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981A -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981A
KR20170032981A KR1020150130712A KR20150130712A KR20170032981A KR 20170032981 A KR20170032981 A KR 20170032981A KR 1020150130712 A KR1020150130712 A KR 1020150130712A KR 20150130712 A KR20150130712 A KR 20150130712A KR 20170032981 A KR20170032981 A KR 2017003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pace
discharge port
passage hole
filtr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환국
신현준
한상종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981A/ko
Publication of KR2017003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사방을 막는 측면 벽체와 저면을 막는 저면 벽체를 가지고, 측면 벽체 일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통체부와, 통체부의 열린 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통체부 내부이면서 커버 아래쪽에 설치되며, 배출구가 있는 부분과 배출구가 없는 부분으로 통체부 내부 공간을 분할하며, 물은 통과시키고 큰 협잡물은 거르도록 다수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열린 입구 및 커버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통과구멍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나가도록 형성된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고, 내부 거름구조는 내부 공간 가운데 높은 위치에 있는 부분과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빗물받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별도로 분리하여 관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빗물받이 내에서 협잡물을 거르는 과정에서 배출이 지연되어 지역 침수가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를 있다.

Description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drainage system for road having filter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 변에 설치되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거름구조를 가져 유입되는 우수에서 협잡물을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 거름구조에 의해 우수 유출이 지연되거나 막히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분리형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빗물받이 혹은 우수받이는 도로 노면을 통해 흐르는 강우 유출수를 집수하여 공공하수도에 연결하기 위한 도로 구조물이다.
통상의 빗물받이는 도1에서 보듯이 빗물받이(10) 본체의 바닥 깊이와 배출구가 설치되는 위치의 깊이에 차이를 두어 유출수에 포함되어 운반되는 협잡물 및 부유성 오염물질 등을 침전시키는 침사조를 두며, 빗물받이(10)로 지속적으로 유출수가 유입되어 빗물받이 본체에서 바닥으로부터 수위가 상승하여 배출구에 이르면 배출구를 통해 연결관(20)을 거쳐 공공 하수관(3)으로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침사조에 협잡물이 가득차면 침사조는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협잡물이 배출구로 빗물과 함께 공공하수관으로 흘러들어 가면서 배출구 자체나 연결관(20)이나 하수관(30) 관로를 좁히거나 막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들에 의하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여과 및 흡착하여 제거하는 여과장치가 많이 개시되며, 가령 입도별 오염물질을 거르기 위한 바구니 모양의 거름망을 유입구 하단에 설치하기도 한다.
최근 기상 상황을 보면, 이상강우 현상이 증가하여 짧은 기간에 국지적으로 높은 강우강도의 폭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빗물받이의 가장 큰 역할은 도로 노면에 흐르는 강우 유출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하여 침수를 예방하는데 있을 것이나, 앞서 언급된 선행기술은 유출수에 포한된 미세한 오염물질까지 차단하고 흡착하기 위하여 공극이 작은 여과장치를 사용하거나 빗물받이 유입구 하단에 거름망을 설치하여 거름망에 쌓인 이물질에 의해 수위 상승이 이루어진 다음 하부에 설치된 배수구로 물이 빠지도록 하는 등 물의 흐름을 우선 고려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선행기술들은 빗물받이에 쌓인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해 복잡하게 설치된 기능 장치를 빼내도록 하거나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측구에서 작업하도록 구성되어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위험성이 존재하여 문제가 된다.
특허출원 제10-2005-0022012호 특허출원 제10-2007-0081730호 특허출원 제10-2005-0038046호 특허출원 제10-2007-0135115호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빗물받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경감하기 위한 것으로,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협잡물이 빗물받이의 배출구, 하수관로와의 연결부, 하수관로에 쌓여 우수 배출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동시에,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우수가 협잡물을 거르는 과정에서 지연되어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여 우수를 빠르게 하수관로로 배출하는 빗물받이 본래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받이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사방을 막는 측면 벽체와 저면을 막는 저면 벽체를 가지고, 측면 벽체 일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통체부와,
상기 통체부의 열린 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통체부 내부이면서 상기 커버 아래쪽에 설치되며, 배출구가 있는 부분과 배출구가 없는 부분으로 상기 통체부 내부 공간을 분할하며, 물은 통과시키고 큰 협잡물은 거르도록 다수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열린 입구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통과구멍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나가도록 형성된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부 거름구조는 상기 내부 공간 가운데 높은 위치에 있는 부분과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은 협잡물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을 한정하는 벽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집공간은 위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인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포집공간을 덮는 부분과 그 외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상기 통체부의 열린 입구로부터 각각 착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열린 입구의 일부는 커버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커버 가운데 상기 포집공간을 위쪽에서 덮는 부분을 인도에 설치하여, 이 부분을 열고 인도에서 상기 포집공간에 쌓인 협잡물을 제거작업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거름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부나 계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열린 입구 및 커버를 통해 유입된 우수는 일차적으로 경사부나 계단부를 통해 상기 포집공간으로 흘러 이동하고 상기 통체부 내에서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내부 거름구조는 상기 포집공간에서 시작하여 아래로부터 위로 물에 잠기며, 이런 과정들에서 내부 거름구조에 형성된 다수의 통과구멍을 통해 내부 공간 가운데 배출구가 없는 부분에서 있는 부분으로 물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내부 거름구조 일부가 계단부로 형성되는 경우, 계단부를 이루는 평면 부분과 단차연결 부분은 모두 통과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단차연결 부분에 형성된 통과구멍은 하위에 있는 것이 상위에 있는 것보다 구멍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부 거름구조 일부가 경사부로 형성되는 경우, 경사부에 형성된 통과구멍은 하위에 있는 것이 상위에 있는 것보다 구멍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협잡물이 빗물받이의 배출구, 하수관로와의 연결부, 하수관로에 쌓여 우수 배출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동시에,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우수가 협잡물을 거르는 과정에서 지연되어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빗물받이의 문제로 인한 지역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빗물받이 통체부 내로 유입되는 우수가 통체부 내에서도 내부 거름구조에 의해 흐름을 이루어 협잡물이 포집공간으로 집중되므로 내부 포집구조의 홀 막힘에 의한 빗물받이 외측으로의 물의 역류가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포집공간을 인도쪽에 설치하면 차도가 아닌 인도에서 차량 통행 불편이나 안전사고의 위험 없이 협잡물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다.
도1은 도로에 설치되는 종래의 빗물받이와 하수관로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적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빗물받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빗물받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빗물받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내부 거름구조의 계단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7은 도6의 화살표 K 방향에서 계단부를 바라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측단면도, 평면도,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어서는 빗물받이 통체부가 전체적으로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좌우 사방을 막는 측면 벽체(112)와 측면 벽체(112) 하단에 연결되면서 저면을 막는 저면 벽체(114)를 가지고, 측면 벽체(112) 상단은 열린 입구를 이룬다. 측면 벽체(112) 가운데 전방 벽체의 하부에는 배출구(116a)가 형성되고, 좌우 측방의 측면 벽체의 하부에도 배출구(116c)가 형성된다. 빗물받이가 도로 방향으로 놓이는지 혹은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놓이는 지에 따라 그리고, 주변 도로 상황이나 도로 시설물 상황에 맞게 이들 배출구 가운데 어느 것을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에 결합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체부의 열린 입구의 대부분은 커버(120)로 덮이며, 커버(120) 아래에는 통체부 내에 내부 거름구조(130)가 설치된다. 내부 거름구조(130)는 일종의 거름망으로 볼 수 있으며, 통체부 내부 공간을 배출구(116a, 116c)가 있는 부분과 배출구가 없는 부분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거름구조(130)에는 물(우수)은 통과시키고 협잡물은 거르도록 다수의 통과구멍(hole)이 형성되어 있다.
단, 여기서 내부 거름구조(130)는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통체부 내부 공간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부분과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거름구조(130)는 전방 측면 벽체의 상부에서 중앙을 향해 아래로 내려가는 계단 구조를 가지는 계단부(131)와 계단부(131)의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뻗어 통체부 저면 벽체(114) 위에 놓이는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133)으로 이루어진다. 이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133)은 후방 측면 벽체의 하부, 좌우 측방 측면 벽체의 하부와 함께 그 후방의 공간을 협잡물 포집공간으로 형성하게 된다.
내부 거름구조를 도2와 같은 위치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하기 위해 통체부의 측면 벽체 내측면에는 계단부의 각 부분을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는 돌출턱(112c)과 내부 거름구조의 수직으로 형성된,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133)이 후방으로 밀려서 제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거나, 통체부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때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하는 돌출턱(11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돌출턱은 측면 벽체를 형성할 때 일체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는 또한, 이 포집공간을 덮는 부분인 청소커버(123)와 그 외의 부분인 잔여커버(121)로 나뉘어져 상기 통체부의 열린 입구로부터 각각 착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열린 입구의 일부(118a)는 커버(120)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이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빗물받이가 도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커버(120)는 모두 차도 변에 설치되며, 커버 가운데 포집공간을 위쪽에서 덮는 청소커버(123)는 매우 작은 크기와 적은 숫자의 홀을 가지고 설치되고, 이 부분을 열어 포집공간에 쌓인 협잡물을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빗물받이를 바라볼 때 도3과 같이 중앙을 포함하는 상당부분이 잔여커버(121)로 덮이는데 잔여커버는 격자형 그레이팅 구조를 가지며, 우수 및 협잡물이 통과하는 커다랗고 많은 슬릿 혹은 홀을 가진다. 물론, 도로 상황이 가능하다면 빗물받이를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포집공간과 청소커버(123)가 인도 영역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실시예의 계단부와 관련하여, 도5는 초기 우수가 빗물받이로 커버를 통해 유입될 때 우수가 내부 거름구조(130)를 통과하는 주된 형태를, 도6은 빗물받이 본체(통체부)에 수위가 상승할 때 우수가 내부 거름구조(130)를 통과하는 주된 형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5 내지 도7을 함께 참조하면서 이런 실시예에서 유입되는 우수가 처리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주로 통체부의 열린 입구의 일부(118a) 및 커버(120), 특히 잔여커버(121) 부분을 통해 우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우수는 도5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그 아래쪽에 있는 전방 벽체에서 전방으로 확장된 부분(112a) 및 내부 거름구조(130)의 계단부(131)에서 경사를 따라 통체부의 중앙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일부가 계단부(131) 평면부분(131a)에 형성된 통과구멍(131a')을 통해 배출구(116a, 116c)가 있는 공간으로 들어가고, 일부는 포집공간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우수와 함께 유입된 협잡물은 우수와 함께 내려오는 속도에 의해 대부분 통과구멍(131a')을 지나쳐 포집공간으로 떨어진다.
포집공간으로 떨어진 우수와 협잡물은 한편으로 포집공간에 쌓이고, 한편으로 포집공간의 일 측벽을 이루고 있는 내부 거름구조의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133)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통해 배출구(116a, 116c)가 있는 공간으로 들어간다. 배출구가 있는 공간에 들어간 우수는 수위가 높아지면서 다시 배출구를 통해 통체부에서 밖으로 나가게 된다. 내부 거름구조의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133)에 형성된 통과구멍은 작게 형성되어 협잡물은 잘 통과하지 못하고, 우수는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포집공간의 우수가 쌓여 수위가 올라가면 배출구가 있는 공간에서도 우수가 쌓여 수위가 함께 올라가게 된다.
단, 내부 거름구조의 통과구멍들을 통해 배출구가 있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우수의 양이 배출구를 통해 그 공간에서 밖으로 배출되는 우수의 양보다 작을 때에는 배출구가 있는 공간의 수위는 배출구가 없는 공간이 수위보다 낮을 수 있고, 점차 수위차도 커질 수 있다.
통체부에 유입되는 우수가 많아지면 수위는 계속 올라가게 되며 내부 거름구조의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133)뿐 아니라 계단부(131)도 아래쪽부터 우수에 잠기게 된다. 이때, 도6에 화살표들로 표시되어 있듯이 계단부(131)의 평면부분(131a)과 평면부분(131a)을 연결하는 단차연결 부분(131b)에도 통과구멍(13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통과구멍(131b')을 통해서도 우수는 배출구가 있는 공간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내부 거름구조(130)의 통과구멍들을 통해 배출구가 있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우수의 양이 늘어나고, 배출구(116a, 116c)를 통해 그 공간에서 밖으로 배출되는 우수의 양과 균형을 맞추어 가면서 수위차도 작아질 수 있다.
그러나, 내부 거름구조(130)의 아래쪽에 있는 부분에서는 통과구멍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아 이들을 통해 배출구(116a, 116c)가 있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우수의 양이 여전히 작을 수 있고, 이들 통과구멍이 포집공간에 쌓이는 협잡물에 의해 막힐 수 있으므로 배출구가 없는 공간의 수위가 상당히 높아져도 배출구가 있는 공간의 수위는 여전히 낮을 수 있으며,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배출구가 없는 공간이 우수로 가득채워져 우수가 빗물받이 통체부의 열린 입구를 막게 되고, 통체부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더 이상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주변 침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7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계단부의 단차연결 부분(131b) 가운데 위쪽에 있는 것에는 통과구멍(131b') 혹은 슬릿을 아래쪽에 있는 것보다 크게 형성하여 수위가 높아질수록 우수가 더 잘 빠져나가 전체적으로 내부 거름구조의 통과구멍을 통과하는 우수의 양을 증가시키고, 협잡물의 일부라도 크기가 크지 않은 것은 우수와 함께 빠져나가 협잡물에 의해 통과구멍이 막히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있다. 즉, 빗물받이에서 내부 거름구조 자체의 우수 흐름 지연이나 막힘 문제로 인한 빗물받이 주변의 침수 문제를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는 내부 거름구조의 일부가 계단부로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계단부 대신 전방적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부의 경우에도 경사부의 통과구멍(슬릿)들 가운데 위쪽에 있는 것의 크기가 아래쪽에 있는 것보다 크게 형성하여 통체부 내부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우수가 더 잘 빠져나가 전체적으로 내부 거름구조의 통과구멍을 통과하는 우수의 양을 증가시키고, 빗물받이 주변의 침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측단면도, 평면도,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빗물받이는 앞선 실시예보다 차선수 많고 폭이 넓은 도로에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앞선 실시예와 내부 거름구조 및 통체부는 대동소이하고, 커버 구조가 차이를 가진다.
단, 여기서는 빗물받이가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커버(220)가 격자 그레이팅 구조의 잔여커버(221)가 차도 변에 설치되고, 청소커버(223)는 인도 영역에 설치되어 차이가 있다. 그리고, 잔여커버와 청소커버가 별도로 통체부에서 착탈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지만, 인도 영역에는 넓게 커버 주변부(223')가 설치되고, 그 커버 주변부에는 맨홀이 설치되고, 청소커버(223)가 이 맨홀을 덮는 맨홀뚜껑처럼 설치된다. 각각의 빗물받이는 도로를 따라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빗물받이와 좌우 방향 측벽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들(216c)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커버 주변부(223')에서 잔여커버(221)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은 실제로 차도와 인도 사이의 단턱 위치에 해당되어 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 자체가 단차를 이루는 단턱부가 되어 도로 단턱의 일부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 잔여커버의 차도측에 통체부의 열린 입구 가운데 커버로 덮이지 않는 부분이 있고, 이 부분을 통해 차도 변에서 우수와 협잡물이 그레이팅을 거치지 않고 직접 통체부 내부 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 것과 대응되도록, 여기서는 단턱부에 통체부의 열린 입구와 통하는 통로(218a)를 형성하여 우수와 협잡물이 직접 통체부 내부 공간으로 들어오도록 하였다.
이런 빗물받이를 설치할 때에는 맨홀 주변부와 단턱부 높이에 맞추어 주변에는 인도을 형성하고, 정기적으로 혹은 필요할 때만다 포집공간을 위쪽에 있는 맨홀 뚜껑 형태의 청소커버(223)를 맨홀에서 들어내고 인도에서 포집공간에 쌓인 협잡물을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도 통체부 내부이면서 커버 아래쪽에 설치되며, 배출구(216a, 216c)가 있는 부분과 배출구가 없는 부분으로 상기 통체부 내부 공간을 분할하며, 물은 통과시키고 큰 협잡물은 거르도록 다수 통과구멍이 형성된 내부 거름구조가(230) 설치되며, 우수가 협잡물과 함께 빗물받이로 유입될 때 여기서 이루어지는 작용은 도5 내지 도7에 대한설명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들과 관련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빗물받이 20: 연결관
30: 하수관 112, 212: 측면 벽체(통체부 측면 벽체)
112c: 돌출턱 114: 저면 벽체(통체부 저면 벽체)
116a, 116c, 216a, 216c: 배출구 120, 220: 커버
121, 221: 잔여커버 123, 223: 청소커버
130, 230: 내부 거름구조(거름망) 131a: 평면부분
131a', 131b': 통과구멍 131b: 단차연결 부분
223': 커버 주변부 218a: 통로

Claims (6)

  1.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사방을 막는 측면 벽체와 저면을 막는 저면 벽체를 가지고, 측면 벽체 일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통체부와,
    상기 통체부의 열린 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통체부 내부이면서 상기 커버 아래쪽에 설치되며, 배출구가 있는 부분과 배출구가 없는 부분으로 상기 통체부 내부 공간을 분할하며, 물은 통과시키고 협잡물은 거르도록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열린 입구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통과구멍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나가도록 형성된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부 거름구조는 상기 내부 공간 가운데 높은 위치에 있는 부분과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빗물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은 협잡물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을 한정하는 벽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상기 포집공간은 설치된 상태에서 위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인도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빗물받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포집공간을 덮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으로 나뉘어져 상기 열린 입구로부터 각각 착탈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머지 부분은 차도 변에 설치되고 그레이팅 형태를 가지며,
    상기 커버 가운데 상기 포집공간을 덮는 부분은 인도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빗물받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거름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부나 계단부로 형성되어,
    상기 열린 입구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유입된 우수는 일차적으로 상기 경사부나 계단부를 통해 상기 포집공간으로 흘러 이동하고 상기 통체부 내에서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내부 거름구조는 상기 포집공간에서 시작하여 아래로부터 위로 물에 잠기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빗물받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거름구조 일부가 계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계단부를 이루는 평면부분과 단차연결 부분은 모두 통과구멍을 가지며,
    상기 단차연결 부분에 형성된 통과구멍은 상기 계단부의 하위에 있는 통과구멍의 크기가 상기 계단부의 상위에 있는 통과구멍의 구멍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빗물받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거름구조 일부가 경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는 통과구멍은 상기 경사부의 하위에 있는 통과구멍의 크기가 상기 경사부의 상위에 있는 통과구멍의 구멍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빗물받이.
KR1020150130712A 2015-09-16 2015-09-16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 KR20170032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712A KR20170032981A (ko) 2015-09-16 2015-09-16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712A KR20170032981A (ko) 2015-09-16 2015-09-16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81A true KR20170032981A (ko) 2017-03-24

Family

ID=5850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712A KR20170032981A (ko) 2015-09-16 2015-09-16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29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412A (zh) * 2017-09-26 2018-02-16 庄慧勇 道路路面降尘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115B1 (en) 1991-09-13 1998-04-22 Canon Kk Magnetic developer
KR20050022012A (ko) 2002-07-19 2005-03-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반도체 장치
KR20050038046A (ko) 2000-09-25 2005-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신호 전송 시스템, 신호 송신 장치 및 신호 수신 장치
KR20070081730A (ko) 2006-02-13 2007-08-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박막 자기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115B1 (en) 1991-09-13 1998-04-22 Canon Kk Magnetic developer
KR20050038046A (ko) 2000-09-25 2005-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신호 전송 시스템, 신호 송신 장치 및 신호 수신 장치
KR20050022012A (ko) 2002-07-19 2005-03-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반도체 장치
KR20070081730A (ko) 2006-02-13 2007-08-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박막 자기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412A (zh) * 2017-09-26 2018-02-16 庄慧勇 道路路面降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663B1 (en) Storm drain filter system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0805334B1 (ko) 도로의 배수 정화시설
AU2010292395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815131B2 (en)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US20130233806A1 (en) Device and a method for filtering stormwater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652055B1 (ko) 우수받이
KR20100006204U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76852B1 (ko) 집수정
JP2012036711A (ja) 路面排水処理装置
KR101013091B1 (ko) 우수 정화구조물
KR100976851B1 (ko) 집수정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1231458B1 (ko)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20170032981A (ko) 내부 거름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빗물받이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134311B1 (ko) 로드 트랩 장치
KR101158632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2140440B1 (ko) 교량용 집수구의 초기우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