부(1010)는 적외선으로 촬영하는 경우의 적외선 조명을 위한 적외선 발광장치를 더 구비하고, 적외선으로 촬영시에 적외선 발광장치를 자동으로 구동시킨다.
스마트제어부(1020)는 주차촬영부(1010)에 접속하여 차량(950)이 주차하고 있는 위치의 주차장(7000)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환경이미지로써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스마트제어부(1020)는 휴대단말기(1000)에 구성되는 각 기능부의 운용을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그 각각의 동작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스마트제어부(1020)는 주차촬영부(1010)를 제어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이 촬영된 환경이미지에 주차 시작시간을 포함시켜 주차정보로써 해당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터치멀미입출력부(105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연산된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주차장은 차량이 입고된 시간 즉, 주차를 시작한 시간부터 소정의 단위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단위 시간마다 정해진 요금을 부과하여 징수하므로 주차장에 입고된 시간부터 주차요금이 부과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주차장에 입고된 후 출고예정시간을 정할 수 있고 스마트제어부(1020)는 출고 예정시간이 되면 알람(alarm)을 울리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터치멀미입출력부(1050)에 출력하되, 차량이 주차된 자리로부터 해당 출구까지 빠져나오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약 10분으로 가정하여 지정된 출고 예정시간의 10분 전에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알람은 소리신호, 진동신호, 비디오신호, 빛 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동시간은 필요에 의하여 가감할 수 있음이 매우 당연하고, 출고예정시간 전 한(1) 시간 단위로 매 시간마다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제어부(1020)는 촬영되어 저장된 환경이미지와 해당 위치의 확인된 좌표정보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도정보(GPS지도정보)를 해당 제어명령 신호에 의하여 친구, 가족, 대리운전자 등이 포함되는 타인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타인에게 전송한다는 것은 해당 타인이 소유한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차어플부(1030)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접속하며 스마트제어부(102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다운로드된 주차어플을 저장 설치하고 아이콘으로 표시시켜 운용한다. 설치되어 표시된 아이콘을 주차아이콘이라 하기로 한다.
주차어플은 응용프로그램이고 주차위치 확인을 위하여 전용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며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내용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무선부(1040)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스마트제어부(102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수신하며 엘비에스(LBS)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엘비에스 신호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의하여 좌표정보로 분석되고, 좌표정보에는 위도, 경도, 해발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터치멀미입출력부(1050)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스마트제어부(102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며 터치에 의한 명령신호를 입력한다.
지피에스부(1060)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스마트제어부(102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지피에스신호를 분석하여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기록 저장한다.
와이파이무선부(1070)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와이파이터미널(6000)과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각종 해당 신호를 무선 송수신한다.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통신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근거리태그부(1080)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스마트제어부(102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과 엔에프시(NFC)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태그(4000)와 접속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동시에 태그(400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무선 송수신한다.
비콘무선부(1090)는 스마트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스마트제어부(102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비콘(5000)이 방송하는 신호를 무선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기록 저장한다.
와이파이무선부(1070)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와이파이터미널(6000) 설명 부분과 동일유사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하고, 근거리태그부(108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태그(4000) 설명 부분과 동일유사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하며, 비콘무선부(109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비콘(5000) 설명 부분과 동일유사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시스템(2000)은 CDMA, W-CDMA, TRS, SSB, FM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양방향 전송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동시에 무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기지국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해당 휴대단말기가 이동하면서 인식할 수 있는 레벨로 수신하는 범위 또는 영역을 서비스 영역이라고 한다.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장치(시스템)를 기지국이라고 하고, 기지국을 일정한 간격마다 반복 설치하므로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어 전국을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동통신 시스템(2000)은 휴대단말기(1000)가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휴대단말기(1000)의 요청에 의하여 엘비에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한다.
엘비에스(LBS) 서비스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운용상 각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좌표), 이동방향, 이동속도, 각속도 등을 관리하여야 되는 특성을 응용하는 것으로 각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에 의하여 부가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피에스 서비스에 의한 위치정보(좌표정보)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지국은 일정한 반경의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영역안에 위치하는 각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좌표정보), 이동방향, 각속도 등을 분석 확인하고 있어야 되는 특성이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어느 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특정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각속도, 이동방향 등을 실시간 분석하고 있어야 하며, 휴대단말기가 인접 기지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인접한 해당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해당 관리정보를 이관시켜야 한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2000)은 각 휴대단말기(1000)의 위치정보(좌표정보)를 기지국 중심으로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며,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특성상 확인, 관리되어야 하는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에 의하여 부가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엘비에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서비스이고, 기지국의 위치정보는 이미 정확하게 알고 있으므로 기지국 중심의 위치정보는 오차가 적어 지피에스(GPS)에 의한 위치정보(좌표정보) 보다 정확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각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엘비에스 서비스로 제공받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load)가 가중되고 운용비용이 발생하므로 유료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제공받을 수 있는 제약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지상, 건물 내부, 터널, 지하 등의 모든 지역에 이동통신의 서비스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지피에스 인공위성이 방송하는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는 지구 저궤도 상에 운항하는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이며, 지구 표면의 어디에서나 언제든지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최소 3 개 이상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해당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유효한 지피에스 정보로 분석, 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 터널, 지하공간 등과 같이 지피에스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음영지역(shadow area)에서는 지피에스 신호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는 영역에서는 지피에스 신호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하고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엘비에스 신호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하고자 한다.
주차어플베이스서버(3000)는 이동통신시스템(200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10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주차어플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 설치와 운용되도록 하되, 이미 주차어플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운용중인 휴대단말기가 접속된 경우는 해당 주차어플의 버전을 확인하고 최신 버전으로 갱신시키는 구성이다.
어플(appl)은 응용(application) 소프트웨어(software) 프로그램의 일종이며, 앱(app) 또는 애플릿(applit)으로도 호칭되고, 소형 컴퓨팅 기능이 있는 장치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양이 작은 소규모의 응용프로그램이고,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플은 응용프로그램이므로 매우 다양하게 많은 응용분야가 있고, 각 응용분야에 적합하거나 부르기 쉽게 사용자 또는 개발자에 의하여 임의 선택된 이름이 주어진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주차어플은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900) 용으로 개발되고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이라는 의미로써 사용하기로 한다.
태그(4000)는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과 엔에프시(NFC)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거나 또는 모두 구비하여 동시에 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은 125 KHz, 13.56 MHz, 900 MHz 대역의 무선주파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며, 일반적으로 10 센티미터(Cm) 이내에서 인식하고 통신하는 구성과 3 미터(M) 범위에서 인식하고 통신하는 구성이 있으며 최근에는 인식가능한 거리가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의 태그는 전자결합방식(Inductive coupling), 마이크로파방식(Microwave system), 전자유도방식(Electrostatic coupling), 광방식(Optic system) 등이 있고 동작전원의 공급방식에 의하여 수동형과 능동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은 유비쿼터스를 실현하는 핵심 소재 기술이고 일반적으로 상품의 저장, 전송, 추적 등 물류분야, 유통분야, 전자도서관, 교통요금 결재수단이 포함된 전자지불, 보안 등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응용분야는 더욱 확대 개발 발전되는 추세에 있다.
알에프아이디 방식 기술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엔에프시(NFC) 방식은 근거리 무선이동통신이라고도 하며 13.56 MHz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사용하고 인식가능한 거리 범위가 10 센티미터(Cm) 이내이며 데이터 전송속도가 100 Mbps의 비교적 빠르다.
엔에프시(NFC) 방식은 양방향 무선통신으로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 보다 개선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블루투스 방식의 기술과 유사한 점이 많으나 블루투스 방식처럼 기기 사이에 서로 인식하기 위한 설정작업 등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엔에프시(NFC) 방식 기술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비콘(5000)은 ISM 밴드의 2.4 GHz 대역 무선주파수(RF)를 사용하고, 수신신호세기(RSSI :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ion)로 수신기의 근접 정도를 산출하는 단순한 구조이며, 저전력 소모로 배터리 동작이 가능하여 전원 구성이 필요하지 않고 동전 크기의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실내외의 다양한 환경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콘(5000)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통신하는 구성이며, 버전 4.0 급의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경우 전력소모량이 적도록 개선되었고 최대 반경 50 미터를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고, 5 센티미터 오차 범위 이내에서 휴대단말기(1000)와의 직선거리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비콘(5000)이 블루투스 버전 4.0을 사용하는 경우 알려진 삼각측량 연산 방식과 수신신호세기(RSSI :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연산 기술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휴대단말기(1000)를 선택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1000)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비콘(5000)을 선택할 수 있다.
와이파이터미널(6000)은 2.4 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이용하며 무선 랜(WLAN) 규격(IEEE 802.11b)에서 정한 제반 규정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주차장(7000)은 지하 주차장, 주차빌딩, 노상주차장, 도로변 소규모 주차장, 지역별 주차장 등이 포함되고 일반적으로알 수 있는 모든 주차장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주차촬영부, 스마트제어부, 주차어플부, 이동통신 무선부, 터치멀미입출력부, 지피에스부, 와이파이무선부, 근거리태그부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주차된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어플이 설치되고 운용되는지를 확인한다(S1010).
휴대단말기가 주차어플이 설치되어 운용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주차어플베이스서버에 접속하고 최신 버전의 주차어플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며 아이콘(주차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운용한다(S1020).
휴대단말기는 각 기능부를 감시하면서 표시된 주차아이콘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S1030), 주차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주차어플을 활성화 상태로 운용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040).
휴대단말기는 주차어플이 활성화 운용되는 상태에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50), 차량이 주차된 주차위치의 주변을 하나 이상 다수의 멀티미디어 신호로 촬영하고 촬영된 시간 정보와 함께 환경이미지로써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한다(S1060). 이미지에 시간 정보를 부가하는 기술을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신호에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와 문자, 기호, 이미지 등이 포함되는 메시지 신호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오디오 신호는 녹음, 비디오 신호는 촬영, 메시지 신호는 기록으로 표현할 수 있으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멀티미디어 신호의 확보과정을 촬영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신호는 하나 이상 다수가 촬영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주변 환경이 비교적 복잡한 경우에도 2 개 내지 3 개의 환경이미지로 위치확인을 위한 정보가 일반적으로 충분히 확보되므로 최소 1 개 내지 최대 5 개 범위에서 환경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휴대단말기의 한정된 메모리 자원을 절약하며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주차어플의 운용과 처리속도를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신호로 촬영하는 것은,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에서 특징적으로 발생되는 소리, 소음 등에 의하여 주변이 어떠한 환경인지를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메시지 신호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신호는 촬영된 현지의 특징을 문자, 기호 등으로 간략히 기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메모를 함께 기록 또는 촬영으로 확보하는 경우 주차된 위치 확인이 더욱 간편해 질 수 있다.
휴대단말기는 환경이미지가 저장된 후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1070),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분석된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S1080).
좌표정보에는 위도, 경도, 해발의 정보가 포함된다.
휴대단말기는 촬영된 환경이미지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나서 분석된 좌표정보와 촬영된 환경이미지를 연계시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주차정보로써 기록 저장하고 관리한다(S1090).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정보를 기록 저장 한 후에 주차정보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1100).
휴대단말기는 주차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기록 저장된 주차정보를 읽어 터치멀미입출력부를 통하여 멀티디미어 신호로 출력한다(S1110).
한편, 휴대단말기는 제 4 단계에서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S1070) 엘비에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1120).
엘비에스 신호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이고, 사전에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한 상태이면 엘비에스 신호의 전송요청에 의하여 즉시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지 않은 상태이면 서비스 이용을 먼저 신청하고, 신청이 승인 된 후 엘비에스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주차어플에서 해당 메뉴 선택에 의하여 간편하면서도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처리된다.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엘비에스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판단)되면 수신된 상기 엘비에스 신호로부터 좌표정보를 분석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S1120) 제 4 단계(S1090)로 궤환한다.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제 5 단계에서 주차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지 않고(S1100) 주차정보를 친구, 가족, 대리운전자가 포함되는 타인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S1180), 친구, 가족, 대리운전자와 같이 지정되어 특정한 상대방에게 주차정보를 전송한다(S1190).
주차정보를 타인에게 전송하는 경우, 환경이미지에 의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메시지 신호 중 선별된 신호만을 전송할 수 있으나 차량이 주차된 지역의 주변을 촬영한 비디오 신호는 반드시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제 2 단계(S1050)에서 주차된 주변을 촬영하지 않고 태그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 엔에프시(NFC)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모두의 방식으로 태그 접속하여(S1140)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좌표정보, 주변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주차정보로 저장(S1150) 한 후 제 5 단계(S1100)로 진행한다.
태그에는 주차장 관리자에 의하여 주변을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영상 또는 도안에 의한 주변의 영상이미지(비디오) 정보가 기록되고, 태그되는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는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해당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160) 비콘 신호가 수신된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명령 신호에 의하여 비콘이 방송하는 좌표정보와 주변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주차정보로써 저장하며 제 5 단계(S1100)로 진행한다.
한편, 첨부된 도 5 는 지하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시키고 주차된 주변을 촬영한 상태와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확인하는 사용상태를 도시하였다. 지하주차장이 회사, 공공장소 등인 경우 주차요금은 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 은 노상주차장 또는 길거리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시키고 주차된 주변을 촬영한 상태와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확인하는 사용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7 은 일예로 백화점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시키고 해당 주차장의 기둥(벽면)에 설치된 태그에 휴대단말기를 근거리 접촉시켜 주차정보를 수신한 상태와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 및 주차요금이 실시간으로 연산되어 출력되고 확인하는 사용상태를 도시하였다.
각각의 백화점 등과 같은 경우 물건을 구매한 영수증에 의하여 약간씩의 차이는 있으나 소정 단위 시간의 주차비가 면제될 수 있으므로 실시간 연산된 주차장사용시간을 확인하면서 납부하여야 할 주차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
도 8 은 거주하는 아파트의 주자창에 차량을 주차시키고 해당 주차장의 기둥(벽면) 등에 설치된 태그에 휴대단말기를 근거리 접촉시키거나 와이파이터미널, 비콘으로부터 방송되는 주차정보를 수신한 상태와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 및 주민이므로 주차요금이 무료로 표시되는 상태가 실시간으로 연산되어 출력되고 확인하는 사용상태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사진(환경이미지)으로 촬영 저장하고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필요한 경우에 차량이 주차된 주변의 환경이미지,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정보를 정확하게 출력 표시하여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차량이 주차된 주변위치의 환경이미지와 좌표정보를 가족, 친구, 대리운전자가 포함되는 지정된 타인에게 전송하여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정확하며 신속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1000 : 휴대단말기 1010 : 주차촬영부
1020 : 스마트제어부 1030 : 주차어플부
1040 : 이동통신 무선부 1050 : 터치멀미입출력부
1060 : 지피에스부 1070 : 와이파이무선부
1080 : 근거리태그부 1090 : 비콘무선부
2000 : 이동통신시스템 3000 : 주차어플베이스서버
4000 : 태그 5000 : 비콘
6000 : 와이파이터미널 7000 : 주차장

Claims (14)

  1.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확인하는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환경이미지와 주차 시작시간이 포함된 주차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경과된 주차장사용시간과 주차요금을 실시간 연산하며 주차정보와 함께 출력하거나 지정된 상대방에 무선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변의 환경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1개 이상 다수 촬영하고 촬영된 시간 정보와 연계시켜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각각 기록 저장하는 주차촬영부;
    상기 주차촬영부에 접속하여 상기 환경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성되는 각 기능부의 운용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감시하는 스마트제어부;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다운로드된 주차어플을 저장하고 설치하여 운용하는 주차어플부; 및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방식으로 지정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며 엘비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며 터치에 의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터치멀미입출력부; 및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며 좌표정보로 실시간 분석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지피에스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신호를 와이파이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와이파이무선부; 및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알에프아이디 방식과 엔에프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동시 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태그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스마트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비콘이 방송하는 신호를 무선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비콘무선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6. 주차촬영부, 스마트제어부, 주차어플부, 이동통신 무선부, 터치멀미입출력부, 지피에스부, 와이파이무선부, 근거리태그부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써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주차어플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최신 버전의 주차어플을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접속된 주차어플베이스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 설치하고 주차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치된 주차아이콘이 활성화 운용을 위하여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차어플을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고 촬영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촬영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주차된 주차위치를 멀티미디어 신호로 촬영한 하나 이상 다수의 환경이미지를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3 단계에서 환경이미지를 촬영하고 나서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로부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좌표정보를 분석하고 자체 활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환경이미지와 좌표정보를 연계시켜 할당된 해당 영역에 주차정보로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주차정보를 저장하고 나서 저장된 주차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상기 주차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출력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지피에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엘비에스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엘비에스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상기 엘비에스 신호로부터 좌표정보를 분석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 4 단계로 궤환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촬영하지 않고 태그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에프아이디 방식, 엔에프시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모두의 방식으로 태그 접속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좌표정보, 주변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주차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제 5 단계로 진행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2 단계에서 촬영하지 않고 태그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에프아이디 방식, 엔에프시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모두의 방식으로 태그 접속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좌표정보, 주변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자체 구비된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주차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제 5 단계로 진행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제 5 단계에서 주차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주차정보를 지정된 상대방에 전송하는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지정된 상대방과 이동통신 방식, 와이파이 방식, 엔에프시 방식, 알에프아이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동시 접속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제 9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2.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확인하는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환경이미지와 주차 시작시간이 포함된 주차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실시간 연산된 주차장사용시간, 주차요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휴대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13. 주차장 내에 차량이 주차된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확인하는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환경이미지와 지피에스지도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에 무선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14. 제 1 항, 제 12 항,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주차 만료예정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단위 시간의 만료 10분 전에 알람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KR1020150133404A 2015-09-21 2015-09-21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70034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04A KR20170034729A (ko) 2015-09-21 2015-09-21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04A KR20170034729A (ko) 2015-09-21 2015-09-21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729A true KR20170034729A (ko) 2017-03-29

Family

ID=5849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404A KR20170034729A (ko) 2015-09-21 2015-09-21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7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22B1 (ko) * 2019-07-31 2021-01-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의 기둥 번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24222A (ko) * 2017-05-16 2021-03-04 구글 엘엘씨 캡처된 이미지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저장
CN113724522A (zh) * 2021-08-27 2021-11-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停车场内车辆定位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67B1 (ko) 2003-02-04 2005-09-13 김성태 주차위치 인식 기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67B1 (ko) 2003-02-04 2005-09-13 김성태 주차위치 인식 기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222A (ko) * 2017-05-16 2021-03-04 구글 엘엘씨 캡처된 이미지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저장
KR102200122B1 (ko) * 2019-07-31 2021-01-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의 기둥 번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724522A (zh) * 2021-08-27 2021-11-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停车场内车辆定位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66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JP6848696B2 (ja) 駐車管理システム及び駐車管理方法
CN107358812B (zh) 基于v2x的停车场管理方法、系统、车载单元及后台服务器
CN102037330B (zh) 导航设备和方法
US1121675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US20180061145A1 (en) Parking spa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1653016A (zh) 用于定位的方法以及移动设备
JP6186531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US20180300777A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mobile terminal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JP5947440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車載器
KR20150065127A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14486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70034729A (ko) 단말기가 촬영한 이미지로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58281A (ko)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및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주차 정보 확인 방법
EP352847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program,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12133082A (zh) 一种车辆调度方法、装置及系统
US202400078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JP6140354B1 (ja) 対象物特定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CN113096434A (zh) 用于管理停车位的方法、计算机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844311B1 (ko) 주차위치전송장치
KR20200109680A (ko) IoT 무선 차량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662178A (zh) 一种停车路径确定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20160023983A (ko) 비콘을 이용한 택시 이용 서비스 시스템
WO2024067141A1 (zh) 一种提供服务的方法及电子设备
WO2021010292A1 (ja) 駐車検知センサー、携帯端末における駐車位置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