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603A -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4603A KR20170034603A KR1020150133088A KR20150133088A KR20170034603A KR 20170034603 A KR20170034603 A KR 20170034603A KR 1020150133088 A KR1020150133088 A KR 1020150133088A KR 20150133088 A KR20150133088 A KR 20150133088A KR 20170034603 A KR20170034603 A KR 201700346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notification event
- unit
- communication uni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에게 콘텐트의 제공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서스펜드(suspend) 상태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되는단계;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서스펜드(suspend) 상태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1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전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1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전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에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는 가까운 거리 내에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를 이용해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전자 기기들을 근거리(약 10m 이내)에서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 기술이다. 페어링(paring)이란, 블루투스(Bluetooth)를 지원하는 전자 기기끼리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 폰일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200)는 고정 단말기인 스마트 TV일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 폰(100)과 스마트 TV(200)는, 상호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전원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 경우, 제1 전자 장치(100)에서 예정되어 있던 알림 이벤트를 제2 전자 장치(200)가 대신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가 예상치 않게 방전되어 오프(off) 상태가 되더라도, 사용자는 다른 전자 장치(200)를 통해 알림 이벤트를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 이벤트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특정 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알림(notification)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이벤트는, 사용자의 스케줄 예정 시간에 스케줄 정보를 알려주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한, 알림 이벤트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alarm) 음을 출력하는 이벤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1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5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1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1 전자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35), 센싱부(14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자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35)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100)의 튜너부(135)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35)는 디바이스(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13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상태 또는 제1 전자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14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전자 장치(200)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 후 제1 전자 장치(100)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제1 전자 장치(100)가 상기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전자 장치(100)가 상기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제1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제1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1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 후 제1 전자 장치(100)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제1 전자 장치(100)가 상기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전자 장치(100)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신부(150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바이스(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제1 전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5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2 전자 장치(2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는, 비디오 처리부(210), 오디오 처리부(220), 오디오 출력부(225), 전원부(230), 튜너부(235), 센싱부(240), 감지부(260), 입/출력부(270), 저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비디오 처리부(210)는, 제2 전자 장치(2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2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5)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2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5)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5)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2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2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2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25)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스피커(226), 헤드폰 출력 단자(2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2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스피커(226), 헤드폰 출력 단자(227) 및 S/PDIF 출력 단자(2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3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210 내지 2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23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210 내지 2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23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제2 전자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235)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235)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235)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23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9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200)의 튜너부(235)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235)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235)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상태 또는 제2 전자 장치(2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2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242), 온/습도 센서(243), 적외선 센서(244), 자이로스코프 센서(245), 위치 센서(예컨대, GPS)(246), 기압 센서(247), 근접 센서(2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2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24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통신부(2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251), 블루투스(2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2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무선랜(251), 블루투스(2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253)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25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제1 전자 장치(100)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2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2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2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2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2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261)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261)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2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2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2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2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2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262)는 디바이스(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2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2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26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2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2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272), PC 포트(PC port, 273), 및 USB 포트(USB port, 2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HDMI 포트(271), 컴포넌트 잭(272), PC 포트(273), 및 USB 포트(2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28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210 내지 2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80)는 저장부(2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2 전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281),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282) 및 프로세서(Processor, 2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2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85-1 내지 2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281), 롬(282), 프로세서(283), 그래픽 처리부(2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85-1 내지 2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283), 롬(282) 및 램(28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250)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9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제1 전자 장치(100)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전자 장치(100)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신부(280)를 통해 수신하면, 저장부(190)에 저장된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서스펜드(suspend) 상태의 제2 전자 장치(200)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215)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215)의 일부 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부(215)에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오디오 출력부(225)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비디오 처리부(210), 디스플레이부(215), 오디오 처리부(220), 오디오 출력부(225), 전원부(230), 튜너부(240), 통신부(250), 감지부(260), 입/출력부(2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290), 제어부의 롬(282), 램(281) 또는 제2 전자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한 제1 전자 장치(100)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제2 전자 장치(2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저장부(2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5)를 가지는 제2 전자 장치(2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의 제2 전자 장치(2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210 내지 290)은 제2 전자 장치(2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210 내지 29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전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온(on) 상태의 제1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가 방전되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의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자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자동으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를 참조하면, 온(on) 상태의 제2 전자 장치(200)는 전원을 오프(off) 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스펜드(suspend)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의 전원부(23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210 내지 290)로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00)는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off) 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스펜드(suspend)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서스펜드(suspend) 상태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된 상태이나, 제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이 유지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100)는 서스펜드(suspend) 상태에서 타이머 기능, 예약 녹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의 단계 S70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총량 대비 20 퍼센트 이하로 판단되면, 더 짧은 간격으로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 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배터리 잔량에 관한 임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관한 임계치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 가능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관한 임계치는, 배터리 총량 대비 배터리 잔량의 퍼센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구동 가능한 시간이 약 10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될 때,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배터리가 100 퍼센트 충전됐을 때와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약 5 퍼센트 이하인 것으로 판단될 때,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S70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알림 이벤트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되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알리는 메시지 및/또는 소리, 진동 출력 등을 통한 스케줄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되면 알람 음의 출력 및/또는 진동 출력 등을 제공하는 알람(alarm)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의 구동 가능한 시간이 예컨대, 20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예컨대, 1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단계 S702에서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20분 후에 방전되어 오프(off) 상태로 전환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30분 후에 예정되어 있는 스케줄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는 제2 전자 장치(200)에게 스케줄 알림 이벤트를 대신 실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방전에 따른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제1 전자 장치(100)의 오프(off)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미리 설정해 놓았던 예정된 알림 이벤트를, 다른 전자 기기인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의 단계 S80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250)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단계 S703에서, 제1 전자 장치(100)가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함에 따라, 제2 전자 장치(100)는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9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제1 전자 장치(100)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이 되기 전까지, 제1 전자 장치(100)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제1 전자 장치(100)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서스펜드(suspend) 상태의 제2 전자 장치(200)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5)에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215)의 일부 영역에,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가 온(on) 상태일 때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이 되면,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 중인 방송 영상 위에 사용자의 스케줄 알림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부(215)에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알림 이벤트를 실행할 때, 제1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의 종류, 성능, 제품명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오디오 출력부(225)를 통해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오디오 출력부(225)를 통해 음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특정 시간이 되면 미리 설정된 음악 파일을 오디오 출력부(225)를 통해 재생함으로써 알람(alarm)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단계 S90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단계 S901은 도 7의 단계 S703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단계 S90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9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의 단계 S90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가 방전됨에 따라,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의 단계 S904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서스펜드(suspend) 상태의 제2 전자 장치(200)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원 오프(off)로 제어되어 서스펜드(suspend) 상태인 때,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이 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자동으로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의 단계 S90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15)에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를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200)가 서스펜드(suspend) 상태일 때, 알림 설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제2 전자 장치(200)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알림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5)에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예컨대, “8월 9일 오후 6시 강남역 대학 동창 모임!!!”)(1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알람 음을 오디오 출력부(225)를 통해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설정 시간이 되면, 제1 전자 장치(100)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5)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5)에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기기의 종류, 제품명 등(예컨대, “갤럭시 S6”)(1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5)에 제1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예컨대, “우리집”)(1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위치 센서(146)를 통해 판단된 제1 전자 장치(100)의 위치가 등록 지점인 우리 집의 주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제1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5)에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선택 메뉴(13)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제2 전자 장치(200)는 선택 메뉴(13)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오디오 출력부(225)를 통해 음향 출력(예컨대, “8월 9일 오후 6시 강남역 대학 동창 모임!!”)(14)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알람 음을 오디오 출력부(225)를 통해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30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3의 단계 S1301은 도 7의 단계 S703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130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9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130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방전에 따라, 오프(off)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1304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215)의 일부 영역에,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온(on)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15)에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이 되면, 디스플레이부(215)의 일부 영역에, 표시 중인 방송 영상 위에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20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온(on) 상태일 때, 알림 설정 시간이 되면,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 중인 방송 영상 위에 중첩하여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예컨대, “Tom’s phone에서 알림! 8월 9일 오후 6시 강남역 대학 동창 모임!!”)(16)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단계 S150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단계 S1501은 도 7의 단계 S703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 S150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9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50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방전에 따라 자동으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단계 S1504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에 따라,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단계 S150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에 따라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페어링(pairting) 할 수 있는 다른 전자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제2 전자 장치(200)와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 될 수 있다.
단계 S1506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는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 후, 배터리 방전에 따라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배터리가 충전되어 다시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전자 장치(100)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507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오프(off) 상태가 아닌,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의 알림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정된 알림 설정 시간에 제1 전자 장치(100)가 온(on) 상태로서 알림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2 전자 장치(200)가 알림 이벤트를 대신 실행할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7, 8, 9, 13, 15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전자 장치
150 : 통신부
180 : 제어부
200: 제2 전자 장치
150 : 통신부
180 : 제어부
200: 제2 전자 장치
Claims (20)
-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전자 장치.
- 제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전자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서스펜드(suspend) 상태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전자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2 전자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2 전자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제공하는, 제2 전자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제2 전자 장치.
-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전자 장치;
를 포함하는, 시스템.
-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되는단계;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서스펜드(suspend) 상태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알림 이벤트의 실행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알람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예정된 알림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알림 이벤트의 설정 시간에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알림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3088A KR20170034603A (ko) | 2015-09-21 | 2015-09-21 |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PCT/KR2016/010339 WO2017052135A1 (en) | 2015-09-21 | 2016-09-13 | System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event and method thereof |
CN201680054950.XA CN108028959A (zh) | 2015-09-21 | 2016-09-13 | 用于控制通知事件的系统及其方法 |
EP16188834.2A EP3145203A1 (en) | 2015-09-21 | 2016-09-14 | System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events and method thereof |
US15/268,822 US20170084135A1 (en) | 2015-09-21 | 2016-09-19 | System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event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3088A KR20170034603A (ko) | 2015-09-21 | 2015-09-21 |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8327A Division KR20170056490A (ko) | 2017-05-10 | 2017-05-10 |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4603A true KR20170034603A (ko) | 2017-03-29 |
Family
ID=5734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3088A KR20170034603A (ko) | 2015-09-21 | 2015-09-21 |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084135A1 (ko) |
EP (1) | EP3145203A1 (ko) |
KR (1) | KR20170034603A (ko) |
CN (1) | CN108028959A (ko) |
WO (1) | WO201705213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K179494B1 (en) * | 2016-06-12 | 2019-01-11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
KR102352721B1 (ko) | 2018-05-07 | 2022-01-19 | 애플 인크. | 라이브 비디오 피드들 및 기록된 비디오를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
CN110069352B (zh) * | 2019-03-15 | 2023-03-28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事件通知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US11363071B2 (en) | 2019-05-31 | 2022-06-14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
US10904029B2 (en) | 2019-05-31 | 2021-01-26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
US11079913B1 (en) | 2020-05-11 | 2021-08-03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status indicators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59366A (en) * | 1995-05-10 | 1997-08-19 |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 Notification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s |
KR100330241B1 (ko) * | 1998-08-26 | 2002-10-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패킷음성데이터통신장치및방법 |
JP2004080215A (ja) * | 2002-08-13 | 2004-03-11 | Orion Denki Kk | テレビジョン受像機 |
KR100672429B1 (ko) * | 2004-11-10 | 2007-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기능 제어 방법 |
KR100723056B1 (ko) * | 2005-10-12 | 2007-05-30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스케쥴 관리 방법 |
KR100677635B1 (ko) * | 2006-02-02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트워크에서의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JP4469901B2 (ja) * | 2008-02-29 | 2010-06-02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
JP5120030B2 (ja) * | 2008-04-01 | 2013-01-16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端末および情報表示方法 |
US8670706B2 (en) * | 2010-06-15 | 2014-03-11 | Roadpost Inc. |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atellite network utilization |
CN103425520B (zh) * | 2012-05-21 | 2019-03-08 | 联想(北京)有限公司 | 事件响应方法和电子设备 |
KR20140106160A (ko) * | 2013-02-26 | 2014-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에서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9313261B2 (en) * | 2013-03-07 | 2016-04-12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s of transferring tasks from a first mobile device to a second mobile device |
KR102091266B1 (ko) * | 2014-01-14 | 2020-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
-
2015
- 2015-09-21 KR KR1020150133088A patent/KR2017003460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6
- 2016-09-13 CN CN201680054950.XA patent/CN108028959A/zh active Pending
- 2016-09-13 WO PCT/KR2016/010339 patent/WO201705213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9-14 EP EP16188834.2A patent/EP314520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6-09-19 US US15/268,822 patent/US20170084135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45203A1 (en) | 2017-03-22 |
WO2017052135A1 (en) | 2017-03-30 |
US20170084135A1 (en) | 2017-03-23 |
CN108028959A (zh) | 2018-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04574B1 (en) |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device, operating method of content reproducing device, portable device, and content reproducing device | |
KR20170034603A (ko) |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917844B1 (ko) |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 |
KR102347069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248753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 |
EP3029650A1 (en) |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 |
KR102250090B1 (ko) |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 |
EP3761657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JP7436532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1594874B1 (ko) |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 |
EP3681167A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37920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
EP3038374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US10069769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preference program notific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 |
KR20170011870A (ko) |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5007826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60023742A (ko) |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 |
KR2017008337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EP4365729A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277961B2 (en) | Electronic device, compan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 |
KR20170056490A (ko) |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EP3396814B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KR20160116477A (ko) | 카드 형태의 디바이스 및 결제 방법 | |
KR20160072616A (ko) |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11072A (ko) |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