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730A -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730A
KR20170032730A KR1020150130480A KR20150130480A KR20170032730A KR 20170032730 A KR20170032730 A KR 20170032730A KR 1020150130480 A KR1020150130480 A KR 1020150130480A KR 20150130480 A KR20150130480 A KR 20150130480A KR 20170032730 A KR20170032730 A KR 20170032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tag
tag
identification
article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680B1 (ko
Inventor
임종훈
이재권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6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bstract

본 발명의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태그 부착 시스템은 이동중인 물품에 제1 식별 태그를 부착하는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 제1 식별 태그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식별 태그를 부착하는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 및 제1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 및 제2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를 매칭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복수의 태그에 각각 저장되는 정보를 상호간 효율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TAG}
본 발명은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태그를 물품에 부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품 이동 등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 및 롤러 컨베이어 등 다양한 종류에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되는 물품에는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등의 식별 태그가 부착된다.
특히 이동되는 물품에 태그를 부착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20269호(공고일 : 2007.05.23)가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는 각각의 물품에 하나의 태그가 부착되는 것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태그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태그에 저장되는 정보 관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근래에는 물품에 복수의 태그를 부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품의 부착되는 복수의 태그에 각각 저장되는 정보를 상호간 효율적으로 매칭시키는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품에 복수의 태그를 부착하는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태그 부착 시스템은 일 방향으로 이동중인 물품에 제1 식별 태그를 부착하는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 상기 제1 식별 태그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식별 태그를 부착하는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 및 상기 제1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를 매칭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태그 부착 시스템을 이용한 태그 부착 방법은 일 방향으로 이동중인 물품에 제1 식별 태그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태그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식별 태그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태그의 정보 및 제2 식별 태그의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물품에 복수의 태그를 부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태그에 각각 저장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매칭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오류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중인 물품(100)에 태그를 부착하는 태그 부착 시스템은 제어 장치(110),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 리딩 장치(140), 통신 장치(150), 물품 제거 장치(160) 및 이송 장치(17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태그 부착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태그 부착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1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제어장치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나아가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제어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는 리딩 장치(140) 또는 통신 장치(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는 리딩 장치(140) 또는 통신 장치(150)를 구동시켜 식별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는 물품 제거 장치(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는 이동 중인 물품(100)에 제1 식별 태그(125)를 부착한다.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는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로 순차적으로 진입하는 각각의 물품(100) 제1 식별 태그(125)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별 태그(125)는 전자 태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별 태그(125)는 RFID 태그 일 수 있다.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에는 물품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식별 태그(12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식별 태그(125)는 제1 식별 태그(125)가 물품(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필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가 제1 식별 태그(125)를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의 방법을 따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에는 컨베이어상에서 제1 식별 태그(125)가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방식으로 제1 식별 태그(125)가 이동되어 부착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는 물품(100)에 제1 식별 태그(125)를 부착함에 있어서, 빠른 부착을 위해, 제1 식별 태그(125)의 일부만을 물품(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는 이동 중인 물품에 제2 식별 태그(135)를 부착한다.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는 물품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는 제1 식별 태그(125)의 부착 이후 순차적으로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로 진입하는 각각의 물품(100)에 제2 식별 태그(135)를 부착할 수 있다.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는 물품에 부착된 제1 식별 태그(125)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식별 태그(135)를 물품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식별 태그(125)가 물품(100)에 일부만 부착된 경우에 있어서, 제2 식별 태그(135)가 제1 식별 태그(125)를 덮으며 부착되는 과정을 통해 물품에 부착되지 않았던 제1 식별 태그(125)의 일부가 물품(10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식별 태그(135)는 바코드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bar code)는 전산적으로 읽고 해독할 수 있는 흑백 이미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코드를 의미한다. 흑백 막대의 조합인 1차원 바코드는 물론,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의 2차원 바코드도 이에 해당된다.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에는 물품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식별 태그(13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2 식별 태그(135)는 제2 식별 태그(135)가 물품(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필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2 식별 태그(135)는 각각의 필름에 각각의 필름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식별 태그(135)는 필름의 최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식별 태그(135)는 물품(100)에 부착되기 직전에 리딩된다. 제2 식별 태그(135)가 필름의 전방에 배치된 경우, 리딩시 제2 식별 태그(135)의 일부가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어, 리딩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 식별 태그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제2 식별 태그(135)가 필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가 제2 식별 태그(135)를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의 방법을 따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에는 컨베이어상에서 제2 식별 태그(135)가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방식으로 제2 식별 태그(135)가 이동되어 부착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딩 장치(140)는 제2 식별 태그(135)를 리딩한다. 리딩 장치(140)가 제2 식별 태그(135)를 리딩하면, 제2 식별 태그(135)에 저장된 태그 정보는 제어 장치(11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딩 장치(140)는 물품(100)에 부착되지 직전에 위치한 제2 식별 태그(135)를 리딩할 수 있다. 즉 리딩 장치(140)는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에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물품(100)을 향해 이동하는 제2 식별 태그(135) 중 물품(100)과 제2 식별 태그(135)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최선에 위치한 제2 식별 태그(135)를 리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리딩 장치(140)는 물품(100)과 가장 근접하는 제2 식별 태그(135)를 리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딩 장치(140)는 광학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딩 장치(14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식별 태그(135)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는 광학 장치에서 발생되는 빛을 제2 식별 태그(135)로 집광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0)는 제1 식별 태그(125)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0)는 RFID 안테나 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장치(150)가 제1 식별 태그(125)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인 경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10)는 통신 장치(150)를 통해 제1 식별 태그(125)에 태그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1 식별 태그(125)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0)는 물품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제거 장치(160)는 제어 장치(110)의 제어로 물품(100)에 부착된 제1 식별 태그(125) 또는 제2 식별 태그(135)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식별 태그(125) 및 제2 식별 태그(135)가 부착된 물품(100)을 진행 경로에서 제거시킬 수 있다. 즉 물품 제거 장치(160)는 태그 오류가 발생된 물품(100)을 현재 진행 경로에서 제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제거 장치(160)는 물품(100)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켜, 현재 진행 경로에서 물품(100)을 제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제거 장치(160)는 물품(1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통신 장치(150)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 장치(150)를 통과한 물품(100)에 대해서 태그 오류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물품(100)을 현재 진행 경로에서 제거 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물품 제거 장치(160)는 바(Bar) 형상일 수도 있고, 힌지(Hinge) 형상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물품 제거 장치(160)가 바(Bar)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품 제거 장치(160)가 물품을 현재 이동 경로에서 제거시키는 형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물품 제거 장치(160)는 통신 장치(150)바로 뒤에 배치되어 태그 오류가 발생된 태그 즉 오류 태그가 부착된 물품(100)을 즉시 제거 할 수 있으므로, 차후에 오류 태그가 부착된 물품(100)를 직접 골라 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170)는 물품(100)에 동력을 제공하여, 이송 장치(170)에 배치되는 물품(100)을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는 컨베이어일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1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10)는 태그 부착 시스템의 각 구성과 통신하는 통신부(111)를 포함한다. 특히 통신부(111)는 리딩 장치(140)로부터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제1 식별 태그(125)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1 식별 태그(125)에 태그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10)는 제어 장치(110)로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3)에는 수신되는 제1 식별 태그(125)의 태그 정보 또는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13)에는 제1 식별 태그(125)의 태그 정보 및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식별 태그에 저장될 태그 정보 리스트가 기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13)에는 태그 부착 시스템의 각 구성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10)는 제어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5)는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를 기 저장된 소정의 태그 정보와 매칭시키고, 매칭된 소정의 태그 정보를 제1 식별 태그(12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5)는 통신 장치(150)를 통해 매칭된 소정의 태그 정보를 제1 식별 태그(12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5)는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를 통신 장치(150)를 통해 수신된 제1 식별 태그(125)의 태그 정보와 매칭 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식별 태그(125)에는 물품(100)에 부착되기 전에 태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딩 장치(140)가 물품(100)에 부착되기 직전의 제2 식별 태그(135)를 리딩하고,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통신 장치(150)가 해당 제2 식별 태그(135)가 부착된 상품의 제1 식별 태그(125)와 통신하게 되므로, 제2 식별 태그(135)와 매칭되는 태그 정보를 리딩 장치(140)의 리딩 수행 직후 제1 식별 태그(125)에 전송하거나, 리딩 장치(140)의 리딩 수행 직후 제1 식별 태그(125)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어, 각각의 태그(125, 135)의 부착 타이밍 또는 태그 정보 획득 타이밍을 고려하지 않고도 매칭된 태그 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리딩된 제2 식별 태그(135)가 물품(100)에 즉시 부착될 수 있도록 리딩 장치(140)가 가장 근접한 물품(100)의 제2 식별 태그(130)를 리딩하며, 해당 제2 식별 태그(135)가 부착된 물품(100)의 제1 식별 태그(125)와 즉시 통신할 수 있도록,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의 바로 뒤에 통신 장치(150)가 배치된다.
또한 제어부(115)는 각각의 태그의 오류 여부를 판별하고, 오류 태그가 부착된 상품을 제거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태그 부착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태그 부착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는 물품(100)에 제1 식별 태그(125)를 부착한다(S3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120)는 물품(100)에 제1 식별 태그(125)를 부착함에 있어서, 빠른 부착을 위해, 제1 식별 태그(125)의 일부만을 물품(100)에 부착할 수 있다.
제 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는 물품(100)에 제2 식별 태그(135)를 부착한다(S303).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130)는 물품에 부착된 제1 식별 태그(125)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식별 태그(135)를 물품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식별 태그(135)는 물품(100)에 부착되기 직전 리딩 장치(140)에 의해 리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303 단계 이후 제어 장치(110)는 제1 식별 태그(125)의 태그 정보와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태그 정보 매칭을 위해 제어 장치(110)는 통신 장치(150)를 통해 제1 식별 태그(125)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태그 정보 매칭 과정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10)는 제2 식별 태그(135)의 리딩으로 획득된 태그 정보와 소정의 태그 정보를 매칭 시키고, 통신 장치(150)통해 매칭된 소정의 태그 정보를 제1 식별 태그(12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식별 태그(125)에는 물품(100)에 부착 전에 태그 정보가 기 저장되며, 제어 장치(110)는 제1 식별 태그(125)로부터 저장된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식별 태그(135)의 리딩으로 획득된 제2 식별 태그(135)의 태그 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 장치(110)는 태그 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305). 제어 장치(110)는 제1 식별 태그(125) 또는 제2 식별 태그(135)에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태그의 손상 또는 통신 오류로 인해, 제1 식별 태그(125)로부터 비정상적인 태그 정보를 수신하거나, 태그 정보를 송수신 하지 못하는 경우, 태그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는 제2 식별 태그(135)가 리딩되지 않거나, 제2 식별 태그(135)로부터 비정상적인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태그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0)는 오류 태그가 부착된 상품을 제거한다(S307). 즉 제어 장치(110)는 태그 오류라고 인식된 태그가 부착된 상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10)는 물품 제거 장치(160)를 구동시켜, 오류 태그가 부착된 상품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물품 110: 제어 장치
111: 통신부 113: 저장부
115: 제어부 120: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
125: 제1 식별 태그 130: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
135: 제2 식별 태그 140: 리딩 장치
150: 통신 장치 160: 물품 제거 장치
170: 이송 장치

Claims (17)

  1. 일 방향으로 이동중인 물품에 제1 식별 태그를 부착하는 제1 식별 태그 부착 장치;
    상기 제1 식별 태그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식별 태그를 부착하는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 및
    상기 제1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를 매칭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태그 부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태그는 RFID 태그이고, 상기 제2 식별 태그는 바코드인, 태그 부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태그를 리딩하는 리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딩 장치는, 상기 물품에 가장 근접하는 상기 제2 식별 태그에 대하여 리딩을 수행하는, 태그 부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부착 시스템은,
    상기 물품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 이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식별 태그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태그 부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식별 태그 리딩으로 획득된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를 소정의 태그 정보와 매칭시키고, 매칭된 소정의 태그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식별 태그로 전송하는, 태그 부착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태그에는 태그 정보가 기 저장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제1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를 상기 리딩 장치의 리딩으로 획득된 제2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와 매칭시키는, 태그 부착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부착 시스템은,
    상기 물품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신 장치 이후에 배치되는 물품 제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식별 태그 또는 상기 제2 식별 태그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식별 태그 및 상기 제2 식별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상기 제거 장치를 구동시켜 현재 진행 경로에서 제거시키는, 태그 부착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 장치는,
    상기 제2 식별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광학 장치이며,
    상기 광학 장치는,
    상기 광학 장치에서 발생되는 빛을 상기 제2 식별 태그로 집광시키는 조리개를 포함하는, 태그 부착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태그 부착 장치에는,
    상기 물품을 향해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필름이 배치되며, 각각의 제2 식별 태그는 각각의 필름에 상기 필름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태그 부착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태그는,
    상기 물품에 부착시 일부만 부착되며,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부착으로 전부가 부착되는, 태그 부착 시스템.
  11. 태그 부착 시스템을 이용한 태그 부착 방법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이동중인 물품에 제1 식별 태그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태그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식별 태그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태그의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부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태그는 RFID 태그이고, 상기 제2 식별 태그는 바코드인, 태그 부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부착 방법은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부착 전, 상기 물품에 가장 근접하는 상기 제2 식별 태그에 대한 리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그 부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태그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부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식별 태그 리딩으로 획득된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와 소정의 태그 정보와 매칭 시키는 단계; 및
    매칭된 소정의 태그 정보를 상기 제1 식별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부착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태그에는 태그 정보가 기 저장되며,
    상기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1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를 상기 제2 식별 태그 리딩으로 획득된 상기 제2 식별 태그의 태그 정보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부착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부착 방법은,
    상기 제1 식별 태그 또는 상기 제2 식별 태그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식별 태그 및 상기 제2 식별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현재 진행 경로에서 제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그 부착 방법.
KR1020150130480A 2015-09-15 2015-09-15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80A KR101723680B1 (ko) 2015-09-15 2015-09-15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80A KR101723680B1 (ko) 2015-09-15 2015-09-15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730A true KR20170032730A (ko) 2017-03-23
KR101723680B1 KR101723680B1 (ko) 2017-04-05

Family

ID=5849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480A KR101723680B1 (ko) 2015-09-15 2015-09-15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73B1 (ko) * 2021-02-25 2022-03-03 김원국 이송 중인 물품을 위하여 살균을 제공하고 살균 이력의 확인 및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물품용 방역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72B1 (ko) * 2006-05-22 2007-05-25 (주)넥스트로닉스 바코드가 인쇄된 rfid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80003634A (ko) * 2006-07-03 2008-01-08 박복용 표면실장용 테이프, 표면실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표면실장 방법
KR20130109481A (ko) * 2012-03-27 2013-10-08 (주)이케이테크놀로지 Rfid 자동부착장치 및 그것을 부착하기 위한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72B1 (ko) * 2006-05-22 2007-05-25 (주)넥스트로닉스 바코드가 인쇄된 rfid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80003634A (ko) * 2006-07-03 2008-01-08 박복용 표면실장용 테이프, 표면실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표면실장 방법
KR20130109481A (ko) * 2012-03-27 2013-10-08 (주)이케이테크놀로지 Rfid 자동부착장치 및 그것을 부착하기 위한 컨베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73B1 (ko) * 2021-02-25 2022-03-03 김원국 이송 중인 물품을 위하여 살균을 제공하고 살균 이력의 확인 및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물품용 방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680B1 (ko)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383B1 (ko)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방법
US7959084B2 (en) Multi-functional mobile computing device utilizing a removable processor module
US11295190B2 (en) Correlated asset identifier association
NZ747668A (en) Single or dual technology animal tags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GB2535298B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FID Tags
US9679180B2 (en) Portable data capture device
CN103198337B (zh) 具有物品定位功能的编码信息读取终端
US20140214620A1 (en) Method and arrangements for electronic shelf labels
KR101701957B1 (ko)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3218585B (zh) 带有非交互变量的rfid协议
US11188122B2 (en) Low-profile wearable scanning device
US9076049B1 (en) Encoding RFID tags of grouped items
CN106991350A (zh) 一种射频识别rfid标签的数据应用方法及系统
US20120218081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switching in a conveyor system
JP5031293B2 (ja) Rfid通信制御方法、rfid通信制御装置、及びrfid通信制御システム
EP2854072B1 (en) Device and method for bulk encoding tags
WO2005106814A3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data from rfid tags on library items and transmitting that data to the active focus of an application
US20120075080A1 (en) Reader/writer control apparatus
CN104205130A (zh) 用于射频识别(rfid)数据传送的方法和装置
KR101723680B1 (ko) 태그 부착 시스템 및 방법
US10192077B2 (en) Combined reading apparatus for identifying product
US201903707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designated items in a facility
KR102478569B1 (ko) 쇼케이스 층별 전면 양측에 배치된 카메라 기반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150154426A1 (en) Method for recognizing tag in environment using same frequency band and nfc device for the same
JP3920800B2 (ja) 無線データキャリア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