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57B1 -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57B1
KR101701957B1 KR1020150084752A KR20150084752A KR101701957B1 KR 101701957 B1 KR101701957 B1 KR 101701957B1 KR 1020150084752 A KR1020150084752 A KR 1020150084752A KR 20150084752 A KR20150084752 A KR 20150084752A KR 101701957 B1 KR101701957 B1 KR 10170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livery
terminal
central server
ta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152A (ko
Inventor
이용주
고강일
이세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8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50/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또는 시각 동기화)된 상태에서,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의 태깅에 의한 태깅 정보와 집하장 내에서의 배송 상품의 이동(또는 이송)에 따른 해당 배송 상품의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도난, 분실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를 근거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서버 내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배송 상품에 대한 효율적인 이력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System of managing delivery histo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또는 시각 동기화)된 상태에서,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의 태깅에 의한 태깅 정보와 집하장 내에서의 배송 상품의 이동(또는 이송)에 따른 해당 배송 상품의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도난, 분실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를 근거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서버 내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택배 서비스는 발송인의 소화물 전송 요청을 전화, 팩스, 인터넷 등의 통신을 통하여 접수한 뒤에, 발송인을 직접 방문하여 보낼 물건이나 서류를 인수한 후, 이를 수령인이 위치한 장소까지 방문하여 직접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택배 서비스의 택배 처리 과정은 발송 의뢰를 받은 모든 택배가 본사로 집결되고, 본사에서 택배를 수취처별로 분류하여, 해당 지역 영업소로 보내고, 지역 영업소의 담당 직원이 차량 등을 이용하여 수취처로 소화물을 배달하게 되는데, 수취처의 수령인이 도난, 분실 등의 사고로 인해 해당 소화물을 제대로 배달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도난, 분실 등의 사고 발생 시, 본사 기준의 통합 도난 또는 분실 방지 솔루션을 제공하지 못해, 사고 발생 원인을 확인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7585호 [명칭: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배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또는 시각 동기화)된 상태에서,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의 태깅에 의한 태깅 정보와 집하장 내에서의 배송 상품의 이동(또는 이송)에 따른 해당 배송 상품의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난, 분실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를 근거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서버 내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은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된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집하장에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배송 상품을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출고되는 시점까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집하장 내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카메라별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집하장 서버; 및 상기 집하장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배송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정보이며, 송장 번호, 발송인, 발송지 주소, 수신인, 수신지 주소, 수신인 연락처, 배송료, 상품 이미지, 상품명, 수량, 택배사명 및 택배사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정보는, 집하장명, 집하장 고유 번호, 작업명, 작업자 아이디, 작업자명 및,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카메라별 영상 정보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 촬영 시각 정보 및 상기 카메라의 고유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이력 조회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장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중앙 서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확인을 위해서, 상기 표시되는 배송 이력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 중에서 특정 배송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특정 배송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작업명 및,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상기 집하장 서버에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집하장 서버는,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 및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된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집하장에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배송 상품을 태깅하는 단계;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집하장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태깅 정보별로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출고되는 시점까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집하장 내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카메라별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이력 조회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장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송장 번호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확인된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확인을 위해서, 상기 표시되는 배송 이력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 중에서 특정 배송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특정 배송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작업명 및,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확인된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상기 집하장 서버에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 및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상기 검색된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전송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도난, 분실, 물품 파손, 배송 지연, 상/하차 사고 및 배송 상태 조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또는 시각 동기화)된 상태에서,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의 태깅에 의한 태깅 정보와 집하장 내에서의 배송 상품의 이동(또는 이송)에 따른 해당 배송 상품의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배송 상품에 대한 효율적인 이력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난, 분실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를 근거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서버 내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품 상차나 하차 등의 사고 발생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고, 영업 시간 이후 택배 물품 파손에 대한 야간 감시 기능을 제공하고, 녹화 검색 기능을 통한 내부 통제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하장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10)은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 중앙 서버(200) 및 단말(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 상기 중앙 서버(200) 및 상기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통신 방식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방식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 상기 중앙 서버(200) 및 상기 단말(30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와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중앙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상호 간에 시각 동기화(또는 시간 동기화/시각 동기화 기능/시간 동기화 기능)가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0분, 1시간 등 포함)로 수행되어, 상기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와 상기 중앙 서버(200)는 동일한 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배송 상품이 집하된 후, 각 배송지역별로의 배송을 위한 집하장에 구비(또는 설치/배치)한다.
또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각 집하장별로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인식부(110), 복수의 카메라(120), DVR(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표시부(160), 음성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집하장 서버(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집하장 서버(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집하장 서버(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식부(또는 리더기)(110)는 상기 집하장 내에서 배송 상품이 입고되는 위치, 상기 배송 상품이 출고되는 위치, 상기 배송 상품이 임시로 대기하는 위치 등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배송 상품을 태깅(또는 인식)한다. 이때,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배송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 리더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 리더기 등 이외에도 상기 배송 상품에 부착된 다양한 종류의 태그나 코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집하장에서 출고되는 배송 상품을 태깅한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는 상기 집하장 내에 구성되는 컨베이어 벨트(또는 레일, 이동 수단 등 포함)(미도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상기 집하장 내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또는 배치)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 각각은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주변의 영상(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네트워크 카메라(network camera) 또는 디지털 CCTV로도 불리는 IP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HD급(1280×720), 풀 HD급(1920×1080), 5 메가급(2560×2048) 등의 해상도를 지원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코덱 방식 등을 통해 인코딩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또는 상기 인코딩된 영상 정보/상기 인코딩된 디지털 영상 정보), 상기 카메라(120)의 고유 식별 번호 등을 상기 DVR(13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는 영상 정보 이외에도, 날짜/시간, 코덱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또는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카메라(120)의 PTZ(pan, tilt, zoom)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PTZ 기능 제어 결과를 상기 표시부(16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DVR(Digital Video Recorder)(130)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영상 정보는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집하장에서 출고되는 시점까지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를 통해 각각 촬영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VR(130)은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집하장에서 출고되는 시점까지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DVR(130)은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별(120)로 촬영된 영상 정보(또는 카메라별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별 영상 정보는 특정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촬영 시각 정보, 특정 카메라(120)의 고유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중앙 서버(200), 상기 단말(300) 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통신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LAN), DLNA,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LTE-A,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있으며, 통신 방식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초음파 통신(USC), 가시광 통신(VLC), 와이 파이, 와이 파이 다이렉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LC), USB 통신, 이더넷, 시리얼 통신,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방식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US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매칭되는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 상기 집하장 서버(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집하장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고, 집하장 서버(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하장 서버(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식부(110)를 통해 태깅된 태깅 정보(또는 인식된 정보)와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태깅 정보는 해당 배송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에 담긴 정보이며, 송장 번호, 발송인, 발송지 주소, 수신인, 수신지 주소, 수신인 연락처, 배송료, 상품 이미지, 상품명, 수량, 택배사명, 택배사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송 정보는 상기 배송 상품을 태깅하는 집하장과 관련한 정보이며, 집하장명, 집하장 고유 번호, 작업명(예를 들어 집하 처리, 간선 하차, 간선 상차, 배달 출발, 배달 완료 등 포함), 작업자 아이디, 작업자명,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또는 태깅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또는 인식된 정보)와 배송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7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7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70)는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7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또는 인식된 정보)와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식부(110)를 통해 태깅된 태깅 정보(또는 인식된 정보)와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매칭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태깅 정보는 해당 배송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에 담긴 정보이며, 송장 번호, 발송인, 발송지 주소, 수신인, 수신지 주소, 수신인 연락처, 배송료, 상품 이미지, 상품명, 수량, 택배사명, 택배사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송 정보는 상기 배송 상품을 태깅하는 집하장과 관련한 정보이며, 집하장명, 집하장 고유 번호, 작업명(예를 들어 집하 처리, 간선 하차, 간선 상차, 배달 출발, 배달 완료 등 포함), 작업자 아이디, 작업자명,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또는 태깅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발송인으로부터 상기 배송 상품이 집화처리되어 상기 집화장에 입고되거나 다른 집화장으로부터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배송 상품이 인식부(110)를 통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와 상기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집하장에서 출고되는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와 상기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임의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해당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 및 출고되는 시점에 각각 태깅되는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DVR(130) 또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를 별개로 관리(또는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하도록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해당 배송 상품이 출고되는 시점까지, 해당 집하장 내를 이동하는 해당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또는 해당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주변 영상 정보)를 촬영하도록 해당 집하장에 미리 설치된(또는 배치된/설정된) 복수의 카메라(12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배송 상품은 상기 집하장에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또는 레일)(미도시)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속도(또는 이송 속도/이동 속도)에 의해 입고부터 출고시까지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는 해당 배송 상품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주변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배송 상품이 미리 설정된 속도로 컨베이어 벨트 상을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120)를 통해 해당 배송 상품의 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특정 배송 정보,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 및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또는 조회)한다.
즉,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이 간선 하차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집하장에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의 영상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배송 상품은 미리 설정된 속도로 운영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해당 배송 상품의 입고 시점 및 출고 시점의 배송 정보를 확인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을 이동하는 해당 배송 상품에 대한 추적(또는 추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이 간선 상차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집하장의 출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각 이전(예를 들어 3분)부터 상기 출고 시점까지의 영상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번호,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에 대응하는 집하장에 입고되는 배송 상품에 대해서, 해당 배송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의 영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시각 동기화된 상기 인식부(110)와 상기 DVR(130)를 통해,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해서 동일 시점의 태깅 정보와 영상 정보를 각각 관리/저장함으로써,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의 영상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동기화된 인식부(110) 및 DVR(130)에 의해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의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특정 배송 상품의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의 영상 정보(또는 상기 중앙 서버(200)의 요청에 따른 특정 시간 대의 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 상기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에 포함된 통신부(140), 저장부(150), 표시부(160), 음성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 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저장(또는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서버(200)는 태깅 정보별로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서버(200)는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또는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한다.
도난, 분실, 물품 파손, 배송 지연, 상/하차 사고, 배송 상태 조회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 수신 시)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이력 조회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장 번호,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또는 복수의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즉, 상기 중앙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태깅 정보별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저장된 태깅 정보별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저장된 태깅 정보별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배송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정보,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배송 정보는 상기 전송된 배송 이력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 중에서 선택된 배송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또는 복수의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작업명,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특정 집하장 서버(100)에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특정 배송 정보,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또는 상기 검색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집하장 서버(100)에 포함된 통신부(140), 저장부(150), 표시부(160), 음성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 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 상기 중앙 서버(200) 등과 통신한다.
도난, 분실, 물품 파손, 배송 지연, 상/하차 사고, 배송 상태 조회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 수신 시)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이력 조회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3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장 번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송장 번호,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송 이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배송 이력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확인을 위해서 상기 단말(300)에 표시되는 배송 이력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 중에서 특정 배송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300)은 상기 특정 배송 정보(또는 상기 선택된 특정 배송 정보),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특정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특정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또는 시각 동기화)된 상태에서,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의 태깅에 의한 태깅 정보와 집하장 내에서의 배송 상품의 이동(또는 이송)에 따른 해당 배송 상품의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난, 분실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를 근거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서버 내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집하장 서버(100)는 해당 집하장 서버(100)에 포함된 인식부(110)를 통해 해당 집하장 서버(100)에 대응하는 집하장에 입고되는 배송 상품을 태깅(또는 인식)한다. 또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또는 인식된 정보)와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태깅 정보는 해당 배송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에 담긴 정보이며, 송장 번호, 발송인, 발송지 주소, 수신인, 수신지 주소, 수신인 연락처, 배송료, 상품 이미지, 상품명, 수량, 택배사명, 택배사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송 정보는 상기 배송 상품을 태깅하는 집하장과 관련한 정보이며, 집하장명, 집하장 고유 번호, 작업명(예를 들어 집하 처리, 간선 하차, 간선 상차, 배달 출발, 배달 완료 등 포함), 작업자 아이디, 작업자명,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또는 태깅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발송인으로부터 상기 배송 상품이 집화처리되어 상기 집화장에 입고되거나 다른 집화장으로부터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배송 상품이 인식부(110)를 통해 태깅되는 경우,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와 상기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집하장에서 출고되는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와 상기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임의의 배송 상품에 대해서, 해당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 및 출고되는 시점에 각각 태깅되는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집하장에 제 7 배송 상품이 입고(예를 들어 간선 하차)될 때,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제 2 집하장과 관련한 제 2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한 태깅 정보와 제 1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태깅 정보는 송장 번호(0-1234-56-789), 발송인(예를 들어 홍길동), 발송지 주소(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12345), 수신인(예를 들어 철수), 수신지 주소(예를 들어 경기도 하남시 조정대로 98765), 수신인 연락처(예를 들어 010-1234-5678), 배송료(예를 들어 4,000원), 상품 이미지(예를 들어 신발), 상품명(예를 들어 ○○ 신발), 수량(예를 들어 1족), 택배사명(예를 들어 ○○ 택배), 택배사 전화번호(예를 들어 02-6543-7654)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배송 정보는 집하장명(예를 들어 대전HUB), 집하장 고유 번호(예를 들어 02-345), 작업명(예를 들어 간선 하차), 작업자 아이디(예를 들어 02-345-081), 작업자명(예를 들어 김하차),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 등을 포함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2 집하장에서 상기 제 7 배송 상품이 출고(예를 들어 간선 상차)될 때, 상기 인식부(110)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제 2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한 태깅 정보와 제 2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태깅 정보는 송장 번호(0-1234-56-789), 발송인(예를 들어 홍길동), 발송지 주소(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12345), 수신인(예를 들어 철수), 수신지 주소(예를 들어 경기도 하남시 조정대로 98765), 수신인 연락처(예를 들어 010-1234-5678), 배송료(예를 들어 4,000원), 상품 이미지(예를 들어 신발), 상품명(예를 들어 ○○ 신발), 수량(예를 들어 1족), 택배사명(예를 들어 ○○ 택배), 택배사 전화번호(예를 들어 02-6543-7654)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배송 정보는 집하장명(예를 들어 대전HUB), 집하장 고유 번호(예를 들어 02-345), 작업명(예를 들어 간선 상차), 작업자 아이디(예를 들어 02-345-082), 작업자명(예를 들어 김상차),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6분 10초) 등을 포함한다(S310).
이후,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해 매칭된 태깅 정보와 제 1 배송 정보,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해 매칭된 태깅 정보와 제 2 배송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S320).
이후,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저장(또는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서버(200)는 태깅 정보별로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서버(200)는 복수의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또는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해 매칭된 태깅 정보와 제 1 배송 정보,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해 매칭된 태깅 정보와 제 2 배송 정보 등을 저장한다(S330).
또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해당 배송 상품이 출고되는 시점까지, 해당 집하장에 미리 설치된(또는 배치된/설정된) 복수의 카메라(120)를 통해 해당 집하장 내를 이동하는 해당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또는 해당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주변 영상 정보)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배송 상품은 상기 집하장에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또는 레일)(미도시)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속도(또는 이송 속도/이동 속도)에 의해 입고부터 출고시까지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는 해당 배송 상품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주변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배송 상품이 미리 설정된 속도로 컨베이어 벨트 상을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120)를 통해 해당 배송 상품의 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촬영된 영상 정보, 촬영 시각 정보, 카메라(120)의 고유 식별 번호 등을 DVR(130)에 저장한다.
즉,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카메라별 영상 정보를 상기 DVR(13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별 영상 정보는 특정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촬영 시각 정보, 특정 카메라(120)의 고유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제 2 집하장에 제 7 배송 상품이 입고되는 시각(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부터 출고되는 시각(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6분 10초)까지 상기 제 2 집하장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6 카메라(120)를 통해서 상기 제 7 배송 상품이 상기 제 2 집하장 내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또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이 상기 제 2 집하장 내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의 영상 정보), 상기 제 1 내지 제 6 카메라(120)에서의 촬영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 ~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6분 10초), 상기 제 1 내지 제 6 카메라(120)의 각각의 고유 식별 번호 등을 상기 DVR(13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를 별개로 관리(또는 저장)한다(S340).
이후, 도난, 분실, 물품 파손, 배송 지연, 상/하차 사고, 배송 상태 조회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 수신 시)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이력 조회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3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장 번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송장 번호,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7 배송 상품을 장기간 동안 전달받지 못한 상태에서 해당 제 7 배송 상품과 관련한 배송 이력 조회를 위해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장 번호(0-1234-56-789)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0-1234-56-789),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S350).
이후,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장 번호,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또는 복수의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즉, 상기 중앙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태깅 정보별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배송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중앙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0-1234-56-789)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S360).
이후,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송 이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배송 이력 정보를 표시한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0-1234-56-789)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송 이력 정보(400)를 표시한다(S370).
이후,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확인을 위해서 상기 단말(300)에 표시되는 배송 이력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 중에서 특정 배송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300)은 상기 특정 배송 정보(또는 상기 선택된 특정 배송 정보),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배송 이력 정보(400) 중에서 배달 출발 직전의 간선 하차에 대응하는 제 21 배송 정보(410)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300)은 상기 선택된 제 21 배송 정보,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S380).
이후,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정보, 상기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또는 복수의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작업명,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특정 집하장 서버(100)에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특정 배송 정보,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또는 복수의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1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집하장, 작업명(예를 들어 간선 하차),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 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제 2 집하장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집하장 서버(100)에 상기 제 21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제 7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90).
이후,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 및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또는 조회)한다.
즉,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이 간선 하차인 경우,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집하장에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의 영상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배송 상품은 미리 설정된 속도로 운영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해당 배송 상품의 입고 시점 및 출고 시점의 배송 정보를 확인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을 이동하는 해당 배송 상품에 대한 추적(또는 추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이 간선 상차인 경우,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DVR(13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집하장의 출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각 이전(예를 들어 3분)부터 상기 출고 시점까지의 영상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검색된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제 2 집하장 서버(100)는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해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인 간선 하차 및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를 근거로 해당하는 상기 제 2 집하장에 제 7 배송 상품이 입고되는 시각(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부터 출고되는 시각(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6분 10초)까지 상기 제 2 집하장에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과 관련해서, 상기 제 2 집하장의 입고 위치에 설치된 제 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 ~ 오후 7시 21분 55초까지 45초간의 제 1 영상 정보, 제 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55초 ~ 오후 7시 22분 45초까지의 50초간의 제 2 영상 정보, 제 3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2분 45초 ~ 오후 7시 23분 35초까지의 50초간의 제 3 영상 정보, 제 4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2015년 오후 7시 23분 35초 ~ 오후 7시 24분 30초까지의 55초간의 제 4 영상 정보, 제 5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2015년 오후 7시 24분 30초 ~ 오후 7시 25분 30초까지의 60초간의 제 5 영상 정보 및 상차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6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2015년 오후 7시 25분 30초 ~ 오후 7시 26분 10초까지의 40초간의 제 6 영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의 상기 제 2 집하장에 대한 입고 시점부터 출고 시점까지의 총 5분(300초) 동안의 영상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제 2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제 7 배송 상품에 대한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7 배송 상품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의 상기 제 7 배송 상품의 이동에 따른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를 각각 검색(또는 조회/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하장 서버(100)는 상기 검색된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또는 상기 제 7 배송 상품과 관련한 제 1 내이 제 6 영상 정보), 상기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카메라의 고유 식별 번호, 상기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 ~ 오후 7시 26분 10초까지의 총 5분) 등을 상기 중앙 서버(200)에 전송한다(S400).
이후,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또는 상기 검색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검색된 상기 제 7 배송 상품과 관련한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 상기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카메라의 고유 식별 번호, 상기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 ~ 오후 7시 26분 10초까지의 총 5분) 등을 상기 단말(300)에 전송한다(S410).
이후,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상기 21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 상기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카메라의 고유 식별 번호, 상기 제 1 영상 정보 내지 제 6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 오후 7시 21분 10초 ~ 오후 7시 26분 10초까지의 총 5분) 등을 표시(500)한다(S4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하장 서버, 중앙 서버, 단말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집하장 서버, 중앙 서버, 단말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집하장 서버, 중앙 서버, 단말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또는 시각 동기화)된 상태에서,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의 태깅에 의한 태깅 정보와 집하장 내에서의 배송 상품의 이동(또는 이송)에 따른 해당 배송 상품의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여, 배송 상품에 대한 효율적인 이력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난, 분실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를 근거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서버 내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품 상차나 하차 등의 사고 발생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고, 영업 시간 이후 택배 물품 파손에 대한 야간 감시 기능을 제공하고, 녹화 검색 기능을 통한 내부 통제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 간이 시간 동기화(또는 시각 동기화)된 상태에서, 배송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등의 태깅에 의한 태깅 정보와 집하장 내에서의 배송 상품의 이동(또는 이송)에 따른 해당 배송 상품의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도난, 분실 등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를 근거로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서버 내에서 해당 배송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배송 상품에 대한 효율적인 이력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배송 관리 분야, 배송 이력 관리 분야, 중앙 서버 분야, 단말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100: 집하장 서버
200: 중앙 서버 300: 단말
110: 인식부 120: 복수의 카메라
130: DVR 140: 통신부
150: 저장부 160: 표시부
170: 음성 출력부 180: 제어부

Claims (11)

  1.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집하장에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배송 상품을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중앙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출고되는 시점까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집하장 내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이동하는 상기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카메라별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집하장 서버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이력 조회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장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송장 번호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집하장 서버와 시간 동기화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집하장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와 배송 정보를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중앙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표시하고,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확인을 위해서, 상기 표시되는 배송 이력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 중에서 특정 배송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특정 배송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작업명 및,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상기 집하장 서버에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집하장 서버는,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 및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도난, 분실, 물품 파손, 배송 지연, 상/하차 사고 및 배송 상태 조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배송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정보이며, 송장 번호, 발송인, 발송지 주소, 수신인, 수신지 주소, 수신인 연락처, 배송료, 상품 이미지, 상품명, 수량, 택배사명 및 택배사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정보는,
    집하장명, 집하장 고유 번호, 작업명, 작업자 아이디, 작업자명 및,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별 영상 정보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 촬영 시각 정보 및 상기 카메라의 고유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은,
    집하 처리, 간선 하차, 간선 상차, 배달 출발 및 배달 완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9. 집하장 서버 및 중앙 서버가 시간 동기화된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집하장에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배송 상품을 태깅하는 단계;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상기 태깅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매칭된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집하장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태깅 정보별로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상기 배송 상품이 상기 집하장에 입고되는 시점부터 출고되는 시점까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집하장 내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이동하는 상기 배송 상품을 포함하는 카메라별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특정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이력 조회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장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송장 번호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확인된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전송된 송장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장 번호에 대응하는 태깅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확인을 위해서, 상기 표시되는 배송 이력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배송 정보 중에서 특정 배송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특정 배송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태깅 정보 및 배송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집하장, 작업명 및,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확인된 특정 집하장과 관련한 상기 집하장 서버에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미리 저장된 다수의 카메라별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영상 정보 요청 신호 내의 작업명 및 상기 스캔 일자 및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집하장 서버를 통해, 상기 검색된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해,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집하장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전송된 상기 특정 배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특정 배송 상품과 관련한 카메라별 영상 정보, 카메라별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배송 상품과 관련한 영상 정보에 대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도난, 분실, 물품 파손, 배송 지연, 상/하차 사고 및 배송 상태 조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84752A 2015-06-16 2015-06-16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0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752A KR101701957B1 (ko) 2015-06-16 2015-06-16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752A KR101701957B1 (ko) 2015-06-16 2015-06-16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52A KR20160148152A (ko) 2016-12-26
KR101701957B1 true KR101701957B1 (ko) 2017-02-13

Family

ID=5773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752A KR101701957B1 (ko) 2015-06-16 2015-06-16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59B1 (ko) 2017-06-02 2018-07-31 서원준 O2o 기반의 qr 코드를 이용한 배송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0686A (zh) * 2017-05-25 2017-11-07 段元文 闸机扫码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62948B1 (ko) * 2017-10-30 2019-03-27 주식회사 옵티로 운송화물의 상태 확인 시스템
US10664793B1 (en) * 2019-03-18 2020-05-26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ckage tracking and prioritized reordering
KR102240192B1 (ko) * 2019-06-14 2021-04-14 권형준 복수 초점을 동시 인식하는 비전식 코드 리더, 이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31929B1 (ko) * 2020-05-18 2021-03-25 (주)오아시스 사용자에 의한 상품 패킹 및 배송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8693B1 (ko) * 2020-08-14 2023-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인택배 관리시스템
KR102326088B1 (ko) * 2020-10-08 2021-11-15 아이테크기술주식회사 스마트 사일로 운영관리 시스템
US20220245577A1 (en) * 2021-02-04 2022-08-04 Coupang Corp. Systems and Computerized Methods for Package Tracking Efficiency Improvements
KR102434886B1 (ko) * 2021-07-12 2022-08-23 이태호 상거래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65195B1 (ko) * 2022-06-20 2022-11-09 정명수 배송물류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052A (ko) * 2009-07-29 2011-02-09 유한테크노스 (주) 영상 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9976B1 (ko) * 2009-08-19 2011-07-15 오현물류주식회사 시시티브이를 이용한 물류 분실 방지 및 출고 제품 확인 방법
KR20120095564A (ko) * 2011-02-21 2012-08-29 (주)로이비즈 배송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7585A (ko) 2012-05-15 2013-11-25 김정언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배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59B1 (ko) 2017-06-02 2018-07-31 서원준 O2o 기반의 qr 코드를 이용한 배송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52A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957B1 (ko)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531962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104101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ntory management
JP6897845B2 (ja) 情報処理装置、商品棚管理システム、商品棚管理方法、及び、商品棚管理プログラム
CN106934330B (zh) 物流信息采集方法、平台、系统及图像采集设备
KR102097022B1 (ko) Qr 코드 스캔 기능과 rfid 리더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EP1522949B9 (en) Article management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KR20190003214A (ko) Qr 코드 스캔 기능과 rfid 리더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US10304011B2 (e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thereof
US201601921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fid tags
US201901220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group members
JP2015187857A (ja) 管理システム、検出装置及び管理方法
JP6306149B2 (ja) 符号化照明装置、及び、このような符号化照明装置を有する商品情報システム
US11932480B2 (en) Intelligent equipment security system
KR20190005006A (ko) Qr 코드 스캔 기능과 rfid 리더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한 비콘 id 기반 위치 관리를 제공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US8573495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ing surface wave-guide effect
US11170342B1 (en) Item identification and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201702431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worker tasks at a retail sales facility
CA31017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designated items in a facility
US201602839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Delivery Vehicle to Deliver In Resident Lanes With Windshield Mounted RFID Transponder 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CN113808318A (zh) 建筑物入口管理系统、方法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KR102637579B1 (ko) 배송 물품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66579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vision based inventory management
US20230132696A1 (en) Smart doorbell system
US115013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returning luggage a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