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197A -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197A
KR20170034197A KR1020150132573A KR20150132573A KR20170034197A KR 20170034197 A KR20170034197 A KR 20170034197A KR 1020150132573 A KR1020150132573 A KR 1020150132573A KR 20150132573 A KR20150132573 A KR 20150132573A KR 20170034197 A KR20170034197 A KR 2017003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onducting wire
protective layer
superconducting
temperature superconducting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467B1 (ko
Inventor
고락길
김석환
조영식
하동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467B1/ko
Priority to PCT/KR2016/009907 priority patent/WO2017047959A1/ko
Publication of KR2017003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2/06Films or wires on bases or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에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초전도 패치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METHOD FOR REPAIRING DEFECT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을 보수하는 방법 및 특성이 우수한 고온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 현상이란 어떤 종류의 금속이나 합금을 절대영도(0K: -273°) 가까이 냉각시켰을 때, 전기저항이 갑자기 소멸하여 전류가 아무런 장애 없이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초전도체는 NbTi, 및 Nb3Sn 등의 저온 초전도체(LTS: Low Temperature Superconductor)와 YBCO(Y-Ba-Cu-O)계, BSCCO(Bi-Sr-Ca-Cu-O)계, TCBCO(Tl-Ca-Ba-Cu-O)계, HBCCO(Hg-Ba-Ca-Cu-O)계 등의 고온 초전도체(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임계온도가 25K 이상)로 분류된다.
저온 초전도체는 임계온도가 25K 이하로서, 액화 헬륨에서 초전도체가 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저온 초전도체는 선재로서의 가공이 용이하고, 전류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헬륨을 사용하게 되면 냉각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고온 초전도체는 임계온도가 25K 이상으로서, 액화 질소를 냉매로 사용하여 냉각비용을 절감시키고 응용 가능성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고온 초전도체는 장선의 선재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고온 초전도 선재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성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예를 들어, 고온 초전도 선재가 권선되어 형성되는 초전도 마그네트의 ?치(Quench)로부터의 안정성과 발생 자장의 고균등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과정 중에 여러 박막 공정을 거치면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고온 초전도 선재에 형성된 결함은 결국 최종적으로는 초전도층의 결함으로 귀결되어 초전도층의 통전 전류를 비롯한 자장 특성 저하로 나타난다.
고온 초전도 선재의 길이 방향으로의 성능 균일성을 저하시키고, 고온 초전도 선재의 장선화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1,000m 길이에서 600A의 임계전류를 갖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고자 했으나, 제조 후 길이 방향으로의 임계전류를 측정했을 때, 국소적으로 3군데의 결함으로 임계전류가 300A로 낮아졌다고 가정하자.
이때, 초전도 선재 회사는 제조된 고온 초전도 선재를 300A의 임계전류를 갖는 장선의 1,000m 길이의 초전도 선재로 판매하거나, 초전도 선재를 절단하여 결함이 있는 3군데를 제거한 후 1,000A의 임계전류를 갖는 짧은 길이의 초전도 선재로 판매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초전도 선재에 발생하는 결함은 선재의 제조 과정 중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장선의 초전도 선재를 구매한 사용자가 권선 등의 작업 과정 및 보관 과정을 수행하면서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온 초전도 선재에 발생한 결함을 효과적으로 보수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은 장선의 고온 초전도 선재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은 고온 초전도 선재의 성능 균일성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은 고온 초전도 선재의 두께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 방식으로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을 보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은,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에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초전도 패치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는, 제 1 보호층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에서, 상기 제 1 보호층에 초전도 패치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는, 제 1 보호층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에서, 상기 제 1 보호층에 초전도 패치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은,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고온 초전도 선재에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가,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호층 및 상기 제 1 보호층에 부착되는 상기 초전도 패치의 보호층은, 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보호층은,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은, 홀 프로브(hall probe) 및 4침법(4-point prob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는,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또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은,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판, 완충층, 초전도층 및 제 1 보호층을 포함하는 예비 초전도 선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초전도 선재에서의 결함 부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결함 부위에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초전도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예비 초전도 선재에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가,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일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i) 장선의 고온 초전도 선재를 획득할 수 있다.
ii) 고온 초전도 선재의 성능 균일성을 달성할 수 있다.
iii) 고온 초전도 선재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온 초전도 선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초전도 패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수된 고온 초전도 선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고온 초전도 선재'는 특별하게 명시하지 않는 한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의미하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는 고온 초전도 선재 중 결함이 위치하는 지점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온 초전도 선재(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고온 초전도 선재(10)는 기판(11), 완충층(13), 초전도층(15) 및 보호층(17, 19)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은 금속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 등 통상의 초전도 선재 제조용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기판일 수 있다.
완충층(13)은 기판(11)과 초전도층(15) 사이에 개재되어 후속되는 초전도층(15)에 결정학적 배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공정 중 발생하는 기판(11)으로부터의 금속물질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층으로 작용한다. 완충층(13)은 ZrO2, CeO2, YSZ, Y2O3 및 HfO2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층(13)은 초전도 제품의 용도 및 제조 방법에 따라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초전도층(15)은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초전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YBa2Cu3O7으로 대표되는 RE123 초전도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초전도층(15)으로 Bi계의 초전도 물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보호층(17, 19)은 도전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층(17, 19)은 기판(11), 완충층(13) 및 초전도층(15)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층(17, 19)은 초전도 선재(10)의 과전류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초전도 선재(10)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보호층(17, 19)은 제 1 보호층(17)과 제 2 보호층(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호층(17)은 제 1 소재(예를 들어, 은(Ag))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보호층(19)은 제 2 소재(예를 들어,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판(11)인 경우 그 두께는 약 50㎛ ~ 100㎛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완충층(13)은 약 0.2㎛ 이내의 두께를 가지고, 초전도층(15)은 약 1㎛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제 1 보호층(17)은 약 2㎛ 이내의 두께를 가지며, 제 2 보호층(19)은 약 20㎛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즉, 고온 초전도 선재(10) 전체 두께 중 기판(11)의 두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발생한 결함 부위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 초전도 선재(10)를 절단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장선화를 위해서는 2개 이상의 고온 초전도 선재(10)를 서로 접합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도 2(a)와 도 2(b)는 랩 조인트(lab joint)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고온 초전도 선재(10a)와 다른 고온 초전도 선재(10b)를 솔더(solder)(20)로 부착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온 초전도 선재(10c, 10d)를 일렬로 배열한 후, 두 개의 고온 초전도 선재(10c, 10d)의 상부에 다른 고온 초전도 선재(10e)를 솔더(20)로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서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접합 부위의 두께가 매우 커지고, 전체적으로 두께에 단차가 발생하게 되어, 기계적 강도가 약화될 수 있으며, 마그네트 권선시 권선 오류를 유발하게 되어 설계한 자계의 오차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결함을 보수하거나, 고온 초전도 선재(10)를 제조하는데 있어, 기판(11)이 존재하지 않는 고온 초전도 패치를 이용하여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두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예시적인 초전도 패치(3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초전도 패치(30)는 초전도층(15) 및 보호층(17, 19)만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층(13)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17, 19)은 제 1 보호층(17)과 제 2 보호층(19)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보호층(17, 19)은 제 1 보호층(17)과 제 2 보호층(19) 중 어느 하나의 보호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구현예로서, 초전도 패치(30)의 상부에는 제 1 보호층(17)과 제 2 보호층(19) 중 하나의 보호층만이 존재하고, 하부에는 제 1 보호층(17)과 제 2 보호층(19) 모두가 존재할 수 있다. 제 1 보호층(17)은 제 1 소재(예를 들어, 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보호층(19)은 제 2 소재(예를 들어,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초전도 패치(30)에는 기판(11)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구조에서 기판(11)이 제거된 구조를 가지므로, 그 두께가 매우 얇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초전도 패치(3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공개번호 제10-2014-0067495호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에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번호 제10-2014-0067495호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수된 고온 초전도 선재(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결함(d1, d2)이 존재하는 경우,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초전도 패치(30)를 부착함으로써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결함(d1, d2)을 보수할 수 있다. 고온 초전도 선재(10)와 초전도 패치(30)를 서로 부착시키는데 있어, 솔더를 사용하지 않고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보호층과 초전도 패치(30)의 보호층을 직접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온 초전도 선재(10)와 초전도 패치(30) 사이의 전기 저항 감소와 추가적인 접합 매체에 의한 두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초전도 패치(30)는 결함(d1, d2)이 발생된 위치에서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흐르는 전류의 바이패스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결함(d1)과 결함(d2)가 존재하는 층이 상이할 수 있는데, 초전도 패치(30)를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부착시킬 때, 고온 초전도 선재(10) 중 결함(d1, d2)이 위치하는 지점의 상부 표면을 덮도록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초전도 패치(30)를 부착하기 전에,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부착될 초전도 패치(30)를 선정하는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함(d1, d2)에 의해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임계전류가 낮아졌다면,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임계전류보다 높은 임계전류 특성을 갖는 초전도 패치(30)가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10)의 결함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보호층(17, 19)과 초전도 패치(30)의 보호층(17, 19)은 은으로 이루어진 제 1 보호층(17)과 구리로 이루어진 제 2 보호층(19)을 포함할 수 있는데, 초전도 패치(30)를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부착시키는 데 있어, 은으로 이루어진 제 1 보호층(17)끼리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은으로 이루어진 제 1 보호층(17)끼리의 접합은 특별한 매체 없이도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접합이 잘 되며, 은(Ag)은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면서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고온 초전도 선재(10)와 초전도 패치(30) 사이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추가적인 접합 매체에 의한 두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은으로 이루어진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제 1 보호층(17)과 초전도 패치(30)의 제 1 보호층(17)을 서로 부착시키는 데 있어, 열처리를 통한 부착 방법, 은 페이스트(silver paste)를 이용한 부착 방법 또는 은 착체 화합물을 이용한 부착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5(a)는 고온 초전도 선재(1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초전도 선재(10)에는 2개의 결함(d1, d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온 초전도 선재(10)에서의 결함(d1, d2)의 위치는 홀 프로브(hall probe) 및 4침법(4-point prob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홀 프로브 및 4침법은 당업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구 및 방법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에 도시된 결함(d1, d2)의 위치 및 개수는 실시예일뿐이며, 결함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도 5(a)는 결함(d1)이 초전도층(15)에 위치하고, 결함(d2)이 완충층(13)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홀 프로브 및 4침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함(d1, d2)의 위치를 판단하더라도, 실제 결함(d1, d2)이 어느 층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대신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부 표면 전체 영역 중 어느 영역에서 초전도 선재의 특성이 저하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영역의 하부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보면,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될 위치의 제 2 보호층(19)이 고온 초전도 선재(10)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호층(17)의 표면에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된다. 제 1 보호층(17)에 초전도 패치(30)를 부착하기 전에 초전도 패치(30)에 구리로 이루어진 제 2 보호층(19)이 존재하는 경우, 초전도 패치(30)의 제 2 보호층(19)을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된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제 2 보호층(19)을 증착한다. 이때, 고온 초전도 선재(10)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19)의 두께(t1)가,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19)의 두께(t2)보다 작도록 한다.
도 5(d)에 도시된 고온 초전도 선재(10)에서는 결함(d1, d2)이 발생된 위치의 상부에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성능의 균일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63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 완충층(13), 초전도층(15) 및 제 1 보호층(17)으로 이루어진 예비 초전도 선재(610)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홀 프로브(hall probe) 및 4침법(4-point prob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예비 초전도 선재(610)에 발생한 결함(d1, d2)의 위치를 결정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d1, d2)이 발생한 위치의 표면에 초전도 패치(30)를 부착한다. 제 1 보호층(17)에 초전도 패치(30)를 부착하기 전에 초전도 패치(30)에 구리로 이루어진 제 2 보호층(19)이 존재하는 경우, 초전도 패치(30)의 제 2 보호층(19)을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된 고온 초전도 선재(630)의 표면에 제 2 보호층(19)을 증착한다. 이때, 고온 초전도 선재(630)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19)의 두께(t1)가, 초전도 패치(30)가 부착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19)의 두께(t2)보다 작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은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는 상전도체 및 상전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전도체의 내부에 포함된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을 포함한다. 상전도체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 1 보호층에 대응하며, 은(A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은 BSCCO 2223 또는 BSCCO 2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전도체의 표면에는 구리로 이루어진 제 2 보호층이 부착될 수 있다.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제 2 보호층을 제거한 후, 초전도 패치를 결함 부위에 부착시키고, 초전도 패치 및 상전도체의 표면에 제 2 보호층을 부착시킴으로써,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는데 있어, 상전도체와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을 포함하는 예비 초전도 선재를 생성한 후, 초전도 패치를 결함 위치에 부착시키고, 초전도 패치 및 상전도체의 표면에 제 2 보호층을 부착시킴으로써,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은 장선의 고온 초전도 선재를 획득할 수 있는 동시에 고온 초전도 선재의 성능 균일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은 고온 초전도 선재의 두께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 방식으로 초전도 선재의 결함을 보수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일반적인 고온 초전도 선재
11: 기판
13: 완충층
15: 초전도층
17: 제 1 보호층
19: 제 2 보호층
20: 솔더
30: 초전도 패치
610: 예비 초전도 선재
630: 고온 초전도 선재

Claims (10)

  1.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에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초전도 패치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는,
    제 1 보호층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에서, 상기 제 1 보호층에 초전도 패치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는,
    제 1 보호층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에서, 상기 제 1 보호층에 초전도 패치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은,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고온 초전도 선재에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가,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층 및 상기 제 1 보호층에 부착되는 상기 초전도 패치의 보호층은, 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보호층은, 구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은,
    홀 프로브(hall probe) 및 4침법(4-point prob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부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초전도 선재는,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또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9.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판, 완충층, 초전도층 및 제 1 보호층을 포함하는 예비 초전도 선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초전도 선재에서의 결함 부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결함 부위에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초전도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예비 초전도 선재에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가, 상기 초전도 패치가 부착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제 2 보호층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KR1020150132573A 2015-09-18 2015-09-18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KR10239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73A KR102397467B1 (ko) 2015-09-18 2015-09-18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PCT/KR2016/009907 WO2017047959A1 (ko) 2015-09-18 2016-09-05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73A KR102397467B1 (ko) 2015-09-18 2015-09-18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197A true KR20170034197A (ko) 2017-03-28
KR102397467B1 KR102397467B1 (ko) 2022-05-13

Family

ID=5828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573A KR102397467B1 (ko) 2015-09-18 2015-09-18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7467B1 (ko)
WO (1) WO201704795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743A (ja) * 2008-02-05 2009-08-20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超電導テープ線材及び欠陥部の補修方法
JP2013114961A (ja) * 2011-11-30 2013-06-10 Sumitomo Electric Ind Ltd 酸化物超電導線材の欠陥修復方法および修復装置
KR20140067495A (ko) * 2012-11-26 2014-06-05 한국전기연구원 고온 초전도 선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7164B2 (ja) * 2009-12-28 2014-02-12 株式会社フジクラ 超電導線材の修復方法及び修復構造を有する超電導線材
JP6108888B2 (ja) * 2013-03-13 2017-04-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ピーラブル超電導導体、ピーラブル超電導導体の製造方法及び超電導線の補修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743A (ja) * 2008-02-05 2009-08-20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超電導テープ線材及び欠陥部の補修方法
JP2013114961A (ja) * 2011-11-30 2013-06-10 Sumitomo Electric Ind Ltd 酸化物超電導線材の欠陥修復方法および修復装置
KR20140067495A (ko) * 2012-11-26 2014-06-05 한국전기연구원 고온 초전도 선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467B1 (ko) 2022-05-13
WO2017047959A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074B1 (ko) 전기도금된 안정제 함량을 감소시키는 구조체
KR101276668B1 (ko) 접합 초전도 제품
JP5806302B2 (ja) 交流損失を低減したマルチフィラメント超伝導体とその形成方法
KR100766052B1 (ko) 필라멘트 타입용 고온초전도 선재의 제조방법
US20140100119A1 (en) Superconducting structure having linked band-segments which are each overlapped by directly sequential additional band-segments
Igarashi et al. Advanced development of IBAD/PLD coated conductors at FUJIKURA
Yagi et al. Experimental results of 275-kV 3-kA REBCO HTS power cable
US20040256141A1 (en) Superconducting cable and superconducting cable line using the same
KR20150097509A (ko) 코일 권선들 및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초전도 코일 장치
US20090156409A1 (en) Fault current limiter incorporating a superconducting article
KR20210119572A (ko) 초전도체 와이어의 제작
EP2806430B1 (en) Superconducting current lead, superconducting current lead device, and superconducting magnet device
US7417192B2 (en) Superconductor components
KR101805745B1 (ko) 초전도성 전도체 제조방법
Cheggour et al. Effect of fatigue under transverse compressive stress on slit Y-Ba-Cu-O coated conductors
JP2014130788A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体及び超電導機器
RU2726323C1 (ru) Обмотка поля с отслоенной лентой
KR101535844B1 (ko) 2세대 ReBCO 고온 초전도체의 영구전류모드 접합 및 접합부 강도 보강 방법
KR102397467B1 (ko) 고온 초전도 선재의 결함 보수 방법 및 고온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
Kato et al. Optimization of the direct diffusion bonding process using Cu stabilizing layers of the REBCO coated conductors
CN110808123A (zh) 适用超导电流引线的超导带材、超导电流引线及制备方法
Mousavi et al. Development of superconducting soldered joints between Bi-2212/Ag wires
Verhaege et al. HTS materials for ac current transport and fault current limitation
CN115079063B (zh) 适用于超导带材失超判断的结构、判断方法及超导带材
JP7256347B2 (ja) 高温超伝導線材の接続体および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