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332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332A
KR20170032332A KR1020177002824A KR20177002824A KR20170032332A KR 20170032332 A KR20170032332 A KR 20170032332A KR 1020177002824 A KR1020177002824 A KR 1020177002824A KR 20177002824 A KR20177002824 A KR 20177002824A KR 20170032332 A KR20170032332 A KR 2017003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ccess point
movement
degre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563B1 (ko
Inventor
조성래
김태윤
임채만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3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level)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CCESS POINT IN LOCAL AREA NETWORK AT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 통신 망에서는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보다 높은 전송률 요구 사항으로 인해, 추가적인 저전력 노드 (low power node) 도입을 고려하거나, 또 다른 RAT (radio access technology)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망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으로의 트래픽 오프로딩(offloading)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최근 3GPP 표준에서는 와이파이 오프로딩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망과 와이파이를 동시에 사용해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는 MAPCON, IFOM, SaMOG 의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자 장치가 하나 이상의 RAT, 예를 들어 와이파이를 이용할 경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가 이동통신 망을 사용하는 동안, 전자 장치가 최적의 인접 액세스 포인트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와이파이 표준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트래픽 로딩 밸런싱(loading balancing) 을 수행하기 위한 802.11k/r, 액세스 포인트 내 로드(load) 점유율을 판단해 미리 알려주는 802.11u 등의 차세대 와이파이 표준 기술들이 활발히 제안되고 있지만, 현재의 와이파이 기술은 와이파이 내의 혼잡(congestion)n 상태 등 로드 상태를 제대로 판별할 수 없어서, 최적화된 트래픽 오프로딩을 달성할 수 없는 실정이다.
최적화된 트래픽 오프로딩을 위한 표준이 완료되어 구현되기 전의 임시 해결책으로서, 현재 여러 사업자들 및 전자장치 제조업체들은 전자 장치 내의 액세스 포인트단의 콜 매니저(call manager)를 최대한 최적화해 효율적인 유효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향후에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보다 지능적인 기능으로 인접 간섭 채널을 파악하거나 연관된 사용자들의 활동을 파악해 액세스 포인트 트래픽 로드를 예측함으로써, 전자 장치가 최적의 유효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래의 콜 매니저를 이용하여 유효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기술은, 주변에 액세스 포인트들이 많은 경우, 경험적 및/또는 반작용적으로 유효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 및/또는 판단하여, 여러 번의 유효 액세스 포인트 탐색과 접속 실패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와 인접한 유효 액세스 포인트가 전혀 없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유효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이 주기적으로 실행되어,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또한, 표준에서 효과적인 유효 액세스 포인트 탐색 문제점이 해결될 경우를 가정하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전자 장치 마다 상기 표준을 적용해야 하며, 무분별하게 분포되어 있는 저가형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들 모두에 상기 표준을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 내의 근거리 통신 모듈,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을 동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고, 근거리 통신 모듈의 활성화된 경우, 효과적으로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최적의 인접 와이 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는 유효 액세스 포인트 화이트 리스트 관리 기법을 제안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필요한 경우에만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여, 불필요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탐색을 미연에 방지해,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level)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망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며,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하며, 상기 이동 정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 탐색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에 따르면, 불필요하게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또는 “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 또는 “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은,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 2 사용자 장치는 모두 사용자 장치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 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근거리 통신 모듈(130), 이동 통신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탐색부(132; 이하에서는 AP 탐색부라 함)와, 근거리 통신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접속(연결)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AP 탐색부(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근거리 통신부(13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AP 탐색부(132)에서 탐색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미도시),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미도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이하에서는 와이파이(WiFi)라 함) 통신 모듈(미도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미도시), 가시광(Visible Light Communication) 통신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접속되도록 하며,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미도시),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미도시),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미도시)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 롬 및 램은 내부버스(bus; 미도시)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Communication processor (CP) 에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idle 모드 시 저전력 동작을 위해 communication processor 에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30) 및 이동 통신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level)를 판단하며, 이동 정도의 판단에 따라, AP 탐색부(132)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상술한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모듈(15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서빙 셀의 도플러 주파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빙 셀의 도플러 주파수 변화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인접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된 신호 세기 변화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지정된 시간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인접 셀의 개수 변화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인접 셀의 개수변화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위치에 따라, n개의 인접 셀이 있는 경우, n이 바뀔 경우 단말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GPS 모듈(미도시) 및/또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상기 GPS 모듈 및/또는 상기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가속도 센서 등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는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미도시), 및/또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전자 장치(100)가 향하고 있는 동, 서, 남, 북 등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는 한 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도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상술한 AP 탐색부(132)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P 탐색부(132)가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제어하며,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면,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의 변화를 확인하며,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 및 확인된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근거리 통신부(134)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도록 하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며,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의 변화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도의 판단 및 AP 탐색부(132)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하고,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의 엑세스 포인트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1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는,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내의 GPS 모듈 및/또는 전자 장치내의 위치 및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 센서 및/또는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는, 전자 장치가 도플러 주파수 변화, 전자 장치의 서빙 셀 또는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 전자 장치의 인접한 셀 개수 변화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인접 셀이 없는 경우, 인접한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를 지정된 기준값(이하에서는 제1 기준값이라고 함)과 비교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준값 근처에서는 이동 정도가 수시로 바뀔 수 있으므로, 기준값 이상 혹은 이하 시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된 경우에 한해 높거나 혹은 낮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1 기준값은 필드 테스트를 통해 고정 상태, 이동 상태 등을 대표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적절한 레벨로 입력을 받아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이전의 이동 정도의 판단 결과와 비교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정도의 변화는 상술한 동작에 따라 이동 정도가 높은 것 또는 낮은 것으로 결정된 것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정도의 변화는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및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정도의 변화가 낮은 것에서 낮은 것에서 낮은 것인 경우는, 전자 장치의 이동의 거의 없는 미세한 이동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정도의 변화가 높은 것에서 높은 것인 경우는 전자 장치의 위치 이동의 변화가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에 따라,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주기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22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망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이 지정된 기준값(예: 제1 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전자 장치가 근거리 통신망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에 있어, 전자 장치는 모든 채널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으며, 제한된 채널 내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210 동작에서 이동 정도의 변화 (예를 들어, 신호세기 변화) 가 인지된 경우에 한해 근거리 통신망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지정된 탐색 조건, 예를 들어, 탐색 횟수, 탐색 주기 등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가 근거리 통신망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는 동작은, 유효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판별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다음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위치 변화) 및/또는 전자 장치의 주변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전자 장치가 수신한 수신 신호 세기가 지정된 기준값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높은 수신 신호 세기를 보장함), 전자 장치가 수신한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가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액세스 포인트(안정적인 수신 신호 세기를 보장), 상기 수신 신호 세기가 지정된 기준값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가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유효 액세스 포인트 개수 변화 등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판별 및 탐색할 수 있다.
23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23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된 것으로 판단되면 240 동작으로 진행하고, 23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210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24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탐색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25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 및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또는 비접속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250 동작은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탐색된 일정 수준 이상의 수신 신호 세기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 중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최적의 유효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한 이후,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를 지정된 기준값(제2 기준값이라고 함)과 비교하여, 신호 세기 변화의 높고 낮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보다 작으면,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기준값은 필드 테스트를 통해 신호 세기 변화의 기준값을 대표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적절한 레벨로 입력을 받아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기준값 근처에서는 이동 정도가 수시로 바뀔수 있으므로, 기준값 이상 혹은 이하 시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된 경우에 한해 신호세기 변화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에 따라, 전자 장치가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210 동작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술한 220 동작 및 230 동작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한 결과,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전혀 탐색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가 이동하지 않는 한, 전자 장치가 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에 자동차, 버스, 전철 등의 moving vehicle 내 유효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지 않는 한, 전자 장치가 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으며, 이동하는 이동수단(예: 자동차, 버스, 기차 등) 내에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유효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이동하는 이동 수단 내 유효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기 위해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으며, 이동하는 이동수단(예: 자동차, 버스, 기차 등) 내에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유효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탐색되지 않는 경우, 추가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재탐색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프로딩(offloading)이 부적합하지만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탐색되는 경우,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 정도가 높고 (탐색된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최적의 유효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경우, 추가적으로 유효 액세스 포인트 탐색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별한 후,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높음, 낮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여부의 판단은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결과 및 상기 이동 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동작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탐색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판단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인접 셀들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인접 셀들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cell은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 rt(i)는 i번째 셀의 t시간에서의 수신 신호 세기, rt-1(i)는 i번째 셀의 t-1 시간에서의 수신 신호 세기, E[x]는 지정된 기간 즉, 탐색 주기 동안의 x의 평균값, n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의 개수)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 지정된 기간 동안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을 계산하며, 계산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t-1에서 t시간 동안 전자 장치의 수신 세기 변화를 측정하며, 신호 세기 변화량의 절대값의 평균값, RMS(Root Mean Square), MS(Mean square) 값 등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수신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기준값의 효과적인 설정을 위해 dB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동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의 개수(n)는 2개 이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동 통신 망에서는 서빙셀의 신호가 약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의 개수(n)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세기가 임의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있거나, 충분한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n<3; 인접 셀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 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 이외 인접 셀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탐색을 실시하여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포함한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한다.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305 동작에서 확인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31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전의 이동 정도 결과와 비교하여 지속적으로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315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이동 정도가 제 1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후, 현재 이동 정도가 제 1 기준값 보다 높은 경우로 판단되면, 31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이동 정도가 제 1 기준값 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후, 현재 이동 정도가 제 1 기준값 보다 낮은 경우로 판단되면, 31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이 0에 가까울수록 전자 장치가 위치를 이동하지 않은 것(이동 정도가 낮은 것이라고도 함)이라 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이 커질수록 전자 장치가 위치 이동을 많이 한 것(이동 정도가 높은 것이라고도 함)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과 지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고,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이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측정할 때에는 단말의 이동 속도에 반비례하게 수신 신호 세기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신호 세기 측정 시간 간격이 다소 큰 경우, 인접 셀(들)이 자주 바뀌어서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을 측정할 수는 없지만, 인접셀(들) 변화는 곧 이동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31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색할 수 있다.
32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315 동작에 따라,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320 동작에서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된 경우 전자 장치는 330 동작을 수행하고, 320 동작에서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32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2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33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탐색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를 측정하고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m개의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있는 경우, 최적의 유효 액세스 포인트, 즉,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 탐색을 위해서 수학식 2를 이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 ηWiFi는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제곱의 최소 평균 값, kt(i)는 i번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t시간에서의 평균 수신 신호 세기, kt-1(i)는 i번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t-1 시간에서의 평균 수신 신호 세기, E[x]는 x의 평균 값)
수학식 2를 참조하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최적의 유효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33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335 동작에서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는 345 동작을 수행하고, 335 동작에서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는 3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보다 작으면,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34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다.
34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결과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비접속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 또는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어느 액세스 포인트와도 접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으며,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하는 횟수 정보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하는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결과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비접속을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을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높음->낮음 낮음->높음
AP 탐색 결과 없음 AP 비접속 AP 비접속
있음(신호세기 변화_낮음) AP 접속 AP 접속
있음(신호세기 변화_높음) AP 비접속,AP 재탐색 AP 비접속
표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높은 것 또는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어느 액세스 포인트와도 접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으며,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하는 횟수 정보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하는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 및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각각 지정된 기준값(제1 기준값, 제2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접속 가능한 유효 액세스 포인트의 판별 조건 및 전자 장치의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ηcell 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ηWiFi가 제2 기준값 이상이면(제1 조건이라고 함),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으며, 유효 액세스 포인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파이 오프로딩(offloading) 또는 핸드 오버(HO; Hand Over)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ηcell 이 제1 기준값보다 작고 ηWiFi가 제2 기준값 이상이면(제2 조건이라고 함),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으며, 유효 액세스 포인트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탐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지정된 기준(탐색 횟수 및 주기)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ηcell 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ηWiFi가 제2 기준값보다 작으면(제3 조건이라고 함),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으며, 이동하는 이동수단(예: 자동차, 버스, 기차 등) 내에 유효한 액세스 포인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탐색을 활성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ηcell 이 제1 기준값보다 작고 ηWiFi가 제2 기준값보다 작으면(제4 조건이라고 함),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으며, 유효 액세스 포인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탐색 활성화 후 와이파이 오프로딩 또는 핸드 오버가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의 경우,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도록 하며, 상술한 제3 조건 및 제4 조건의 경우,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하기 표 2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현재와 이전의 이동 정도의 변화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여부를 결정에 대해 설명한다.
AP 접속 AP 비접속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 낮음 -> 낮음 AP 탐색하지 않음 접속 가능한 AP가 없을 때: AP 탐색하지 않음접속 가능한 AP가 있을 때: 적어도 한번 AP 탐색
낮음 -> 높음 AP 탐색하지 않음(옵션: 적어도 한번 AP 탐색) 적어도 한번 AP 탐색
높음 -> 낮음 AP 탐색하지 않음(옵션: 적어도 한번 AP 탐색) 적어도 한번 AP 탐색
높음 -> 높음 AP 탐색하지 않음 AP 탐색하지 않음
표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중일 때,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면,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정도는 상술한 동작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동 정도의 변화는 예를 들어, 낮은 것에서 낮은 것(낮음-> 낮음)으로, 낮은 것에서 높은 것(낮음 -> 높음)으로, 높은 것에서 낮은 것(높음 -> 낮음)으로, 높은 것에서 높은 것(높음 -> 높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중일 때,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 또는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한번 근거리 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또는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근거리 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한번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한번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정보 및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재탐색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지 않았고, 전자 장치가 이동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재 탐색할 필요는 없으므로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면,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재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 수단(예: 자동차, 버스, 기차 등) 내에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유효 액세스 포인트가 없는 것을 확인 한 후, 전자 장치가 계속해서 이동 수단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접속 가능한 유효 액세스 포인트의 재탐색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임의의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이동 정도가 낮아지더라도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유효 액세스 포인트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동작은 전자 장치의 이동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은 주기적으로 수행되어,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갱신될 때마다, 전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는 동작이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2는 추가로,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2의 m이 바뀔 경우,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4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2)는 버스(410), 프로세서(420), 메모리(430), 입출력 인터페이스(440), 디스플레이(450), 통신 인터페이스(46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410)는 전자 장치(402)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예를 들면, 버스(410)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메모리(430), 입출력 인터페이스(440), 디스플레이(450), 통신 인터페이스(460) 등)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프로세서(4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입출력 인터페이스(440), 디스플레이(450), 통신 인터페이스(4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4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예를 들면, 커널(431), 미들웨어(4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433) 또는 어플리케이션(4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4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432), API(433) 또는 어플리케이션(4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410), 프로세서(420) 또는 메모리(4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431)은 미들웨어(432), API(433) 또는 어플리케이션(434)에서 전자 장치(402)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432)는 API(433) 또는 어플리케이션(434)이 커널(4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432)는 어플리케이션(434)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4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4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410), 프로세서(420) 또는 메모리(4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API(433)는 어플리케이션(434)이 커널(431) 또는 미들웨어(4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434)은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434)은 전자 장치(402)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402)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2)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활성화/비활성화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434)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어플리케이션(434)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어플리케이션(434)은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434)은 전자 장치(402)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406) 또는 전자 장치(4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버스(410)를 통해 프로세서(420), 메모리(430), 통신 인터페이스(4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420)로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예를 들면, 버스(410)를 통해 프로세서(420), 메모리(430), 통신 인터페이스(4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60)는 전자 장치(402)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404) 또는 서버(4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4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4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셀룰러(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4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2)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434), API(433), 미들웨어(432), 커널(4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4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500)를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501)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전자 장치(5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510), 통신 모듈(5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524), 메모리(530), 센서 모듈(540), 입력 장치(550), 디스플레이(560), 인터페이스(570), 오디오 모듈(580), 카메라 모듈(591), 전력관리 모듈(595), 배터리(596), 인디케이터(597) 및 모터(5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510)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5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5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5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520; 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560))은 상기 전자 장치(501; 예: 상기 전자 장치(50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504) 또는 서버(5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520)은 셀룰러 모듈(521), Wifi 모듈(523), BT 모듈(525), GPS 모듈(527), NFC 모듈(5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5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5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5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5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521)은 상기 AP(5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5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521_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5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521; 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5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5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5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5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5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5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521; 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5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5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523), 상기 BT 모듈(525), 상기 GPS 모듈(527) 또는 상기 NFC 모듈(5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셀룰러 모듈(521), Wifi 모듈(523), BT 모듈(525), GPS 모듈(527) 또는 NFC 모듈(5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521), Wifi 모듈(523), BT 모듈(525), GPS 모듈(527) 또는 NFC 모듈(5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521), Wifi 모듈(523), BT 모듈(525), GPS 모듈(527) 또는 NFC 모듈(5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5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5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529)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529)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529)은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셀룰러 모듈(521), Wifi 모듈(523), BT 모듈(525), GPS 모듈(527) 및 NFC 모듈(528)이 하나의 RF 모듈(529)을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521), Wifi 모듈(523), BT 모듈(525), GPS 모듈(527) 또는 NFC 모듈(5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5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5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30; 예: 상기 메모리 3130)는 내장 메모리(532) 또는 외장 메모리(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5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5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5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5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5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5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5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5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540A), 자이로 센서(540B), 기압 센서(540C), 마그네틱 센서(540D), 가속도 센서(540E), 그립 센서(540F), 근접 센서(540G), color 센서(540H; 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540I), 온/습도 센서(540J), 조도 센서(5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5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5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5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550)는 터치 패널(touch panel; 5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554), 키(key; 5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5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5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5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5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5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5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5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5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5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5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통신 모듈(52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60; 예: 상기 디스플레이 3150)은 패널(562), 홀로그램 장치(564) 또는 프로젝터(5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5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5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562)은 상기 터치 패널(5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5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5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5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560)는 상기 패널(562), 상기 홀로그램 장치(564), 또는 프로젝터(5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5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572), USB(universal serial bus; 5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576) 또는 D-sub(D-subminiature; 5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5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5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580)은, 예를 들면, 스피커(582), 리시버(584), 이어폰(586) 또는 마이크(5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5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595)은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5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5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5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597)는 상기 전자 장치(501)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5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5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5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배터리 커버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27)

  1.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level)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는 동작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면,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의 변화를 측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는 동작과,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 내의 센서 또는 GPS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셀의 도플러 주파수 변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접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변화, 상기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의 변화,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의 개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접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 지정된 기간 동안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변화 및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비접속하는 동작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 중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결정된 신호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하거나 접속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변화량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동작과,
    상기 계산된 평균값이 가장 작은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 또는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으며,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중일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한번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한번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망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며,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판단하며, 상기 이동 정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 탐색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탐색되면,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의 변화를 확인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상기 확인된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거나 접속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빙 셀의 도플러 주파수 변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접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변화, 상기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의 변화,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의 개수 변화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인접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변화 및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GPS 모듈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 또는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전자 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확인된 이동 정도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7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 중 가장 작은 신호 세기 변화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 및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결정된 신호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하거나 접속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 또는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변화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접속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재탐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중일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한번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한번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낮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한번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7002824A 2014-07-09 2014-07-0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KR102239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6175 WO2016006735A1 (ko) 2014-07-09 2014-07-0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332A true KR20170032332A (ko) 2017-03-22
KR102239563B1 KR102239563B1 (ko) 2021-04-14

Family

ID=5506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24A KR102239563B1 (ko) 2014-07-09 2014-07-0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45278B2 (ko)
KR (1) KR102239563B1 (ko)
WO (1) WO2016006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2986B4 (de) * 2003-09-17 2008-03-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chen Heiz-Klimaanlage eines Fahrzeugs
DE10342987B4 (de) * 2003-09-17 2019-03-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chen Heiz-Klimaanlage im Hinblick auf die Temperatureinstellung
US9904765B2 (en) * 2014-01-13 2018-02-27 Carefusion 303, Inc. Monitoring medical device states to determine update timing
JP6398758B2 (ja) * 2015-02-03 2018-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機
KR101627452B1 (ko) * 2015-02-06 2016-06-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과 액세스 포인트간 데이터 전송률 조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672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통신 환경에서의 rat 탐색 및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6397A (ko) * 2010-08-16 201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셀 탐색 간격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63756A (ko) * 2011-12-07 2013-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속도에 따른 탐색 주기 관리 기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6030B2 (en) 2002-06-28 2006-08-2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location-dependent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JP2009543074A (ja) 2006-07-07 2009-12-03 スカイフック ワイヤレス,インク. Wlan測位装置の位置を推定するためにwlan対応アクセス・ポイントから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929329B2 (en) * 2007-12-19 2015-01-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dual-mode handoff
US8401570B2 (en) 2009-09-30 2013-03-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TE fingerprinting positioning references for other cellular systems
KR101682462B1 (ko) 2010-06-24 2016-12-05 주식회사 케이티 결합 단말기의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120070177A (ko)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환경에서 ap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140015823A (ko) 2012-07-25 2014-0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동형 액세스 포인트의 자동 채널 할당 방법
US9596639B2 (en) * 2013-11-20 2017-03-14 Sony Corporation User device smart cell sel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672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통신 환경에서의 rat 탐색 및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6397A (ko) * 2010-08-16 201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셀 탐색 간격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63756A (ko) * 2011-12-07 2013-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속도에 따른 탐색 주기 관리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735A1 (ko) 2016-01-14
KR102239563B1 (ko) 2021-04-14
US20170223607A1 (en) 2017-08-03
US10045278B2 (en)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6533B (zh) 无线通信方法及提供该无线通信方法的电子设备
US9392548B2 (en) Method of controlling for transmission power and device therefor
KR102208433B1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86547B1 (ko) 선택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60277878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602969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area
US20160021500A1 (en) Method of processing beacon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49212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electronic device to network
US9516489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device between electronic devices
EP315162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ame
US20160007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of electronic device
US9900921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5014221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방법
KR10223956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KR102200825B1 (ko) 이종 무선 통신 시스템 간 오프로딩을 하기 위한 정책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20150026775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50073244A (ko) 스마트 홈 시스템의 피 제어 장치 검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KR10219136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160004712A (ko)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20160021702A (ko)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037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canning operation
KR20150128302A (ko) 전자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KR2016004162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KR20150144589A (ko) 음성 호 연결 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98011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BS lis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