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437A -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feed method and device - Google Patents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feed method an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437A
KR20170034437A KR1020177006564A KR20177006564A KR20170034437A KR 20170034437 A KR20170034437 A KR 20170034437A KR 1020177006564 A KR1020177006564 A KR 1020177006564A KR 20177006564 A KR20177006564 A KR 20177006564A KR 20170034437 A KR20170034437 A KR 20170034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needle
knitting
needles
sin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0222B1 (en
Inventor
카즈히코 타마키
Original Assignee
나가타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타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타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4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transfer of knitted goods from one machine to an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발끝부 등의 잉여 부분을 갖는 환편기의 편지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확실하게 옮길 수 있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옮김바늘(34)을 뜨개바늘(21)의 축방향으로 진입시켜서 옮김바늘(34)과 뜨개바늘(21)을 축방향으로 연속시킨다. 각 뜨개바늘(21)의 간극에 뜨개바늘 실린더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송 싱커(49)를 넣는다. 이송 싱커(49)의 록킹클로(49e)에 의해 뜨개바늘(21)에 걸린 편지(27)의 최종 루프(26)를 뜨개바늘 실린더(19)의 내측으로 밀고, 뜨개바늘(21)의 내측면과 최종 루프(26) 앞의 내측 루프(26a)의 사이에 간극(G1)을 형성한다. 이송 싱커(49)를 뜨개바늘(21)로부터 옮김바늘(34)로 뜨개바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최종 루프(26)를 뜨개바늘(21)로부터 옮김바늘(34)로 옮긴다. 간극(G1)에 의해 최종 루프(26)가 옮김바늘(34)과 뜨개바늘(21)의 연속 부분에서 록킹되는 일이 없어 원활하게 편지(27)를 옮김바늘(34)로 옮길 수 있다.A letter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apable of surely transferring a lett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a surplus portion such as a toe portion from a knitting needle to a transfer needle. The transfer needle 34 is advan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transfer needles 34 and the knitting needles 21 are continued in the axial direction. A feed sinker 49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each knitting needles 21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to the inside thereof.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caught in the knitting needles 21 is pushed by the locking claw 49e of the transfer sinker 49 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And a gap G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loop 26a and the inner loop 26a in front of the final loop 26. [ The transfer sinker 49 is moved from the knitting needles 21 to the knitting needles 34 by the transfer needles 34 and the final loop 26 is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21 to the transfer needles 34. [ The gap G1 prevents the final loop 26 from being locked in the continuous portion of the transfer needle 34 and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letter 27 can be transferred smoothly to the transfer needle 34. [

Description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및 장치{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FEED METHOD AND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tter conve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tter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일반적으로, 양말은 환편기의 일종인 양말 편기에 의해, 입구 고무부, 다리부, 발뒤꿈치부, 족부, 발끝부의 순서로 짜여진다. 그 후, 발끝 개구부가 재봉틀기에 의해 봉합되어서 양말이 된다.Generally, the sock is woven in the order of the inlet rubber part, the leg part, the heel part, the foot part, and the toe part by the hosiery knitting machine, which is a sort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Thereafter, the toe opening is sealed by a sewing machine to become a sock.

양말 편기로 짜여진 편지를 사람손에 의해 재봉틀기에 셋팅하여 봉합하는 것 대신에, 자동적으로 양말 편기의 편직부로부터 인출하여 재봉틀 유닛에 셋팅하는 편지 이송장치가 여러가지로 개발되어 있다(일본 특허 제4268136호 공보, 일본 특허 제4030853호 공보 참조). 이러한 편지 이송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뜨개질 함과 봉합과 이송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작업원의 노력을 경감하여 양말 등의 환편제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re has been developed various types of letter transfer apparatuses that automatically set a suture knitting machine out of a knitting section of a sock knitting machine instead of sewing a sock knitting machine by setting a person's hand on a sewing machine (Japanese Patent No. 4268136 , Japanese Patent No. 4030853). By using such a letter transfer devic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erform knitting, sealing and transferring,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ufacture a circular knitted product such as a sock by alleviating the effort of the worker.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4268136호 공보의 환편기에서는, 스타킹과 같은 관상 니트 제품의 가장자리를 봉합하기 위해서, 최후에 짜올린 단의 스티치(루프)를 제거 수단에 의해 유지하여 짜올림 스테이션으로부터 편지를 제거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 캐리어를 통해서 후크 업 스테이션(봉합 스테이션)으로 편지를 옮기고, 발끝 개구부를 재봉틀 유닛에 의해 후크 업(봉합)하고 있다.For example,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4268136, a stitch (loop) of a last step is held by a removing means to seal the edge of a tubular knitted product such as stockings, I have removed. Then, the letter is transferred to the hook-up station (suturing station) through the movable carrier, and the toe opening is hooked up (sealed) by the sewing machine unit.

또한, 일본 특허 제4030853호 공보의 양말 이송장치에서는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양말을 옮길 때에, 각 뜨개바늘을 수용하는 뜨개바늘 가이드 링의 하면과 이송 비트의 상면에 의하여 양말의 발끝부를 협지하여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양말을 옮기고 있다.In the sock feeding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4030853, when the sock is moved from the knitting needle to the transfer needle, the toe portion of the sock is hel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 guide ring accommodating each knitting need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ing bit, Moving socks from needles Moving socks with needles.

일본 특허 제4268136호 공보의 관상 니트 제품의 가장자리를 봉합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뜨개바늘로부터 편지를 수용하는 제거 부재의 선단부를 경사부로 구성하고, 또한 경사부측에 노치(홈)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뜨개바늘로부터 편지를 수취할 때에, 노치에 뜨개바늘의 훅 선단부를 삽입하고, 양자를 맞대어서 직선상으로 일체화시키고 있다.Japanese Patent No. 4268136 disclose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ewing an edge of a tubular knitted product. In this method, the tip of a removing member for receiving a letter from a knitting needle is formed as an inclined portion and a notch (groove) is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When a letter is received from the knitting needle, the hook tip of the knitting needle is inserted into the notch, and bot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tegrated in a straight line.

또한, 제거 부재의 노치에, 뜨개바늘의 훅 선단부를 삽입하기 위해서 뜨개바늘 또는 제거 부재가 약간 어긋나면, 양자의 맞댐 끼워맞춤이 잘 되지 않아 양자간에 단차가 생긴다. 이 경우에는, 단차부에서 편지의 최종 루프가 록킹되어 루프절단이나 루프의 불일치 등이 발생하여, 뜨개바늘로부터 제거 부재에 루프를 안정적으로 옮길 수 없다.In addition, if the knitting needles or the removing members are slightly shifted in order to insert the hook tip of the knitting needles into the notches of the removing members, they do not fit with each other properly, resulting in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is case,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is locked at the stepped portion to cause loop cutting or inconsistency of the loop, so that the loop can not be stably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 to the removing member.

뜨개바늘로부터 스티치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뜨개바늘 상의 스티치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훅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상기 훅은 뜨개바늘간에 삽입되어 뜨개바늘 상의 스티치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뿐이다. 그러나, 양말류 등은 발뒤꿈치부나 발끝부 등의 잉여 부분을 원주방향의 일부에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잉여 부분의 느슨함에 의해서 뜨개바늘에 거는 텐션이 발등측과 잉여 부분을 갖는 밑바닥측에서는 다르게 되고, 특히 밑바닥측의 루프에 대하여 텐션이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느슨한 밑바닥측의 각 루프의 형상이 불일치하게 될 경우가 있고, 루프를 안정적으로 뜨개바늘로부터 제거 부재로 옮길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뒤의 재봉틀 유닛에 의해서 발끝 개구부를 확실하게 봉합할 수 없게 되어 봉합 불량에 의한 불량품이 발생하기 쉬워진다.Although a hook for moving the stitch on the knitting needles upward is shown for separating the stitch from the knitting needles, the hook is only insert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and is moved above the stitches on the knitting needles. However, since the hosiery or the like has a surplus portion such as a heel portion or a toe portion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ension on the knitting needles due to loosening of the surplus portion is different at the bottom side having the back side and the surplus portion, So that the tension on the bottom side loop is hardly exerted. As a result, the shapes of loops on the loose bottom side may become inconsistent, and the loops can not be stably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removing members. In this case, the toe opening portion can not be reliably sealed by the rear sewing machine unit, and defective products are liable to be generated due to defective sewing.

일본 특허 제4030853호 공보의 양말 이송장치에서는, 각 뜨개바늘을 수용하는 뜨개바늘 가이드 링과 뜨개바늘 실린더 내의 내측에 배치된 이송 비트를 이용하여, 이송 비트의 상면과 뜨개바늘 가이드 링의 하면에서 편성된 양말의 발끝부를 협지해서 뜨개바늘 상의 최종 루프를 옮김바늘로 이동시키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뜨개바늘 실린더 내에 이송 비트를 배치할 필요가 있고, 부품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편성기에서의 편지의 편직에 지장이 발생할 경우도 있다. 아울러, 개개의 뜨개바늘을 뜨개바늘 가이드 링의 홈에서 수용하기 때문에, 뜨개바늘과 옮김바늘을 연결시키거나, 루프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옮기거나 할 때에 뜨개바늘 가이드 링이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일본 특허 제4268136호 공보와 같이, 뜨개바늘 또는 제거 부재가 어긋날 일이 없이 연결되지만, 뜨개바늘 가이드 링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수가 증가하는 것 이외에 구성이 복잡해진다.In the sock feeding apparatus of Japanese Patent No. 4030853, by using a knitting needle guide ring for accommodating each knitting needle and a conveying bit disposed inside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bi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 guide ring are knitted The socks of the socks are sandwiched and the final loop on the knitting needles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needl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feed bit in the knitting needles cylinder, not only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but also the knitting of letters in the knitting machine may be interrupted. Further, since the individual knitting needles are housed in the grooves of the knitting needle guide ring, the knitting needle guide ring functions as a guide when connecting the knitting needles with the transfer needles, or when transferring the loops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s. For this reason, although the knitting needles or the removing members are connected without deviation as in the Japanese Patent No. 4268136, the knitting needles are required to be guided by the knitting needles,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둘레방향의 일부에 잉여 부분을 갖는 환편기의 편지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확실하게 옮길 수 있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ett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in which a lett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an excess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surely transferred from a knitting needle to a transfer need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은, 환편기로 짜여진 편지의 일단을 폐쇄하기 위해서 환편기의 뜨개바늘 실린더의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편지를 옮길 때에, 옮김바늘과 뜨개바늘을 뜨개바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진입시켜 옮김바늘과 뜨개바늘을 연속시킨다. 이어서, 뜨개바늘 실린더의 각 뜨개바늘간의 간극에 뜨개바늘 실린더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송 싱커를 넣고, 이송 싱커의 선단부의 록킹부에 의해 뜨개바늘에 걸린 편지의 최종 루프를 뜨개바늘 실린더의 내측으로 밀어서, 뜨개바늘의 내측면과 최종 루프 앞의 루프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송 싱커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뜨개바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송 싱커에 의해 최종 루프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옮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ansferring letter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transferring a letter from a knitting needle of a knitting needle cylind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o a transfer needle to close one end of a letter knitted wit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knitting needle and the knitting needles is continued in the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axis. Then, a feed sinker is inserted in the gap between each knitting needl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and the final loop of the knot stuck in the knitting needle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tip of the feed sinker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Pushing inwardly forms a gap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s and the loop in front of the final loop. Then, the transfer sinker is moved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knitting needl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nal loops are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s by the transfer sinkers.

본 발명의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는, 환편기에서 짜여진 편지의 일단을 폐쇄하기 위해서 환편기의 뜨개바늘 실린더의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편지를 옮기는 것으로, 옮김바늘 유지통과, 이송 싱커와, 이송 싱커 승강기구를 구비한다. 옮김바늘 유지통은 뜨개바늘 실린더의 상방에 뜨개바늘 실린더의 중심선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옮김바늘을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갖는다. 옮김바늘 유지통은 하강 상태에서 뜨개바늘의 내측면에 근접해서 옮김바늘이 뜨개바늘에 축방향에서 연속한다. 이송 싱커는 뜨개바늘 실린더의 각 뜨개바늘간의 간극에 뜨개바늘 실린더의 반경방향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이송 싱커는 뜨개바늘 실린더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록킹부에 의해 뜨개바늘에 걸린 편지의 최종 루프를 뜨개바늘 실린더의 내측으로 밀고, 뜨개바늘의 내측면과 최종 루프 앞의 루프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송 싱커 승강기구는 옮김바늘과 뜨개바늘이 연속한 상태에서 이송 싱커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뜨개바늘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A letter transfer device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tter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letters from a knitting needle of a knitting needle cylind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o a transfer needle for closing one end of a woven letter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Respectively.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is disposed above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and has transfer needl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lowered state of the transfer needle holder, the transfer needle is continued to the knitting needle in the axial direction, close to the inn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 The transfer sinker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n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This transfer sinker pushes the last loop of the letter caught in the knitting needles by the locking part in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while entering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and forms a gap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 and the loop in front of the final loop do. In the transfer sinker elevator, the transfer sinker is moved from the knitting needle to the knitting needle axis with the transfer needle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needle and the knitting needle are continuously connected.

이송 싱커는 띠판상의 이송 싱커 본체와, 경사부를 가지고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와,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고 최종 루프에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고, 선단부 및 록킹부는 이송 싱커 본체의 두께보다 얇고, 이송 싱커 본체의 두께는 뜨개바늘간의 간극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각 뜨개바늘의 사이에 삽입되는 이송 싱커 본체에 의해 편지 이송시에 뜨개바늘과 옮김바늘 선단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루프를 옮길 수 있다. 따라서, 일본 특허 제4030853호 공보의 뜨개바늘 가이드 링 등의 가이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의 삭감과 구성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또한, 싱커 본체의 두께가 뜨개바늘간의 간극과 동일이란, 뜨개바늘의 간극 내에 이송 싱커 본체가 들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정도로 양자간에 간극이 있는 대략 동일 상태를 포함한다.The conveying sinker has a conveying sinker main body in a strip shape, a front end portion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inclined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and locking in the final loop. The leading end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ar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veyance sinker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inker main body is the same as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In this case, the loop can be moved by guiding the positions of the knitting needles and the transfer needle at the time of transferring the letters by the transfer sinker main body insert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Therefore, a guide member such as a knitting needle guide ring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4030853 is not required,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The thickness of the sinker main body is the same as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The thickness of the sinker main body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state in which there is a clearance therebetween to the extent that the transfer sinker main body can move into the gap of the knitting needles.

뜨개바늘 및 옮김바늘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뜨개바늘군 및 옮김바늘군이 구성된다. 옮김바늘군은 180°간격으로 2분할되어서 한쪽의 제 1 옮김바늘군이 고정 하프 다이얼에, 다른쪽의 제 2 옮김바늘군이 가동 하프 다이얼에 부착된다. 고정 하프 다이얼에 대하여 가동 하프 다이얼은 힌지부를 통해서 반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 하프 다이얼 및 가동 하프 다이얼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개방 상태와, 제 1 옮김바늘군의 선단에 제 2 옮김바늘군의 선단이 근접 또는 접촉해서 양 옮김바늘이 연속하는 폐쇄 상태로 선택적으로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nitting needles and the transfer needles are equally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nstitute a knitting needles group and a transfer needles group. The group of transfer needles is divided into two at intervals of 180 degrees so that one group of first transfer needles is attached to the fixed half-dial and the other group of transfer needles is attached to the movable half-dial. The movable half-dial is reversibly attached to the fixed half-dial through the hinge, and the movable half-dial is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fixed half-dial and the movable half-dial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l e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or contact so that the transfer needle is selectively set in a continuous closed state.

폐쇄 상태에서 제 1 옮김바늘군과 제 2 옮김바늘군은 선단이 하프 다이얼의 반경방향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고, 제 1 옮김바늘군과 제 2 옮김바늘군의 한쪽의 선단에는 다른쪽의 선단을 수납하는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고, 폐쇄 상태에서 한쪽의 선단이 다른쪽의 수납 홈에 수납되어서 제 1 옮김바늘군과 제 2 옮김바늘군이 옮김바늘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수납 홈 을 통해서 제 1 옮김바늘군과 제 2 옮김바늘군을 확실하게 축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In the closed state, the first transfer needle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are arranged such that their tips are shifted in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alf-dial, and the tip of one of the first transfer needle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is provided with the other tip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irst transfer needle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is continuous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needle axis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transfer needle is housed in the other receiving groove in the closed state. In this case, the first transfer needle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can be surely connected axially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최종 루프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옮기기 전에, 편지의 최종 루프의 상방에서 뜨개바늘간의 간극에 이송 싱커를 삽입한 후에 하강시켜, 이송 싱커의 선단부 하면에 의해서 최종 루프를 눌러서 이송 전의 최종 루프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뒤꿈치부나 발끝부 등의 잉여 부분을 갖는 양말류의 편지에서는, 뜨개바늘에 걸린 편지의 루프를 일치시키도록 해서, 편지 내림 파이프로부터 편지를 흡인해도 잉여 부분에서 느슨함이 있기 때문에 편지를 충분하게 잡아당길 수 없어 편지의 루프가 맞추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는다. 이송 싱커를 이용하여 사전에 최종 루프의 높이를 맞춤으로써 루프의 부일치에 기인해서 뜨개바늘의 훅에 루프가 걸리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이송 싱커의 록킹부에 편지의 최종 루프를 확실하게 록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Before transferring the final loop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 the transfer sinker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at the upper side of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and then lowered. The final loop is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sinker, . In a hosiery letter with a surplus portion such as a heel or a toe portion, the loop of the letter stuck on the knitting needles is made to coincide, and when the letter is drawn from the letter dropping pipe, The loop of the letter may not be aligned because it can not be pull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oop is hooked to the hook of the knitting needle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loop by fitting the height of the final loop in advance by using the transfer sink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ly lock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in the locking portion of the transfer sinker.

최종 루프가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옮겨진 후에, 편지의 최종 루프를 봉합하기 위해서 재봉틀 유닛에 편지를 이동시키고, 재봉틀 유닛의 재봉틀 바늘의 승강에 연동시켜서 고정 하프 다이얼을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재봉틀 유닛을 최종 루프를 따라서 움직일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고정 하프 다이얼측의 옮김바늘은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을 축방향에 갖고, 재봉틀 바늘의 승강시에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에 의해 재봉틀 바늘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각 최종 루프에 확실하게 재봉틀 바늘이 안내되어서 확실한 봉합이 행하여진다.After the final loop has been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letter to the sewing machine unit to sew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and to rotate the fixed half-di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elevation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unit .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sewing machine unit along the final loop,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fer needle on the fixed half-dial side has the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in the axial direction and guides the sewing machine needle by the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when the sewing machine needle is lifted or lowered. In this case, the sewing machine needle is surely guided to each of the final loops, and reliable sewing is performed.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잉여 부분을 갖는 환편기에 의한 편지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확실하게 옮길 수 있다. 또한, 편지의 루프를 뜨개바늘의 훅 등에 걸리게 하지 않고 원활하게 옮길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tter by a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a surplus portion can be reliably transferred from a knitting needles to a transfer needle. In addition, the loops of letters can be carried smoothly without being hooked on the hooks of the knitting needles.

도 1은 본 발명의 환편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환편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환편기에 의한 편성이 끝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옮김바늘, 이송 싱커, 뜨개바늘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편지 이송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편성 위치에 편지 이송장치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편지 이송장치 본체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옮김바늘 유닛을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개방 상태의 옮김바늘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폐쇄 상태의 옮김바늘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송 싱커 진퇴기구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이송 싱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는 이송 싱커가 퇴피 상태인 이송 싱커 진퇴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이송 싱커가 진입 상태인 이송 싱커 진퇴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뜨개바늘과 옮김바늘과 이송 싱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환편기의 상부 기구가 개방되어 상방으로 퇴피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환편기의 상부 기구가 상방으로 퇴피한 후에, 편지 내림 파이프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편성 위치에 편지 이송장치 본체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편성 위치에 편지 이송장치 본체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편지의 최종 루프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이송 싱커가 진입 위치로 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이송 싱커가 하강해서 편지의 최종 루프를 일치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옮김바늘이 하강해서 뜨개바늘에 축방향에서 연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고정 하프 다이얼측 옮김바늘 및 가동 하프 다이얼측 옮김바늘이 뜨개바늘과 연속한 상태를 비교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편지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옮기기 위해서 이송 싱커가 진입 위치로 되고, 편지의 최종 루프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뜨개바늘에 편지의 최종 루프가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편지의 최종 루프를 이송 싱커에 의해 내측을 향해서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6은 편지의 최종 루프를 이송 싱커에 의해 내측을 향해서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7은 편지를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옮기기 위해서 이송 싱커가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편지 이송장치 본체 및 편지 내림 파이프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이동 암이 회전해서 편지 내림 파이프로부터 편지를 빼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터닝 파이프가 하강해서 편지의 하단을 터닝 파이프 내에 흡인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편지를 뒤집기 위해서 터닝 파이프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편지를 뒤집은 터닝 파이프의 상부를 클램프 장치로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편지 이송장치 본체가 하강해서 가동 하프 다이얼이 반전장치에 의해 반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이송 싱커가 하강해서 가동 하프 다이얼 내의 옮김바늘 사이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5는 가동 하프 다이얼의 옮김바늘의 루프를, 대응하는 고정 하프 다이얼의 옮김바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송 싱커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이송 싱커가 상방으로 퇴피해서 가동 하프 다이얼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7은 터닝 파이프 홀더 및 하편지 누름부가 상승하여 고정 하프 다이얼에 유지된 편지를 하프 링과의 사이에서 협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재봉틀 유닛을 봉합 위치에 셋팅하여, 편지를 봉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9는 옮김바늘의 외측 끝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을 나타내는 옮김바늘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하프 링을 하강 방향으로 작용시켜 옮김바늘 유닛이 상방으로 퇴피해서 재봉틀에 의해 봉합된 편지를 옮김바늘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1은 봉합 완료 후의 재봉틀 실을 절단하기 위해서 커터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2는 터닝 로드가 상승해서 편지를 표측으로 뒤집어서 배출 유닛에 반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3은 뒤집은 편지를 배출한 후에 터닝 파이프를 하강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4는 편지 이송장치 본체가 초기위치로 되돌아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5는 편지 이송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lar knitting machi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system.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knitted state by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transfer needle, a transfer sinker, a knitting needle, and the lik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letter transferring devic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tter transfer device is positioned at the knitting posi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tter transferring apparatus main body in an exploded stat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needle unit in a disassembled stat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needle unit in an open stat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needle unit in the closed stat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porting sinker retracting mechanism in a disassembled stat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ransfer sinker.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ying sinker retracting mechanism in which the conveying sinker is in a retracted state.
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ying sinker retracting mechanism in which the conveying sinker is in an entering state.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the transfer needles, and the transfer sinkers.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mechanism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is opened and withdrawn upward;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tter dropping pipe is raised after the upper mechanism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is retracted upward.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syste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is positioned at the knitting position.
18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syste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is positioned at the knitting position.
Fig. 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sinker is in the entry position for matching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Fig.
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sinker is lowered to match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Fig. 2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needle is lowered and continued to the knitting needles in the axial direction. Fig.
FIG. 2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half-dial side transfer needle and the movable half-dial side transfer needle are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knitting needles.
2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sinker is in the entry position and the last loop of the letter is pressed in order to transfer the letter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is hooked on the knitting needles;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is pressed inward by the transfer sinker;
2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is pressed inward by the transfer sinker.
2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sinker is lifted to transfer a letter from a knitting needle to a transfer needle.
2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and the letter dropping pipe are raised.
2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arm is rotated and a letter is taken out from the letter down pipe.
30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letter is drawn into the turning pipe by the lowering of the turning pipe.
3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rning pipe is lifted to flip a letter.
3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art of a turning pipe reversing a letter is held by a clamping device;
3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tter transfer device body is lowered and the movable half-dial is inverted by the reversing device.
3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ing sinker descends and enters between movable needles in the movable half-dial.
3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ing sinker is raised so as to move the loop of the transfer needle of the movable half-dial to the transfer needle of the corresponding fixed half-dial.
3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ing sinker is retracted upward and the movable half-dial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Fig. 3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rning pipe holder and a lower letter pressing portion rise up and a letter held on the fixed half-dial is held between the half ring and the letter.
3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wing machine unit is set in the sewing position and the letter is sewn.
3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needle showing a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transfer needle.
4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needle unit is retracted upward by the half-r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separate a letter sealed by the sewing machine from the transfer needle.
4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tter is operated to cut the sewing machine room after sewing is completed.
4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rning rod rises and the letters are turned over to the front side and conveyed to the discharge unit.
4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rning pipe is lowered after discharging the reversed letter.
4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45 is a flowchart showing each step of the letter transfer method.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편기 시스템(10)은 환편기(11)와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와 편지 이송장치(13)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편기(11)는 크로스바(14), 가위대(15), 래치 링(16), 사도장치(17), 싱커 베드(18), 뜨개바늘 실린더(19), 편지 내림 파이프(20)나, 도시하지 않은 실 공급부 등을 구비한다.1 and 2,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a letter opening sealing apparatus 12, and a letter transfer apparatus 13. 3,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includes a crossbar 14, a scissors band 15, a latch ring 16, an apodizer 17, a sinker bed 18, a knitting needle cylinder 19, A pipe 20, an unillustrated yarn feeder, and the lik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뜨개바늘 실린더(19)의 상단에는 다수의 뜨개바늘(2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싱커 베드(18)에는 싱커(25)가 뜨개바늘(21)간의 간극에서, 캠 구동에 의해 뜨개바늘 실린더(19)의 반경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부가 연동함으로써, 주지와 같이 뜨개바늘(21)에 대하여 편사에 의해 루프를 차례차례로 형성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27)로서의 양말이, 입구 고무부(27a), 다리부(27b), 발뒤꿈치부(27c), 족부(27d), 발끝부(27e)의 순서로 통 형상으로 짜여진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knitting needles 21 are arrang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pitc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In the sinker bed 18, the sinker 25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by the cam drive at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As shown in Fig. 3, the sock as the letter 27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rubber portion 27a and the leg portion 27a 27b, a heel portion 27c, a foot portion 27d, and a toe portion 27e in this order.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편기(11)의 측방에는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가 부설되어 있다.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는 재봉틀 유닛(100), 편지 뒤집기 유닛(101), 배출 유닛(102)을 구비한다. 이들 각 유닛(100∼102)이 연동함으로써 편지(27)(도 3 참조)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봉합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제품 수용 박스 등에 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letter opening sealing apparatus 1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The letter opening sealing apparatus 12 has a sewing machine unit 100, a letter reversing unit 101, and a discharge unit 102. [ These respective units 100 to 102 are interlocked to seal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letter 27 (see Fig. 3), and then can be discharged to a product receiving box (not shown) or the lik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 이송장치(13)는 편지 이송장치 본체(30)와, 편지 이송장치 본체(3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31)를 갖는다. 이동기구(31)는 승강 회전축(32), 이동 암(33)을 갖는다. 승강 회전축(32)은 가이드통부(36)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연직 축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승강 회전축(32)의 상부에는 이동 암(33)이 고정되어 있다. 이동 암(33)의 선단에는 편지 이송장치 본체(30)가 부착되어 있다. 이동 암(33)과 가이드통부(36)의 사이에는 요동 에어실린더(37)가 부착되어 있다. 요동 에어실린더(37)는 승강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 암(33)을 수평면 내에서 예를 들면 90°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서, 편지 이송장치 본체(30)를,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편기(11)의 뜨개바늘 실린더(19)의 상방 에리어(이하, 편성 스테이지라고 한다)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의 터닝 파이프(110)의 상방 에리어(이하, 봉합 스테이지라고 한다)에 이동시킨다.5,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13 has a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30 and a moving mechanism 31 for moving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30. As shown in Fig. The moving mechanism 31 has a lifting / lowering shaft 32 and a moving arm 33. The elevating rotary shaft 32 is supported by the guide cylinder 36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axis. A moving arm 33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on rotary shaft 32. A letter transfer device main body 30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arm 33. A rocking air cylinder 37 is attached between the moving arm 33 and the guide cylinder 36. The rocking air cylinder 37 rotates the moving arm 33 about 90 in the horizontal plane about the lift-up rotary shaft 32, for example. 17, the upper portion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nitting stage) and the letter transferring machine main body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aling stage) of the turning pipe 110 of the letter opening suturing apparatus 12.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회전축(32)의 하단에는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암 상하 제 1 에어실린더(32a), 암 상하 제 2 에어실린더(32b), 암 상하 제 3 에어실린더(32c)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에어실린더(32a∼32c)가 하나 또는 복수로 선택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승강 회전축(32)은 연직방향으로 승강하고, 이동 암(33)이 일련의 공정에서 필요한 높이로 설정된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arm cylinders 32a, 32b and 32c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32 from below. Respectively. By selectively driving one or more of these air cylinders 32a to 32c, the elevation rotary shaft 32 ascends and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vable arm 33 is set to a necessary height in a series of processes.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 이송장치 본체(30)는 옮김바늘 유닛(40)과 이송 싱커 유닛(41)을 갖는다. 옮김바늘 유닛(40)은 옮김바늘(34)을 유지한 고정 하프 다이얼(43), 가동 하프 다이얼(44)과, 이것들을 유지하는 옮김바늘 유지통(45)을 갖는다. 옮김바늘 유닛(40)은 뜨개바늘 실린더(19)의 상방에서 이동 암(33)(도 5 참조)에 의해 승강되고, 뜨개바늘(21)에 유지되어 있는 편지(27)를 뜨개바늘(21)로부터 고정 하프 다이얼(43) 및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로 바꿔 옮긴다.As shown in Fig. 6,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30 has a transfer needle unit 40 and a transfer sinker unit 41. Fig. The transfer needle unit 40 has a fixed half-dial 43 holding the transfer needle 34, a movable half-dial 44, and a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for holding them. The transfer needle unit 4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moving arm 33 (see Fig. 5) above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and the letter 27 held by the knitting needle 21 is transferred to the knitting needles 21 To the fixed half-dial 43 and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movable half-dial 44. [

옮김바늘 유지통(45)은 베어링(50)을 통해서 이송장치 베이스(5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이송장치 베이스(51)는 이동 암(33)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 유지통(45)은 상하로 상유지통부(45a)와 하유지통부(45b)로 분단되어 있고, 사이에 옮김바늘 회전기어(52)가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 회전기어(52)에는 모터(53)의 구동기어(53b)가 연계되어 있다. 모터(53)의 회전에 의해, 옮김바늘 회전기어(52)가 회전함으로써 옮김바늘 유지통(45)을 통해서 각 하프 다이얼(43, 4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들 모터(53), 옮김바늘 회전기어(52), 옮김바늘 유지통(45) 등에 의해 회전기구(106)가 구성된다. 회전기구(106)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틀 유닛(100)에 의해 편지(27)의 최종 루프(26)(도 24 참조)를 봉합할 때에 재봉틀 바늘(107)의 승강에 연동해서 고정 하프 다이얼(43)을 간헐 회전시키고, 재봉틀 바늘(107)을 각 최종 루프(26)에 확실하게 삽입하여 각 최종 루프(26)에 재봉틀 실(108)을 통과시켜서 1스티치마다 봉합(링킹 또는 루핑이라고도 말한다)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봉틀 바늘과 협동하는 루퍼 바늘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재봉틀 실도 1개에 한하지 않고, 2개, 3개와 복수개의 실을 사용해도 좋다.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transfer device base 51 through the bearing 50. [ As shown in Fig. 5, one end of the moving arm 33 is fixed to the conveying device base 51. As shown in Fig. 6,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holding cylinder portions 45a and lower holding cylinder portions 45b, and a transfer needle rotating gear 52 is fix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7, the shifting needle rotating gear 5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53b of the motor 53.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of the motor 53 allows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needle rotation gear 52 to rotate the half-dials 43 and 44 through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 The rotating mechanism 106 is constituted by the motor 53, the transfer needle rotating gear 52,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and the like. 40, when the sewing machine unit 100 seals the final loop 26 (see Fig. 24) of the letter 27 by the sewing machine unit 100, the rotating mechanism 106 is interlocked with the elevation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107 The fixed half-dial 43 is rotated intermittently and the sewing machine needle 107 is securely inserted into each of the final loops 26 so that the sewing machine room 108 is passed through each of the final loops 26 to seal Also referred to as roofing). In this embodiment, the looper needle cooperating with the sewing machine needle is not shown. Further, the number of the sewing machine rooms is not limited to one, and two, three, or a plurality of yarns may be used.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프 다이얼(43)은 하프 다이얼 본체(43a)의 외주면에 옮김바늘 유지홈(43b)을 갖고, 이 옮김바늘 유지홈(43b) 내에 옮김바늘(34)을 셋팅하고, 홀더(43c)에 의하여 위에서 눌러서 구성되어 있다. 가동 하프 다이얼(44)도 고정 하프 다이얼(43)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하프 다이얼 본체(44a), 옮김바늘(34)을 유지하는 옮김바늘 유지홈(44b), 홀더(44c)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1 옮김바늘군이 고정 하프 다이얼(43)에, 제 2 옮김바늘군이 가동 하프 다이얼(44)에 부착된다. 고정 하프 다이얼(43)과 가동 하프 다이얼(44)은 힌지부(46)에 의해, 가동 하프 다이얼(44)이 고정 하프 다이얼(43)에 대하여 180°회전(반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홀더(43c)가 옮김바늘 유지통(45)에 고정되어 있다.8, the fixed half-dial 43 has a transfer needle retention groove 43b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lf-dial main body 43a, sets the transfer needle 34 in the transfer needle retention groove 43b And a holder 43c. The movable half-dial 44 is also configured similarly to the fixed half-dial 43 and has a half-dial main body 44a, a transfer needle holding groove 44b for holding the transfer needle 34, and a holder 44c. Thereby, the first group of transfer needles is attached to the fixed half-dial 43, and the second group of transfer needles is attached to the movable half-dial 44. The fixed half-dial 43 and the movable half-dial 44 are attached to the movable half-dial 44 such that the movable half-dial 44 can be rotated (reversed) b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xed half- The holder 43c of the fixed half-dial 43 is fixed to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상태에서는 고정 하프 다이얼(43) 및 가동 하프 다이얼(44)은 옮김바늘(34)이 원주방향으로 연속하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9∼21, 도 23∼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뜨개바늘(21)로부터 옮김바늘(34)로 편지(27)의 건네짐이 행하여진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프 다이얼(44)이 반전해서 고정 하프 다이얼(43)에 합쳐지면, 이들 하프 다이얼(43, 44)이 폐쇄된 상태로 된다. 이 폐쇄 상태에서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하프 다이얼(43, 44)의 옮김바늘(34)의 선단끼리가 접촉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에서 유지되고 있는 편지 개구의 절반의 최종 루프(26)가,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에서 유지되고 있는 나머지 절반의 최종 루프(26)에 개별적으로 합쳐진다. 이와 같이 하여 최종 루프(26)가 합쳐진 편지(27)는,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에 옮겨진 후(도 35 참조)에,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틀 유닛(100)에 의해 봉합이 행하여진다.As shown in Fig. 9, in the normal state, the fixed half-dial 43 and the movable half-dial 44 are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needle 34 is continuou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19 to 21 and Fig. 23 to Fig. 25, the letter 27 is passed from the knitting needles 21 to the transfer needles 34. Fig. As shown in Fig. 10, when the movable half-dial 44 is inverted and added to the fixed half-dial 43, these half-dials 43 and 44 are closed. 33, the distal ends of the transfer needles 34 of the respective half-dials 43, 4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ransfer needles 34 of the movable half- The final loops 26 of half of the letter opening being made are individually joined to the last half 26 of the remaining half being held in the transfer needles 34 of the fixed half- The letter 27 in which the final loop 26 is thus combined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see Fig. 35) and then transferred to the sewing machine unit 100 The sealing is perform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쇄 상태에서의 옮김바늘(34)끼리의 연결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의 배치 반경이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의 배치 반경에 대하여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0의 확대 부분을 나타내는 Z1과 같이, 가동 하프 다이얼(44)을 폐쇄했을 때에는,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에 대하여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이 하프 다이얼(43)의 반경방향에서 오프셋된 상태로 된다. 이 오프셋된 상태에서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의 선단에는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의 선단이 위치하는 부분에 선단 수납홈(34a)이 형성된다. 이 선단 수납홈(34a)에는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의 선단이 넣어진다. 이와 같이, 반전했을 때의 상하의 옮김바늘(34)을 반경방향으로 약간 오프셋해서 배치 함으로써, 옮김바늘(34)의 선단끼리를 맞대서 연속시킬 경우에 비하여 양 옮김바늘(34)의 연결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transfer needles 34 of the movable half-dials 44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transfer needles 34 (the movable needles 34) of the fixed half-dials 43 in order to securely connect the transfer needles 34 in the closed state. 34). 10, when the movable half-dial 44 is closed,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offse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alf-dial 43. At the tip end of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movable half-dial 44 in the offset state, a tip end receiving groove 34a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tip of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is positioned. The distal end of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receiving groove 34a. By arranging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needles 34 in the opposite directions slightly offset in the radi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of the transfer needles 34 can be reliably performed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tip ends of the transfer needles 34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 유지통(45)에는 연직방향으로 삽통구멍(45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통구멍(45c)에 록 축(56)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록 축(56)의 하단부는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록 홈(44d)에 들어가서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반전을 규제한다. 록 축(56)의 상단에는 록 링(57)이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a transfer needle 45c is formed in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ck shaft 56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insertion hole 45c. The lower end of the lock shaft 56 enters the lock groove 44d of the movable half-dial 44 to regulate the reversal of the movable half-dial 44. [ A lock ring 57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 shaft 5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 회전기어(52)를 덮도록 옮김바늘 유지통(45)에는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록 커버(55)가 부착되어 있다. 록 커버(55)는 록 실린더(55a)와 스토퍼(55b)를 갖는다. 록 링(57)은 록 실린더(55a)에 의해 승강되고, 하강시에는 록 홈(44d)(도 8 참조)에 록 축(56)의 하단부가 들어가서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반전을 규제한다. 록 실린더(55a)에 의해 록 링(57)이 들어올려져서 스토퍼(55b)에 닿아서 정지하면, 록 축(56)의 하단부가 록 홈(44d)으로부터 빠져나가기 때문에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반전 규제는 해제된다.7, a lock cover 55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attached to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so as to cover the transfer needle rotating gear 52. As shown in Fig. The lock cover 55 has a lock cylinder 55a and a stopper 55b. The lock ring 57 is moved up and down by the lock cylinder 55a and the lower end of the lock shaft 56 enters the lock groove 44d (see Fig. 8) when the lock ring 57 is lowered to regulate the inversion of the movable half- . When the lock ring 57 is lifted by the lock cylinder 55a and stops by touching the stopper 55b,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ck shaft 56 escapes from the lock groove 44d, The reverse regulation is canceled.

옮김바늘 유지통(45)의 상부에는 하프 링 승강통(58)이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하프 링 승강통(58)에는 승강축(59)을 통해서 하프 링(60)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59)은 상하로 분단되어 있고, 옮김바늘 유지통(45)에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링 승강통(58)은 내통(58a)과 외통(58b)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은 통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58b)의 상방에는 실린더 부착판(61)이 스테이(61a)를 통해서 록 커버(55)에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부착판(61)과 외통(58b)의 사이에는 하프 링 내림 제 1 에어실린더(62a), 하프 링 내림 제 2 에어실린더(62b)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하프 링 내림 제 1 에어실린더(62a) 또는 제 2 에어실린더(62b)가 선택적으로 구동됨으로써, 하프 링(60)을 상방으로 퇴피시키는 제 1 위치(도 36∼도 38 참조)로부터, 재봉틀 유닛(100)에 의해 봉합된 편지(27)를 옮김바늘(34)로부터 분리한 제 2 위치(도 40 참조), 또는 봉합 후의 재봉틀 실(108)을 절단하기 위한 제 3 위치(도 41 참조)로 하강한다. 이 하강시에 봉합 후의 편지(27)로부터 재봉틀 실(108)을 끊을 수 있다.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a half ring lifting cylinder 58 is mount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half ring 60 is fixed to the half ring lifting cylinder 58 through an elevating shaft 59. The lifting shaft 59 is vertically divided and attached to the transfer needle holding cylinder 4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s shown in Fig. 6, the half-ring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 58 is constituted by an inner cylinder 58a and an outer cylinder 58b, which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cylinder center. 7, the cylinder attachment plate 61 is attached to the lock cover 55 via the stay 61a above the outer cylinder 58b. A half ring down first air cylinder 62a and a half ring down second air cylinder 62b are attached between the cylinder attachment plate 61 and the outer cylinder 58b. 36 to 38) in which the half ring 60 is lifted upward by selectively driving the half ring lowering first air cylinder 62a or the second air cylinder 62b, (See Fig. 40) in which the letter 27 sealed by the sewing machine 100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needle 34 or a third position (see Fig. 41) for cutting the sewing machine room 108 after sewing Descend. The sewing machine room 108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letter 27 after sewing.

이상과 같이, 옮김바늘 회전기어(52) 및 모터(53), 봉합시의 편지 개구부를 누르는 하프 링(60) 및 이 하프 링(60)의 승강기구(68),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반전 록기구(69) 등이 연동함으로써,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의 봉합 스테이지에 있어서 편지(27)의 개구의 한쪽의 절반이 다른쪽의 절반에 포개져, 재봉틀 실(108)에 의한 봉합 및 재봉틀 실(108)의 절단이 행하여진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needle rotation gear 52 and the motor 53, the half ring 60 that presses the letter opening at the time of sewing, and the lift mechanism 68 of the half ring 60 and the movable half- One half of the opening of the letter 27 in the sealing stage of the letter opening sealing apparatus 12 is superimposed on the other half of the opening of the sewing machine room 12, The sewing machine 108 is closed and the sewing machine room 108 is cut.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유닛(41)은 이송 싱커 진퇴기구(70)와, 이것을 연직방향에서 승강시키는 이송 싱커 승강기구(71)를 갖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진퇴기구(70)는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베드(72), 베이스(73), 이송 싱커(49), 싱커 밴드(75), 캠 유지 링(76), 캠(77), 캡(78), 회전 링(79), 멈춤 나사(74), 이송 싱커 진퇴 에어실린더(80)를 갖는다. 베드(72)는 링 형상의 베이스(73)에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nveying sinker unit 41 has a conveying sinker retracting mechanism 70 and a conveying sinker elevating mechanism 71 for elevating the conveying sinker in the vertical direction. 11, the conveying sinker advancing / retracting mechanism 70 sequentially includes a bed 72, a base 73, a conveying sinker 49, a sinker band 75, a cam retaining ring 76, a cam 77, a cap 78, a rotary ring 79, a detent screw 74, and a feed sinker advance / retreat air cylinder 80. [ The bed 72 is attached to the ring-shaped base 73.

이송 싱커(49)는 뜨개바늘(21)과 같은 수로 설치되어 있고, 베드(72)의 방사홈(72a)에 넣어져서 베드(72)의 반경방향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는 띠판상의 이송 싱커 본체(49a)와, 이송 싱커 본체(49a)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선단부(49b)와, 이송 싱커 본체(49a)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49c)를 갖는다. 선단부(49b)는 경사부(49d)를 갖고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49d)의 상부에는 록킹클로(49e)가 선단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되고, 경사부(49d)와 록킹클로(49e)의 사이에는 록킹부(49f)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49b), 경사부(49d), 록킹클로(49e)는 이송 싱커 본체(49a)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 싱커 본체(49a)의 두께는 뜨개바늘(21)간의 간극과 동일하다. 또한, 이송 싱커 본체(49a)의 두께가 뜨개바늘(21)간의 간극과 동일하다는 것은, 뜨개바늘(21)간의 간극 내에 이송 싱커 본체(49a)가 들어가고, 이동할 수 있는 정도로 양자간에 여유가 있는 대략 동일한 상태를 포함하고, 이송 싱커 본체(49a)가 간극 내에서 진퇴 불능으로 되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동일은 아니다. 이송 싱커(49)의 외측 끝면에는 밴드홈(49g)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홈(49g)에는 고무제나 코일 스프링제의 싱커 밴드(75)가 넣어진다. 싱커 밴드(75)는 이송 싱커(49)를 내측으로 향해서 바이어싱한다.The feed sinker 49 is installed in the same number as the knitting needles 21 and is placed in the radial groove 72a of the bed 72 to be radially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ed 72 and to be movably held. 12, the conveyance sinker 49 includes a conveyor sinker main body 49a on the belt plate, a leading end portion 49b formed on the inner end of the conveyance sinker main body 49a, And a projection 49c projecting upward from the end. The distal end portion 49b has an inclined portion 49d and is formed at an acute angle. A locking claw 49e protrudes toward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portion 49d and a locking portion 49f is formed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49d and the locking claw 49e. The distal end portion 49b, the inclined portion 49d, and the locking claw 49e ar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veyance sinker main body 49a. The thickness of the transport sinker main body 49a is the same as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The fact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veying sinker main body 49a is the same as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means that the conveying sinker main body 49a enters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It is not the same in the strict sense that the same state is included and the conveyance sinker main body 49a is unable to advance and retreat within the gap. A band groove 49g is formed on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feed sinker 49. [ As shown in Fig. 11, a sinker band 75 made of rubber or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band groove 49g. The sinker band (75) biases the feed sinker (49) inward.

캠(77)은 둘레방향으로 분단된 캠 본체(77a)로 구성되고, 이들 캠 본체(77a)가 링 형상으로 멈춤 나사(7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캠 본체(77a)는 캠 유지 링(76)과 캡(78)에 의해, 캡(78)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협지되어 있다. 캡(78)에는 캠 본체(77a)를 대략 반경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78a)이, 캠 본체(77a)의 개수의 2배분 형성되어 있다. 회전 링(79)에는 반경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캠 홈(79a)이 형성되어 있다.The cam 77 is constituted by a cam main body 77a which is di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se cam main bodies 77a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ring by a setscrew 74. [ The cam main body 77a is movably held by the cam retaining ring 76 and the cap 78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p 78. [ The cap 78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78a for guiding the cam main body 77a in a substantially radial direction by two times the number of the cam main bodies 77a. A cam groove 79a is formed in the rotating ring 79 in a direction intersecting in the radial direction.

멈춤 나사(74)는 각 캠 홈(79a) 및 가이드 홈(78a)를 관통하여 캠 본체(77a)에 나사 고정된다. 회전 링(79)은 캡(78)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회전 링(79)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79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73)에는 이송 싱커 진퇴 에어실린더(80)의 기단부 부착용의 브래킷부(73b)가 이어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79b)와 브래킷부(73b)에, 이송 싱커 진퇴 에어실린더(80)가 부착된다. The detent screw 74 is screwed to the cam main body 77a through the cam groove 79a and the guide groove 78a. The rotary ring 79 is rotatably held by the cap 78. [ The rotary ring 79 is formed with a protruding portion 79b protruding outward. The base 73 is provided with a bracket portion 73b for attaching the base end portion of the conveyance sinker advancing / retracting air cylinder 80 to the base 73. A feed sinker advance / retreat air cylinder 80 is attached to the projecting portion 79b and the bracket portion 73b.

이송 싱커(49)는 싱커 밴드(75)에 의해 내측을 향해서 바이어싱되어 있기 때문에, 캠(77)의 외주면에 이송 싱커(49)의 돌기(49c)가 접촉한다. 이송 싱커 진퇴 에어실린더(80)의 로드(80a)가 출몰함으로써 회전 링(79)이 소정 각도 회전한다.The projection 49c of the feed sinker 4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m 77 because the feed sinker 49 is biased inward by the sinker band 75. [ The rotary ring 79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d 80a of the forward / backward air cylinder 80 is projected and withdrawn.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진퇴 에어실린더(80)의 로드(80a)가 돌출한 상태에서는 멈춤 나사(74)가 캠 홈(79a)의 외측 단부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캠(77)(도 11 참조)이 대경으로 되어서 이송 싱커(49)가 후퇴한 퇴피 상태로 된다.13A, the detent screw 74 is located at the outer end of the cam groove 79a in a state in which the rod 80a of the feed sinker retractable air cylinder 80 is projected. As a result, the cam 77 (see Fig. 11) becomes large in diameter, and the conveying sinker 49 is retracted.

또한,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진퇴 에어실린더(80)의 로드(80a)가 끌어넣어진 상태에서는, 멈춤 나사(74)가 캠 홈(79a)의 내측 단부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캠(77)이 소경으로 되어서 이송 싱커(49)는 싱커 밴드(75)에 의한 내측으로의 바이어싱에 의해 전진하여 진입 상태가 된다.13B, the stop screw 74 is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cam groove 79a in a state in which the rod 80a of the conveyance sinker advance / retreat air cylinder 80 is pulled in. As a result, the cam 77 becomes small in diameter, and the conveying sinker 49 is advanced by the inward biasing by the sinker band 75 and enters the entering state.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가 진입 상태에서는 뜨개바늘(21)간의 간극에 뜨개바늘 실린더(19)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이송 싱커(49)가 삽입된다. 선단부(49b)는 이송 싱커 본체(49a)에 비하여 선단을 향함에 따라 차츰 얇게 되도록 양 측면의 상측 부분이 비스듬하게 컷팅되어 있기 때문에, 뜨개바늘(21) 사이의 간극에 확실하게 이송 싱커(49)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삽입 후에는 이송 싱커 본체(49a)가 뜨개바늘(21)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기 때문에 뜨개바늘(21)을 둘레방향에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록킹클로(49e)를 포함하는 선단부(49b)는 점차로 얇아지도록 형성하는 것 외에, 이송 싱커 본체(49a)보다 얇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해도 좋다.14, the feed sinker 49 is insert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into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when the feed sinker 49 is in the infeed state. Since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are slantingly cut so that the leading end portion 49b becomes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leading end than the conveying sinker main body 49a, the conveying sinker 49 can surely be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Can be inserted. Further, after the insertion, since the feed sinker main body 49a is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the knitting needles 21 can be gu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istal end portion 49b including the locking claw 49e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gradually thinner thickness than the feed sinker main body 49a.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승강기구(71)는 이송 싱커 승강 에어실린더(71a), 이송 싱커 내림 제 1 에어실린더(71b), 이송 싱커 내림 제 2 에어실린더(71c), 이송 싱커 올림이동 에어실린더(71d), 실린더 부착판(71e)을 갖는다. 이송 싱커 승강 에어실린더(71a)는 이송장치 베이스(51)와 이송 싱커 진퇴기구(70)의 베이스(73) 사이에 부착되고, 이들 베이스끼리의 간격을 조절한다. 실린더 부착판(71e)에는 이송장치 베이스(51)에 고정되어 있는 이송 싱커 내림 제 1, 제 2 에어실린더(71b, 71c), 이송 싱커 올림이동 에어실린더(71d)의 작용점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각 에어실린더(71a∼71d)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이송 싱커 진퇴기구(70)가 가장 상승한 제 1 위치(도 6 참조)부터 순서대로, 제 2 위치(도 27 참조), 제 3 위치(도 19 참조), 제 4 위치(도 20 참조)로 내릴 수 있고, 이들 위치를 바꿈으으로써 이송 싱커(49)를 소정의 범위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7, the conveying sinker elevating mechanism 71 includes a conveying sinker elevating air cylinder 71a, a conveying sinker descending first air cylinder 71b, a conveying sinker descending second air cylinder 71c, An air cylinder 71d, and a cylinder attachment plate 71e. The transporting sinker lifting air cylinder 71a is attached between the transporting apparatus base 51 and the base 73 of the transporting sinker retracting mechanism 70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se bases. The cylinder attachment plate 71e is provided with the action points of the feed sinker lifting first and second air cylinders 71b and 71c and the feed sinker lifting air cylinder 71d which are fixed to the feeder base 51. [ The air cylinders 71a to 71d are selectively driven to sequentially move the second position (see Fig. 27), the third position (Fig. 19), and can be lowered to the fourth position (see FIG. 20). By changing these positions, the feed sinker 49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송 싱커 진퇴기구(70) 및 이송 싱커 승강기구(71)를 사용하여 각 부를 연동시킴으로써 뜨개바늘 실린더(19)의 편지(27)를 옮김바늘(34)에 옮길 수 있다. 또한, 옮김바늘(34)에 편지(27)를 옮긴 후는,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에서 가동 하프 다이얼(44)을 반전시켜서 봉합하는 개구 부분의 절반 둘레분의 최종 루프(26)끼리를 합쳐서 재봉틀 유닛(100)에 의해 봉합함으로써 양말이 완성된다.The letters 27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can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needle 34 by interlocking the respective parts using the transfer sinker advancing and retracting mechanism 70 and the transfer sinker elevating mechanism 71. [ After the letters 27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needles 34, the movable half-dials 44 are reversed in the letter opening suturing device 12 so that the final loops 26 of the half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portions to be sewn And the sock is sewn together by the sewing machine unit 100 to complete the sock.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틀 유닛(100)은 재봉틀 본체(103), 재봉틀 본체(103)를 발끝 개구부에 셋팅하는 이동기구(104), 발끝 개구부를 상하방향으로부터 끼워서 유지하는 발끝 개구부 유지기구(105), 발끝 개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06)를 갖는다.40, the sewing machine unit 100 includes a sewing machine body 103, a moving mechanism 104 for setting the sewing machine body 103 to the toe opening portion, a toe opening and keeping mechanism (not shown) for holding the toe opening por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105, and a rotating mechanism 106 for rotating the toe opening.

편지 뒤집기 유닛(101)은,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파이프(110), 터닝 파이프(1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서 승강하는 하측 파이프 승강기구(111), 터닝 파이프 클램프기구(112), 터닝 로드(113)(도 42,도 43 참조), 터닝 로드 승강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31, the letter flipping unit 101 includes a turning pipe 110, a lower pipe elevating mechanism 111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turning pipe 110 is inserted and raised, a turning pipe clamping mechanism 112, (See Figs. 42 and 43), and a turning rod elevating mechanism (not shown).

이하, 환편기 시스템(10)의 동작 순서에 따라서 각 부의 구성을 그 움직임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환편성 종료 직후의 편성 스테이지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각 종단면에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단면(끝면)만을 나타내고 있고, 그 안쪽으로 보이는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가위대(15)에 의해 실이 절단된 편성 직후의 편지(27)는, 최종 루프(26)가 각 뜨개바늘(21)에 걸려 있고(도 24 참조), 편지 내림 파이프(20) 내에 수납되어 있다. 가위대(15), 래치 링(16), 사도장치(17)를 포함하는 상부 장치는 크로스바(14)에 부착되어 있다. 크로스바(14)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요동에 의해,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편기(11)의 뜨개바늘 실린더(19)에 래치 링(16) 등이 대면하는 편성 위치와,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래치 링(16) 등이 퇴피하는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will be described along with its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system 10. [ Fig. 3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in the knitting stage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ring knitting. In the following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only the end surface (end surface) is shown in order to avoid the duplication of the drawings, and the members shown inside are omitted. The final loop 26 is caught by each knitting needles 21 (see Fig. 24) and stored in the letter lowering pipe 20 have. The upper device including the scissors band 15, the latch ring 16 and the apostrophe device 17 is attached to the crossbar 14. The cross bar 14 sw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n air cylinder (not shown). 2 and 3,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of the knitting machine 11 faces the latch ring 16 and the knitting position shown in Figs. 15 and 16, And a retreat position in which the latch ring 16 or the like is retracted upward from the knitting position.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편지 내림 파이프(20)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를 통해서 흡입 송풍기에 연결되어 있고, 편지(27)가 편지 내림 파이프(20) 내에서 하방으로 흡인된다. 편지 내림 파이프(20)는 도시는 생략했지만, 복수의 에어실린더에 의해 상단, 중단, 하단의 3단계의 위치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로스바(14)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가위대(15), 래치 링(16), 사도장치(17)가 퇴피 위치 로 이동한다(도 16 참조).In the state shown in Fig. 3, the letter dropping pipe 20 is connected to a suction blower through a valve (not shown), and the letter 27 is sucked downward in the letter dropping pipe 2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letter dropping pipe 20 is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by a plurality of air cylinders at three positions of the upper end,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When the crossbar 14 is rotated upward, the scissors 15, the latch ring 16, and the apostrophes 17 move to the retreat position (see FIG. 16).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커 베드(18) 상의 싱커캠(18a)이나 고무 싱커캠(도시하지 않음)이 작용 상태로 되고, 싱커(25)는 뜨개바늘(21)의 사이에서 뜨개바늘 실린더(19)의 반경방향에서 외측을 향해서 이동하고, 싱커(25)의 록킹클로가 뜨개바늘(21)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에 의해, 록킹클로에 의한 편지(27)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어서, 뜨개바늘(21)이 비편성 레벨까지 상승하고, 뜨개바늘 실린더(19)로부터 상방으로 최대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한, 편지 내림 파이프(20)가 상승해서 상단에 셋팅된다. 이것에 의해, 편지(27)의 최종 루프(26)가 뜨개바늘(21)의 래치(베라라고도 한다)(21a)의 가까이까지 위치한다(도 26 참조). 이어서, 뜨개바늘 실린더(19)를 회전시켜서 뜨개바늘(21)과 옮김바늘(34)을 대응하는 위치 관계로 한 후에 정지시키고, 뜨개바늘 실린더(19)가 부주의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록장치에 의해 록킹한다. 이 후, 도 7에 나타내는 이송 싱커 내림 제 1, 제 2실린더(71b, 71c)가 신장된 상태로 되고, 이송 싱커(49)의 하강 위치결정용의 스토퍼의 준비가 행하여진다.16, the sinker cam 18a and the rubber sinker cam (not shown) on the sinker bed 18 are in the operative state, and the sinker 25 moves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21 19, and the locking claw of the sinker 25 is moved away from the knitting needles 21. [0033] As a result, the locking of the letter 27 by the locking claw is released. Then, the knitting needles 21 are raised to the non-knitting level, and the knitting needle cylinders 19 are protruded upward to the maximum. Further, the letter dropping pipe 20 is raised and set at the upper end. Thereby,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is located close to the latch (also called veranda) 21a of the knitting needles 21 (see Fig. 26). Thereafter,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is rotated to stop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transfer needles 34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al relationship, and then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 Thereafter, the conveying sinker lowering first and second cylinders 71b and 71c shown in FIG. 7 are in a stretched state, and a stopper for determining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conveying sinker 49 is prepared.

도 15의 상태로부터, 요동 에어실린더(37)의 로드를 수축하는 방향으로 작용시켜서 이동 암(33)이 회전하면, 도 17,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 이송장치 본체(30)가 뜨개바늘 실린더(19)의 상방인 편성 스테이지로 이동하고, 도 6의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암 상하 제 1 에어실린더(32a), 암 상하 제 2 에어실린더(32b)가 수축된 상태로 되고, 도 6의 위치로부터 옮김바늘(34)이 하강하여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 위치로부터 10㎜ 위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편지 내림 파이프(20)로부터의 흡인이 정지된다. 이어서, 이송 싱커 승강 에어실린더(71a)(도 7 참조)가 비작용 상태(프리의 상태)로 되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내림 제 1 에어실린더(71b)가 신장된 상태의 높이까지, 이송 싱커 진퇴기구(70)가 자체 중량에 의해 하강한다. 그리고, 이송 싱커 진퇴기구(70)에 의해 이송 싱커(49)가 도 13a에 나타내는 퇴피 상태로부터 도 13b에 나타내는 진입 상태로 된다.When the movable arm 33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d of the rocking air cylinder 37 is contract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5,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30, And moves to the knitting stage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19, resulting in the state shown in Fig. Subsequently, the arm upper and lower first cylinder 32a and the arm upper and lower second cylinder 32b shown in Fig. 5 are contracted, and the transfer needle 34 is lowered from the position of Fig. 6, Likewise, stop at a position 10 mm above the shift position. Further, the suction from the letter dropping pipe 20 is stopped. Then, as shown in Fig. 19, the conveying sinker lifting first air cylinder 71a (see Fig. 7) is brought into a non-operating state , The conveying sinker advancing / retracting mechanism 7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Then, the conveying sinker 49 is moved from the retracted state shown in Fig. 13A to the entry state shown in Fig. 13B by the conveying sinker retracting mechanism 70. [

이 후,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 내림 파이프(20)가 하강해서 중단의 위치가 된다. 또한, 이송 싱커 내림 제 1 에어실린더(71b)가 수축된 상태로 되어, 이송 싱커 내림 제 2 에어실린더(71c)가 신장된 상태의 높이까지 이송 싱커 진퇴기구(70)가 하강한다. 이 하강에 의해, 진입 상태의 이송 싱커(49)에 의해 편지(27)가 내려져서 각 최종 루프가 연직방향에서 일정 위치(동일 수평 레벨)로 되도록 ?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이송 싱커(49)의 록킹클로(49e)가 각 최종 루프(26)에 대하여 항상 일정 위치에서 접촉하게 되고, 최종 루프(26)를 이송 싱커(49)에 의해 확실하게 록킹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0, the letter dropping pipe 20 is lowered and becomes the stop position. Further, the conveying sinker lowering first air cylinder 71b is contracted, and the conveying sinker advancing / retreating mechanism 70 is lowered to the height where the conveying sinker lowering second air cylinder 71c is elongated. By this descent, the letter 27 is lowered by the feeding sinker 49 in the entry state, and each final loop is brought to a certain position (same horizontal level)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the locking claw 49e of the conveying sinker 49 always comes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nal loops 26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final loop 26 can be reliably locked by the conveying sinker 49 have.

이어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가 퇴피 위치로 된다. 또한, 이송 싱커 내림 제 2 에어실린더(71c)(도 7 참조)가 수축된 상태가 되고, 이송 싱커(49)는 이송 싱커 진퇴기구(70)가 싱커 캡(18b)에 접촉하는 높이까지 하강한다. 또한, 암 상하 제 3 에어실린더(32c)(도 5 참조)가 수축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34)의 선단이 뜨개바늘(21)의 배면에 접촉 또는 접근한다.Then, as shown in Fig. 21, the conveyance sinker 49 is in the retreat position. The conveyance sinker lowering second air cylinder 71c (see FIG. 7) is contracted and the conveyance sinker 49 descends to a height at which the conveyance sinker retracting mechanism 70 contacts the sinker cap 18b . Further, the arm upper and lower third cylinder 32c (see Fig. 5) is in a contracted stat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2, the tip of the transfer needle 34 comes into contact with or approaches the back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s 21.

이어서,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진퇴 에어실린더(80)의 로드가 돌출한 상태로부터,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가 가라앉은 상태로 되고, 이송 싱커(49)가 퇴피 위치에서 진입 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의 록킹부(49f)에 최종 루프(26)를 록킹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3A, as shown in Fig. 13B, the rod sinks from the state in which the rod of the conveyance sinker advancing and retracting air cylinder 80 protrudes, and the conveying sinker 49 is moved from the retreat position to the entry position . As a result, the final loop 26 is locked to the locking portion 49f of the conveying sinker 49 as shown in Fig.

도 24는 최종 루프(26)가 뜨개바늘(21)에 걸린 상태의 뜨개바늘(21) 주변의 편지(27)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는 뜨개바늘(21)의 사이의 간극에 반경방향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이송 싱커(49)가 삽입된 상태의 뜨개바늘(21) 주변의 편지(27)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뜨개바늘(21)의 사이에 이송 싱커(49)가 삽입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송 싱커(49)가 뜨개바늘(21)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뜨개바늘(21)에 걸린 인접하는 최종 루프(26)의 연결 부분(26b)이, 이송 싱커(49)의 선단부(49b)의 돌기(49c)에 의한 록킹클로(49e)에 의해 내측으로 밀린다. 이것에 의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뜨개바늘(21)에 걸려 있는 최종 루프(26)의 배면측이 연장하여 내측 루프(26a)와의 사이에 간극(G1)이 형성된다. 이 간극(G1)에 의해, 편지(27)를 밑에서부터 위로 들어올려서 뜨개바늘(21)로부터 옮김바늘(34)로 이동할 때에, 최종 루프(26)가 옮김바늘(34)의 선단에 록킹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Fig. 24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letter 27 around the knitting needles 21 with the final loop 26 held on the knitting needles 21. Fig. 25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letter 27 around the knitting needles 21 in a state where the feed sinker 49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26 shows a side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feed sinker 49 is insert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The connecting portion 26b of the adjacent final loop 26 hooked on the knitting needles 2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needles 21 by the feed sinker 49, Is pushed inward by the locking claw 49e by the locking claw 49c.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5, the back side of the final loop 26 hooked on the knitting needles 21 extends and a gap G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loop 26a and the inner loop 26a. This gap G1 locks the end loop 26 to the tip of the transfer needle 34 when the letter 27 is lifted from below to move from the knitting needles 21 to the transfer needles 34 Can be performed smoothly.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34)이 하강해서 뜨개바늘(21)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연속하는 이동 위치에서는, 뜨개바늘(21)의 내측 배면에 옮김바늘(34)의 외측 선단면이 접촉한 상태 또는 근접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접촉한 상태 또는 근접한 상태로 되는 것은,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의 배치 반경이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의 배치 반경에 대하여 약간 크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이 때문에, 양 하프 다이얼(43, 44)이 개방 상태일 때에 뜨개바늘(21)이 옮김바늘(34)에 접근하면, 양자 사이의 간극이 달라 고정 하프 다이얼측의 옮김바늘(34)의 배치 반경이 작은 분만큼, 고정 하프 다이얼측의 옮김바늘(34)과 뜨개바늘(21)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그러나,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에 의해 편지(27)의 최종 루프(26)를 내측을 향해서 압박하기 때문에 뜨개바늘(21)이 내측으로 약간 휘고, 옮김바늘(34)의 선단에 뜨개바늘(21)의 배면이 접촉하므로, 약간의 간극의 발생은 특별히 문제가 없다. 따라서, 뜨개바늘(21)과 옮김바늘(34)이 연직방향으로 대략 일체화되어서, 편지(27)의 최종 루프(26)를 뜨개바늘(21)로부터 옮김바늘(34)에 확실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22, at the moving position in which the transfer needle 34 descends and continues in the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s 21, on the inner back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s 21, the outer distal end surfaces of the transfer needles 34 It is in a contacted state or in a close state. The contact state or proximity state is such that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slightly larger than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 Therefore, when the knitting needles 21 approach the transfer needle 34 when both the half-dials 43 and 44 are in the open state, the gap between them is different and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transfer needle 34 on the fixed half-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transfer needle 34 on the fixed half-dial side and the knitting needles 21 by this small amount. However, as shown in Fig. 26, since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is pushed inward by the feed sinker 49, the knitting needles 21 are slightly bent inward and the knitting needles 34 Since the back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s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ip end, generation of a slight gap is not particularly problematic.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transfer needles 34 are substantially integ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s 27 can be reliably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21 to the transfer needles 34 do.

또한, 도 26에서는 뜨개바늘(21)의 배면에 대하여 옮김바늘(34)의 선단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일체화시키고 있지만, 이밖에, 뜨개바늘(21)의 배면을 비스듬히 커팅하고, 이 비스듬히 커팅한 것에 의한 테이퍼에 대하여 옮김바늘(34)의 선단을 접촉 또는 간극을 두고 근접시켜도 좋다. 근접시킬 경우에는, 그 간극은 실의 굵기보다 작게, 예를 들면 1/4 이하로 함으로써, 뜨개바늘(21)과 옮김바늘(34)의 연결 부분의 간극에 최종 루프(26)가 록킹되는 것이 방지된다.26, the front ends of the transfer needles 34 are integrated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s 21 in a tight contact state. In addition, the back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s 21 is slanted at an angle, The distal end of the transfer needle 34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gap with respect to the taper caused by the taper. The distance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transfer needles 34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thread thickness, for example, 1/4 or less so that the final loop 26 is locked to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transfer needles 34 .

이어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올림이동 에어실린더(71d)가 신장된 상태로 되고, 이송 싱커(49)에 의해 편지(27)가 옮김바늘(34)의 상부까지 올라간다. 이것에 의해, 편지(27)의 최종 루프(26)가 옮김바늘(34)에 넣어진 상태에서 이송 싱커(49)에 의해 이송 싱커(49)로부터의 최종 루프(26)의 탈락이 저지되어서 편지(27)는 각 옮김바늘(34)에 확실하게 유지된다.27, the feeding sinker lifting air cylinder 71d is in a stretched state and the feeding sinker 49 lifts up the letter 27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needle 34. Then, This prevents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from being dislodged from the conveying sinker 49 by the conveying sinker 49 when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is put in the transfer needle 34, (27) is reliably held in each transfer needle (34).

이어서, 암 상하 제 1∼제 3 에어실린더(32a∼32c)(도 5 참조)가 신장된 상태로 되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장치 베이스(51)가 이동높이(상단)에 복귀한다. 또한, 편지 내림 파이프(20)가 상단으로 상승한다. 이어서, 뜨개바늘 실린더(19)의 회전 록을 해제한 후에 뜨개바늘 실린더(19)를 회전시켜, 뜨개바늘(21)이 싱커(25)에 숨겨지는 높이가 되는 플로트 레벨이 될 때까지 뜨개바늘(21)이 내려진다. 이것에 의해, 다음 공정에서 편지(27)를 편지 내림 파이프(20)로부터 인발하도록 이동 암(33)을 요동시켜도, 뜨개바늘(21)에 편지(27)가 접촉하는 일이 없어진다.Then, the arm upper and lower first to third air cylinders 32a to 32c (see Fig. 5) are in a stretched state, and as shown in Fig. 28, the transfer device base 51 returns to the moving height . Further, the letter dropping pipe 20 rises to the top.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is rotated until the knitting needles 21 reach the float level which is hidden by the sinker 25 until the knitting needles 21 21) is lowered. This prevents the letter 27 from contacting the knitting needles 21 even if the moving arm 33 is rocked to cause the letter 27 to be pulled out from the letter dropping pipe 20 in the next step.

이어서, 요동 에어실린더(37)(도 5 참조)를 로드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작용 시킴으로써,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암(33)이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를 향해서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어서, 편지 내림 파이프(20)가 하단 위치로 된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바(14)가 퇴피 위치로부터 편성 위치로 요동하고, 편성 위치에는 가위대(15), 래치 링(16), 사도장치(17)가 셋팅되어서, 다음 편성이 개시된다.Then, by moving the rocking air cylinder 37 (see FIG. 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d extends, the moving arm 33 starts rotating toward the letter opening sealing apparatus 12 as shown in FIG. Then, it moves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Then, the letter dropping pipe 20 becomes the lower end position. Next, as shown in Fig. 3, the cross bar 14 is pivoted from the retreat position to the knitting position, and the knitting scissors 15, the latch ring 16 and the apostrophes 17 are set at the knitting positions, .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흡인 스위칭 밸브가 개방 상태로 되고, 터닝 파이프(110)로부터 흡인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암 상하 제 1∼제 3에어실린더(32a∼32c)(도 5 참조)가 수축된 상태가 되고, 편지 이송장치 본체(30)가 하단 위치로 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흡인 스위칭 밸브가 폐쇄 상태로 되고, 터닝 파이프(110)로부터의 흡인이 정지한다.As shown in Fig. 30, the suction switching valve (not shown) is brought into the open state, and suction is performed from the turning pipe 110. [ Then, the upper and lower arm cylinders 32a to 32c (see Fig. 5) of the upper and lower arms are contracted, and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30 becomes the lower end position. Subsequently, a suction switching valve (not shown) is brought into a closed state, and suction from the turning pipe 110 is stopped.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파이프 홀더(109)의 상승에 의해 터닝 파이프(110)가 상승하고, 편지(27) 내에 터닝 파이프(110)가 통과된다. 이것에 의해 편지가 뒤집어진다. 이어서,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파이프 클램프기구(112)의 승강 에어실린더(112a)가 신장해서 하강한 후에, 클램프 에어실린더(112b)가 작용해서 터닝 파이프(110)를 유지한다. 이어서, 터닝 파이프 홀더(109)만이 하강한다. 이어서, 이송 싱커(49)가 퇴피 위치로 된 후에, 이송 싱커 승강 에어실린더(71a)가 수축된 상태로 되고, 이송 싱커(49)는 상방으로 퇴피한다.31, the turning pipe 110 is raised by the rising of the turning pipe holder 109, and the turning pipe 110 is passed through the letter 27. As shown in Fig. This turns the letter over. 32, after the lifting air cylinder 112a of the turning pipe clamp mechanism 112 has elongated and descended, the clamp air cylinder 112b acts to hold the turning pipe 110. As shown in Fig. Then, only the turning pipe holder 109 descends. Subsequently, after the conveying sinker 49 is moved to the retreat position, the conveying sinker elevating air cylinder 71a is retracted, and the conveying sinker 49 is retracted upward.

이어서,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프 다이얼 반전 구동부(85)가 퇴피 위치로부터 가동 하프 다이얼(44)에 작용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록 커버(55)의 록 실린더(55a)가 신장된 상태로 되어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록이 해제된다. 하프 다이얼 반전 구동부(85)는 가동 하프 다이얼(44)을 반전하는 반전 핀(44e)이 삽입되는 반전 핀 수용부(85a)를 갖고, 180°회전함으로써 가동 하프 다이얼(44)을 반전한다. 하프 다이얼 반전 구동부(85)가 작동하면,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에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이 일직선상으로 되도록 접촉된다. 이어서, 반전 록기구(69)가 작동하여 가동 하프 다이얼(44)이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가동 하프 다이얼 반전 구동부(85)는 퇴피 위치로 되돌아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3, the movable half-dial inversion driving section 85 moves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 a position operable on the movable half-dial 44. [ Further, the lock cylinder 55a of the lock cover 55 is extended and the lock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released. The half-dial inverting driver 85 has an inverting pin accommodating portion 85a into which the inverting pin 44e for inverting the movable half-dial 44 is inserted and inverts the movable half-dial 44 by rotating by 180 degrees. When the half-dial inversion driving section 85 is operated,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in a straight line. Then, the reversing lock mechanism 69 is operat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half-dial 44 is closed is maintained. Thereafter, the movable half-dial inverting driver 85 returns to the retracted position.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승강 에어실린더(71a)가 신장된 상태에 작용하여 이송 싱커(49)를 하방까지 이동시킨 후에, 이송 싱커 진퇴기구(70)가 진입 상태로 되고, 이송 싱커(49)의 선단 상단부가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에 걸린 최종 루프(26)의 하단부에 들어간다. 이어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올림이동 에어실린더(71d)가 신장된 상태로 되고, 가동 하프 다이얼(44)측의 옮김바늘(34)의 최종 루프(26)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고,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로 이동한다.34, after the feed sinker lifting air cylinder 71a is in a stretched state to move the feed sinker 49 downward, the feed sinker advancing / retreating mechanism 70 enters the feed sinker 49 enters the lower end of the final loop 26 caught in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movable half-dial 44. [ 35, the conveying sinker lifting air cylinder 71d is in a stretched state and the final loop 26 of the transfer needle 34 on the movable half-dial 44 side is lifted upward , And moves to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가 퇴피 위치로 된 후에 이송 싱커 승강 에어실린더(71a)가 수축된 상태로 되고, 이송 싱커(49)가 상방으로 퇴피한다. 이어서, 하프 다이얼 반전 구동부(85)가 다시 상승한 후에, 반전 록기구(69)가 비작용으로 되어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반전 상태의 록이 해제된다. 이 후,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반전 되돌림이 하프 다이얼 반전 구동부(85)에 의해 행하여진 후에, 록 커버(55)의 록 실린더(55a)가 수축된 상태가 되고, 가동 하프 다이얼(44)은 고정 하프 다이얼로부터 떨어진 개방 상태로 된 후에 다시 록킹된다. 그 후, 하프 다이얼 반전 구동부(85)가 하강해서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36, after the conveyance sinker 49 reaches the retreat position, the conveyance sinker lift cylinder 71a is retracted, and the conveyance sinker 49 is retracted upward. Then, after the half-dial inversion driving section 85 rises again, the reverse rotation locking mechanism 69 is inactivated, and the reversed state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released. Thereafte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performed by the half-dial inversion driving unit 85, the lock cylinder 55a of the lock cover 55 is in a contracted state, Is again locked after being brought into an open state away from the fixed half-dial. Thereafter, the half-dial inverting driver 85 is lowered and moved to the retreat position.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파이프 홀더(109) 및 하편지 누름부(115)가 상승하여 편지(27)를 하프 링(60)과의 사이에서 협지한다.The turning pipe holder 109 and the lower letter pressing part 115 are raised so as to sandwich the letter 27 with the half ring 60 as shown in Fig.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53)(도 7 참조)에 의해 옮김바늘 회전기어(52)를 회전시켜, 봉합 시작부를 재봉틀 바늘(107)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후, 재봉틀 진퇴 에어실린더(104a)를 신장하여 재봉틀 본체(103)를 봉합 위치에 셋팅한다. 이어서, 재봉틀 본체(103)를 구동하고, 재봉틀 바늘(107)의 동작에 연동해서 모터(53)를 구동함으로써 재봉틀 바늘(107)에 의해 최종 루프(26)가 1스티치씩 봉합된다.The transfer needle rotation gear 52 is rotated by the motor 53 (see Fig. 7) to move the sewing start portion to the position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107, as shown in Fig. Thereafter, the sewing machine advance / retreat air cylinder 104a is stretched to set the sewing machine body 103 to the sewing position. Subsequently, the sewing machine body 103 is driven, and the motor 53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107, so that the sewing machine needle 107 seals the final loop 26 by one stitch.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34)의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반경방향 외측면에는 옮김바늘(34)의 축방향을 따라서 단면이 예를 들면 V자형이나 반원형, 원호형인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3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옮김바늘(34)의 하단부(선단부)는 내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34c)과, 옮김바늘(34)의 축방향에 평행한 평탄면(34d)을 갖는다. 경사면(34c)에는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34b)이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재봉틀 바늘(107)은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34b)에 들어가서 하강하기 때문에, 옮김바늘(34)에 유지된 최종 루프(26) 내에 재봉틀 바늘(107)의 선단이 확실하게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최종 루프(26)마다 확실하게 봉합이 행해진다. 옮김바늘(34)의 선단(34e)은 삼각추 형상으로 뾰족해져 있다.As shown in Fig. 39,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xed half-dial 43 of the transfer needle 34 in the radial direction, a sewing machine needle guide (for example, a V- A groove 34b is formed. The lower end portion (distal end portion) of the transfer needle 34 has an inclined surface 34c inclined inward and a flat surface 34d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transfer needle 34. [ On the inclined surface 34c, a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34b is opened. The sewing machine needle 107 enters the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34b and descends so that the end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107 is securely guided in the final loop 26 held by the transferring needle 34. [ As a result, the sewing is reliably performed for each final loop 26. The distal end 34e of the transfer needle 34 is sharpened in a triangular shape.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합 후에 하프 링 내림 제 1 에어실린더(62a)를 신장한 상태로 한 후에, 암 상하 제 1 에어실린더(32a)를 신장한 상태로 해서 옮김바늘(34)을 예를 들면 20㎜ 상승시키고, 봉합한 최종 루프(26)를 옮김바늘(34)로부터 뽑는다. 이 때, 편지(27)가 하편지 누름부(115)와 하프 링(60)에 의해 협지된 상태는 유지된다. 그 후 재봉틀 본체(103)에서 재봉틀 실(108)에 의한 공환(空還)을 예를 들면 10스티치 정도 만든다.40, after the half-ring lifting first air cylinder 62a is stretched after the sewing, the first upper and lower air cylinders 32a are stretched, and the transfer needle 34 is set as shown in Fig. 20 mm, and the sutured end loops 26 are pulled out of the transfer needle 34. At this time, the state in which the letter 27 is sandwiched by the lower letter pressing part 115 and the half ring 60 is maintained. Thereafter, the sewing machine body 108 of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103 is made empty by about 10 stitches, for example.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링 내림 제 2 에어실린더(62b)가 신장된 상태로 되고, 하편지 누름부(115)와 하프 링(60)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편지(27)의 위치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후, 커터 진퇴 에어실린더(12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커터(121)가 재봉틀 실(108)에 의한 공환의 상부에 넣어진다. 이어서, 커터 상하 에어실린더(122)가 신장된 상태로 되어 커터(121)를 공환의 절단 위치에 셋팅한다. 이어서, 커터 진퇴 에어실린더(120)가 수축된 상태로 되고, 커터(121)의 퇴피 동작에 의해 공환이 절단된다. 이 후, 커터 상하 에어실린더(122)를 수축한 상태로 해서 커터(121)를 초기의 위치에 되돌린다. 이어서, 재봉틀 진퇴 에어실린더(104a)가 수축되어서 재봉틀 본체(103)가 퇴피 위치에 셋팅된다.The position of the letter 27 held by the lower letter pressing part 115 and the half ring 60 becomes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lower letter pressing part 115 as shown in FIG. . Thereafter, the cutter 121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tter advance / retreat air cylinder 120 is extended, and the cutter 121 is put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vity by the sewing machine room 108. Then, the cutter upper and lower air cylinders 122 are stretched to set the cutter 121 at the cutting position of the cavity. Then, the cutter advance / retreat air cylinder 120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 cutter 121 is retracted to cut the cutter. Thereafter, the cutter upper and lower air cylinder 122 is retracted to return the cutter 121 to its initial position. Then, the sewing machine advance / retreat air cylinder 104a is contracted, and the sewing machine body 103 is set to the retreat position.

이어서,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측 흡인 스위칭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개방 상태로 되고, 배출 유닛(102)을 경유해서 터닝 파이프(110)로부터 흡인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하편지 누름부(115)가 하강해서 퇴피 위치로 되고, 터닝 파이프 홀더(109)도 한번 최하단까지 이동한다. 그 후, 터닝 로드(113)가 터닝 파이프 홀더(109)와 함께 상승하고, 편지(27)를 터닝 파이프(110) 내로 들어올림으로써, 편지(27)는 다시 편지(27)의 표측이 표면으로 나오도록 반전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배출 유닛(102)의 배출 튜브(102a)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제품 수용 박스에 배출된다. 이 후, 토출구측 흡인 스위칭 밸브가 폐쇄 상태가 되고, 배출 튜브(102a)의 흡인이 해제된다. 또한, 하프 링 내림 제 1 에어실린더(62a), 제 2 에어실린더(62b)가 수축된 상태로 되고, 하프 링(60)은 상방으로 퇴피한다. 그리고, 터닝 파이프 홀더(109)가 더욱 상승해서 상단 위치로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2, the discharge port side suction switching valve (not shown) is opened, and suction is performed from the turning pipe 110 via the discharge unit 102. [ Subsequently, the lower letter pressing part 115 descends to the retreat position, and the turning pipe holder 109 also moves to the lowermost position once. The turning rod 113 then rises with the turning pipe holder 109 and lifts the letter 27 into the turning pipe 110 so that the letter 27 again reaches the surface of the letter 27 to the surface And is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tube 102a of the discharge unit 102 shown in Fig. 1 into a product receiving box (not shown). Thereafter, the discharge port side suction switching valve is closed, and the suction of the discharge tube 102a is released. Further, the half-ring lowering first air cylinder 62a and the second air cylinder 62b are contracted, and the half-ring 60 is retracted upward. Then, the turning pipe holder 109 further ascends to the upper position.

이어서,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에어실린더(112b)가 수축된 상태로 되어 터닝 파이프(110)의 유지가 클램프기구(112)로부터 터닝 파이프 홀더(109)로 이행한다. 그 후 터닝 파이프 홀더(109)가 터닝 로드(113) 및 터닝 파이프(110)와 함께 하강해서 하단에 셋팅된다.Then, as shown in Fig. 43, the clamp air cylinder 112b is contracted, and the retaining of the turning pipe 110 shifts from the clamp mechanism 112 to the turning pipe holder 109. [ Thereafter, the turning pipe holder 109 descends together with the turning rod 113 and the turning pipe 110, and is set at the lower end.

이어서, 도 43에 나타내는 클램프기구(112)의 승강 에어실린더(112a)가 수축된 상태로 되고, 클램프 파이프(112c)는 상방으로 퇴피한다. 또한, 암 상하 제 2 에어실린더(32b), 암 상하 제 3 에어실린더(32c)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이동 암(33)이 상단의 위치에 셋팅된다. 이 상단 위치에서는 이동 암(33)이 수평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lifting air cylinder 112a of the clamp mechanism 112 shown in Fig. 43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 clamp pipe 112c is retracted upward. Further, the arm upper and lower second cylinder 32b and the arm upper and lower third cylinder 32c are op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extend, and the moving arm 33 is set at the upper position. At this upper position, the movable arm 33 can move in the horizontal plane.

이상과 같은 동작이 반복하여 행하여짐으로써, 환편기(11)에 의해 편지(27)가 짜여진 후에 편지 이송장치(13)에 의해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에 보내져서 발끝 개구부가 폐쇄된 후에, 배출 유닛(102)을 통해서 제품 수용 박스에 배출된다. 그리고, 편지 개구부 봉합장치(12)에 의해 발끝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환편기(11)에서는 다음 편지(27)가 짜여지고 있어, 효율적으로 양말류 등의 편지(27)를 생산할 수 있다.After the letter 27 is knitted by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and then sent to the letter opening sealing device 12 by the letter transfer device 13 to close the toe opening, Unit 102 to the product receiving box. The next letter 27 is woven in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when the toe opening is closed by the letter opening suturing apparatus 12, so that the letter 27 such as hosiery can be efficiently produced.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편기(11)로 짜여진 편지(27)의 일단을 폐쇄하기 위해서 환편기(11)의 뜨개바늘 실린더(19)로부터 편지 이송장치(13)에 편지(27)를 옮기는 편지 이송방법으로서,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준비 공정(ST1)과, 편지 이송장치 이동 공정(ST2)과, 편지 루프 맞춤 공정(ST3)과, 루프 간극 형성 공정(ST4)과, 편지 이송 공정(ST5)과, 편지 이동 공정(ST6)과, 편지 뒤집기 공정(ST7)과, 발끝 개구부 합침 공정(ST8)과, 발끝 개구부 봉합 공정(ST9)과, 편지 표측 뒤칩기 공정(ST10)과, 편지 배출 공정(ST11)과, 장치 복귀 공정(ST12)을 갖는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close one end of the letter 27 woven with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a letter transferring method for transferring the letter 27 from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to the letter transfer apparatus 13 45, a letter transferring step ST1, a letter transferring device moving step ST2, a letter loop fitting step ST3, a loop gap forming step ST4, a letter transferring step ST5, A letter opening and closing step ST9, a letter marking rear side step ST10, and a letter ejecting step ST10, ST11), and a device returning step ST12.

이송 준비 공정(ST1)에서는, 도 3,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편기(11)에 의해 짜여진 편지(27)에 대하여 환편기(11)의 상부 장치를 편성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환편기(11)의 뜨개바늘(21)에 유지된 편지(27)의 최종 루프(26)(도 26 참조)를 뜨개바늘(21)의 래치(21a) 아래로 이동시키고, 환편기(11)의 뜨개바늘 실린더(19)를 정위치에서 정지시킨다.3 and 16, the upper apparatus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is moved from the knitting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etter 27 knitted by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and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26) of the letter 27 held on the knitting needles 21 of the knitting needles 21 is moved under the latch 21a of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knitting needles 21 of the knitting needles 21 19) in the correct position.

편지 이송장치 이동 공정(ST2)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27)의 최종 루프(26)를 옮기는 편지 이송장치(13)를 환편기(11)의 바로 위로 이동시킨다. 편지 루프 맞춤 공정(ST3)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 이송장치(13)의 이송 싱커(49)를 편지(27)와 접촉시켜서 내리고, 편지(27)의 최종 루프(26)의 높이를 연직방향에서 일정 위치에 맞춘다. 루프 간극 형성 공정(ST4)에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 이송장치(13)의 옮김바늘(34)을 뜨개바늘(21)의 훅 등부에 접촉하는 높이까지 이동시키고,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의 록킹부(49f)에서 뜨개바늘(21)간의 편지(27)의 최종 루프(26)를 유지하고, 또한 뜨개바늘 실린더(19)의 중심을 향해서 밀어서 최종 루프(26)와 뜨개바늘(21)의 배면 사이에 간극(G1)을 형성한다. 편지 옮김 공정(ST5)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49)를 뜨개바늘(21)의 훅을 넘는 높이까지 이동시키고, 편지(27)의 최종 루프(26)를 옮김바늘(34)에 옮긴다. 또한, 이송 싱커(49)를 이동시키는 대신에, 이송 싱커(49)가 최종 루프(26)를 협지하고 있는 높이까지 옮김바늘(34)을 하강시키고나서, 이송장치 전체를 상승시켜 뜨개바늘(21)로부터 최종 루프(26)를 옮김바늘(34)에 옮기도록 하여도 좋다.The letter transfer device 13 for transferring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is moved just above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as shown in Fig. 20, the feed sinker 49 of the letter transfer device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tter 27 and lowered, and the height of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is set at Set it in a certain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op gap forming step ST4, as shown in Fig. 23,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letter transfer device 13 is moved to a height that makes contact with the hook back portion of the knitting needle 21,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21 is retained in the locking portion 49f of the transfer sinker 49 and is also pushed toward the center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19, And a gap G1 is form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s 21. 27, the transfer sinker 49 is moved to a height exceeding the hook of the knitting needles 21, and the final loop 26 of the letter 27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needle 34, as shown in Fig. . Instead of moving the conveying sinker 49, the conveying sinker 49 moves down the transfer needle 34 up to the height holding the final loop 26, and then raising the entire conveying apparatus to bring the knitting needles 21 The final loop 26 may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needle 34. [

편지 이동 공정(ST6)에서는,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27)를 편지 이송장치(13)에 의해 편성 스테이지로부터 봉합 스테이지로 이동시킨다.In the letter moving step ST6, the letter 27 is moved from the knitting stage to the sealing stage by the letter transfer device 13 as shown in Figs.

편지 뒤집기 공정(ST7)에서는, 도 31,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파이프(110)를 편지(27) 내에 삽입하여 편지(27)를 뒤집는다.In the letter flipping process ST7, as shown in Figs. 31 and 32, the turning pipe 110 is inserted into the letter 27 to turn the letter 27 upside down.

발끝 개구부 합침 공정(ST8)에서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에,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을 합친 후에,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싱커 유닛(41)의 이송 싱커(49)에 의해 가동 하프 다이얼(44)의 옮김바늘(34)의 최종 루프(26)를,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에 옮긴다.33, the transfer needles 34 of the movable half-dials 44 are combined with the transfer needles 34 of the fixed half-dials 43. Thereafter, as shown in Fig. 34 The final loop 26 of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movable half-dial 44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needle 34 of the fixed half-dial 43 by the transfer sinker 49 of the transfer sinker unit 41. [

발끝 개구부 봉합 공정(ST9)에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옮김바늘(34)에 포개진 최종 루프끼리를, 최종 루프마다(1스티치마다) 재봉틀 실(108)에 의해 봉합한다. 이 때에, 고정 하프 다이얼(43)의 회전기구(106)에 의해 재봉틀 바늘의 승강에 연동시켜서 편지(27)의 각 최종 루프가 1스티치씩 보내져서 확실하게 최종 루프가 1스티치마다 재봉틀 실(108)에 의해 봉합된다. 또한, 발끝 개구부 봉합 공정에서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김바늘(34)의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34b)에 의해 재봉틀 바늘의 승강시에 재봉틀 바늘이 안내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각 최종 루프 내에 재봉틀 바늘을 통과시킬 수 있다.38, the final loops superimposed on the transfer needles 34 of the fixed half-dials 43 are transferred by the sewing machine room 108 for each final loop (every one stitch) Suture. At this time, the final loops of the letters 27 are sent one by one by interlocking with the elevation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by the rotation mechanism 106 of the fixed half-dial 43, so that the final loop is surely transmitted to the sewing machine room 108 ). 39, since the sewing machine needle is guided by the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34b of the transfer needle 34 when the sewing machine needle is mov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39, the sewing machine needle Can pass.

편지 표측 뒤칩기 공정(ST10)에서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로드(113)가 편지 내에 삽입됨으로써 터닝 파이프(110) 내에서 편지(27)가 표측으로 되돌려진다.In the post-lettering rearrangement process ST10, as shown in FIG. 42, the turning rod 113 is inserted into the letter, so that the letter 27 is returned to the table in the turning pipe 110. FIG.

편지 배출 공정(ST11)에서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파이프(110) 내에서 표측으로 되돌려진 편지(27)가 흡인되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유닛(102)의 배출 튜브(102a)를 통해서 환편기(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제품 수용 박스에 배출된다.42, the letter 27 returned to the table in the turning pipe 110 is sucked in the letter discharging step ST11 so that the discharge tube 102a of the discharging unit 102, as shown in Fig. 1,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11 through the opening /

장치 복귀 공정(ST12)에서는, 도 43,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작동부가 초기의 위치 상태가 되고, 다음 편지가 짜올려지는 것을 대기한다.In the device returning step ST12, as shown in Figs. 43 and 44, each operation unit is placed in the initial position state and waits for the next letter to be squeez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최종 루프를 봉합할 때에 1스티치마다 재봉틀 실을 1회 통과시키도록 했지만, 재봉틀 실의 통과 횟수는 1회뿐만 아니라 2회 이상 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복수회의 재봉틀 실을 통과시키는 에리어를 최종 루프의 폐쇄 시작수 루프와 폐쇄 종료수 루프로 함으로써 봉합에 의한 폐쇄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재봉틀 실을 복수회 통과시키는 부분은, 폐쇄 시작이나 폐쇄 종료에 한하지 않고, 적당 에리어이어도 좋다. 또한, 최종 루프에 통과시키는 재봉틀 실은, 예를 들면 복수 피치마다로 바꾸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재봉틀 실을 1회 통과시키는 루프와 2회 통과시키는 루프를 교대로 해도 좋고, 또한 수피치마다 재봉틀 위치를 복수회 통과시키는 루프로 해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wing machine room is passed once per stitch at the time of sewing the final loop. However, the number of times of passage of the sewing machine room may be not only once but also twice or more. Further,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losed portion by the sealing by making the area through which the sewing machine room passes a plurality of times be the closing start number loop and the closing end number loop of the final loop. Further,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sewing machine room is caused to pass a plurality of times is not limited to the start and end of closing, and may be a suitable area. Further, the sewing machine room to be passed through the final loop may be changed for every plural pitches, for example. For example, a loop for passing the sewing machine room once and a loop for passing the sewing machine room two times may be alternately provided, or a loop for allowing the sewing machine position to pass a plurality of times for every several pitches may be used.

Claims (14)

환편기로 짜여진 편지의 일단을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환편기의 뜨개바늘 실린더의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편지를 옮기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으로서,
상기 옮김바늘과 상기 뜨개바늘을 상기 뜨개바늘 축방향에 상대적으로 진입시켜 상기 옮김바늘과 상기 뜨개바늘을 연속시키고,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각 뜨개바늘간의 간극에,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송 싱커를 넣고, 상기 이송 싱커의 선단부의 록킹부에 의해 상기 뜨개바늘에 걸린 편지의 최종 루프를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내측으로 밀어서 상기 뜨개바늘의 내측면과 상기 최종 루프 앞의 루프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 싱커를 상기 뜨개바늘로부터 상기 옮김바늘로 상기 뜨개바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이송 싱커에 의해 상기 최종 루프를 상기 뜨개바늘로부터 상기 옮김바늘로 옮기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A letter transfer method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ransferring letters from a knitting needle of a knitting needle cylind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o a transfer needle for closing one end of a letter knitted wit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he transfer needle and the knitting needles are relative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axis to continuously connect the transfer needle and the knitting needle,
A feed sinker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to the inside thereof and the final loop of the knot stuck to the knitting needle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feed sinker Pushing it inward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to form a gap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s and the loop in front of the final loop,
And moving the transfer sinker from the knitting needle to the transfer needle by the transfer sinker by moving the knitting need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s with the transfer nee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싱커는 띠판상의 이송 싱커 본체와, 경사부를 갖고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종 루프에 록킹되는 상기 록킹부를 갖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이송 싱커 본체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이송 싱커 본체의 두께는 상기 뜨개바늘간의 간극과 동일한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sinker comprises a conveying sinker main body in the form of a strip plate, the front end portion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formed at an acute angle, and the 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and locked to the final loop,
Wherein the tip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ar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veying sinker main body, and the thickness of the conveying sinker main body is equal to the gap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뜨개바늘 및 상기 옮김바늘은 원주 방향으로 등간간격으로 배치되어 뜨개바늘군 및 옮김바늘군을 구성하고,
상기 옮김바늘군은 180°간격으로 2분할되어서 한쪽의 제 1 옮김바늘군이 고정 하프 다이얼에, 다른쪽의 제 2 옮김바늘군이 가동 하프 다이얼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가동 하프 다이얼은 힌지부를 통해서 반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 및 상기 가동 하프 다이얼이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제 1 옮김바늘군의 선단에 상기 제 2 옮김바늘군의 선단이 근접 또는 접촉해서 양 옮김바늘이 연속하는 폐쇄 상태로 선택적으로 셋팅되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knitting needles and the transfer needl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nstitute a knitting needles group and a transfer needles group,
The transfer needle group is divided into two at intervals of 180 degrees so that one group of first transfer needles is attached to the fixed half-dial and the other group of second transfer needles is attached to the movable half-
Wherein the movable half-dial is reversibly attached to the fixed half-dial through a hinge, and the movable half-dial is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fixed half-dial and the movable half-dial are on the same plane, Wherein a tip of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is in proximity to 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so that both transfer needles are successively set in a closed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옮김바늘군과 상기 제 2 옮김바늘군은 선단이 상기 각 하프 다이얼의 반경방향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 1 옮김바늘군과 상기 제 2 옮김바늘군의 한쪽의 선단에는 다른쪽의 선단을 수납하는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선단이 상기 다른쪽의 수납 홈에 수납되어서 상기 제 1 옮김바늘군과 상기 제 2 옮김바늘군이 옮김바늘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transfer needle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in the closed state are arranged such that the tip ends of the first transfer needle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espective half- The first transfer needle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ar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one end of the one transfer needle is accommodated in the other of the receiving grooves, A method of transferring letter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hat continues in the direction of the needle axi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루프를 상기 뜨개바늘로부터 상기 옮김바늘로 옮기기 전에, 상기편지의 상기 최종 루프의 상방에서 상기 뜨개바늘간의 간극에 상기 이송 싱커를 삽입한 후에 하강시키고, 상기 이송 싱커의 선단부 하면에 의해서 상기 최종 루프를 눌러서 옮김 전의 상기 최종 루프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ransfer sinker is lowered after inserting the transfer sinker into a space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above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before transferring the final loop from the knitting needle to the transfer needle, And the height of the final loop before shifting is matched by pressing the loops.
제 3 항, 제 4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을 인용하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루프가 상기 뜨개바늘로부터 상기 옮김바늘에 옮겨진 후에, 상기편지의 상기 최종 루프를 봉합하기 위해서 재봉틀 유닛에 상기 편지를 이동하고, 상기 재봉틀 유닛의 재봉틀 바늘의 승강에 연동시켜서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을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Moving the letter to the sewing machine unit for sewing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after the final loop is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 and interlocking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unit, A method of transferring a lett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which rotat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측의 상기 옮김바늘은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을 축방향에 갖고, 상기 재봉틀 바늘의 승강시에 상기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에 의해 상기 재봉틀 바늘을 안내하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ransfer needle on the fixed half dial side has a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in the axial direction and guides the sewing machine needle by the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when the sewing machine needle is lifted or lowered.
환편기로 짜여진 편지의 일단을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환편기의 뜨개바늘 실린더의 뜨개바늘로부터 옮김바늘로 편지를 옮기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로서,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상방에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중심선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옮김바늘을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갖고, 하강 상태에서 상기 뜨개바늘의 내측면에 근접해서 상기 옮김바늘이 상기 뜨개바늘에 축방향에서 연속하는 옮김바늘 유지통과,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각 뜨개바늘의 사이에서,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록킹부에 의해 상기 뜨개바늘에 걸린 상기 편지의 최종 루프를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내측으로 밀어, 상기 뜨개바늘의 내측면과 상기 최종 루프 앞의 루프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이송 싱커와,
상기 옮김바늘과 상기 뜨개바늘이 연속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싱커를 상기 뜨개바늘로부터 상기 옮김바늘로 상기 뜨개바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싱커 승강기구를 구비하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
A letter transfer apparatus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ransferring letters from a knitting needle of a knitting needle cylinder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o a transfer needle for closing one end of a letter woven by a circular knitting machine,
Wherein the transfer needle is disposed above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in the center line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and has the transfer need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ransitional needle passing through the knitting needle in the axial direction,
A knitting needle cylinde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so as to be able to move inward and outward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A feed sinker for pushing a final loop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to form a gap between an inn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 and a loop in front of the final loop,
And a conveyance sinker elevator for moving the conveyance sinker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 in the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s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needle and the knitting needles are continuou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싱커는 띠판상의 이송 싱커 본체와, 경사부를 갖고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와,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종 루프에 록킹하는 상기 록킹부를 갖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이송 싱커 본체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이송 싱커 본체의 두께는 상기 뜨개바늘의 간극과 동일한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veying sinker comprises a conveying sinker main body in the form of a strip, a front end portion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formed at an acute angle,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and locking in the final loop,
Wherein the leading end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ar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veyance sinker main body and the thickness of the conveyance sinker main body is the same as the gap of the knitting needles.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뜨개바늘 실린더의 상기 뜨개바늘에 대응해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상기 옮김바늘이 배치되어 있는 옮김바늘군과,
상기 옮김바늘군이 180°간격으로 2분할되어, 한쪽의 제 1 옮김바늘군이 배치되는 고정 하프 다이얼과,
다른쪽의 제 2 옮김바늘군이 배치되는 가동 하프 다이얼과,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가동 하프 다이얼을 반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 및 상기 가동 하프 다이얼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의 상기 제 1 옮김바늘군의 선단에 상기 가동 하프 다이얼의 상기 제 2 옮김바늘군의 선단이 근접 또는 접촉해서 양 옮김바늘이 연속하는 폐쇄 상태로 선택적으로 셋팅하는 힌지부를 갖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 transfer needles group in which the transfer needl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knitting needles of the knitting needle cylinder;
A fixed half-dial in which the group of transfer needles is divided into two at intervals of 180 degrees and in which one group of first transfer needles is arranged,
A movable half-dial on which the other group of second transfer needles are arranged,
Wherein the movable half-dial is reversibly attached to the fixed half-dial, and an open state in which the fixed half-dial and the movable half-dial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a hinge portion for selectively setting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ransfer needle group of the movable half-dial to be in a closed state in which both transfer needles are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옮김바늘군과 상기 제 2 옮김바늘군은 선단이 상기 각 하프 다이얼의 반경방향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 1 옮김바늘군과 상기 제 2 옮김바늘군의 한쪽의 선단에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다른쪽의 선단을 수납하는 수납 홈을 갖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transfer needles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s group are arranged such that their tips are shifted in position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espective half-
Wherein the one end of one of the first transfer needles group and the second transfer needles group has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other end in the closed state.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루프를 상기 뜨개바늘로부터 상기 옮김바늘로 옮기기 전에, 상기편지의 상기 최종 루프의 상방에서 상기 뜨개바늘의 사이에 상기 이송 싱커를 삽입한 후에 하강시키고, 상기 이송 싱커의 선단부 하면에 의해서 상기 최종 루프를 눌러서 옮김 전의 상기 최종 루프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Before the final loop is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 the transfer sinker is insert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at a position above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then lowered, And the height of the final loop before shifting is matched by pressing the loops.
제 10 항, 제 11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을 인용하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루프가 상기 뜨개바늘로부터 상기 옮김바늘로 옮겨진 후에, 상기편지의 상기 최종 루프를 봉합하기 위해서 재봉틀 유닛에 상기 편지를 이동하는 이동기구와,
상기 재봉틀 유닛의 재봉틀 바늘의 승강에 연동시켜서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을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갖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1,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letter to the sewing machine unit to seal the final loop of the letter after the last loop is transferred from the knitting needles to the transfer needle,
And a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fixed half-di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ion of the sewing machin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프 다이얼측의 상기 옮김바늘은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을 축방향에 갖고, 상기 재봉틀 바늘의 승강시에 상기 재봉틀 바늘 가이드 홈에 의해 상기 재봉틀 바늘을 안내하는 환편기의 편지 이송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ransfer needle on the fixed half-dial side has a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in the axial direction and guides the sewing machine needle by the sewing machine needle guide groove when the sewing machine needle is lifted or lowered.
KR1020177006564A 2014-08-29 2015-03-24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feed method and device KR1018002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6629 2014-08-29
JP2014176629A JP5813192B1 (en) 2014-08-29 2014-08-2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knitted fabric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PCT/JP2015/058876 WO2016031281A1 (en) 2014-08-29 2015-03-24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feed method an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437A true KR20170034437A (en) 2017-03-28
KR101800222B1 KR101800222B1 (en) 2017-11-22

Family

ID=5459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564A KR101800222B1 (en) 2014-08-29 2015-03-24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feed method and devic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87632B1 (en)
JP (1) JP5813192B1 (en)
KR (1) KR101800222B1 (en)
CN (1) CN106661784B (en)
TR (1) TR201821038T4 (en)
TW (1) TWI537445B (en)
WO (1) WO201603128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7312B (en) * 2015-12-07 2018-08-07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Shift margin to seam
CN105887323B (en) * 2015-12-07 2018-08-07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Shift stitching devices
CN105887318B (en) * 2015-12-07 2018-11-16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It is a kind of with the integral type hosiery machine for turning over socks function
CN105887313B (en) * 2015-12-07 2018-04-24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One kind knits socks sewing method
CN105887310B (en) * 2015-12-07 2018-04-24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One kind knits socks suture and turns over socks method
CN105887316B (en) * 2015-12-07 2018-11-16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From the transfer method of the syringe of hosiery machine transfer socks
CN105887325B (en) * 2015-12-07 2018-05-18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One kind knits socks sewing method
CN105887324B (en) * 2015-12-07 2018-05-18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Shift margin to seam
CN105887322B (en) * 2015-12-07 2018-05-18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Shift margin to seam
CN105887315B (en) * 2015-12-07 2018-03-02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One kind knits socks sewing method
CN105887317B (en) * 2015-12-07 2018-05-04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One kind knits socks sewing method
CN105887319B (en) * 2015-12-07 2018-10-16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Shift stitching devices
CN105887321B (en) * 2015-12-07 2018-04-24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Shift stitching devices
CN105887299B (en) * 2015-12-07 2017-12-22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One kind installation pipe device
CN105887320B (en) * 2015-12-07 2018-01-16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Integral type hosiery machine
CN105887311B (en) * 2015-12-07 2017-08-25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A kind of braces operating assembly
IT201600072994A1 (en) * 2016-07-13 2018-01-13 Lonati Spa Pick-up device for picking up a knitted tubular product from a circular knitting, hosiery or similar machine and transferring it to a unit designed to perform further operations on the product.
CN106087222B (en) * 2016-08-30 2018-02-23 泉州恒毅机械有限公司 It is a kind of can mutual barring-on up and down rib knitting machine
CN107805876A (en) * 2017-11-24 2018-03-16 新昌县振兴纺织机械有限公司 A kind of positioning liftout attachment for being used to knit socks margin to seam all-in-one
CN107805875B (en) * 2017-11-24 2023-06-30 浙江专博纺织机械有限公司 Sock body positioning and ejection device of integrated sock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cover
IT201800002290A1 (en) * 2018-02-01 2019-08-01 Lonati Sp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ections of knitted product by mean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cylinder of the needles which can be operated with an alternating rotary motion around its axis.
CN108642726B (en) * 2018-08-16 2023-10-27 浙江叶晓针织机械有限公司 Sock head sewing and fixing device
CN110230146A (en) * 2018-11-02 2019-09-13 浙江叶晓针织机械有限公司 A kind of footwear machine
IT201900009615A1 (en) * 2019-06-20 2020-12-20 Santoni & C Spa Reversing device for tubular knitted products and method for overturning a tubular knitted product
CN112853593A (en) * 2019-11-28 2021-05-28 浙江博睿智能科技有限公司 Fabric pick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IT201900024108A1 (en) * 2019-12-16 2021-06-16 Sgm Automazioni S R L PROCEDURE FOR CLOSING ONE END OF A TUBULAR PRODUCT DIRECTLY ON CIRCULAR MACHINES FOR Hosiery, KNITWEAR AND RELATIVE CIRCULAR MACHINE
CN113493955B (en) * 2020-03-19 2022-10-28 典洋针织机械股份有限公司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high-density fabric
TWM615158U (en) * 2021-03-31 2021-08-01 大康織機股份有限公司 Structure of taking sock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9746B1 (en) * 1994-04-26 1998-08-05 Sangiacomo S.p.A. Device for handling knitted products manufactured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machines
IT1291787B1 (en) * 1997-02-26 1999-01-21 Golden Lady Spa METHOD AND SINGLE CYLINDER MACHINE FOR SOCKS AND SIMILAR, FOR THE AUTOMATIC CLOSURE OF THE FINAL END OF A TUBULAR KNITTED FABRIC
ITFI980040A1 (en) * 1998-02-20 1999-08-20 Fabritex Srl DEVICE FOR HANDLING KNITWEAR OF TEXTILE ARTICLES.
IT1312444B1 (en) * 1999-05-14 2002-04-17 Lonati Spa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MANUFACTURES, OF THE TYPE OSIMILI SOCKS, CLOSED IN CORRESPONDENCE OF AN AXIAL END, WITH A
ITFI20010143A1 (en) * 2001-07-24 2003-01-24 Fabritex Srl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OR HANDLING THE SHIRTS OF A TEXTILE MANUFACTURE
ITFI20020199A1 (en) * 2002-10-21 2004-04-22 Fabritex Srl METHOD AND APPARATUS TO JOIN THE EDGES OF A TUBULAR KNITTED FABRIC MANUFACTURE
ITMI20080398A1 (en) * 2008-03-10 2009-09-11 Lonati Spa PRELEVATOR DEVICE TO OPERATE THE COLLECTION OF A TUBULAR KNITTED MANUFACTURER FROM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SHIRTS, FOOTWEAR OR THE LIKE AND ITS TRANSFER TO A UNIT IS POSSIBLE TO PERFORM FURTHER OPERATIONS ON THE MANUFACTURE.
CN101929028B (en) * 2009-06-19 2014-10-29 马西莫·比安基 Device and method for closing sock toes at tail ends of tubular knitting sock products
US7882711B2 (en) * 2009-06-19 2011-02-08 Massimo Bianchi Device for closing the toe at the end of tubular hosiery articles
TWI448595B (en) * 2010-04-06 2014-08-11 Da Kong Entpr Co Ltd Sock body delivery device and method thereof
TWI539050B (en) * 2013-11-15 2016-06-21 Da Kong Entpr Co Ltd Sewing sock machine needle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7445B (en) 2016-06-11
JP2016050370A (en) 2016-04-11
CN106661784B (en) 2018-01-30
WO2016031281A1 (en) 2016-03-03
JP5813192B1 (en) 2015-11-17
EP3187632A1 (en) 2017-07-05
EP3187632A4 (en) 2017-09-13
EP3187632B1 (en) 2018-12-05
KR101800222B1 (en) 2017-11-22
TR201821038T4 (en) 2019-01-21
TW201612372A (en) 2016-04-01
CN106661784A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222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feed method and device
RU2085637C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edges of knitted tubular article
EP3187633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seaming method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system
US54872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two edg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CN101501259B (en) System and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product and stitching the joint of the knitted product
CZ20011295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wing sock toe
KR201001242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at one of its axial ends, at the end of its producion cycle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JP7018425B2 (en) A pickup device for picking up a tubular knit product from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socks, etc. and transferring this knit product to a unit configured to perform further movements on the knit product.
US10718075B2 (en) Method for preparing a tubular article, such as a sock or the like, for automated pickup at the end of its forming on a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with at least one feed or drop, and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for the execution thereof
KR201800907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up a tubular knitted product from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8474150B (en) Turning device for turning a knitted tubular article inside out
KR20030088036A (en) Device for picking up a tubular knitted article from a knitting machine and for sewing the toe
US6826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stitch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to an operating station
KR100489718B1 (en) Plate for closing the toe of hosiery
JP5854364B1 (en) Knit fabric stitching method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system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EP39535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knitted articles with a closed toe
TW202332817A (en) Improved circular machine for hosiery and knitwear and process for closing an end of a tubular manufactured article directly on a circular machine
CZ20023028A3 (en) Device for closing toes i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