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214A -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214A
KR20170033214A KR1020150131288A KR20150131288A KR20170033214A KR 20170033214 A KR20170033214 A KR 20170033214A KR 1020150131288 A KR1020150131288 A KR 1020150131288A KR 20150131288 A KR20150131288 A KR 20150131288A KR 20170033214 A KR20170033214 A KR 2017003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degradation
user
unit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준
Original Assignee
박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준 filed Critical 박서준
Priority to KR102015013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3214A/ko
Publication of KR2017003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 대상을 사용하는 패턴을 측정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사용 대상의 성능을 단계적으로 저하시켜 사용자 스스로 사용 대상의 사용을 억제하도록 하되, 사용 대상을 완전히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 대상을 사용하는 최소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을 성능 저하의 하한으로 둠으로써, 사용자의 금단 증상을 최대한 완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사용 대상의 사용을 억제하면 단계적으로 해당 사용 대상의 성능을 회복시키되, 사용자가 해당 사용 대상의 사용 억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할 경우 해당 사용 대상의 성능 회복 속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보상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해당 사용 대상의 사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USER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USE PERFORMANCE OF USER}
본 발명은 컴퓨터, 스마트폰, 텔레비전 등 사용자가 스스로 사용을 조절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거부감이나 금단증상을 최소화하면서 그 사용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비롯한 스마트 폰 등의 전자 기기,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사이트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사용자 기기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와 같은 사용자 기기는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 주거나,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끼리 교류가 가능하게 해 주거나, 게임이나 노래 및 영화와 같은 문화 콘텐츠를 시간과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즐길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용자 기기의 이용에 중독되어 일상 생활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는 사례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사용자 기기의 이용에 관하여 스스로를 자제할 능력을 상실한 사람들을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면 해당 사용자 기기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97349호는 PC의 사용 시간을 제한하기 위하여 PC에 사용권을 부여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권 부여 카드에 PC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정보와 사용자 인증 비밀번호를 저장한 후, 사용자가 사용권 부여 카드에 저장된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PC에 설치된 사용권 부여 프로그램이 해당 사용권 부여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 시간이 지난 후에 PC를 종료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9490호는 PC의 사용 통제 정책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 저장 매체를 PC에 삽입함으로써 사용허용시간, 실행허용 프로그램, 접속허용 사이트 등을 통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95803호는 가정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대해서만 허가된 시간대에 사용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76003호는 인터넷 사용 시간 및 접속 사이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초과 시에 미리 설정된 유형의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들은 미리 설정된 사용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 또는 인터넷 사이트 등의 사용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해당 사용자 기기의 사용에 심하게 중독된 사용자에게 심각한 금단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을 통제하려는 시도에 대한 적개심과 분노를 표출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들은 만약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사용 제한 시간을 약간만 넘기면 하던 일을 다 마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 제한 시간이 초과하면 무조건 해당 사용자 기기의 사용 제한이 다시 해제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비효율성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들은 미리 설정된 사용 제한 조건에 의해 일방적으로 사용이 제한되는 구성만이 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사용자 기기의 사용을 제어하려고 노력할 아무런 유인을 제공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7349 (2000. 4. 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49490호 (2007. 9. 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5803 (2005. 9. 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76003 (2004. 1. 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사용자가 금단 증상 없이 자발적으로 사용자 기기의 사용을 억제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해당 성능을 단계적으로 저하시키되, 완전히 사용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최소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을 성능 저하의 하한으로 둠으로써, 사용자의 금단 증상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스스로 사용을 억제하면 단계적으로 해당 사용자 기기의 성능을 회복시키되, 사용자가 사용 억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할 경우 해당 사용자 기기의 성능 회복 속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보상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해당 사용자 기기의 사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 성능 제어 기능을 갖는 사용자 기기에 관하여 아래와 같은 실시예로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저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하 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 발생부의 성능 저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를 유발시키는 저하 유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사용을 측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저하 발생부의 상기 성능 저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 유발 요소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성능 저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를 상기 저하 발생부가 일정 수준만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성능 저하 조건에 의해 저하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제1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제2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제2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의 지정된 저하 회복 작업을 제3기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의 지정된 저하 회복 작업을 제3기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제1기간의 길이와 상기 저하 발생부의 사용 성능 저하의 발생 수준 또는, 상기 제2기간의 길이와 상기 저하 발생부의 사용 성능 회복의 수준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사용 또는 사용하지 않는 패턴에 의거하여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제1기간이 제1A기간과 제1B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A기간과 상기 제1B기간에 각기 다른 사용 성능 저하의 발생 수준이 지정되거나, 상기 제2기간이 제2A기간과 제2B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A기간과 상기 제2B기간에 상기 저하 발생부의 각기 다른 사용 성능 회복의 수준이 지정되거나, 상기 제3기간이 제3A기간과 제3B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3A기간과 상기 제3B기간에 상기 저하 발생부의 각기 다른 사용 성능 회복의 수준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회복 작업은 지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상기 지정된 프로그램을 상기 제3기간 동안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저하 요소가 저하시킨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 소정의 하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일정 수준만큼 상기 성능 저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일정 수준만큼 상기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에서 제한 대상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만족되고, 상기 저하 발생부의 사용 성능 저하 발생 동작은 상기 제한 대상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조건 및 성능 저하 처리의 수준은 상기 저하 유발부가 사용되는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지정되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 및 성능 회복 처리의 수준은 상기 저하 유발부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소정의 요일 또는 시간 구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만족되도록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유발부와 상기 저하 발생부는 별개의 구성요소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는 중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성능 회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된 경우보다 상기 저하 발생부의 저하 발생 동작이 더 빠르게 진행하도록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처리의 단계 또는 상기 성능 회복 처리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성능 저하 처리 또는 성능 회복 처리의 정보가 사용자, 제 3의 관리자,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 기기, 소프트웨어, 인터넷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 기기, 소프트웨어, 인터넷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에서 식별되는 사용자마다 별도로 적용되는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중앙 처리 장치(CPU), 프로세서, 메모리, 전원 장치, 배터리,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유발부의 사용을 방해하는 작동은 상기 저하 유발부가 아닌 상기 사용자 기기의 상기 출력 장치인 스피커에서 일정 간격 소리 발생, 상기 출력 장치인 광원에서 점등, 상기 출력 장치인 디스플레이에 일정 표시 출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유발부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중앙 처리 장치(CPU), 프로세서,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입력 장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적외선 리모트컨트롤러,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광원,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이 저하 또는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속도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정보 처리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감소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정보 처리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입력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입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입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입력 장치 작동부의 입력 반응 속도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입력부의 반응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감소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입력부의 반응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발생부인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컴퓨터의 입력 장치인 마우스(Mouse)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마우스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상 이동 거리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마우스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상 이동 거리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출력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출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출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출력부의 출력 강도, 출력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출력 강도, 상기 출력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수준만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출력 강도, 상기 출력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출력부는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출력부는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 요소는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별도의 잡음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잡음을 일정 수준만큼 발생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잡음을 일정 수준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통해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이 저하 또는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유발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제1기간 동안 노출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2기간 동안 노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게임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게임 참여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게임 기기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를 동작시켜 상기 게임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를 동작시켜 상기 게임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발생부인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의 프로그램은 상기 게임 기기의 실행 프로그램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사용자의 상기 게임 기기 명령에 반응하는 상기 실행 프로그램의 반응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게임 기기 명령에 반응하는 상기 실행 프로그램의 반응 속도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자동차이고, 상기 사용자는 운전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자동차의 작동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작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작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고, 상기 작동부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이 저하 또는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자동차의 출력 장치인 상기 자동차 내부의 스피커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강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강도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저하 요소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하한 수준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저하 유발부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장치가 동작 중인 경우 저하 유발 또는 회복 중지로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저하 유발부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하 유발 중지 또는 회복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저하 유발부는 비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장치가 동작 중인 경우 저하 유발 또는 회복 중지로 판단하고, 상기 비디오 장치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저하 유발부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하 유발 중지 또는 회복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저하 유발부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창의 내용물이 사용자의 시각으로 인지되는 화면 표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화면 창이 화면 표시 상태로 드러나 있는 상태이면 저하 유발 또는 성능 회복 중지로 판단하고, 상기 화면 창이 다른 화면 창의 뒤에 있어 가려져서 사용자가 상기 내용물을 인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화면 표시 상태가 아닌 감춤 상태이면 저하 유발부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하 유발 중지 또는 성능 회복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제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기기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저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하 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 발생부의 성능 저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 성능의 저하를 유발시키는 저하 유발부의 사용을 측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성능 저하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성능 저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를 일정 수준만큼 실행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성능 저하 조건에 의해 저하된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사용자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와, 사용자의 사용 특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저하 판단 단계와,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성능 저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단계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를 일정 수준만큼 실행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사용자의 사용 특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성능 회복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회복 판단 단계와,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성능 저하 조건에 의해 저하된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 단계는, 상기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 단계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단계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성능 회복 단계는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상기 성능 저하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 소정의 하한 수준 아래로는 저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
본 발명은 정보통신 기기와 소프트웨어, 인터넷 사이트와 같은 사용자 기기를 이용함에 있어 스스로를 제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가 스스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해당 사용자 기기의 이용을 자제하도록 유도하면서도 금단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사용자 기기의 성능 저하 및 성능 회복 단계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이 저하 및 회복되는 양상이 도시된 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권장 작업을 수행하여 적립한 보상 포인트가 성능 회복 처리 단계에서 적용되는 세부 단계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 기기의 사용과 사용자에 따라 성능 저하 처리 단계에서 적용되는 세부 단계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 사용자 기기(100)는 저하 유발부(110), 저하 판단부(120), 조건 저장부(130), 저하 발생부(140), 제어부(150), 보상 판단부(160), 유발 측정부(170), 사용자 식별부(180), 정보 인터페이스(190)으로 구성된다.
*저하 유발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할 때 사용되는 구성 요소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CPU, 키보드, 마우스,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등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할 때 동작하는 사용자 기기(100)의 모든 구성 요소가 저하 유발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유발 측정부(170)은 저하 유발부(110)가 사용되는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구성 요소로, 저하 유발부(110)의 사용 패턴을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상기 특정 조건은 연속적인 사용 시간 또는 일정 시간 내에서의 사용 시도 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하 판단부(120)는 유발 측정부(170)가 측정한 저하 유발부(110)의 사용 패턴이 조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성능 저하 조건 또는 성능 회복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
조건 저장부(130)은 성능 저하 조건 및 성능 회복 조건을 저장하는 구성 요소이다. 성능 저하 조건은 저하 발생부(140)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기 위한 조건이고 성능 회복 조건은 성능이 저하된 저하 발생부(140)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조건이다. 성능 저하 조건은 저하 유발부(110)의 사용 패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저하 유발부(110)의 사용 시간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고, 그 외 저하 유발부(110)의 동작 상태 등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하 유발부(110)가 화면 디스플레이인 전자 기기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 또는 디스플에이되는 특정 창의 표시 상태에 따라 성능 저하 조건 또는 성능 회복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성능 회복 조건은 기본적으로 저하 유발부(110)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별도로 지정된 소정의 작업을 사용자 기기 상에서 일정 시간 수행하는 것을 성능 회복 조건의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가 컴퓨터일 경우, 학습 프로그램을 일정 시간 실행하는 것이 성능 회복 조건의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성능 저하 조건과 성능 회복 조건은 사용자가 처한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마다 또는 시간대마다 별도의 성능 저하 조건 및 성능 회복 조건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하 발생부(140)는 사용자 기기(100)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 성능의 저하가 구현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원활하게 사용하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방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영상 재생 장치는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재생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거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저하 발생부(1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가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영상 재생 장치에 재생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거나 밝기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저하 발생부(140)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음향 재생 장치는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재생되는 음향의 볼륨을 감소시키거나, 잡음을 의도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저하 발생부(1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광원이 점등되거나 디스플레이에 일정 표시가 출현하여 사용을 방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마우스는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저하 발생부(1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마우스 버튼의 반응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처럼 저하 발생부(140)는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직간접적으로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도록 동작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하는데에 곤란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구성 요소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전원 장치, 배터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저하 발생부(140)는 저하 유발부(110)와 동일한 구성 요소인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저하 판단부(120)가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성능 저하 수준을 결정하여 저하 발생부(140)에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도록 성능 저하 처리를 명령하는 구성 요소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하 판단부(120)가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성능 회복 수준을 결정하여 저하 발생부(140)에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도록 성능 회복 처리를 명령할 수 있다. 성능 저하 수준 또는 성능 회복 수준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하여 소정의 고정값을 유지할 수도 있고, 여러 조건에 따라 가변적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성능 저하 조건 또는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는 횟수가 거듭될수록 성능 저하 수준 또는 성능 회복 수준이 가중되도록 할 수 있다.
보상 판단부(160)는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함에 있어 사전에 설정된 권장 작업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고, 권장 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상 포인트를 적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하여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이 권장 작업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하여 수학 문제를 풀었을 경우 보상 포인트가 적립된다. 이렇게 적립된 보상 포인트는 사용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어 저하 발생부(140)의 사용 성능이 회복 처리될 때, 회복 수준을 증가 시키는 데에 사용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사용자 식별부(180)는 사용자 기기(100)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때, 각 사용자를 식별한다. 사용자 식별부(180)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면, 제어부(150)가 개별 사용자마다 별도로 적용되는 고유의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과 연령 등에 따라 적합한 성능 저하 또는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 인터페이스(190)는 사용자 기기(100)의 성능 저하 처리의 단계 또는 성능 회복 처리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 인터페이스(190)에 의하여 모니터링된 정보는 사용자 기기(100)의 사용자 또는 그 외의 관리자 등에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사용자 기기의 성능 저하 및 성능 회복 단계를 보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의 전원을 켜고 사용을 시작함과 동시에 유발 측정부(170)는 저하 유발부(110)의 사용 패턴을 측정한다(S210).
저하 판단부(120)는 단계 S210에서 측정한 저하 유발부(110)의 사용 패턴이 성능 저하 조건에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S220).
만약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50)는 현재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이 최저 성능인지 판단한다(S230).
상기 최저 성능이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본연의 목적을 수행하는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성능이다. 만약 현재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이 최저 성능이 아니면 제어부(150)는 저하 발생부(140)를 동작시켜 사용 성능 저하가 발생하도록 처리한다(S240). 이 때, 사용 성능 저하는 미리 설정된 수준만큼 저하시키되, 사용 성능이 낮아질 수 있는 하한은 상기 최저 성능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의 사용을 완전히 단절됨으로써 느낄 수 있는 금단 증상을 완화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시점까지 기다리지 않고 수행하고 있는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효과가 있다.
만약 단계 S230에서 이미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이 최저 성능이면 단계 S210으로 돌아간다.
만약 단계 S220에서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저하 판단부(120)는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S250).
만약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된다면, 현재 저하 발생부(140)의 사용 성능이 본래의 사용 성능보다 저하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260).
만약 현재 저하 발생부(140)의 사용 성능이 본래의 사용 성능보다 저하된 상태라면, 제어부(150)는 저하 발생부(140)의 사용 성능이 미리 설정된 수준만큼 회복되도록 제어한다(S270).
만약 단계 S260에서 저하 발생부(140)의 사용 성능이 저하된 상태가 아니라면 단계 S210으로 돌아간다.
만약 단계 S250에서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단계 S210으로 돌아간다.
도 3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00)인 컴퓨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의 성능이 저하 및 회복되는 양상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에서 저하 유발부(110)는 컴퓨터의 입력 장치인 마우스이며, 저하 발생부(140)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이다. 마우스의 사용 패턴이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시킬 때마다 모니터의 밝기가 소정 수준만큼 어두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를 계속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는 한편, 마우스의 사용 패턴이 성능 회복 조건을 만족시킬 때마다 모니터의 밝기가 소정 수준만큼 밝아짐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저하 유발부(110)를 CPU로 하여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조절하여도 된다.
도 3에서 저하 유발부(110)와 저하 발생부(140)를 서로 같은 장치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저하 유발부(110)와 저하 발생부(140)를 모두 모니터로 설정하여, 모니터의 사용 패턴이 성능 저하 조건 및 성능 회복 조건을 만족시키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실시예는 컴퓨터가 아닌 게임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게임 시간 등과 관련된 성능 저하 조건 또는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될 때 게임 기기의 제어부가 저하 발생부인 게임 기기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로 하여금 게임 기기의 게임 실행 속도 등의 사용 성능을 저하 또는 회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도 4는 단계 S270에서 저하 발생부(140)가 사용 성능을 회복시킬 때, 적립된 보상 포인트가 있으면 보상 포인트를 성능 회복 수준의 결정에 반영하는 세부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260에서 현재 사용자 기기의 성능이 저하되어 있어 성능 회복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50)은 적립된 보상 포인트가 있는지 판단한다(S271).
적립된 보상 포인트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보상 포인트에 의거하여 성능 회복 수준을 증가시키고(S272), 사용된 보상 포인트는 차감한다(S273).
제어부(150)는 저하 발생부(140)가 사용 성능을 상기 결정된 성능 회복 수준만큼 증가하도록 제어하며 성능 회복 수준 만큼 원상태로 복구시킨다(S275).
보상 포인트를 반영하여 성능 회복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립된 보상 포인트를 한 번에 다 차감하거나 1회 당 일정 포인트만큼을 차감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보상 포인트를 적용하여 성능 회복 수준을 결정한 후, 바로 성능 회복 수준 만큼 원상태로 복구하지 않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구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것 외에도 여건에 따라 사용자가 보상 포인트를 적용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단계 S240에서 성능 저하 처리를 할 때에, 저하 유발부(110)가 사용된 시점이 평일 또는 주말인지,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청소년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성능 저하 수준을 변경하는 세부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 기기(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주말보다는 평일에 사용자 기기(100)의 사용을 더 엄격하게 억제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성인보다는 청소년에 대하여 사용자 기기(100)의 사용을 엄격하게 억제해야 한다는 정책을 세운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만약 사용자 기기(100)를 사용한 시점이 주말이 아닌 평일이라고 판단되면(S241) 1단계 성능 저하 수준 증가가 수행된다(S242).
만약 사용자가 청소년이라면 2단계 성능 저하 수준 증가가 수행된다(S243).
성능 저하 수준 증가 단계가 완료되면 저하 발생부(140)에 대한 성능 저하가 수행된다(S244).
성능 저하 수준을 가중하는 요인으로는 사용자나 사용 시점뿐만 아니라, 성능 회복이 완료되기 전에 다시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등의 사용 패턴 등, 성능 저하 수준을 가중시킬 필요가 있는 어떠한 요인도 고려할 수 있다.
각 단계별 성능 저하 수준 증가 정도는 사용자 기기(1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정책에 따라 상호 동일 또는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여러 요인에 따른 가중치를 계산하여 단계를 나누지 않고 한 번에 성능 저하 수준 증가 정도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것 외에도 사용자 기기(1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정책에 따라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성능 저하 또는 회복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특허청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자동차에도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기기인 자동차의 사용자인 운전자의 운전 시간 또는 그 외 다양한 성능 저하 조건 또는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 또는 기타 자동차와 관련된 행위를 스스로 제어할 수 있게끔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사용자 기기 110: 저하 유발부
120: 저하 판단부 130: 조건 저장부
140: 저하 발생부 150: 제어부
160: 보상 판단부 170: 유발 측정부
180: 사용자 식별부 190: 정보 인터페이스

Claims (61)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저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하 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 발생부의 성능 저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를 유발시키는 저하 유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사용을 측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저하 발생부의 상기 성능 저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 유발 요소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성능 저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를 상기 저하 발생부가 일정 수준만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성능 저하 조건에 의해 저하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하 유발부의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제1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제2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제2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의 지정된 저하 회복 작업을 제3기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의 지정된 저하 회복 작업을 제3기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간의 길이와 상기 저하 발생부의 사용 성능 저하의 발생 수준 또는, 상기 제2기간의 길이와 상기 저하 발생부의 사용 성능 회복의 수준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사용 또는 사용하지 않는 패턴에 의거하여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3. 제 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간이 제1A기간과 제1B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A기간과 상기 제1B기간에 각기 다른 사용 성능 저하의 발생 수준이 지정되거나,
    상기 제2기간이 제2A기간과 제2B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A기간과 상기 제2B기간에 상기 저하 발생부의 각기 다른 사용 성능 회복의 수준이 지정되거나,
    상기 제3기간이 제3A기간과 제3B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3A기간과 상기 제3B기간에 상기 저하 발생부의 각기 다른 사용 성능 회복의 수준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4.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회복 작업은 지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상기 지정된 프로그램을 상기 제3기간 동안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저하 요소가 저하시킨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 소정의 하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6.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일정 수준만큼 상기 성능 저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일정 수준만큼 상기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에서 제한 대상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만족되고,
    상기 저하 발생부의 사용 성능 저하 발생 동작은 상기 제한 대상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8.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 및 성능 저하 처리의 수준은 상기 저하 유발부가 사용되는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지정되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 및 성능 회복 처리의 수준은 상기 저하 유발부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저하 유발부를 소정의 요일 또는 시간 구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만족되도록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유발부와 상기 저하 발생부는 별개의 구성요소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1.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는 중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성능 회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된 경우보다 상기 저하 발생부의 저하 발생 동작이 더 빠르게 진행하도록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2.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처리의 단계 또는 상기 성능 회복 처리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성능 저하 처리 또는 성능 회복 처리의 정보가 사용자, 제 3의 관리자,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 기기, 소프트웨어, 인터넷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 기기, 소프트웨어, 인터넷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에서 식별되는 사용자마다 별도로 적용되는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중앙 처리 장치(CPU), 프로세서, 메모리, 전원 장치, 배터리,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유발부의 사용을 방해하는 작동은 상기 저하 유발부가 아닌 상기 사용자 기기의 상기 출력 장치인 스피커에서 일정 간격 소리 발생, 상기 출력 장치인 광원에서 점등, 상기 출력 장치인 디스플레이에 일정 표시 출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유발부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중앙 처리 장치(CPU), 프로세서,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8. 제 25항 및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적외선 리모트컨트롤러,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광원,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9.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이 저하 또는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속도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정보 처리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감소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정보 처리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1.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입력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입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입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입력 장치 작동부의 입력 반응 속도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입력부의 반응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감소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입력부의 반응 속도를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발생부인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컴퓨터의 입력 장치인 마우스(Mouse)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마우스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상 이동 거리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마우스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상 이동 거리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4.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출력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출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출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출력부의 출력 강도, 출력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출력 강도, 상기 출력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수준만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출력 강도, 상기 출력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강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8.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 요소는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별도의 잡음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잡음을 일정 수준만큼 발생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잡음을 일정 수준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39.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컴퓨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켜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통해 상기 컴퓨터의 사용 성능이 저하 또는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0.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유발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제1기간 동안 노출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2기간 동안 노출하지 않는 것인 사용자 기기.
  41.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게임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게임 참여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게임 기기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를 동작시켜 상기 게임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를 동작시켜 상기 게임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발생부인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부의 프로그램은 상기 게임 기기의 실행 프로그램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사용자의 상기 게임 기기 명령에 반응하는 상기 실행 프로그램의 반응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게임 기기 명령에 반응하는 상기 실행 프로그램의 반응 속도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3.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자동차이고, 상기 사용자는 운전자이고,
    상기 저하 발생부는 상기 자동차의 작동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작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작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고,
    상기 작동부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이 저하 또는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자동차의 출력 장치인 상기 자동차 내부의 스피커이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강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강도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5.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하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저하 요소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하한 수준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6.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저하 유발부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장치가 동작 중인 경우 저하 유발 또는 회복 중지로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저하 유발부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하 유발 중지 또는 회복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7.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저하 유발부는 비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장치가 동작 중인 경우 저하 유발 또는 회복 중지로 판단하고,
    상기 비디오 장치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저하 유발부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하 유발 중지 또는 회복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8.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저하 유발부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창의 내용물이 사용자의 시각으로 인지되는 화면 표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화면 창이 화면 표시 상태로 드러나 있는 상태이면 저하 유발 또는 성능 회복 중지로 판단하고,
    상기 화면 창이 다른 화면 창의 뒤에 있어 가려져서 사용자가 상기 내용물을 인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화면 표시 상태가 아닌 감춤 상태이면 저하 유발부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하 유발 중지 또는 성능 회복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49.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기기;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저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하 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 발생부의 성능 저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50.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성능의 저하를 유발시키는 저하 유발부의 사용을 측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성능 저하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성능 저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저하 처리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를 일정 수준만큼 실행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성능 저하 조건에 의해 저하된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4.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5. 사용자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는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와,
    사용자의 사용 특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기 위한 성능 저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저하 판단 단계와,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성능 저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6.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단계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를 일정 수준만큼 실행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7. 제 5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특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성능 회복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회복 판단 단계와,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8.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성능 저하 조건에 의해 저하된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 단계는, 상기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9.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성능이 회복되어 동작하기 위한 조건인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 성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회복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회복 처리 단계는, 상기 사용 성능을 저하시키는 저하 요소의 실행을 일정 수준만큼 해제하여 상기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0. 제 57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단계는 상기 성능 저하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저하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성능 회복 단계는 상기 성능 회복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을 일정 수준만큼 회복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1.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저하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 성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 소정의 하한 수준 아래로는 저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131288A 2015-09-16 2015-09-16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KR20170033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88A KR20170033214A (ko) 2015-09-16 2015-09-16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88A KR20170033214A (ko) 2015-09-16 2015-09-16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214A true KR20170033214A (ko) 2017-03-24

Family

ID=5850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288A KR20170033214A (ko) 2015-09-16 2015-09-16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321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49A (ko) 2000-04-21 2001-11-08 노창현 컴퓨터의 사용권 부여방법
KR20050076003A (ko) 2004-01-19 2005-07-26 주식회사넥스젠인터랙티브 인터넷게임 사용시간 분석 및 선택적 접속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5803A (ko) 2005-09-09 2005-10-04 송창빈 가정용 컴퓨터의 모니터 및 그 사용제한 방법
KR100849490B1 (ko) 2007-09-18 2008-07-31 (주)노애드 자녀 컴퓨터의 사용통제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정보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49A (ko) 2000-04-21 2001-11-08 노창현 컴퓨터의 사용권 부여방법
KR20050076003A (ko) 2004-01-19 2005-07-26 주식회사넥스젠인터랙티브 인터넷게임 사용시간 분석 및 선택적 접속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5803A (ko) 2005-09-09 2005-10-04 송창빈 가정용 컴퓨터의 모니터 및 그 사용제한 방법
KR100849490B1 (ko) 2007-09-18 2008-07-31 (주)노애드 자녀 컴퓨터의 사용통제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정보저장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4593B (zh) 移动终端及防止移动终端误操作的方法
US20130152001A1 (en) Adjusting user interface elements
KR20190097184A (ko) 반복된 액션에 대한 스마트 어시스트
CN10475107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3610404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permission-controlled hidden sensitive application behavior at run-time
CN107249084B (zh) 移动终端及程序调用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126601A (ko) 이종 장치 타입들에 대한 통합 정책
CN105204734A (zh) 亮度调节方法及系统
CN107861602B (zh) 终端cpu性能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12240A (zh) 一种调节充电电流的方法及设备
CN107729765B (zh) 多媒体数据的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220360A (zh) 应用启动的管控方法和管控设备
KR20200011391A (ko) 사용가치 기반 대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897476A (zh) 防误触设置方法及装置
CN110928600A (zh) 终端后台应用的清理方法和装置、移动终端、电子设备
CN10743701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33214A (ko)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KR20170033215A (ko)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KR20160140302A (ko) 사용자의 사용 성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방법
JP2007316937A (ja) ゲートウェイ管理方法
CN105303101A (zh) 一种控制应用操作的方法及终端
CN114860481A (zh) 剪贴板保护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WO2018014447A1 (zh) 一种应用管理方法及装置、移动终端
KR102037479B1 (ko) 최적화된 게임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게임 실행 최적화 방법 및 장치
US20220277084A1 (en) Risk assessment of account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