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170A -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 Google Patents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170A
KR20170033170A KR1020150131164A KR20150131164A KR20170033170A KR 20170033170 A KR20170033170 A KR 20170033170A KR 1020150131164 A KR1020150131164 A KR 1020150131164A KR 20150131164 A KR20150131164 A KR 20150131164A KR 20170033170 A KR20170033170 A KR 2017003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abel
punching
ho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천
Original Assignee
이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천 filed Critical 이무천
Priority to KR102015013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3170A/ko
Publication of KR2017003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4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사이즈의 라벨을 연속으로 펀칭 가능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쌍의 가이드롤러(10,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단필름(11)을 숫금형(12)과 암금형(12')에 의해 절단되게 하여 라벨(11')이 제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숫금형(12) 뒷 쪽에 하부가 힌지축(22)으로 연결되는 가압부재(21)와, 상기 가압부재(21)와 피스톤로드(24a)로 연결되고 금형프레임(23)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펀칭용 공압실린더(24)와, 상기 가압부재(21)의 중앙관통공(25)을 관통하여 힌지축(26)에 의해 숫금형(12)과 연결되는 피스톤로드(27a)가 있는 적재용 공압실린더(27)를 갖는 펀칭수단(20) 및 상기 암금형(12')의 펀칭공(12a) 뒷 쪽에 하부경사받침부(31)가 있고, 상기 하부경사받침부(31) 끝단에 있는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경사받침부(31) 상부방향으로 직각 되게 기립 되는 회동받침대(33)와, 상기 회동받침대(33) 뒷쪽으로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34)과, 상기 가이드봉(34)에 끼워지게 구비되는 한쌍의 밀림조절수단(35)과, 상기 한쌍의 밀림조절수단(35)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6)와 고정되고 회동받침대(33)의 관통공(37)을 관통하는 한쌍의 이동봉(38)과, 상기 이동봉(38)과 고정되어 회동받침대(33) 내측에서 라벨(11')이 적재되는 이동부재(39)를 갖는 필름적재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Big size In-mold label punching machine}
본 발명은 라벨 펀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사이즈의 라벨을 절단 가능하도록 개선된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용기나 약품용기 또는 병이나 페이트 용기와 같은 용기 외주면에는 상품 문구가 인쇄된 라벨이 부착되고 있으며, 이러한 라벨은 종이제나 필름지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라벨은 두루 말이 상태의 라벨지가 풀림 되면서 연속 인쇄된 다음에 펀칭기에 의해서 일정한 크기나 형태로 절단되어 상품용기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령 사이즈가 작은 컵라면용기나 약품용기에 부착되는 라벨은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라벨 펀칭기 등에 의해서 대량 생산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사이즈가 비교적 큰 페이트용기용 인몰드라벨은 연속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통상 라벨은 매우 얇은 두께로 제조되어 사이즈가 크게 되면 흐느적 거리기 때문에 연속 절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라벨지를 수평 상태로 놓은 상태에서 펀치금형 등으로 절단되게 한 다음에 낱개상의 라벨을 일일이 수거함에 따라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544454 B1 2006.01.23 KR 10-2012-0034709 A 2012.04.12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은 수평방향으로 라벨지를 이동시키면서 펀칭하는 펀칭장치가 개시된 것이다.
그러므로 라벨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사이즈가 큰 라벨일 경우에는 흐느적거리기 때문에 자동 연속 펀칭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주로 작은 사이즈의 필름만을 펀칭하는 펀칭기에 불과하고, 대형 사이즈의 라벨은 펀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형 사이즈의 라벨을 연속으로 펀칭 가능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쌍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단필름을 숫금형과 암금형에 의해 절단되게 하여 라벨이 제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숫금형 뒷 쪽에 하부가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피스톤로드로 연결되고 금형프레임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펀칭용 공압실린더와, 상기 가압부재의 중앙관통공을 관통하여 힌지축에 의해 숫금형과 연결되는 피스톤로드가 있는 적재용 공압실린더를 갖는 펀칭수단 및 상기 암금형의 펀칭공 뒷 쪽에 하부경사받침부가 있고, 상기 하부경사받침부 끝단에 있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경사받침부 상부방향으로 직각 되게 기립 되는 회동받침대와, 상기 회동받침대 뒷쪽으로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지게 구비되는 한쌍의 밀림조절수단과, 상기 한쌍의 밀림조절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고정되고 회동받침대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한쌍의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과 고정되어 회동받침대 내측에서 라벨이 적재되는 이동부재를 갖는 필름적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림조절수단은,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가이드봉이 관통하는 경사내면공이 있는 고정체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하면서 경사내면공 내주면경사부에 밀착되는 경사외주면이 있고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밀착가압부재와,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하도록 고정체결부재에 체결되고 너트공으로 삽입되는 밀착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너트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받침대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거나 기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제껴 지도록 하기 위해 회동받침대 일단부가 걸림 되는 수동제낌구나 회동받침대가 회동되게 하는 필름수거용 공압실린더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형 사이즈의 라벨을 연속으로 펀칭 가능하게 하는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형 사이즈의 라벨을 연속으로 펀칭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대형 사이즈의 라벨의 대량 생산에 따른 라벨 원가절감이 도모되고, 그로 인해 대형 사이즈가 부착되는 제품용기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므로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하게 상품을 보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벨 펀칭기의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라벨 펀칭기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수단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적재수단을 보인 일측 단면도,
도 5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밀림조절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분리 단면 구성도, (b)는 밀착가압부재 일측 단면도, (c)는 작용을 설명하는 일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는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절단되는 대형 사이즈 라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한쌍의 가이드롤러(10,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단필름(11)을 숫금형(12)과 암금형(12')에 의해 절단되게 하여 라벨(11')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숫금형(12)과 암금형(12')은 각각 브라켓트(2)에 의해 기대(1)에 고정되는 것이고, 도 1에서 부호 42는 가이드공이고, 부호 43은 가이드공(42)에 끼워지는 가이드봉이며, 부호 44는 금형프레임(23)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나타낸다.
원단필름(11)은, 상품 문구나 도형 등이 인쇄된 것으로서, 두루말이 형로 감긴 것이 풀림되면서 숫금형(12) 앞으로 이동한 다음에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숫금형(12)이 암금형(12')의 펀칭공(12a)으로 이동되어 펀칭 됨에 따라 원단필름(11)에서 라벨(11')이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단필름(11')에만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얇은 두께의 종이원단을 절단하여 라벨(11')이 제조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라벨(11')이 절단되게 하는 구성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금형(12) 뒷 쪽에 하부가 힌지축(22)으로 연결되는 가압부재(21)와, 상기 가압부재(21)와 피스톤로드(24a)로 연결되고 금형프레임(23)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펀칭용 공압실린더(24) 및 상기 가압부재(21)의 중앙관통공(25)을 관통하여 힌지축(26)에 의해 숫금형(12)과 연결되는 피스톤로드(27a)가 있는 적재용 공압실린더(27)에 의해 이루어지는 펀칭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펀칭수단(20)은, 라벨(11')을 펀칭할 때에 숫금형(12)이 도 2에서 실선 상태와 같이 가압부재(21)에 밀착된 상태인 펀칭대기상태에서 1차적으로 펀칭용 공압실린더(24)가 가동되어 피스톤로드(24a)가 전진 되게 이동함에 따라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1)와 숫금형(12)이 동시에 암금형(12')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단필름(11)을 절단하게 된다.
다음, 2차적으로 적재용 공압실린더(27)가 가동되어 피스톤로드(27a)가 전진되게 이동함에 따라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숫금형(12)이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앞쪽 방향으로 회동 되어 경사지는 상태가 되도록 동작 되는 것이다.
다음, 적재용 공압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가 후진 이동되게 가동된 다음에 펀칭용 공압실린더(24)의 피스톤로드(24a)가 후진 이동 되게 가동 됨으로써 도 2의 실선상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펀칭대기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다시 펀칭용 공압실린더(24) 및 적재용 공압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4a,27a)가 전진 이동되게 연차적으로 가동되게 함으로써 다시 라벨(11')이 절단되게 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암금형(12')의 펀칭공(12a) 뒷 쪽에 하부경사받침부(31)가 있고, 상기 하부경사받침부(31) 끝단에 있는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경사받침부(31) 상부방향으로 직각 되게 기립 되는 회동받침대(33)가 있는 필름적재수단(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름적재수단(30)은, 회동받침대(33) 뒷쪽으로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34)과, 상기 가이드봉(34)에 끼워지게 구비되는 한쌍의 밀림조절수단(3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밀림조절수단(35)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6)와 고정되고 회동받침대(33)의 관통공(37)을 관통하는 한쌍의 이동봉(38) 및 상기 이동봉(38)과 고정되어 회동받침대(33) 내측에서 라벨(11')이 적재되는 이동부재(39)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림조절수단(35)은, 연결부재(36)에 고정되고 가이드봉(34)이 관통하는 경사내면공(352)이 있는 고정체결부재(351) 및 상기 가이드봉(34)이 관통하면서 경사내면공(352) 내주면경사부(353)에 밀착되는 경사외주면(354)이 있고 일측에 개방부(355)를 갖는 밀착가압부재(356)를 구비한다. 상기 밀착가압부재(356)은 가죽이나 탄성이 있는 고무와 같이 비금속으로 제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34)이 관통하도록 고정체결부재(351)에 체결되고 너트공(357)으로 삽입되는 밀착가압부재(356)를 가압하는 가압너트구(358)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부호 34a는 밀림조절수단(35)이 가이드봉(34)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밀림조절수단(35)은, 밀착가압부재(356)가 가이드봉(34)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력에 작용 되지 않는 한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된다.
그러나 연결부재(36)에 외력이 작용하여 도 5의 (c)에서 우측방향이나 또는 좌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되어 이동되는 상태가 되면 가이드봉(34)로부터 밀착가압부재(356)가 미끌리게 되어 가이드봉(34)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연결부재(36)에 작용하던 외력이 상실되는 즉시 밀착가압부재(356)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밀착가압부재(356)가 마모되거나 또는 가이드봉(34)을 가압하게 되는 밀착가압부재(356)의 가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가압너트구(358)를 회전시켜서 고정체결부재(351)에 더 조임 되도록 하면 그 가압너트구(358)가 밀착가압부재(356)를 가압하여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내면공(352)으로 더 깊숙이 밀려 들어가게 하기 때문에 경사외주면(354)이 내주면경사부(353)에 접촉된 상태에서 경사내면공(352)의 점차 직경이 좁아짐으로써 밀착가압부재(356)가 가이드봉(34)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더욱 상승되는 상태로 가압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재용 공압실린더(27)에 의해 숫금형(12)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제껴지는 상태로 회동 됨으로써 숫금형(12)에 의해 절단된 라벨(11')은 이동부재(39)에 쌓여서 적재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9)에 첫 장으로 절단된 라벨(11')은 도 4의 가상선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39)가 회동받침대(33) 앞쪽 방향으로 최대한 멀리 이동된 상태에서 첫 장으로 절단된 라벨(11')이 적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라벨(11')이 절단 되어 도 4에서 실선도시와 같이 이동부재(39)에 라벨(11')이 계속 적재되는 상태가 되면 1장이 적재될 때마다 이동부재(39)가 조금씩 밀려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이동부재(39)가 밀려나가는 정도를 밀림조절수단(35)에 의해서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실선상태와 같이 이동부재(39)에 라벨(11')이 설정된 수량만큼 적재되는 상태가 되면 이때는 펀칭기의 전체적인 가동을 중지시키고 이동부재(39)에 적재된 라벨(11')들을 인출하여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부재(39)에 적재된 라벨(11')들을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받침대(33)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거나 기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제껴 지도록 하기 위해 회동받침대(33) 일단부가 걸림 되는 수동제낌구(40)나 또는 회동받침대(33)가 회동되게 하는 필름수거용 공압실린더(41)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동제낌구(40)의 경우에는 손잡이(부호없음)를 이용하여 도 6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구(부호없음)에 걸림되어 있던 회동받침대(33)의 걸림상태가 해지되므로 가상선 도시와 같이 회동받침대(33)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수평상태로 회동 됨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부재(39)에 적재된 라벨(11')들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름수거용 공압실린더(41)가 채용되는 경우에도 피스톤로드(부호 없음)가 후진 이동되도록 가동되게 하면 가상선 도시와 같이 회동받침대(33)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수평상태로 회동 됨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이동부재(39)에 적재된 라벨(11')들을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동제낌구(40)나 필름수거용 공압실린더(41) 만이 반드시 채용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나 구조로 된 것들이 채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단필름(11)에서 라벨(11')이 절단된 다음에 라벨(11')을 숫금형(12)이 절단시킨 즉시 연속적으로 회동되어 이동부재(39)에 절단된 라벨(11')을 적재시키게 됨으로써 가령 얇고 가로 800mm, 세로 300mm의 크기가 큰 대형 사이즈의 라벨(11')이 구겨지거나 흐트러지지 않게 연속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기대 10,10':가이드롤러
11:원단필름 11':라벨
12:숫금형 12':암금형
12a:펀칭공 20:펀칭수단
21:가압부재 22:힌지축
23:금형프레임 24:펀칭용 공압실린더
25:중앙관통공 26:힌지축
27: 적재용 공압실린더 30:필름적재수단
31:하부경사받침부 32:힌지축
33:회동받침대 34:가이드봉
35:밀림조절수단 351:고정체결부재
352:경사내면공 353:내주면경사부
354:경사외주면 355:개방부
356:밀착가압부재 377:너트공
358:가압너트구 36:연결부재
37:관통공 38:이동봉
39:이동부재 40:수동제낌구
41:필름수거용 공압실린더 42:가이드공
43:가이드봉 44:스프링
45:금형프레임

Claims (3)

  1. 한쌍의 가이드롤러(10,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단필름(11)을 숫금형(12)과 암금형(12')에 의해 절단되게 하여 라벨(11')이 제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숫금형(12) 뒷 쪽에 하부가 힌지축(22)으로 연결되는 가압부재(21)와, 상기 가압부재(21)와 피스톤로드(24a)로 연결되고 금형프레임(23)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펀칭용 공압실린더(24)와, 상기 가압부재(21)의 중앙관통공(25)을 관통하여 힌지축(26)에 의해 숫금형(12)과 연결되는 피스톤로드(27a)가 있는 적재용 공압실린더(27)를 갖는 펀칭수단(20)과;
    상기 암금형(12')의 펀칭공(12a) 뒷 쪽에 하부경사받침부(31)가 있고, 상기 하부경사받침부(31) 끝단에 있는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경사받침부(31) 상부방향으로 직각 되게 기립 되는 회동받침대(33)와, 상기 회동받침대(33) 뒷쪽으로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34)과, 상기 가이드봉(34)에 끼워지게 구비되는 한쌍의 밀림조절수단(35)과, 상기 한쌍의 밀림조절수단(35)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6)와 고정되고 회동받침대(33)의 관통공(37)을 관통하는 한쌍의 이동봉(38)과, 상기 이동봉(38)과 고정되어 회동받침대(33) 내측에서 라벨(11')이 적재되는 이동부재(39)를 갖는 필름적재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조절수단(35)은, 연결부재(36)에 고정되고 가이드봉(34)이 관통하는 경사내면공(352)이 있는 고정체결부재(351)와, 상기 가이드봉(34)이 관통하면서 경사내면공(352) 내주면경사부(353)에 밀착되는 경사외주면(354)이 있고 일측에 개방부(355)를 갖는 밀착가압부재(356)와, 상기 가이드봉(34)이 관통하도록 고정체결부재(351)에 체결되고 너트공(357)으로 삽입되는 밀착가압부재(356)를 가압하는 가압너트구(358)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받침대(33)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거나 기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제껴 지도록 하기 위해 회동받침대(33) 일단부가 걸림 되는 수동제낌구(40)나 회동받침대(33)가 회동되게 하는 필름수거용 공압실린더(41)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KR1020150131164A 2015-09-16 2015-09-16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KR20170033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64A KR20170033170A (ko) 2015-09-16 2015-09-16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64A KR20170033170A (ko) 2015-09-16 2015-09-16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70A true KR20170033170A (ko) 2017-03-24

Family

ID=5850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64A KR20170033170A (ko) 2015-09-16 2015-09-16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31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359B1 (ko) 2019-06-07 2020-04-16 (주)대성앤텍 롤투롤 방식 이동판재의 디자인 문양 연속 펀칭장치
CN113334495A (zh) * 2021-06-11 2021-09-0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管端自动冲切贴膜机构
CN115446915A (zh) * 2022-09-07 2022-12-09 山东省机械设计研究院 用于减风防沙板的连续滚冲装置
KR20230150100A (ko) 2022-04-21 2023-10-30 킨코스코리아(주) 라벨 펀칭 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454B1 (ko) 2003-10-22 2006-01-23 최웅수 커버레이 필름 펀칭장치
KR20120034709A (ko) 2012-03-23 2012-04-12 전익희 필름 펀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454B1 (ko) 2003-10-22 2006-01-23 최웅수 커버레이 필름 펀칭장치
KR20120034709A (ko) 2012-03-23 2012-04-12 전익희 필름 펀칭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359B1 (ko) 2019-06-07 2020-04-16 (주)대성앤텍 롤투롤 방식 이동판재의 디자인 문양 연속 펀칭장치
CN113334495A (zh) * 2021-06-11 2021-09-0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管端自动冲切贴膜机构
KR20230150100A (ko) 2022-04-21 2023-10-30 킨코스코리아(주) 라벨 펀칭 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115446915A (zh) * 2022-09-07 2022-12-09 山东省机械设计研究院 用于减风防沙板的连续滚冲装置
CN115446915B (zh) * 2022-09-07 2024-05-10 山东省机械设计研究院 用于减风防沙板的连续滚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3170A (ko) 대형 인몰드라벨 펀칭기
US20170043495A1 (en) Three dimensional part rotary die cutt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892034B2 (ja) シート材料の切断装置
CN206939201U (zh) 一种快开式包装机送膜压轮装置
US20140053702A1 (en) Device for Cutting a Ribbon Made of Pap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
US2012017464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rolling action of a curved tool along a flat stationary substrate
CN215471579U (zh) 一种塑料膜分切装置
KR100670787B1 (ko) 컵성형지를 성형하기 위한 컵성형 원지의 펀칭장치
JP2010228021A (ja) 打抜装置及び打抜方法
JP6520443B2 (ja) 外形カット装置
CN104309149A (zh) 塑料薄膜冲压机构
CN208216262U (zh) 自动模切印刷机
JP4610293B2 (ja) 縦型多列自動充填包装機におけるカッター装置
CN206445884U (zh) 张力可调的模切机
CN111170055A (zh) 一种塑料编织布及其偏正上料装置
JP6760082B2 (ja) 搬送装置
CN204249384U (zh) 塑料薄膜冲压机构
CN204869037U (zh) 一种模切机进料装置
KR20100131594A (ko) 로터리 다이커팅장치
CN217434426U (zh) 一种小型环保棉片材用裁切装置
US10279946B2 (en) Label dispensing machine
CN209678836U (zh) 一种蒸汽眼罩的耳挂成形装置
JPH0515480Y2 (ko)
KR20190024091A (ko) 탄소섬유 공급설비용 탄소섬유 커팅장치
EP1946939A3 (en) Thick product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