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169A -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169A
KR20170033169A KR1020150131163A KR20150131163A KR20170033169A KR 20170033169 A KR20170033169 A KR 20170033169A KR 1020150131163 A KR1020150131163 A KR 1020150131163A KR 20150131163 A KR20150131163 A KR 20150131163A KR 20170033169 A KR20170033169 A KR 20170033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frp tube
protrusion
conductor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135B1 (ko
Inventor
홍장수
윤병수
최종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102015013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1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기밀에 의한 절연유의 누유방지가 완벽하여 변압기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한 변압기용 폴리머부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공 인발로 성형된 중공의 FRP튜브(130) 상부측 외주면에 성형된 다수의 쉐드(120)를 갖는 실리콘몸체(110)로 구성된 하우징 어셈블리(100)와, 변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중공의 FRP튜브(130) 내부에 관통 설치되고 그 상단의 상부나사부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상부로 연장된 도체(200)와, 상기 도체(200)의 상부나사부(211)에 결합돌부(310)에 의해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연결단자(320)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도전체의 단자클램프(30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의 외주면을 중앙돌기(411)의 중앙공(412)으로 밀봉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주면 및 상단면을 기밀하는 제1 T형 밀폐캡(410)에 의해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상부 기밀이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하단은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과 동일구조로 대향하여 상기 도체(200)의 외주면을 중앙돌기(421)의 중앙공(422)으로 밀봉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주면 및 하단면을 기밀하는 제2 T형 밀폐캡(420)에 의해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부를 다중 기밀하는 것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폴리머부싱{POLYMER BUSHING FO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용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작업의 신속성과 편리성이 보장되고, 변압기의 내, 외부에서의 다중기밀에 의한 절연유의 누유방지가 완벽하여 변압기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한 변압기용 폴리머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은 변전소로부터 고압(22,900V)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변압기에서 수용가인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압으로 변환되어 공급된다.
변압기는 변전소로부터 전달된 고압의 전원을 일반 수용가에 요구되는 저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주는 것을 주상변압기라 하고, 이러한 주상변압기는 지상에 설치되는 전신주 등에 설치되어 사용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주상변압기는 기본적으로 용량과 전압에 따라서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공통으로 절연유로 충전된 탱크의 내부에 권선과 철심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절연유는 권선의 절연물로서 습기나 먼지가 침투하여 절연내력을 저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철심이나 권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기름의 대류 및 복사를 통해 발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주상변압기의 구조는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박스형의 외함과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권선으로 인가하도록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1차 부싱인 고압부싱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수용가로 인출하도록 외함의 외부에 설치되는 2차 부싱인 저압부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1차 부싱인 고압부싱에 속한다.
이러한 고압부싱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dielectric strength, 絶緣耐力)을 갖추어야 함에 따라 염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해 내열 및 내식성이 뛰어난 자기재질의 애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기(Porcelain) 재질 부싱은 외부 전체가 자기로 성형 됨으로써 중량이 많이 나가고 가벼운 충격에도 파손이 우려가 있는 단점과 오링(기밀)부의 기밀에 있어 자기재질이 갖는 조도의 불량으로 기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고분자 합성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그 재질이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 XLPE, 에폭시(Epoxy) 및 실리콘 라버와 같은 고분자고무 또는 폴리머 재질을 사용한 부싱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변압기용 1차부싱(고압부싱)과 관련한 분야의 반포된 기술로서, 종래에도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제10-1169647호)의 특허문헌 1에는 기존의 자기 재질 부싱의 구조에서 문제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도록 자기재부싱의 내주면과 취부 클램프가 장착되는 부싱 외측 접지부에 반도전성 수지를 도포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제20-0462698호)의 특허문헌 2에는 변압기의 몸체에 해당 부싱 조립시 깨짐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를 위해 내부의 자기코어의 외부에 폴리머고무(Polymer Rubber) 재질로 구성한 이중구조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제10-1506113호)의 특허문헌 3에는 한국 특허등록 제10-0484621호의 기술에서 문제된 부품수의 양을 최대한 줄여 생산단가를 절감하고도 전기적 및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이 도모되었다.
상기한 특허문헌 1 내지 3은 자기 재질 구조로서 중량이 많이 나가는 단점은 물론이고, 통상적으로 외함과 조립되는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부 밀봉은 견고하게 완벽한 밀봉으로 절연유의 누출은 방지되었으나,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내부(중공관)는 1차 케이블이 조립되는 단자클램프 간의 단일 밀봉으로 제공됨으로써 내부밀봉이 완벽하지 못하여 절연유의 누유 또는 습기 침입에 의한 절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은 물론이고, 밀봉에 따른 각 구성부재 간의 조립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이에 따른 제조원가의 증가를 불러온다.
한국 등록특허 : 제10-1169647호(등록일자 : 2012.07.24.) 한국 등록실용 : 제20-0462698호(등록일자 : 2012.09.18.) 한국 등록특허 : 제10-1506113호(등록일자 : 2015.03.19.) 한국 등록실용 : 제20-0282453호(등록일자 : 2002.07.05.) 한국 등록특허 : 제10-0951473호(등록일자 : 2010.03.30.) 한국 공개실용 : 제20-2012-0002271호(공개일자 : 2012.03.28.) 한국 등록특허 : 제10-1304810호(등록일자: 2013.08.30.) 한국 등록특허 : 제10-1484922호(등록일자 : 2015.0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폴리머재질에 의해 경량화와 동시에 절연유의 누유 및 습기 침투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다중 기밀구조의 제공은 물론, 조립작업의 편리성을 극대화하여 양산에 의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압기용 폴리머부싱은,
중공의 FRP튜브 상부측 외주면에 성형된 다수의 쉐드를 갖는 실리콘몸체로 구성된 하우징 어셈블리;
변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중공의 FRP튜브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고 그 상단의 나사부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상부로 연장된 도체;
상기 도체의 상부나사부에 결합돌부에 의해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연결단자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도전체의 단자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클램프의 결합돌부의 외주면을 중앙공으로 밀봉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의 내주면 및 상단면을 기밀하는 제1 T형 밀폐캡에 의해 상기 중공의 FRP튜브의 상부 기밀이 제공되고,
상기 중공의 FRP튜브의 하단은 상기 제1 T형 밀폐캡과 동일구조로 대향하여 상기 도체의 외주면을 밀봉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 내주면 및 하단면을 기밀하는 제2 T형 밀폐캡에 의해 상기 중공의 FRP튜브 내부를 다중 기밀하는 것에 의해 밀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의 FRP튜브는 중공인발로 성형되고 외주면 중앙부로 상기 변압기의 외함의 내, 외측 위치부분에 환형링이나 스프링환의 조립위치를 결착하기 위한 각각의 환형 요홈을 가공한 상태에서 상기 외함의 외측에 위치하는 환형 요홈에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재질(LCP, PPS)로 성형된 환형링을 성형하고 상기 실리콘몸체가 상기 환형링의 상부 및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클램프는 저부에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를 돌출하여 상기 제1 T형 밀폐캡에 대응 관통된 조립공을 통하여 튜브의 상단면에 가공된 조립공과 조립되어 1차 케이블의 조립 시에 회전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T형밀폐캡의 밀림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는 상기 중공의 FRP튜브에 내설되어 단자클램프의 결합돌부에 상부나사부로 나사 결합하고, 하부나사부를 상기 제2 T형 밀폐캡을 관통하여 외측에 돌출된 1차도체와, 상기 1차도체의 하부나사부에 나사조립되는 나사너트봉에 의해 선단이 압착결속되는 2차도체로 분리되되, 상기 2차도체는 상기 하부나사부를 관통하여 압착링을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너트봉이 나사조립으로 상기 제2 T형 밀폐캡이 상기 중공의 FRP튜브의 하단부에 밀착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T형 밀폐캡은 상기 중공의 FRP튜브 내주면에 결합하는 결합돌부의 외주면 및 단자클램프의 결합돌부가 결합하는 중앙공 내주면은 다수의 오링형상의 주름을 형성하여 기밀 특성을 극대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T형 밀폐캡은 상기 중공의 FRP튜브 내주면에 결합하는 외주면 및 상기 1차도체가 관통하는 중앙공 내주면은 다수의 오링 형상의 주름을 형성하여 기밀 특성을 극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압기의 외함과의 내,외부에서 다중 밀봉에 의해 절연유의 누출이 없어 안전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부품의 조립작업이 편리하여 신속하면서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구성요소를 절연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인발성형품으로 제공하여 전기적 안전성이 보장되는 이점과 구성부품을 최대한 조립부품으로 제조하고 조립에 의해 완제품을 생산함으로써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구성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4은 도 2의 "G"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일부 발췌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변압기의 외함에 결합하는 하우징 어셈블리의 내부에 내설되는 도체의 다중 기밀에 의해 절연내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도면 제시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크기는 발명의 설명에 문제되지 않는 한 단순화 및 간략화나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구성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분 발췌 확대도이다. 이러한 구성부재의 조립상태에 따른 결합구조는 도 5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의 발췌 확대도에 의해 조립상태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압기용 폴리머부싱은,
중공의 FRP튜브(130) 상부측 외주면에 성형된 다수의 쉐드(120)를 갖는 실리콘몸체(110)로 구성된 하우징 어셈블리(100)와, 통상의 변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부에 관통 설치되고 그 상단의 상부나사부(210)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상부로 연장된 도체(200)와, 상기 도체(200)의 상부나사부(210)에 결합돌부(310)의 내주면에 가공된 나사부(311)에 의해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연결단자(320)를 이용하여 케이블(C.A)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도전체의 단자클램프(3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실리콘 몸체(110)가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외주면에 상부에서 중앙부 측에 걸쳐 성형 된다.
이때,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는 그 외주면에 성형 되는 상기 실리콘 몸체(110)의 성형 전에 상기 실리콘 몸체(110)이 성형 되는 하단부로서 변압기의 외함(E.B)에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환형 요홈(140)을 가공하고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재질(LCP, PPS)로 성형 된 환형링(150)을 성형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 몸체(110)의 하단부가 감싼 상태로 금형에서 성형 된다.
이러한 환형링(150)은 상기 외함(E.B)의 외측 기밀을 위해 상기 FRP튜브(130)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패킹(P)의 기밀 압착에 따른 지지 점유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에 애관(자기재)이나 실리콘몸체에서 성형한 것을 탈피하여 절연내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중공의 FRP튜브(130)의 성형 특성 때문이다.
다시 말하여, 절연내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 부재인 상기 FRP튜브(130)는 중공으로 인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소정길이로 성형 된 상기 FRP튜브(130)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적정의 장소에 상기 환형링(150)이나 후술되는 스프링환(170)이 조립위치를 결착하기 위한 환형 요홈(140)(141)을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외함(E.B)에 가공된 조립구멍(E.H)에 FRP튜브(130)의 외측에서 상기 환형요홈(140)에 패킹(P)을 끼움한 상태에서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함(E.B)의 내측에서 상기 FRP튜브(130)의 외주면에 환형고정링(160)을 조립하고, 상기 환형고정링(160)의 이탈이 없도록 상기 환형 요홈(141)에 스프링환(170)을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환형고정링(160)에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B/T)의 나사 조임에 의해 상기 환형고정링(160)은 외함(E.B)의 내측면에서 멀어지나 상기 스플링환(170)에 의해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P)이 상기 환형링(150)의 지지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외함(E.B)의 조립구멍(E.H)을 완벽하게 기밀한 상태로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조립구조는 이미 당 업계에서는 널이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여도 충분히 이해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실리콘 몸체(110)는 실리콘 러버와 같이 절연특성이 높은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 XLPE, 에폭시(EPOXY)의 고분자고무나 폴리머류 재질에 의해 사출성형을 통해서 중공의 FRP튜브(130) 외주면에 성형 됨은 당연한 것으로 이러한 성형기술에 대해서도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이 또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여도 충분히 이해 될 것이다.
상기 도체(200)는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에 내설되는 1차도체(210)과 상기 1차도체(210)과 연결 접속되는 2차도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1차도체(210)는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에 내설되고 상부나사부(211)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의 나사부(311)과 나사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부는 상기 FRP튜브(130)의 상, 하에 조립되는 제1, 제2 T형밀폐캡(410)(42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제1 밀폐캡(410)은 T형몸체로서 중앙돌기(411)에 형성된 중앙공(412)에 의해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의 외주면을 밀봉하고, 상기 중앙돌기(411)의 외주면 및 상기 중앙돌기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플랜지(413)가 상기 FRP튜브(130)의 내주면 및 상단면에 덮여진 상태로 조립되어 밀봉된다.
이때, 상기 단자클램프(300)는 저부에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330)를 돌출하여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의 플랜지(413)에 대응 관통된 조립공(414)을 통하여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FRP튜브(130)의 상단면에 가공된 조립공(131)과 조립되어 1차 케이블(C.A)의 조립 시에 회전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의 밀림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제2 T형 밀폐캡(420)은 상기 제1 밀폐캡(410)과 같이, T형몸체로서 중앙돌기(421)에 형성된 중앙공(422)에 의해 상기 1차도체(210)의 외주면을 밀봉하고, 상기 중앙돌기(421)의 외주면 및 상기 중앙돌기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플랜지(423)가 상기 FRP튜브(130)의 내주면 및 하단면에 덮여진 상태로 조립되어 밀봉된다.
상기 1차도체(210)는 하부나사부(212)과 나사 조립으로 2차도체(220)가 연결 접속된다.
상기 2차도체(220)는 외피를 벗긴 상태에서 도체와의 압착에 의해 결속된 나사너트봉(230)에 의해 상기 하부나사부(212)에 나사 조립으로 연결 접속된다.
이때, 상기 2차도체(220)는 상기 하부나사부(212)를 관통하여 압착링(240)을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너트봉(230)이 나사조립으로 상기 제2 T형 밀폐캡(420)에 밀착 조립된다.
상기 나사너트봉(230)의 외주면은 4각이나 6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1차도체(210)의 하부나사부(212)와의 나사조립에 따른 체결공구의 나사 조임의 편리성이 보장된다.
그리고 상기 도체(200)는 1차도체(210)의 상,하부 나사부(212)는 상호 반대이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상기 2차도체(220)의 나사너트봉(230)의 나사조임시에 풀림이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1차도체(210)과 2차도체(220)는 하나의 도체(200)으로서, 상기 단자클램프(3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과 제2 T형 밀폐캡(420)은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의 내주면에 결합하는 중앙돌기(411)(421)의 내,외주면은 오링 형상의 주름돌기(411a)(421a)로 형성하여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 및 1차도체(210)의 외주면과의 기밀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변압기의 외함(E.B)의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가 제2 T형 밀폐캡(420)과 제1 T형 밀폐캡(410)에 의한 2차에 걸쳐 절연유의 누유가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체(200)와 하우징 어셈블리(100) 및 단자클램프(300)간의 조립에 따른 편리성과 견고성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단순 설계변경 및 상업적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전력산업의 한분야인 주상변압기의 설비에 따른 안전성의 극대화로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하우징 어셈블리 110 : 실리콘몸체
120 : 쉐드 130 : 중공의 FRP튜브
140, 141 : 환형요홈 150 : 환형링
160 : 환형고정링 180 : 스프링환
200 : 도체 210 : 1차도체
220 : 2차도체 230 : 나사너트봉
240 : 압착링
300 : 단자클램프 310 : 결합돌부
320 : 연결단자 330 : 회전방지돌기
410 : 제1 T형 밀폐캡 411, 421 : 중앙돌기
412, 422 : 중앙공 413, 423 : 플랜지
420 : 제2 T형 밀폐캡

Claims (7)

  1. 중공 인발로 성형된 중공의 FRP튜브(130) 상부측 외주면에 성형된 다수의 쉐드(120)를 갖는 실리콘몸체(110)로 구성된 하우징 어셈블리(100);
    변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중공의 FRP튜브(130) 내부에 관통 설치되고 그 상단의 상부나사부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상부로 연장된 도체(200);
    상기 도체(200)의 상부나사부(211)에 결합돌부(310)에 의해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연결단자(320)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도전체의 단자클램프(300);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의 외주면을 중앙돌기(411)의 중앙공(412)으로 밀봉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주면 및 상단면을 기밀하는 제1 T형 밀폐캡(410)에 의해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상부 기밀이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하단은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과 동일구조로 대향하여 상기 도체(200)의 외주면을 중앙돌기(421)의 중앙공(422)으로 밀봉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주면 및 하단면을 기밀하는 제2 T형 밀폐캡(420)에 의해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부를 다중 기밀하는 것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외주면의 중앙부로 상기 변압기의 외함의 내측 위치부분에 통상의 스프링환(170)이 결착하는 환형 요홈(141)과 상기 외함의 외측 위치부분에 환형링(150)이 결착하는 환형 요홈(140)을 가공하되, 상기 환형링(150)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재질(LCP, PPS)로 성형되고 이의 상부 및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실리콘몸체(110)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캡(410)은 T형몸체로서 중앙돌기(411)에 형성된 중앙공(412)에 의해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의 외주면을 밀봉하고, 상기 중앙돌기(411)의 외주면 및 상기 중앙돌기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플랜지(413)가 상기 FRP튜브(130)의 내주면 및 상단면에 덮여진 상태로 조립되어 밀봉되고,
    상기 도체(200)의 상부나사부(211)와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와의 나사 조임에 의해 상기 플랜지(413)가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의 상단면에 압착되면서 상기 중앙돌기(311)의 확장변형으로 상기 FRP튜브(130)의 내주면 및 결합돌부(310)의 외주면과의 밀착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T형 밀폐캡(420)은 상기 제1 밀폐캡(410)과 같이, T형몸체로서 중앙돌기(421)에 형성된 중앙공(422)에 의해 상기 1차도체(210)의 외주면을 밀봉하고, 상기 중앙돌기(421)의 외주면 및 상기 중앙돌기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플랜지(423)가 상기 FRP튜브(130)의 내주면 및 하단면에 덮여진 상태로 조립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클램프(300)는 저부에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330)를 돌출하여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의 플랜지(413)에 대응 관통된 조립공(414)을 통하여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FRP튜브(130)의 상단면에 가공된 조립공(131)과 조립되어 1차 케이블(C.A)의 조립 시에 회전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의 밀림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200)는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에 내설되어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에 상부나사부(211)로 나사 결합되고, 하부나사부(212)를 상기 제2 T형 밀폐캡(420)을 관통하여 외측에 돌출된 1차도체(210)와, 상기 1차도체(210)의 하부나사부(212)에 나사조립되는 나사너트봉(230)에 의해 연결 접속되는 2차도체(220)로 분리되되, 상기 2차도체(220)는 상기 하부나사부(212)를 관통하여 압착링(240)을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너트봉(230)의 나사조립으로 상기 제2 T형 밀폐캡(420)의 플랜지(423)가 압착되면서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의 하단부에 가압에 의한 밀착된 상태로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7.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형 밀폐캡(410)은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주면에 결합하는 중앙돌기(411)의 외주면 및 상기 단자클램프(300)의 결합돌부(310)가 결합하는 상기 중앙돌기(411)의 중앙공(412) 내주면은 다수의 오링형상의 주름돌기(411a)을 형성하여 기밀되고,
    상기 제2 T형 밀폐캡(420)은 상기 중공의 FRP튜브(130) 내주면에 결합하는 중앙돌기(421)의 외주면 및 상기 1차도체(210)가 관통하는 상기 중앙돌기(411)의 중앙공(422)의 내주면은 다수의 오링형상의 주름돌기(421a)을 형성하여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KR1020150131163A 2015-09-16 2015-09-16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KR101734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63A KR101734135B1 (ko) 2015-09-16 2015-09-16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63A KR101734135B1 (ko) 2015-09-16 2015-09-16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69A true KR20170033169A (ko) 2017-03-24
KR101734135B1 KR101734135B1 (ko) 2017-05-12

Family

ID=5850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63A KR101734135B1 (ko) 2015-09-16 2015-09-16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1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7907A (zh) * 2019-11-25 2021-05-25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变压器用接线端子及其制作方法
KR20220010997A (ko) * 2020-07-20 2022-01-27 영인기술(주) 변압기용 단자 조립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307B1 (ko) 2019-08-08 2019-10-29 주식회사 시온이엔지 고압 변압기 부싱 인상용 지그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53Y1 (ko) 2002-04-02 2002-07-19 이완이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 고정장치
KR100951473B1 (ko) 2008-05-13 2010-04-07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
KR20120002271U (ko) 2010-09-20 2012-03-28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1차부싱 밀봉구조
KR101169647B1 (ko) 2011-02-10 2012-08-03 동우전기 주식회사 자기 부싱
KR200462698Y1 (ko) 2011-05-20 2012-09-24 김재호 주상변압기용 부싱
KR101304810B1 (ko) 2012-10-04 2013-09-05 송홍준 전력연결 및 차단용 개폐기의 절연 부싱
KR101484922B1 (ko) 2014-12-09 2015-01-28 우진전기 주식회사 주상변압기용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의 제조방법
KR101506113B1 (ko) 2014-04-08 2015-03-26 송홍준 변압기용 애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10Y1 (ko) * 2003-07-31 2003-10-11 평일산업 주식회사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101247016B1 (ko) * 2012-11-23 2013-03-25 주식회사 삼능 계기용 변성기
KR101548358B1 (ko) 2014-12-09 2015-08-28 우진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53Y1 (ko) 2002-04-02 2002-07-19 이완이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 고정장치
KR100951473B1 (ko) 2008-05-13 2010-04-07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
KR20120002271U (ko) 2010-09-20 2012-03-28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1차부싱 밀봉구조
KR101169647B1 (ko) 2011-02-10 2012-08-03 동우전기 주식회사 자기 부싱
KR200462698Y1 (ko) 2011-05-20 2012-09-24 김재호 주상변압기용 부싱
KR101304810B1 (ko) 2012-10-04 2013-09-05 송홍준 전력연결 및 차단용 개폐기의 절연 부싱
KR101506113B1 (ko) 2014-04-08 2015-03-26 송홍준 변압기용 애자
KR101484922B1 (ko) 2014-12-09 2015-01-28 우진전기 주식회사 주상변압기용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7907A (zh) * 2019-11-25 2021-05-25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变压器用接线端子及其制作方法
KR20220010997A (ko) * 2020-07-20 2022-01-27 영인기술(주) 변압기용 단자 조립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135B1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135B1 (ko)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CA2876154C (en) Medium or high voltage switch bushing
KR101673523B1 (ko) 변압기용 부싱
KR101642765B1 (ko)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RU2007120391A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оходной изолято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9074948A (zh) Hv设备和制造此类设备的方法
KR101548358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CN106952701B (zh) 过电压防护放电器
KR101556755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KR200282453Y1 (ko)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 고정장치
KR101650306B1 (ko) 계기용 변압 변류기용 부싱
KR101423948B1 (ko)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KR101672902B1 (ko) 변압기용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
KR101949683B1 (ko) 회전 방지 기능 및 절연유 누유 및 외부 수분침투 방지 기능을 갖는 저압부싱
KR102523707B1 (ko) 차단기의 극 부품 조립체
US2315623A (en) Insulating bushing
US4059722A (en) Terminal connector for electrical cables
KR101484922B1 (ko) 주상변압기용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의 제조방법
WO2018211811A1 (ja) 固体絶縁母線の防水構造、及び固体絶縁母線の接続構造
CN106783093B (zh) 一种油浸式变压器用全密封组合式1kV级套管
KR101393062B1 (ko) 개폐기 및 차단기의 몰드콘 어셈블리
KR100502436B1 (ko) 가공용 가스개폐기 폴리머부싱
KR20130080121A (ko) 부싱
KR101251610B1 (ko)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KR200296588Y1 (ko) 가공용 가스개폐기 폴리머부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