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649A -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649A
KR20170034649A KR1020150133206A KR20150133206A KR20170034649A KR 20170034649 A KR20170034649 A KR 20170034649A KR 1020150133206 A KR1020150133206 A KR 1020150133206A KR 20150133206 A KR20150133206 A KR 20150133206A KR 20170034649 A KR20170034649 A KR 20170034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hampoo
methano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874B1 (ko
Inventor
반효정
고경숙
김현희
김미연
Original Assignee
반효정
김현희
김미연
고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효정, 김현희, 김미연, 고경숙 filed Critical 반효정
Priority to KR102015013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포공영 샴푸는 항산화 효과, 항염, 항균, 무독성의 효과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퍼머넌트 또는 염모제의 산화물질로 인해 발생된 피부염 및 두피손상 완화 및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염모제를 이용한 헤어 염색시 염모제의 화학적 성분으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최소한다.

Description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TARAXACUM PLATYCARPUM SAMPOO AND METHOD FOR FORMING TARAXACUM PLATYCARPUM SAMPOO}
본 발명은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의 손상을 개선 및 항균-항염 작용을 갖는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용분야에 있어서 이론적 확립과 과학적 체계성이 도입되기 시작하고 다양한 스타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미용 산업은 점차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소비자들의 기호와 취향이 다양화되면서 개성이 돋보이는 헤어스타일을 추구하고 있으며,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헤어커트, 퍼머넌트, 염색 및 탈색 등 다양한 기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독창성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 헤어커트와 퍼머넌트의 조형미도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개성 있는 헤어스타일을 표현하기에 부족함이 있어 입체적인 표현과 모발색상에 따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하여 염색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미용 산업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퍼머넌트 및 염색 테크닉과 제품의 출시로 개성 있는 헤어스타일 연출을 원하는 고객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반복적인 화학시술로 인한 모발손상과 관련된 부작용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퍼머넌트 용제나 염색제 등과 같은 화학제품은 물리ㅇ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모표피 박리와 소실이 나타나며 모피질의 노출까지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화학제품의 pH나 처리온도에 따라 모발 손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퍼머넌트 웨이브시 사용되는 1제는 pH가 9.0∼9.6 사이이며 pH가 높아짐에 따라 모발이 심하게 팽윤되어 연모화되거나 용해되므로 모발손상의 커다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염모제를 직접 두피에 도포하게 되는 경우 인체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에 두피에 잔류하게 되면 자극을 주게 되어 모표피의 박리현상 뿐만 아니라 탈모증세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칼리 염모제는 알칼리 성분인 1제와 과산화수소인 2제(H2O2)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성분이 반응하면서 모발에 색상을 염착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2제에 의해 모발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퍼머넌트 웨이브의 경우에는 환원제에 의해 모발의 시스틴결합이 끊어지고 산화제가 작용하여 다시 시스틴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때 결합을 이루지 못한 Superoxide(O2-), 과산화수소(H2O2), Hydroxy radical(OH) 등의 성분이 잔류하게 되고, 이것을 '활성산소'라고 한다.
활성산소는 인체 내에 침입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를 제거시키며, 암세포를 죽이는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과도하게 생성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노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모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발은 약 18종의 아미노산 집합체로서 산성 아미노산, 중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중성 아미노산인 시스틴(Cystine)은 모발의 물리ㅇ화학적 성질에 대한 안정성에 정도를 높여주는 분자구조로서 모발이 손상되면 일차적으로 모표피 층이 박리되고 용해된다. 그로인해 간충물질이 유출되고 모발 단백질은 변성된다. 마찬가지로 활성산소가 과도하게 작용하게 되면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저하를 가져오고 반복적으로 화학시술을 하게 되면 모발의 손상은 더욱 악화된다. 이에 따라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항산화 물질이 1969년 미국의 과학자 맥코드(McCord)와 프리도비치(Fridovich)에 의해 활성산소를 잡아주는 방어기전인 SOD(Superoxide Dismutase)효소가 발견되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이후로 활성산소와 항산화 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Vitamin C가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라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화학시술시 발생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기능과, 항염, 항균효과를 갖고,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전처리에 사용되어 모발의 손상을 줄이는데 적용되는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포공영 샴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 항염 및 활성산소의 억제하는 기능성의 포공영 샴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Hot water extract),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Methanol extract) 천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포공영수를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증류수가 혼합된 혼합물을 70 내지 90℃에서 환류 냉각하여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회전감암 농축기를 이용하여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포공영 열수 농축액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포공영 열수 농축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은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메탄올과 포공영 혼합된 혼합물을 60 내지 90시간 동안 교반하여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회전감안 농축기를 이용하여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공영수는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온수(70~90℃)에 포공영을 우려낸 후 여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샴푸는 점증제, 히아루론산, cotton seed oil, L-cystine, ceramide, vitamin E 및 vitamin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공영 샴푸는 비이온성 계면활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5 내지 25중량%,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2.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포함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공영 열수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Hot water extract),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Methanol extract) 및 포공영수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5 내지 25중량%,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2.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서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포공영 샴푸는 항산화 효과, 항염, 항균, 무독성의 효과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염모제의 산화물질로 인해 발생된 피부염 및 두피손상 완화 및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염모제를 이용한 헤어 염색시 염모제의 화학적 성분으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포공영 샴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Hot water extract),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Methanol extract) 천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포공영수를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로서,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5 내지 25중량%,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2.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포공영 샴푸에 적용되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포공영을 열수를 이용하여 그 유효 성분을 추출 및 농축한 결과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폴리페놀을 35% 이상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건조 분쇄된 포공영을 준비한다. 분쇄 건조된 포공영은 건조된 포공영을 흐르는 물에 수세한 후 1차 물기를 제거한 후 음지에서 자연건조 한 뒤 500㎛ 이하로 분쇄하여 냉동보관(-70℃ 이하)된 것을 사용한다.
이어서, 건조 분쇄된 포공영의 중량 대비 약 8 내지 13 배의 증류수를 포공영과 혼합한 후 포공영 혼합물을 약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약 7 내지 10시간 동안 환류 냉각하여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마련한다. 이어서,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상온에서 식힌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whatman No.2)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1차 농축시켜 포공영 열수 농축액을 마련한다. 이어서, 포공영 열수 농축액을 -60℃ 이하에서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2차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포공영 열수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수된 포공영의 열수 추출물의 환수율은 추출전 포공영 중량에 대한 포공영 열수 추출물의 중량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포공영의 열수 추출물은 약 22 내지 26%의 수율로 수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샴푸에 포함된 포공영 열수 추출물의 함량이 0.1 내지 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항산화효과와 손상된 두피 및 모발의 개선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효과대비 그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되어 샴푸를 상업화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초래된다. 따라서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공영 샴푸에 적용되는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은 포공영을 메탄올을 이용하여 그 유효 성분을 추출 및 농축한 결과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은 포공영 열수 추출물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은 낮지만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포공영 열수 추출물에 비해 약 20%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건조 분쇄된 포공영을 준비한다. 분쇄 건조된 포공영은 건조된 포공영을 흐르는 물에 수세한 후 1차 물기를 제거한 후 음지에서 자연건조 한 뒤 500㎛ 이하로 분쇄하여 냉동보관(-70℃ 이하)된 것을 사용한다.
이어서, 건조 분쇄된 포공영의 중량 대비 약 8 내지 13 배의 메탄올 포공영과 혼합한 후 포공영 혼합물을 상온도에서 약 60 내지 90시간 시간 동안 환류 냉각하여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마련한다. 이어서,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상온에서 식힌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whatman No.2)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1차 농축시켜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을 마련한다. 이어서,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을 -60℃ 이하에서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2차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수된 포공영의 메탄올 추출물의 환수율은 추출 전 포공영 중량에 대한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의 중량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포공영의 메탄올 추출물은 약 18 내지 20.5%의 수율로 수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샴푸에 포함된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항산화, 항염성 손상된 두피 및 모발의 개선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효과대비 그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되어 샴푸를 상업화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초래된다. 따라서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포공영 샴푸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과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의 경우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비해 폴리페놀 함량이 35% 높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0% 이상 낮게 포함하고 있다. 반면에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은 포공영 열수 추출물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은 35% 이하로 낮지만 플라보노이드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에 비해 약 20% 이상 더 포함하고 있다.
즉, 포공영 열수 추출물과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서 샴푸 내에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균형있게 최대한 포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항산화 능력, 피부질환 유발균들의 항균성, 항염성을 최대화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샴푸에 적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35 중량%를 미만일 경우 샴푸로서 충분한 거품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두피에 존재하는 기름 및 이물질을 충분히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55중량%를 초과할 경우 샴푸의 세정효과의 증가 없이 샴푸의 PH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샴푸에 포함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8 내지 5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샴푸에 적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로 피부 점막을 자극하지 않는 순한 물질로 정전지 방지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가 있는 천연계면활성제를 15 내지 25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일 예로서, 상기 포공영 샴푸에 적용되는 기능성 첨가제로 식물성 오일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서, 포도씨 오일, 호호바 오일, 코코넛 오일, 캐리어 오일, 아르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포공영 샴푸에 적용되는 기능성 첨가제로 점증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선택적으로 추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포공영 샴푸에 적용되는 기능성 첨가제로 L-cystine, hyaluronic acid, ceramide, vitamin E, vitamin 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면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첨가제 성분들은 위와 같은 물질을 언급하였지만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들을 사용가능하며 이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공영 샴푸에서는 용매로 포공영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공영수로 포공영을 뜨거운 물에 우려낸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하고, 포공영수는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온수(70~90℃)에 포공영을 우려낸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공영 샴푸를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공영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공영 열수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Hot water extract),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Methanol extract) 및 포공영수를 각각 마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증류수가 혼합된 혼합물을 70 내지 90℃에서 환류 냉각하여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회전감안 농축기를 이용하여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포공영 열수 농축액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포공영 열수 농축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은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메탄올이 혼합된 혼합물을 60 내지 90시간동안 교반하여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회전감안 농축기를 이용하여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공영수는 포공영을 뜨거운 물에 우려낸 후 여과하여 제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포공영수는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온수(70~90℃)에 포공영을 우려낸 후 여과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5 내지 25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혼합함으로서 본 발명의 포공영 샴푸가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천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 내지 6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5 내지 25중량%,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2.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혼합함으로서 본 발명의 포공영 샴푸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평가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포공영 열수 추출물 제조예
포공영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 분쇄 포공영을 마련한 후 포공영 중량 대비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80℃에서 약 8시간 동안 환류 냉각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실온으로 식힌 후 감압여과장치로(whatman No.2) 여과하고, 그 여액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1차 농축하였다. 이후 포공영 열수 농축액을 -70℃에서 얼린 후 동결건조기를 통한 2차 건조(-70℃, 7days)함으로서 포공영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제조예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 분쇄 포공영을 마련한 후 포공영 중량 10배의 메탄올을 가한 후 72시간 실온에서 교반하며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포공영 메탄올을 감압여과장치로(whatman No.2) 여과하고, 그 여액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1차 농축하였다. 이후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을 동결건조기를 통한 2차 건조(-70℃, 7days)함으로서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 포공영 열수 추출물 및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측정
각각의 추출물(시료)에 대하여 g당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의 방법(Gutfinger T, 1981)에 따라 folin-ciacalteu rearent가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시료) 200 ㎕에 folin-ciacalteu's phenol rearent 200 ㎕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3분간 정치한 뒤 5% Na2CO3 용액 200 ㎕을 가하여 혼합 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시키고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7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함량을 정량분석하기 위해 표준물질인 Tannic acid를 DMSO에 녹여 일정한 농도별로 조제하고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함량을 구했으며 측정단위로 ㎎ TAE(tannic acid equivalent)를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은 포공영 열수 추출물과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에 대해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포공영 열수 추출물는 61.98 ± 3.91 TAE㎎/g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고,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는 약 34.66 ± 1.66 TAE㎎/g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열수 추출방법은 메탄올 추출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포공영에 포함된 폴리페놀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인 것이 확인된 동시에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2) 포공영 열수 추출물 및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각각 추출물(시료)에 대하여 g당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Zia 등의 방법(Zia Z et al, 1999)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 추출물 250㎕에 증류수 2.5 ㎖과 5% NaNO2 75㎕를 가한 다음, 5분 후 10% AlCl3·6H2O150 ㎕를 가하여 6분간 방치하고 1N NaOH 500㎕를 가하였다. 10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415㎚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Qurcetin을 사용하여 농도별로 조제하고 추출물(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함량을 구했으며 측정단위로 ㎎ QE(quercetin equivalent)를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는 포공영 열수 추출물과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에 대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포공영 열수 추출물는 83.93 ± 3.59 QE TAE㎎/g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고,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는 약 103.22 ± 3.67 QE ㎎/g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메탄올 추출은 열수 추출방법보다 효과적으로 포공영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인 것이 확인된 동시에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은 높은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포공영 샴푸 제조예
상기 <표 3>에 명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포공영 헤어 미스크를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염색 후 샴푸 시술 방법
현재 미용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사의 산화염모제 10.0과 산화제 6%를 1:1.5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모발에 도포 후 실온에서 자연방치 40분 방치한 다음 샴푸로 1회 헹구었다. 이 때 헹구어지는 샴푸는 A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교예 1의 일반샴푸(N-SP), 비교예 2의 컬러샴푸(L-SP), 비교예 3의 컨디셔닝 샴푸(D-SP)와 실시예1의 포공영 샴푸(T-SP)로 각 군을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헹구어진 모발시료는 자연건조 후 사용하였으며, 본 실험에 사용된 샴푸의 pH는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pat00004
모발의 굵기 측정 평가
산화염모제로 염색 시술 후 각 샴푸별로 세정 한 모발의 굵기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5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때, 모발의 굵기는 scalp diagnostic을 사용하여 250배율로 모발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각 군당 10개의 시료를 10회에 걸쳐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유의성 검증하였다.
비교예 1의 일반샴푸로 세정한 N-SP 모발시료는 24.38 ± 2.14 ㎜로 가장 얇은 굵기로 나타났다. 컬러샴푸로 세정한 L-SP 모발시료는 27.68 ± 2.05 ㎜, 컨디셔닝 샴푸로 세정한 D-SP 모발시료는 28.89 ± 4.06 ㎜, 포공영 샴푸로 세정한 T-SP 모발시료는 29.91 ± 2.68 ㎜로 나타났다. 즉, 포공영 삼푸를 이용하여 세정할 경우 모발 굵기가 증가한 것은 포공영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성분들이 모발손상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표 5]
Figure pat00005
모발의 인장강도 평가
모발의 인장강도는 시료당 10회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 ±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산화염모제로 염색 시술 후 각 샴푸별로 헹군 후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22와 같다. 인장강도는 T-SP > D-SP > L-SP > N-SP 순으로 나타났으며, 앞서 실험한 모발 굵기와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염색 시술 후 일반샴푸로 세정한 N-SP의 인장강도는 81.35 ± 22.54 gf/㎟로 virgin hair에 비해 28.6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컬러샴푸로 세정한 L-SP의 인장강도는 111.00 ± 12.31 gf/㎟, 컨디셔닝 샴푸로 세정한 D-SP의 인장강도는 112.53 ± 9.96 gf/㎟로 두 집단이 동일한 집단에 속하고 virgin hair와 비슷한 인장강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공영 샴푸로 세정한 T-SP의 인장강도는 129.07 ± 14.67 gf/㎟로 virgin hair에 비해 13.18% 증가율을 보이고 N-SP에 비해 36.97%나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포공영 샴푸를 사용하였을 경우 포공영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이 산화염모제에 의해 모발 내 발생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모발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6] Tensile strength measurement of shampoo after dyeing hair
Figure pat00006
SEM을 이용한 모표피 굵기 측정
모표피의 손상도와 모표피의 굵기를 측정하기 위해 주사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1,000배율과 20,000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였다.
SEM을 이용한 모표피 표면을 관찰한 결과하기 표 7에 개시되어 있다. 산화염모제로 염색 시술 후 일반샴푸로 헹군 N-SP는 일부 큐티클의 들떠있고 박리되어 모발이 심하게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 컬러샴푸로 헹군 L-SP는 N-SP에 비해 들뜸현상은 관찰되지 않으나 일부 큐티클이 탈피되어 간격이 넓어진 것으로 보인다. 컨디셔닝 샴푸로 헹군 D-SP는 일부 큐티클의 들뜸 현상이 관찰되지만 비교적 안정된 큐티클 형태가 관찰된다. 포공영 샴푸로 헹군 T-SP는 깨끗한 큐티클의 형태로 무처리 모발과 비슷하게 매끈하며 들뜸 현상이 거의 보이지 않는 균일한 형태가 확인되었다. 즉, 컨디셔닝 샴푸와 포공영 샴푸의 유용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모표피가 건강해 지는 것이 확인된다.
[표 7]
*
Figure pat00007
틸렌블루를 이용한 모발손상도 평가
MB염색은 일반적으로 생체염색에 흔히 사용하는 용액으로 세포가 사멸하면 세포막이 파괴되어 염색이 되고 세포가 살아있으면 염색이 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손상 모발에서 MB 처리 후 손상된 모발의 조직에 흡수된 MB용액을 다시 추출하여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손상된 모발일수록 MB용액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되어 추출할 때 추출용액의 색이 진해져 흡광도가 증가하게 되는 원리의 실험이다. 무처리 모발을 대조군으로 모발손상지수(HDI)를 환산하여 손상도를 측정하였다.
산화염모제로 염색 시술 후 각 샴푸별 세정에 따라 MB염색법으로 모발손상지수(HDI)를 측정한 결과는 L-SP > N-SP > D-SP > T-SP 순으로 나타났다. Virgin hair의 O.D 값과 비교하였을 때 컬러샴푸의 L-SP는 40.65%, 일반샴푸의 N-SP는 39.95%로 나타난 반면, 컨디셔너 샴푸의 D-SP는 16.31%, 포공영 샴푸의 T-SP는 15.46%로 손상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모발염색으로 모발 내 간충물질이 손실되어 다공성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염색시술 직후 사용되는 세정제에 따라 손상이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염모제 염색 시술 후 컨디셔닝 샴푸나 포공영 샴푸로 세정하였을 때 모발 손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8)

  1. 포공영 성분을 포함하는 헤어용 샴푸에 있어서,
    포공영 열수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Hot water extract),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Methanol extract) 및 포공영수를 포함하는 포공영 샴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푸 전체 중량에서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수 20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공영 샴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은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증류수가 혼합된 혼합물을 70 내지 90℃에서 환류 냉각하여 포공영 열수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포공영 추출액을 회전감안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공정을 수행하여 포공영 열수 농축액을 마련하는 단계; 및
    포공영 열수 농축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공영 샴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은
    포공영 중량의 8 내지 13 배의 메탄올이 혼합된 혼합물을 60 내지 90시간동안 교반하여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포공영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감암 농축시켜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을 마련하는 단계; 및
    포공영 메탄올 농축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공영 샴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수는 포공영을 뜨거운 물에 우려낸후 여과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공영 샴푸.
  6. 제1항에 있어서, 점증제, 히아루론산, cotton seed oil, L-cystine, ceramide, vitamin E 및 vitamin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공영 샴푸.
  7. 제1항에 있어서,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5 내지 25중량%,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2.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공영 샴푸.
  8. 포공영 열수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Hot water extract),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Taraxacum platycarpum Methanol extract) 및 포공영수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포공영 열수 추출물 0.1 내지 1중량%, 포공영 메탄올 추출물 0.1 내지 1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35 내지 5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5 내지 25중량%,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2.5 중량% 및 여분의 포공영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공영 샴푸 제조방법.
KR1020150133206A 2015-09-21 2015-09-21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206A KR101820874B1 (ko) 2015-09-21 2015-09-21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206A KR101820874B1 (ko) 2015-09-21 2015-09-21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649A true KR20170034649A (ko) 2017-03-29
KR101820874B1 KR101820874B1 (ko) 2018-01-22

Family

ID=5849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206A KR101820874B1 (ko) 2015-09-21 2015-09-21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2411A (zh) * 2018-01-19 2018-05-18 宜春市千年红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红豆杉洗发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33334A (ko) * 2017-09-21 2019-03-29 (주)아모레퍼시픽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52702A (ko) * 2020-10-21 2022-04-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아흐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397B1 (ko) * 2006-06-08 2007-10-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민들레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8662B1 (ko) * 2006-06-14 2007-11-2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천연 한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세정 조성물
JP2010070496A (ja) * 2008-09-18 2010-04-02 Tsumura Lifescience Co Ltd 毛髪および/または毛包強化因子産生促進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334A (ko) * 2017-09-21 2019-03-29 (주)아모레퍼시픽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042411A (zh) * 2018-01-19 2018-05-18 宜春市千年红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红豆杉洗发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052702A (ko) * 2020-10-21 2022-04-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아흐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874B1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5605C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small rna tiger lily extract and method of cosmetic care to reduce skin signs of aging
CN104622710B (zh) 水杨酸和脱乙酰壳多糖复配组合物的制备与应用
KR101820874B1 (ko) 포공영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EP3178523B1 (de) Haarbehandlungsmittel, insbesondere haarpflegemittel, sowie dessen verwendung
KR101055151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10974722B (zh) 一种生物多糖在洗护产品中的应用
KR101850115B1 (ko) 포공영 헤어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U2009331496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locust bean gum hydrolysate
JP7025565B2 (ja) 染毛剤除去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40583B1 (ko) 가공된 허브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150105721A (ko) 구기자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KR102051799B1 (ko) 숙성 발효를 이용한 모발용 천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875946A (zh) 含有竹叶黄酮的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366910B1 (ko) 염모제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2662B1 (ko) 모발 탈색제 조성물, 모발 탈색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발 탈색제
KR101499168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손상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3834B1 (ko) 피부탄력 증진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광반응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043614B (zh) 选择性清洗组合物及头皮毛发护理产品
JP2003261429A (ja) 染毛剤及びそれを用いた染毛方法及び洗髪方法
CN105534825A (zh) 一种清香型芥花籽油洗发液及其制备方法
KR101855208B1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94343A (ko) 사철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5823A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15944555A (zh) 染发组合物及提高染发组合物色牢度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