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207A -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207A
KR20170033207A KR1020150131262A KR20150131262A KR20170033207A KR 20170033207 A KR20170033207 A KR 20170033207A KR 1020150131262 A KR1020150131262 A KR 1020150131262A KR 20150131262 A KR20150131262 A KR 20150131262A KR 20170033207 A KR20170033207 A KR 2017003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curved
glass
thickness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6162B1 (en
Inventor
박관호
송상헌
Original Assignee
솔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브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162B1/en
Publication of KR2017003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207A/en
Priority to KR1020210122990A priority patent/KR1023896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1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glass having a stress layer formed on a surface, which comprises: a plane part having a first thickness; a curved part which is extended from the plane part toward any one direction to be bent; and a step part which is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plane part and the curved part.

Description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강화 유리 필름 및 그 제조방법{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ed glass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본 발명은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ed glass having a curved por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최근 깨지기 쉬운 유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그 표면을 강화 처리한 강화 유리가 보급되고 있으며, 그 활용 분야도 다양해지고 있다. 일 예로,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표시장치(Display)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내부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포함하며, 보호 커버의 재료로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보호 커버로써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내후성, 내스크레치성, 및 높은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부 요인으로 인한 충격 등에 의해 쉽게 깨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리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empered glass whose surface has been reinforced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fragile glass has been spreading, and its application field has also been diversified. For example, due to the development of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the demand for various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rapidly.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internal elements of the display device, and glass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cover. When glass is used as the protective cover, it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weathe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high transmittance, but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can be easily broken by an impact due to external factors. In order to solve such disadvantages, studies for secur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glas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유리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리적 강화법이 알려져 있다. 물리적 강화법은 유리를 고온으로 일정시간 가열한 후 유리의 표면을 풍랭 등으로 급냉시켜, 유리의 표면에는 압축 응력이 생기게 하고, 내부에는 인장 응력이 생기도록 하는 방법이다.As a method for strengthening glass, a physical strengthening method is known. The physical strengthen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glass is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certain time and then the surface of the glass is quenched by wind cooling or the like to cause a compressive stress on the surface of the glass and a tensile stress to be generated inside.

다만,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물리적 강화법은 얇은 박막형 유리를 강화함에 있어서 한계를 갖는다. 즉, 얇은 유리의 경우, 표면과 내부의 온도차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리판의 표면에 압축 응력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및/또는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 혹은 도전체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보호하는 유리는 터치 센싱 감도를 높이기 위해 얇은 박막으로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얇은 강화 유리를 형성하기 위해 물리적 강화법을 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hysical strengthening method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has a limitation in strengthening the thin film type glass. That is, in the case of thin glass, it is difficult to form a compressive stress on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becau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inside is hard to occur.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touch and / or gesture, thereby sensing a motion of a user's hand or a conductive body. The glass for protecting the display device is required to be formed as a thin film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ing. Thus, there is a limit to using physical strengthening methods to form thin tempered glass.

한편, 다양한 분야에서 유리가 응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한 곡면부를 갖는 유리가 보급되고 있다. 일 예로, 곡면 표시장치가 제공됨에 따라, 곡면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보호 커버로써, 곡면부를 갖는 유리 제작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as glass is applied in various fields, a glass having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needs of the user is spreading. For example, as a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is provided, it is required to manufacture a glass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as a protective cover corresponding to a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곡면부를 포함한 유리를 제작하는 종래 기술에는, 전통적인 선반 및 자동선반(CNC)을 이용한 기계 가공법, 곡면부를 포함한 유리 형상과 대응된 금형을 사용해 유리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가압하는 프레스(55) 성형 방법, 및 고온에서 중력과 금형을 이용하는 슬럼핑(slumping) 성형 방법 등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공된 유리는 품질이 좋지 않고, 생산성 및 수율이 낮은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강화 처리한 유리를 어떠한 방법으로 가공 할 수 있을 것인지도 문제된다. Conventional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a glass including a curved portion include a press 55 that heats the glas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and presses the glass using a conventional machining method using a lathe and an automatic lathe (CNC), a mold corresponding to a glass shape including a curved portion, A molding method, and a slumping molding method using gravity and a mold at a high temperature. However, the glass provided by such a method has problems of poor quality, low productivity and yield. Also, there is a question of how the tempered glass can be processed.

따라서, 얇은 유리를 강화 처리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도, 곡면부 가공이 가능한 강화 유리 제조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mper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rais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a thin glass to be strengthened, and also capable of processing a curved por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유리를 화학적 강화 처리하고 일부에 제거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mpered glass having a curved portion by chemically strengthening a thin glass and performing a removal process on a part thereof.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화 처리되어 표면에 응력층이 형성된 강화 유리에 관한 것으로, 제1 두께를 갖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벤딩되며, 제2 두께를 갖는 곡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단차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ed glass having a reinforced surface and a stress layer formed on the surface, the tempered glass having a fla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bending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from the flat portion, And a step form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planar portion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된 응력층은 상기 평면부의 표면에 형성된 응력층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The stress layer formed on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ess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된 응력층이 제거될 수 있다. The stress layer formed on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can be removed.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 제조방법은,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된 곡면부가 정의된 유리 기재를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유리를 강화 처리하여 상기 유리 기재의 표면에 응력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유리 기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식각 공정 중 벤딩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including a first step of providing a glass base material having a flat surface portion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from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removal process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The curved portion is bent during the etching process.

상기 강화 처리는, 화학적 강화법을 이용하여, 이온의 치환을 통해 상기 유리 표면층에 상기 응력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The strengthening treatment may be to form the stressed layer on the glass surface layer through the substitution of ions using a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거 공정이 수행된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다른 하나의 면 사이의 응력 차이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The curved portion may be bent by a stress difference betwee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n which th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other surface.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거 공정을 통해 상기 곡면부의 두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경계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third step may include removing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curved portion through the removing process to form a step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상기 제거 공정은 식각 공정일 수 있다. The removal process may be an etching process.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유리 기재 전면을 덮는 마스크를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식각 공정이 수행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위치는 상기 곡면부의 벤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Wherein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mask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wherein the mask includes an opening for exposing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o be subjected to the etching proces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can be determined.

상기 제거 공정은 폴리싱 공정일 수 있다.The removal process may be a polishing process.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유리 기재 상에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마 패드는 상기 폴리싱 공정이 수행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연마 패드의 위치는 상기 곡면부의 벤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Wherein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polishing pad on the glass substrate, wherein the polishing pad is dispos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n which the polishing process is to be performed,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can be determined.

상기 곡면부의 벤딩 정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응력층의 두께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portion may be adjust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stress layer in the second step.

상기 곡면부의 벤딩 정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곡면부의 표면 두께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The bending degre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surface thickness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removed by the etching process in the third step.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곡면부의 표면 두께는, 상기 식각 공정 중 식각액의 종류 및 식각 공정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The surface thickness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removed by the etching process may be controlled by vary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etchant in the etching process and the etching process time.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은, 제1 두께를 갖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벤딩되며 제2 두께를 갖는 곡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강화 유리, 상기 강화 유리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이형필름, 및 상기 강화 유리와 상기 제1 점착제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A tempered glass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 curved portion bent and exten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lat portions in a first direction,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A first release film provided under the tempered glass, and a first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tempered glass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상기 제1 점착제층은, 상기 강화 유리의 곡면부에만 구비되어, 상기 평면부와 상기 단차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ly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of the tempered glass, so that the stepped portion and the stepped portion can be reduced or eliminated.

상기 강화 유리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이형필름, 및 상기 강화 유리와 상기 제2 이형필름 사이에 개재된 제2 점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second release film provided on the tempered glass, and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tempered glass and the second release film.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는 화학적 강화법에 의해 강화 처리됨으로써, 얇은 유리 기재에서의 강화 처리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 및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재의 추가적인 변형이나 물리적 가공 없이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tempered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ngthened by the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so that the temper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on the thin glass base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and the yield can be improved.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trengthened without further deformation or physical processing of the glass substrate.

본 발명은, 종래 곡면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행하던 가공법들과는 달리, 식각 공정을 통해 곡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생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공된 유리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설계자가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최종 결과물의 형상을 다르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금형 등을 이용하는 가공 방법에 비하여 다양한 디자인 변경이 가능하고, 설계 변경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yield by forming the curved surface portion through the etching process, unlike the processing methods used to form the curved portion in the past,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processed glass, So that the time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signer can process the shape of the final product by controlling the process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design chang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mold And the design change is relatively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6에서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의 응용 분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들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 area in FIG.
8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field of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empered glass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8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and 2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tempered glass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2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o be given or mixed with consideration only for ease of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that distinguishes itself.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tempered glas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는 평면부(FA) 및 곡면부(BA)를 포함한다. 평면부(FA)는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1)에서 평면 형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곡면부(BA)는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1)가 벤딩되어 만곡 형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곡면부(BA)는 평면부(FA)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된다. 평면부(FA)는 제1 두께(t1)를 갖지며, 곡면부(BA)는 제2 두께(t2)를 갖는다. 평면부(FA)와 곡면부(BA)의 경계에는, 평면부(FA)와 곡면부(BA)의 두께 차이에 의한 단차(3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ar portion FA and a curved portion BA. The plane portion FA means a region having a planar shape in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means a region where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to have a curved shape.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extends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FA. The flat surface portion FA has a first thickness t1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has a second thickness t2. A step 30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lat surface portion FA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by the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flat surface portion FA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Fig. 2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강화 처리를 위한 유리 기재(10)가 마련된다. 유리 기재(10)에는 평면부(FA)와, 평면부(FA)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곡면부(BA)가 정의된다. 평면부(FA)는 최종 공정을 거친 후 평면 형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곡면부(BA)는 최종 공정을 거친 후 벤딩 된 곡면 형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2, a glass substrate 10 for a tempering treatment is provided. The glass substrate 10 has a flat surface portion FA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BA extending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FA. The plane portion FA means a region having a planar shape after the final process. The curved portion BA refers to a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bent after the final process.

도 3을 참조하면, 평면부(FA)와 곡면부(BA)가 정의된 유리 기재(10)를 강화 처리하는 강화 공정이 진행된다. 강화 공정은 화학적 강화법에 따라 진행된다. 화학적 강화법은 이온의 치환을 통해, 유리 표면층에 응력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응력층은, 압축응력층(20) 일 수 있다. 이온 치환을 위한 구동력은 농도 구배에 의한 확산으로 개개 이온의 확산 계수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재(10)를 400~500℃의 염욕조(용융 질산칼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유리 기재(10)의 표면층에 존재하는 이온 반경이 작은 알칼리 금속이온(나트륨 이온)을 이온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알칼리 금속 이온(칼륨 이온)으로 치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기재(10) 표면에는 압축응력층(20)이 형성된다. 압축응력층(20)은 이온 교환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큰 이온이 유리 기재(10) 표면에 침입함으로써 형성되는 유리 기재(10)의 외부 표면층을 의미한다. 이러한 압축응력층(20)이 형성됨에 따라, 인장 응력에 취약한 유리 기재(1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유리 기재(10)의 강도는 압축응력층(20)의 깊이(Depth Of Layer, 이하 'DOL'이라 함)(D)가 깊을수록 더욱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tempering process for reinforcing the glass substrate 10 on which the plane portion FA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are defined proceeds. The tempering process proceeds according to the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The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stress layer on the glass surface layer through substitution of ions. The stress layer may be a compressive stress layer (20). The driving force for ion substitution can be influenced by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individual ions due to diffusion by concentration gradien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glass substrate 10 in a salt bath (molten potassium nitrate) at 400 to 500 ° 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lkali metal ions (sodium ions) having a small ionic radius existing in the surface layer of the glass substrate 10, Can be induced to be substituted with an alkali metal ion (potassium 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ionic radius. Thus, a compressive stress layer 2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refers to the outer surface layer of the glass substrate 10 formed by ion exchange with relatively large ions entering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 As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is formed, the strength of the glass substrate 10 which is susceptible to tensile stress can be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glass substrate 10 can be further improved as the depth of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L) is deep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는 물리적 강화법이 아닌 화학적 강화법에 의해 강화 처리됨으로써, 얇은 유리 기재(10)에서의 강화 처리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 및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재(10)의 추가적인 변형이나 물리적 가공 없이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by a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rather than a physical strengthening method, so that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thin glass substrate 10,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Productivity and yield can be improved.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trengthened without additional deformation or physical processing of the glass substrate 10.

도 4를 참조하면, 강화 처리된 유리 기재(10) 상에는 마스크(50)가 구비된다. 마스크(50)는 개구부(OR)와 비 개구부(NOR)를 포함한다. 마스크(50)는 식각액(60)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50)는 강화 처리된 유리 기재(10) 둘레를 따라 전면을 둘러 싸되, 곡면부(BA)의 상측 및 하측 표면 중 어느 하나를 개구부(OR)를 통해 노출시킨다. 개구부(OR)를 통해 노출되는 곡면부(BA)의 표면은 설계자가 의도하는 벤딩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구부(OR)의 위치에 따라, 곡면부(BA)의 벤딩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개구부의 위치는 벤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자는 곡면부(BA)를 하측 방향으로 벤딩 시키기 위해, 마스크(50)의 개구부(OR)를 곡면부(BA)의 하측 표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곡면부(BA)를 하측 방향으로 벤딩 시키기 위해 개구부(OR)가 하측 표면을 노출하도록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4, a mask 50 is provided on the reinforced glass substrate 10. The mask 50 includes an opening OR and a non-opening portion NOR. The mask 5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deformed by the etching liquid 60. The mask 50 surrounds the entire surface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inforced glass substrate 10 and exposes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through the opening OR. The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ending direction intended by the designer.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pening O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can be determine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can determine the bend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designer can arrange the opening OR of the mask 5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can be exposed, in order to bend the curved portion BA downward.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opening OR is disposed so as to expose the lower surface for bending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n the downwar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5을 참조하면, 마스크(50)가 구비된 유리 기재(10) 표면에 식각액(60)을 도포하는 식각(etching) 공정이 진행된다. 식각 공정은 유리 기재(10)의 표면을 제거할 수 있는 공지된 공정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식각액(60)은 개구부(OR)에 의해 노출된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각 공정을 통해, 개구부(OR)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곡면부(BA)의 두께 일부가 제거된다.Referring to FIG. 5, an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to apply the etching solution 60 to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 provided with the mask 50. The etching process may include all known processes capable of removing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etching liquid 60 is a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exposed by the opening OR.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curved portion BA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opening OR is removed through the etching process.

도 6을 참조하면, 식각 공정에 의해 곡면부(BA)의 하부 표면이 제거된 경우, 식각 공정이 진행된 하부 표면과 식각 공정이 진행되지 않은 상부 표면 간에 DOL(D)의 차이가 발생 한다. 곡면부(BA)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이 상부 표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에 비해 줄어듦에 따라, 곡면부(BA)는 압축 응력 차이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벤딩된다. 이때, 식각 공정이 곡면부(BA)에 국한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곡면부(BA)의 두께(t2)는 평면부(FA)의 두께(t1)에 비해 줄어든다. 따라서, 곡면부(BA)와 평면부(FA)의 경계에서 단차(30)가 발생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is removed by the etching process, a difference in DOL (D) occurs between the lower surface on which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etching process is not performed. As the compressive stres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mpressive stres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curved portion BA bends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ve stress difference. At this time, the thickness t2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t1 of the flat surface portion FA as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exclusively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Therefore, a step 30 is gener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and the flat surface portion FA.

종래 곡면부(BA)를 형성하기 위해 수행하던 가공법들과는 달리, 본 발명은 식각 공정을 통해 곡면부(BA)를 형성함으로써, 생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공된 유리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제조방법은, 설계자가 강화 공정 시간 및 그에 따른 DOL의 깊이, 식각액의 종류 및 도포량, 식각 공정 시간 등의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최종 결과물의 형상을 다르게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금형 등을 이용하는 가공 방법에 비하여 다양한 디자인 변경이 가능하고, 설계 변경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장점을 갖는다. Unlike the processing methods used to form the conventional curved surface portion BA,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yield by forming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through the etching process, and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processed glass And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designer to adjust process conditions such as a tempering process time and a depth of a DOL, a kind and amount of an etchant, and an etching process time, Can be proces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design changes in comparison with a process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mold or the like,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esign change is relatively easy.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 제조방법은, 식각량을 달리하여, 곡면부(BA)의 벤딩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표 1은, 0.1T 두께(t)의 유리에서 곡면부(BA)의 길이(L)가 10mm일 때를 기준(REF)으로하여(도 3 참조),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식각량만을 조절하여 곡면부(BA)의 벤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 실험데이터이다. 표에서 식각량은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된 곡면부(BA) 하부 표면의 두께를 의미한다. For exampl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portion BA with different etching amounts.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hen the length L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n the glass of 0.1T thickness t was 10mm as the reference REF (see Fig. 3) And the bending degre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can be adjusted. The etching amount in the table means the thicknes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removed through the etching process.

0.1T Glass DOL(D)(㎛)0.1 T Glass DOL (D) (占 퐉) 식각량(㎛)Etching amount (탆) 곡면부(BA)(mm)Curved surface portion BA (mm) t(두께)t (thickness) L(길이)L (length) REF.REF. -- -- 0.100.10 10.0010.00 1One
30

30
2020 4.324.32 8.318.31
22 3030 4.954.95 7.917.91 33 4040 6.036.03 7.117.11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 제조방법은, DOL(D)을 달리하여, 곡면부(BA)의 벤딩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표 2는, 0.1T 두께(t)의 유리에서 곡면부(BA)의 길이(L)가 10mm일 때를 기준(REF)으로하여(도 3 참조),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DOL(D)만을 조절하여 곡면부(BA)의 벤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 실험데이터이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may be varied by changing the DOL (D). Table 2 shows DOL (D)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conditions are constant,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REF when the length L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s 10 mm in the glass of 0.1T thickness (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portion BA by controlling only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BA.

0.1T Glass DOL(D)(㎛)0.1 T Glass DOL (D) (占 퐉) 식각량(㎛)Etching amount (탆) 곡면부(BA)(mm)Curved surface portion BA (mm) t(두께)t (thickness) L(길이)L (length) REF.REF. -- -- 0.100.10 10.0010.00 1One 1010
20


20

2.232.23 9.249.24
22 2020 3.163.16 8.658.65 33 3030 4.324.32 8.318.31 44 4040 4.154.15 7.917.91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 제조방법은, 식각량 및 DOL(D)을 달리하여, 곡면부(BA)의 벤딩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표 3은, 0.1T 두께(t)의 유리에서 곡면부(BA)의 길이(L)가 10mm일 때를 기준(REF)으로하여(도 3 참조),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식각량 및/또는 DOL(D)을 조절하여 곡면부(BA)의 벤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 실험데이터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portion BA by varying the etching amount and the DOL (D). Table 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ching amount and / or the etching amount in a state where other conditions are constant,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REF when the length L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s 10 mm in the glass of 0.1T thickness (t) Or DOL (D) to control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portion BA.

0.1T Glass DOL(D)(㎛)0.1 T Glass DOL (D) (占 퐉) 식각량(㎛)Etching amount (탆) 곡면부(BA)(mm)Curved surface portion BA (mm) t(두께)t (thickness) L(길이)L (length) REF.REF. -- -- 0.100.10 10.0010.00 1One
10

10
2020 2.232.23 9.249.24
22 3030 2.812.81 8.388.38 33 4040 3.583.58 7.737.73 44
20

20
2020 3.163.16 8.658.65
55 3030 3.683.68 8.378.37 66 4040 4.844.84 7.977.97 77
30

30
2020 4.324.32 8.318.31
88 3030 4.954.95 7.917.91 99 4040 6.036.03 7.117.11 1010
40

40
2020 4.154.15 7.917.91
1111 3030 4.814.81 7.437.43 1212 4040 6.356.35 6.476.47

도 7을 참조하여,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된 곡면부(BA) 표면 두께(식각량)와, 화학 강화 시 형성된 압축응력층(20)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서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들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 thickness (etching amount)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removed through the etching process and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formed during chemical strengthening will be describe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 area in FIG.

도 7, 및 전술한 실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부(BA)의 하부 표면에 식각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곡면부(BA)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압축응력층(20)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고(도 7의 (a)), 압축응력층(20)이 제거될 수 있으며(도 7의 (b)), 압축응력층(20)을 넘어 과식각될 수도 있다(도 7의 (c)). 식각량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타겟이 되는 벤딩 정도에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식각량은, 곡면부(BA)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압축응력층(20)이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발생하는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nd the above-described experimental example, as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the thickness of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can be reduced (Fig. 7 (a)),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can be removed (Fig. 7 (b)) and over-stressed beyond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 The etching amount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degree of bending which is the targe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tching amount is appropriately adjusted so as to prevent the strength reduction caused by the complete removal of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Hereinafter, a tempered glas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FIG. 8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강화 처리를 위한 유리 기재(10)가 마련된다. 유리 기재(10)에는 평면부(FA)와, 평면부(FA)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곡면부(BA)가 정의된다. 평면부(FA)는 최종 공정을 거친 후 평면 형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곡면부(BA)는 최종 공정을 거친 후 벤딩 된 곡면 형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8, a glass substrate 10 for a tempering treatment is provided. The glass substrate 10 has a flat surface portion FA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BA extending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FA. The plane portion FA means a region having a planar shape after the final process. The curved portion BA refers to a region having a curved shape bent after the final process.

도 9를 참조하면, 평면부(FA)와 곡면부(BA)가 정의된 유리 기재(10)를 강화 처리하는 강화 공정이 진행된다. 강화 공정은 화학적 강화법에 따라 진행된다. 화학적 강화법은 이온의 치환을 통해, 유리 표면층에 응력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응력층은, 압축응력층(20) 일 수 있다. 이온 치환을 위한 구동력은 농도 구배에 의한 확산으로 개개 이온의 확산 계수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재(10)를 400~500℃의 염욕조(용융 질산칼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유리 기재(10)의 표면층에 존재하는 이온 반경이 작은 알칼리 금속이온(나트륨 이온)을 이온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알칼리 금속 이온(칼륨 이온)으로 치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기재(10) 표면에는 압축응력층(20)이 형성된다. 압축응력층(20)은 이온 교환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큰 이온이 유리 기재(10) 표면에 침입함으로써 형성되는 유리 기재(10)의 외부 표면층을 의미한다. 이러한 압축응력층(20)이 형성됨에 따라, 인장 응력에 취약한 유리 기재(1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유리 기재(10)의 강도는 압축응력층(20)의 DOL(D)이 깊을수록 더욱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tempering process for strengthening the glass substrate 10 on which the plane portion FA and the curved portion BA are defined proceeds. The tempering process proceeds according to the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The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stress layer on the glass surface layer through substitution of ions. The stress layer may be a compressive stress layer (20). The driving force for ion substitution can be influenced by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individual ions due to diffusion by concentration gradien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glass substrate 10 in a salt bath (molten potassium nitrate) at 400 to 500 ° 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lkali metal ions (sodium ions) having a small ionic radius existing in the surface layer of the glass substrate 10, Can be induced to be substituted with an alkali metal ion (potassium 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ionic radius. Thus, a compressive stress layer 2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refers to the outer surface layer of the glass substrate 10 formed by ion exchange with relatively large ions entering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 As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is formed, the strength of the glass substrate 10 which is susceptible to tensile stress can be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glass substrate 10 can be further improved as the DOL (D) of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20 is deep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는 물리적 강화법이 아닌 화학적 강화법에 의해 강화 처리됨으로써, 얇은 유리 기재(10)에서의 강화 처리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 및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재(10)의 추가적인 변형이나 물리적 가공 없이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by a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instead of a physical strengthening method to enable strengthening treatment in the thin glass base 10 an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Productivity and yield can be improved.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trengthened without additional deformation or physical processing of the glass substrate 10.

도 10을 참조하면, 강화 처리된 유리 기재(10) 상에는 연마 패드(53)와 연마 패드(53)에 하중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스(55)가 구비된다. 연마 패드(53)는 곡면부(BA)의 상측 및 하측 표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연마 패드(53)가 배치되는 곡면부(BA)의 표면은 설계자가 의도하는 벤딩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마 패드(53)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곡면부(BA)의 벤딩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자는 곡면부(BA)를 상측 방향으로 벤딩 시키기 위해, 연마 패드(53)를 곡면부(BA)의 상측 표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곡면부(BA)를 상측 방향으로 벤딩 시키기 위해 연마 패드(53)가 곡면부의 상측 표면 상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0, a polishing pad 53 and a press 55 for providing a load to the polishing pad 53 are provided on the reinforced glass substrate 10. The polishing pad 53 is disposed on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The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on which the polishing pad 53 is dispos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ending direction intended by the designer.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polishing pad 53 is disposed,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designer may place the polishing pad 5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to bend the curved portion BA upward.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polishing pad 53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in order to be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n the upwar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1을 참조하면, 강화 처리된 유리 기재(10) 표면에 폴리싱(polishing) 공정이 진행된다. 곡면부의 상측 표면은 연마 패드(53)와 접촉된다. 곡면부의 상측 표면에는 프레스(55)로부터 연마 패드(53)를 통해 연마 하중이 제공된다. 연마 패드(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반복되어 동작 될 수 있다. 연마 패드(53)의 반복 동작에 의해 곡면부(BA)의 상측 표면의 일부가 제거된다. 폴리싱 공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연마 패드(53)의 동작 중 연마액과 세정액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정 효율 및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마 하중, 연마 속도, 연마 시간 등의 공정 조건은 유리 기재의 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연마 패드(53) 형상 및 구조, 폴리싱 공정 방법 등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polis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inforced glass substrate 10.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polishing pad 53.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lishing load from the press 55 through the polishing pad 53. [ The polishing pad 53 may be repeatedly oper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s removed by the repetitive operation of the polishing pad 53. [ In order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polish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ly the polishing liquid and the cleaning liquid during operation of the polishing pad 53, thereby increasing the process efficiency and yield. The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the polishing load, the polishing rate, and the polishing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glass base material and the lik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olishing pad 53, the polishing process method, and the like can be well known techniques.

도 12를 참조하면, 폴리싱 공정에 의해 곡면부(BA)의 상부 표면이 제거된 경우, 폴리싱 공정이 진행된 상부 표면과 폴리싱 공정이 진행되지 않은 하부 표면 간에 DOL(D)의 차이가 발생 한다. 곡면부(BA)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이 하부 표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에 비해 줄어듦에 따라, 곡면부(BA)는 압축 응력 차이에 대응하여 상측 방향으로 벤딩된다. 이때, 폴리싱 공정이 곡면부(BA)에 국한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곡면부(BA)의 두께(t2)는 평면부(FA)의 두께(t1)에 비해 줄어든다. 따라서, 곡면부(BA)와 평면부(FA)의 경계에서 단차(30)가 발생한다.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is removed by the polishing process, a difference in DOL (D) occurs between the upper surface where the polish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lower surface where the polishing process is not performed. As the compressive stres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BA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mpressive stres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 curved portion BA bends upward in correspondence to the compressive stress difference. At this time, the thickness t2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t1 of the flat surface portion FA, as the polishing process is performed only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Therefore, a step 30 is gener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and the flat surface portion FA.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의 곡면부(BA)는 고정밀도로 폴리싱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제조방법은 폴리싱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성과 평활성이 향상된 곡면부(BA)를 갖는 강화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of the tempered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carrying out the polishing process with high accuracy. The temper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empered glass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BA improved in flatness and smoothness by using a polish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1)는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의 응용 분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field of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1)는, 곡면부를 갖는 표시장치의 커버 유리(CW)일 수 있다. 커버 유리(CW)는 표시장치 내부의 소자들을 보호하는 기판으로서 기능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 구현을 위한 표시 소자들 및 구동 소자를 구비한 표시 패널(DP)과, 사용자의 손 및/또는 도전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TSP)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유리(CW)는, 터치 센싱 감도 저하 방지를 위해 얇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쉽게 깨지지 않도록 강화된 박막형 강화 유리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다양하게 변하는 이형 표시장치에 대응하여, 곡면부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CW)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1)는 전술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바, 표시 장치의 커버 유리(CW)로서 적합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3A,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ver glass (CW)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d portion. The cover glass (CW) functions as a substrate for protecting elements inside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DP) having display elements and a driving element for implementing an image, and a touch screen panel (TSP) for sensing movement of a user's hand and / or a conductor. In such a case, the cover glass (CW)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panel TSP needs to be thinned to prevent thinning of the touch sensing sensitivity and to be reinforced so that it is not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impact.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variably varying display devices, a cover glass (CW) including a curved portion needs to be used. Therefore,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ll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can be suitable as a cover glass (CW) of a display device.

다른 예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1)는, 표시장치의 커버 유리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PF)일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커버 유리(CW)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PF)으로 강화 유리(이하, "강화 유리 필름"이라 함)가 사용되고 있다. 강화 유리 필름(PF)은 표시장치(DD) 최외측에 구비된 커버 유리(CW)를 보호 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이형 제품에 대응될 필요가 있고, 두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얇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1)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바, 표시장치(DD)의 최외각에 구비되는 커버 유리(CW)를 보호하기 위한 강화 유리 필름(PF)으로서 적합할 수 있다.13 (b),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rotective film (PF) for protecting the cover glass of the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mpered glass film") is used as the protective film PF for protecting the cover glass CW of the display device D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mechanical strength required to protect the cover glass (CW)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display device DD.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esthetic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various mold release products, and it is necessary to be thin to prevent an increase in thickness. Therefore, the tempered gla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such a demand, and is suitable as a tempered glass film (PF) for protecting the cover glass (CW) provid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display device DD can do.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화 유리가, 표시장치의 커버 유리를 보호하기 위한 강화 유리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13의 (b)) 그 구성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들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4 to FIG. 18,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tempered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tempered glass film for protecting the cover glass of a display device (FIG. 13B) do.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empered glass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8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은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1), 강화 유리(1)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1 점착제층(112), 및 제1 점착제층(112) 하면에 위치하는 제1 이형필름(114)을 포함한다.14, a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ed glass 1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1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제1 점착제층(112)은 강화 유리 필름(PF)을 표시장치의 커버 유리(CW, 도 13)에 부착시키기 위한 층이다. 제1 점착제층(112)은, 사용자가 강화 유리 필름(PF)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장치의 커버 유리(CW, 도 13)에 직접 접촉되는 층을 의미한다. 제1 점착제층(112)은 실리콘, 아크릴, 및 우레탄계의 점착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s a layer for adhering the tempered glass film (PF) to the cover glass (CW, Fig. 13) of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refers to a layer directly contacting the cover glass (CW, Fig. 13)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uses a tempered glass film (P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may include any one of silicone, acrylic, and urethane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이형필름(114)은 제1 점착제층(112)을 매개로 강화 유리(1)의 하면에 위치한다. 제1 이형필름(114)은, 제1 점착제층(112)을 보호할 수 있고, 충분한 이형성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이형필름(114)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A(Polya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 PAC(Polyacrylate) 및 PI(Polyimide)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release film 114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via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The first release film 114 can protect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and preferably has sufficient releasability. The first release film 1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amide (P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imide (PI).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은 강화 유리(1)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2 점착제층(122), 및 제2 점착제층(122) 상면에 위치하는 제2 이형필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and a second release film 122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124).

제2 이형필름(124)은 강화 유리(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강화 유리(1)의 상면에 위치한다. 제2 이형필름(124)은 유통 단계에서 강화 유리(1)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강화 유리 필름(PF)을 사용 시에, 제2 이형필름(124)을 분리시켜 강화 유리(1)를 외부로 노출 시킬 수 있다. 제2 이형필름(124)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A(Polya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AC(Polyacrylate) 및 PI(Polyimide)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release film 124 is for protecting the tempered glass 1 from the outside,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The second release film 124 is for protecting the tempered glass 1 in the distribution step and when the user uses the tempered glass film PF, the second release film 124 is separated to form the tempered glass 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release film 12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amide (P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imide (PI).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점착제층(122)은 강화 유리(1)와 제2 이형필름(124) 사이에 개재되어 강화 유리(1)와 제2 이형필름(124)을 서로 접착시킨다. 제2 점착제층(122)은 사용자가 강화 유리 필름(PF)을 사용하는 경우 제거되고, 사용자는 강화 유리(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점착제층(122)은 실리콘, 아크릴, 및 우레탄계의 점착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is interposed between the tempered glass 1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24 to adhere the tempered glass 1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24 to each other.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is removed when the user uses a tempered glass film (PF), and the user can use the tempered glass 1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ed glass 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may include any one of silicone, acrylic, and urethane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의 제조 방법은,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1)를 마련하는 단계(S110), 강화 유리(1) 하면에 제1 점착제층(112)을 형성하는 단계(S120), 및 제1 점착제층(112) 하면에 제1 이형필름(114)을 부착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10 of providing a tempered glass 1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A step S120 of form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and a step S130 of attaching a first release film 114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강화 유리(1) 하면에 제1 점착제층(112)을 형성하는 단계(S120)에서는, 제공된 강화 유리(1)의 하면에 제1 점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강화 유리에 코팅되는 제1 점착제층(112)의 두께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In step S120 of form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the process of apply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vided tempered glass 1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coated on the tempered glass can be suitab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제1 점착제층(112) 하면에 제1 이형필름(114)을 부착시키는 단계(S130)에서는, 제1 점착제층(112)을 매개로 강화 유리(1)의 하면에 제1 이형필름(114)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진행한다. 제1 이형필름(114)은 사용자가 강화 유리 필름(PF)을 사용 시 제거되는 층으로 필요한 이형 특성을 확보하되 제거하기 쉽도록 그 두께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elease film 114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via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first release film 114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lease film 114 is appropriately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lease film 114 is easily ensured, while securing necessary releasing characteristics as a layer to be removed when the user uses the tempered glass film (PF).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의 제조 방법은,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1)와 제1 이형필름(114)을 마련하는 단계(S110'), 제1 이형필름(114)의 일면에 제1 점착제층(112)을 형성하는 단계(S120'), 및 강화 유리(1)의 하면에 제1 점착제층(112)이 형성된 제1 이형필름(114)을 부착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16,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and S110' of providing tempered glass 1 and a first release film 114 having curved portions, A first adhesive layer 1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lease film 114 and a first release film 114 having a first adhesive layer 11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S130 ').

제1 이형필름(114)의 일면에 제1 점착제층(112)을 형성하는 단계(S120')에서는, 제공된 제1 이형필름(114)의 일면에 제1 점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제1 이형필름(114)에 코팅되는 제1 점착제층(112)의 두께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형필름(114)의 일면에 제1 점착제층(112)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제1 점착제층(112)이 형성된 제1 이형필름(114)이 각각 다른 온도를 갖는 챔버들을 거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12)은, 챔버들을 거치면서 휘발성이 제거되어 안정화될 수 있다.In step S120 'of forming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on one side of the first release film 114, a process of applying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n one side of the provided first release film 114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coated on the first release film 114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t this time,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on one side of the first release film 114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release film 114 having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formed thereon And passing through the chambers.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can be stabilized by removing volatility through the chambers.

강화 유리(1)의 하면에, 제1 점착제층(112)이 형성된 제1 이형필름(114)을 부착시키는 단계(S130')에서는, 제1 점착제층(112)을 매개로 강화 유리(1)와 제1 이형필름(114)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진행한다. 제1 이형필름(114)은 사용자가 강화 유리 필름(PF)을 사용 시 제거되는 층으로, 필요한 이형 특성을 확보하되 제거하기 쉽도록 그 두께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S130 'of attaching the first release film 114 having the first adhesive layer 11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to the tempered glass 1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And the first release film 114 are adhered to each other. The first release film 114 is preferably a layer to be removed when the user uses the tempered glass film (PF),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lease film 114 is appropriately formed so as to secure the necessary releasing property but to easily remove it.

도 1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은,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한 강화 유리 필름(PF)에 제2 이형필름(124) 및 제2 점착제층(122)을 형성하는 공정이 더 진행될 수 있다. 17, a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laminating a reinforcing glass film (PF) shown in Figs. 15 and 16 to a second releasing film 124 and a second pressure- 122 may be further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의 제조 방법은, 하면에 제1 점착제층(112)과 제1 이형필름(114)이 형성된 강화 유리(1)를 마련하는 단계(S210), 강화 유리(1) 상면에 제2 점착제층(122)을 형성하는 단계(S220), 및 제2 점착제층(122) 상면에 제2 이형필름(124)을 부착시키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S210 of providing tempered glass 1 having a first adhesive layer 112 and a first release film 114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step S220 of forming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and a step S230 of attaching a second release film 124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

강화 유리(1) 상면에 제2 점착제층(122)을 형성하는 단계(S220)에서는, 제공된 강화 유리(1)의 상면에 제2 점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강화 유리(1) 상면에 코팅되는 제2 점착제층(122)의 두께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2 점착제층(122) 상면에 제2 이형필름(124)을 부착시키는 단계(S230)에서는, 제2 점착제층(122)을 매개로 강화 유리(1)의 상면에 제2 이형필름(124)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진행한다.In step S220 of forming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the process of applying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vided tempered glass 1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he second release film 124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through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in the step S230 of attaching the second release film 124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And the like.

제2 이형필름(124) 및 제2 점착제층(122)은, 사용자가 강화 유리 필름(PF)을 사용 시 제거되는 층들로, 필요한 이형 특성을 확보하되 제거하기 쉽도록 그 두께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release film 124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2 are formed as layers to be removed when the user uses the tempered glass film (PF) to appropriately form the thickness thereof .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은,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한 강화 유리 필름(PF)에 제2 이형필름(124) 및 제2 점착제층(122)을 형성하는 공정이 더 진행될 수 있다. 18, a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laminating a tempered glass film (PF) shown in Figs. 15 and 16 onto a second release film 124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be further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의 제조 방법은, 하면에 제1 점착제층(112)과 제1 이형필름(114)이 형성된 강화 유리(1)와, 제2 이형필름(124)을 마련하는 단계(S210'), 제2 이형필름(124)의 일면에 제2 점착제층(122)을 형성하는 단계(S220'), 및 강화 유리(1)의 상면에 제2 점착제층(122)이 형성된 제2 이형필름(124)을 부착시키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mpered glass 1 having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and a first release film 114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step S220 'of forming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elease film 124 and a step S220' of forming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S230 ') attaching the second release film 124 on which the second release film 122 is formed.

제2 이형필름(124)의 일면에 제2 점착제층(122)을 형성하는 단계(S220')에서는, 제공된 제2 이형필름(124)의 일면에 제2 점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제2 이형필름(124)에 코팅되는 제2 점착제층(122)의 두께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형필름(124)의 일면에 제2 점착제층(122)을 형성하는 단계(S220')는, 제2 점착제층(122)이 형성된 제2 이형필름(124)이 각각 다른 온도를 갖는 챔버들을 거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점착제층(122)은, 챔버들을 거치면서 휘발성이 제거되어 안정화될 수 있다.In step S220 'of forming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on one side of the second release film 124, a process of applying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n one side of the provided second release film 124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2 coated on the second release film 124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t this time,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lease film 124,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24 on which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is formed has a different temperature And passing through the chambers.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can be stabilized by removing volatility through the chambers.

강화 유리(1)의 상면에 제2 점착제층(122)이 형성된 제2 이형필름(124)을 부착시키는 단계(S230')에서는, 제2 점착제층(122)을 매개로 강화 유리(1)와 제2 이형필름(124)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진행한다. 제2 이형필름(124) 및 제2 점착제층(122)은 사용자가 강화 유리 필름(PF)을 사용 시 제거되는 층으로, 필요한 이형 특성을 확보하되 제거하기 쉽도록 그 두께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S230 'of attaching the second release film 124 having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the tempered glass 1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22 are bonded via the second pressure-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second release film 124 proceeds. The second release film 124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2 are layers that are removed when the user uses the tempered glass film PF, desirable.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9 and 20 are views for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필름(PF)은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1), 강화 유리(1)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이형필름(114), 강화 유리(1)와 제1 이형필름(114) 사이에 개재된 제1 점착제층(112)을 포함한다. The tempered glass film P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ed glass 1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a first release film 114 positioned under the tempered glass 1, a tempered glass 1, And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nterposed between the films 114.

도 19를 참조하면, 강화 유리(1)는 평면부와 곡면부를 포함한다. 제1 점착제층(112)은 곡면부와 평면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강화 유리(1) 하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장치에 강화 유리 필름(PF)을 부착하여 사용할 시, 제1 점착제층(112)을 매개로 강화 유리 필름(PF)과 표시장치의 커버 유리(CW, 도 13)가 서로 부착된다. 제1 이형필름(114)은 제1 점착제층(112)을 보호하기 위해, 제1 점착제층(112)의 하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9, the tempered glass 1 includes a fla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so as to cover both the curved surface portion and the flat surface portion. Accordingly, when the user attaches the tempered glass film (PF) to the display device, the tempered glass film (PF) and the cover glass (CW, FIG. 13) of the display device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pressure- Respectively. The first release film 114 is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to protect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도 20을 참조하면, 강화 유리(1)는 평면부와 곡면부를 포함한다. 곡면부는 식각 공정을 통해 하부 표면 일부가 제거되어 평면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20, the tempered glass 1 includes a fla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The curved portion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lat portion by removing a part of the lower surface through the etching process.

제1 점착제층(112)은 곡면부만을 커버할 수 있도록 강화 유리(1)의 곡면부 하면에 구비된다. 제1 점착제층(112)은, 평면부의 두께와 곡면부의 두께 차이만큼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12)이 구비됨에 따라, 강화 유리(1)의 곡면부와 평면부 경계에서의 단차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12)의 재료는 강화 유리(1)와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점착제층(112)의 재료는, 제1 점착제가 강화 유리(1)의 일부에만 형성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이질감을 방지하기 위해, 시인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표시장치에 강화 유리 필름(PF)을 부착하여 사용할 시, 제1 점착제층(112)을 매개로 강화 유리 필름(PF)의 곡면부와 표시장치의 커버 유리(CW, 도 13)가 서로 부착된다.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tempered glass 1 so as to cover only the curved portion.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may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at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curved portion. By provid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t is possible to reduce or eliminate the difference in level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of the tempered glass 1 and the flat portion boundary. The material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with the tempered glass 1. That is, the material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is preferab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in order to prevent a sense of heterogeneity that may occur becaus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tempered glass 1. When the user attaches the tempered glass film PF to the display device, the curved surface portion of the tempered glass film PF and the cover glass CW (FIG. 13) of the display device via the first pressure- Respectively.

점착제층을 강화 유리 필름(PF)의 일면 전체에 형성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1 점착제층(112)은 강화 유리(1)의 곡면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점착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 등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에게 주로 인식되는 표시장치의 평면부와 강화 유리 필름(PF)의 평면부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매개체 없이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기포 발생에 따른 시인성 저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nly on the curved portion of the tempered glass 1, unlike the cas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one entire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film (P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problems such as bubble generation that can be caus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addition, since the plane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plane portion of the tempered glass film (PF) which are mainly recognized by the us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 medi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oblem of visibility degradation due to bubble generation can be prevented.

제1 이형필름(114)은 제1 점착제층(112)을 보호하기 위해, 제1 점착제층(112)의 하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20의 (a)). 다만, 강화 유리(1)의 하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강화 유리(1)의 평면부 하면과 제1 점착제층(112)의 하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도 20의 (b)).  The first release film 114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to protect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FIG. 20 (a)). However, it may be preferable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2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 of FIG.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제조방법은, 평면부와 곡면부가 정의된 유리 기재를 마련하는 단계(S310), 유리 기재를 1차 강화 처리하는 단계(S320), 유리 기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330), 및 유리 기재를 2차 강화 처리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comprising the steps of: (S310) providing a glass substrate having a flat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defined therein; (S320) A step S330 of performing a removal process on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and a step S340 of performing a secondary strengthening treatment of the glass base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화 유리 제조방법은, 유리 기재를 2차 강화 처리하는 단계(S340)를 제외하고 전술한 본 발명의 강화 유리 제조방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유리 기재를 2차 강화 처리하는 단계(S340)만을 설명한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mpered gla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emper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step S340 of performing the second tempering treatment of the glass substrate. Therefore, only the step (S340) of secondary strengthening treatment of the glass base material will be described below.

유리 기재의 표면에는 1차 강화 처리 되어 압축응력층이 형성된다. 이때, 곡면부(BA)의 일부 두께가 제거되면, 해당 위치의 압축응력층은 제거되거나 두께가 줄어든다. 다시 말해, 식각 또는 폴리싱 공정에 의해 곡면부(BA)의 어느 일부 영역은 압축응력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두께가 일부 제거된 상태로 잔류한다. 곡면부(BA)의 어느 일부 영역은, 강화 처리된 유리 기재의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가지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각 공정 또는 폴리싱 공정이 진행된 유리 기재상에 2차 강화 처리 공정(S340)을 진행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is first hardened to form a compressive stress layer. At this time, when the thickness of the curved portion BA is partially removed,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at that position is removed or the thickness is reduced. In other words, any part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remains by the etching or polishing process in a state where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is not formed or the thickness thereof is partially removed. Some of the areas of the curved part BA have lower strength than other areas of the reinforced glass substrate and are susceptible to damage from external impac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condary strengthening treatment process (S340) may be per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etching process or the polish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2차 강화 공정(S340)은 화학적 강화법에 따라 진행된다. 화학적 강화법은 이온의 치환을 통해, 유리 표면층에 응력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응력층은, 압축응력층 일 수 있다. 2차 강화 공정(S340)은 1차 강화 공정(S320)과 동일한 방법 및/또는 공정 조건으로 진행될 수 있고, 상이한 방법 및/또는 공정 조건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 강화 공정(S340)은 1차 강화 공정(S3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1차 강화 공정(S320)과 공정 조건 예를 들어, 공정 시간, 응력층의 형성 두께 조건 등을 달리하여 진행할 수 있다. The secondary tempering process (S340) proceeds according to the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The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stress layer on the glass surface layer through substitution of ions. The stress layer may be a compressive stress layer. The secondary tempering process (S340) may proceed with the same method and / or process conditions as the primary tempering process (S320) and may proceed with different methods and / or process conditions. For example, the second strengthening step (S340)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trengthening step (S320), except that the first strengthening step (S320) and the process conditions such as the process time, . ≪ / RTI >

2차 강화 공정(S340)에 의해, 곡면부(BA)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압축 응력층과 그 외 영역에 형성된 압축응력층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식각 공정 또는 폴리싱 공정이 진행된 곡면부(BA)에만 2차 강화 공정(S340)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2차 강화 공정(S340)을 진행하여, 식각 공정 또는 폴리싱 공정을 진행한 후에도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강화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and the compressive stress layer formed in the other area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ary strengthening step S340. If necessary, it may be preferable to perform the secondary strengthening step (S340) only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BA on which the etching process or the polish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empered glass in which the strength is not lowered even after the second tempering process (S340) is performed after the etching process or the polishing process.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강화 유리 10 : 유리 기재
FA : 평면부 BA : 곡면부
20 : 압축응력층 30 : 단차
50 : 마스크 60 : 식각액
53 : 연마 패드 55 : 프레스
PF : 강화 유리 필름 114, 124 : 이형필름
112, 122 : 점착제층
1: Tempered glass 10: Glass substrate
FA: flat portion BA: curved portion
20: Compressive stress layer 30:
50: mask 60: etching liquid
53: polishing pad 55: press
PF: Tempered glass film 114, 124: Release film
112, 12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laims (18)

강화 처리되어, 표면에 응력층이 형성된 강화 유리에 있어서,
제1 두께를 갖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벤딩되며, 제2 두께를 갖는 곡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강화 유리.
In a tempered glass having a stressed surface formed on its surface,
A fla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 curved surface portion bent and exten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planar portions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And
And a step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planar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된 응력층은 상기 평면부의 표면에 형성된 응력층의 두께보다 얇은 강화 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ess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ess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된 응력층이 제거된 강화 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ess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is removed.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된 곡면부가 정의된 유리 기재를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유리 기재를 강화 처리하여 상기 유리 기재의 표면에 응력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유리 기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거 공정 중 벤딩되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providing a glass substrate having a planar portion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from the planar portion;
A second step of reinforcing the glass substrate to form a stress laye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And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removal process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The curved-
And bending during the removal proces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처리는,
화학적 강화법을 이용하여, 이온의 치환을 통해 상기 유리 표면층에 상기 응력층을 형성하는 것인 강화 유리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inforcement process may include:
Wherein said stress layer is formed on said glass surface layer through the substitution of ions using a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거 공정이 수행된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다른 하나의 면 사이의 응력 차이에 의해 벤딩되는 강화유리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urved-
Wherein the bending is performed by a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n which th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other surf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거 공정을 통해 상기 곡면부의 두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경계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third step,
And removing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curved portion through the removing step to form a step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공정은 식각 공정인 강화 유리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moving step is an etching proces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유리 기재 전면을 덮는 마스크를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식각 공정이 수행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위치는,
상기 곡면부의 벤딩 방향을 결정하는 강화 유리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ing a mask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Wherein,
And an opening exposing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n which the etching process is to be performe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determining a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공정은 폴리싱 공정인 강화 유리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moving step is a polishing proces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유리 기재 상에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마 패드는,
상기 폴리싱 공정이 수행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연마 패드의 위치는,
상기 곡면부의 벤딩 방향을 결정하는 강화 유리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polishing pad on said glass substrate,
The polishing pad may be formed,
Wherein the polishing process is performed on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position of the polishing pad is,
And determining a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벤딩 정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응력층의 두께를 달리하여 조절하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Wherein in the second step, the thickness of the stress layer is adjusted different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벤딩 정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곡면부의 표면 두께를 달리하여 조절하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surface thickness of the curved portion removed by the etching process is adjusted differentl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곡면부의 표면 두께는,
상기 식각 공정 중 식각액의 종류 및 식각 공정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조절하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rface thickness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removed by the etching process is preferabl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ype of the etchant and the etch time is varied during the etch proces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재를 2차 강화 처리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강화 유리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fourth step of secondary strengthening the glass substrate.
제1 두께를 갖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벤딩되며 제2 두께를 갖는 곡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강화 유리;
상기 강화 유리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이형필름; 및
상기 강화 유리와 상기 제1 점착제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강화 유리 필름.
A tempered glass including a fla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 curved portion bent and extending at least in either direction from the flat portion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and a step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A first release film provided under the tempered glass; And
And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tempered glass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은,
상기 강화 유리의 곡면부에만 구비되어, 상기 단차를 줄이거나 없앤 강화 유리 필름.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Wherein the tempered glass is provided only on the curved portion of the tempered glass, and the tempered glass is reduced or eliminate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유리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이형필름; 및
상기 강화 유리와 상기 제2 이형필름 사이에 개재된 제2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강화 유리 필름.
17. The method of claim 16,
A second release film provided on the tempered glass; And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tempered glass and the second release film.
KR1020150131262A 2015-09-16 2015-09-16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61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62A KR102376162B1 (en) 2015-09-16 2015-09-16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10122990A KR102389697B1 (en) 2015-09-16 2021-09-15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62A KR102376162B1 (en) 2015-09-16 2015-09-16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90A Division KR102389697B1 (en) 2015-09-16 2021-09-15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207A true KR20170033207A (en) 2017-03-24
KR102376162B1 KR102376162B1 (en) 2022-03-21

Family

ID=585007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262A KR102376162B1 (en) 2015-09-16 2015-09-16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10122990A KR102389697B1 (en) 2015-09-16 2021-09-15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90A KR102389697B1 (en) 2015-09-16 2021-09-15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616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730A (en) * 2017-12-20 2018-06-08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Touch-control shows structure
CN115678340A (en) * 2021-07-28 2023-02-03 韩国太阳油墨股份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cover member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WO2023101213A1 (en) * 2021-12-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Glass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1263A (en) * 2006-01-27 2007-08-09 Alps Electric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flexible substrate
KR20130095638A (en) * 2010-08-31 2013-08-28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Glass resin laminate, glass roll for taking up same and glass roll manufacturing method
KR20140094642A (en) * 2011-12-22 2014-07-30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Touch sensor with ornament,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touch sensor used in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1263A (en) * 2006-01-27 2007-08-09 Alps Electric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flexible substrate
KR20130095638A (en) * 2010-08-31 2013-08-28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Glass resin laminate, glass roll for taking up same and glass roll manufacturing method
KR20140094642A (en) * 2011-12-22 2014-07-30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Touch sensor with ornament,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touch sensor used in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730A (en) * 2017-12-20 2018-06-08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Touch-control shows structure
CN115678340A (en) * 2021-07-28 2023-02-03 韩国太阳油墨股份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cover member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WO2023101213A1 (en) * 2021-12-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Glass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162B1 (en) 2022-03-21
KR102389697B1 (en) 2022-04-25
KR20210118779A (en)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697B1 (en) Curved Tempered Glass, Curved Tempered Glass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092137B2 (en) Cover members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US9426893B2 (en) Curv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20170033209A (en) Curved Tempered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001940A (en) Glass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ver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device
JP2010195600A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glass substrat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063600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edge etching and strengthening of OGS (one-glass-solution) touch panel with one-time film lamination
TW201425049A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double-sided adhesive sheet with release film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EP2631748B1 (en)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422467A (en) The method for processing window member
KR101373142B1 (en) Window of portable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53923A (en) Capacitive touch panel
KR20140010765A (en) Touch screen panel protectio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33208A (en) Curved Tempered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56812B1 (en) Mass production method of display window glas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corative pattern printed
US20140354907A1 (en) Composite touch cover plate
TWI554929B (en) Single-layer capacitive touch screen production process and the use of the touch Screen processing of electronic equipment
KR20090103537A (en) Double-side adhesive sheet and single unit touch panel display device
TWI453501B (en)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panel
KR20160043964A (en)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506890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glass for electronic apparatus
WO2022044426A1 (en) Cover lens and touch sensor using same
JP2015197784A (en) Cover glass integrated type touch panel senso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TW20132238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KR101798759B1 (en) Protecting sheet module attached mobile device having curved shap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using the module and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