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962A -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962A
KR20170031962A KR1020150129589A KR20150129589A KR20170031962A KR 20170031962 A KR20170031962 A KR 20170031962A KR 1020150129589 A KR1020150129589 A KR 1020150129589A KR 20150129589 A KR20150129589 A KR 20150129589A KR 20170031962 A KR20170031962 A KR 20170031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device
virtual reality
specif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8834B1 (en
Inventor
소경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834B1/en
Publication of KR2017003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62A/en
Priority to KR1020240035206A priority patent/KR20240037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 moving path for moving a specific place is traced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while moving the specific place. A content image and the photographed image mapped on a specific location is virtualized and the generated virtual reality content is provided to a terminal device if the moving path reaches a specific location while tracing the moving path.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provided content and content optimized to a visiting purpose of the specific place is provided by defining a user, who visits the specific place, as a target,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ice.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를 타겟으로 가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진입한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예: 광고, 정보 등)를 가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virtualized contents targeted at a terminal device that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contents virtualized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a terminal device entering a specific place (E. G., Advertising, information, etc.). ≪ / RTI >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의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장치)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예: 광고, 정보 등)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s the use of mobile devices (hereinafter, terminal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ad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terest in technologies for providing contents (e.g., advertisements, information, etc.)

이처럼,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사업자(예: 광고주)에 의해 방대한 양의 컨텐츠들이 단말장치로 제공되고 있다.As the interest in the technology for providing content using the terminal device increases, a large amount of contents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by a plurality of businesses (for example, advertisers).

그러나, 이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관심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로 제공되고 있어 대부분 스팸성 광고로 인식되어 광고 효과를 기대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ent provided to the unspecified majority, it is provided randomly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user's interest, and thus it is hardly expected to be recognized as the spammy advertisement and expect the advertisement effec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정보, 노출된 개인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안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컨텐츠가 단순히 텍스트 또는 광고 이미지로만 제공되어 있어 컨텐츠 별로 사용자가 직접 오프라인 상의 매장 위치 또는 이벤트 장소 등을 직접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와 매핑시켜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여전히 사용자에게 스팸성 광고로서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user information such as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exposed personal information is introduced. However, even if the contents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user information, since the contents are provided only as text or advertisement images,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store location or event place on the offline side and map the contents to the corresponding contents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user is perceived as spammy.

한편, 전술과 같이 컨텐츠가 스팸성 광고로 인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에게 방대한 양의 컨텐츠를 무작위로 제공하는 대신, 특정장소에 진입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다양한 컨텐츠 및 이벤트를 제공하려는 사업자(예: 광고주)가 증가하고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tents are recognized as spam-like advertisements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randomly providing a large amount of contents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rsons, instead of providing a variety of contents and events targeting a user who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 Advertisers) are increasing.

이에,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되, 컨텐츠에 대한 직관적 인지도를 향상시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providing contents by targeting a user who visited a specific place, while improving intuitive awareness of the contents.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진입한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izing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place based on a shot image photographed by a terminal device entering a specific place And to provide a device and a method that can provide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other and fur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운영관리부; 및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ncluding: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captured image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in the specific place is confirmed, And a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for virtualizing and providing the content image.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부;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movement path for moving the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 detecting unit detecting a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when the specific location is reached during tracking of the movement route; And 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y combining the sensed image related to the specific position and the detected content image based on a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history management unit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a re-visit management unit for preferentially providing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before the captur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apparatus when the terminal apparatus revisits the specific place.

상기 추적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cking unit tracks the moving route by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changed by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line of the terminal apparatus in real time.

상기 운영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진입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 전달하는 컨텐츠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comprises: an entry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has entered the specific place; And a content manager for deliver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r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agrees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pecific location is a location where service can be provided related to at least one content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은,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관리단계; 및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manag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captured image photographed in real tim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is confirmed within the specific place, the termina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providing step of virtualizing and providing related contents.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단계;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특정위치에서의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viding step may include: a tracking step of tracking a moving path for moving the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in real time; A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position when the specific position is reached during tracking of the movement path; And 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y combining the photographed image at the specific position and the detected content image based on a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a storing step of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a re-visiting step of preferentially providing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before the captur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revisits the specific place.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racking step tracks the moving route using a photographed image changed by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line of the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anaging step comprises: a position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has entered the specific place; And a delivery step of deliver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r when the terminal device agrees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pecific location is a location where service can be provided related to at least one content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이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컨텐츠의 직관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특정장소의 방문 목적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ck a movement path for moving a specific place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taken while moving at a specific pla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uitive awareness of the provided content by provid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ed by virtualizing the content image and the sho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to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user reaches the specific lo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 optimized for the purpose of visiting the place,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ardware system for implemen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ardware system for implementing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flow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in a hardware system for implemen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al flow in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in a hardware system for implementing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extending t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 addition to the appended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device 100 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단말장치(10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화된 컨텐츠(이하, 가상현실 컨텐츠)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virtualized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rtual reality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place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

본 발명에서의 특정장소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목적을 갖고 방문하는 고유의 특성을 갖는 오프라인 상의 특정건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장소는 쇼핑몰과 같이 쇼핑을 하거나, 국세청과 같이 세금 관련 업무를 처리하거나, 우체국과 같이 우편업무를 처리하는 것과 같이 고유의 특성을 갖는 건물일 수 있다.The specific plac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pecific building in an off-line having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visits with a purpose. For example, a particular place may be a building that ha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shopping in a shopping mall, handling tax-related tasks such as the Internal Revenue Service, or postal services like post offices.

예를 들어, 위 단말장치(1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구동이 가능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수신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DA, or the like, and may be a device capable of driving a camera for image shooting, May all be included.

여기서, 단말장치(100)에서의 가상현실 컨텐츠 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컨텐츠제공매체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0)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장치(100)에서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에서 가상현실 컨텐츠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컨텐츠제공매체가 애플리케이션임을 전제 하기로 한다.Here, the content providing medium that allows the terminal device 100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includes, for example,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itself or an online service Pag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content providing medium capable of receiv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he terminal device 100 is an application.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 또한,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that operates as a content providing medium in the terminal device 100, the captured image taken while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in a specific place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ls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delivered in real time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re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참고로, 단말장치(100)에서는 특정장소로의 진입여부를 판단하게 위해 현재 위치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러한 현재 위치 확인은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terminal device 100, the current position is check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the specific place. The current position can be confirmed using, for example,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컨텐츠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100)를 비롯한 다수 단말에 대하여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판단하고,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is a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the terminal apparatus 100. In particular, a service to b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terminal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reality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virtual reality content ")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 by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has reached a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captured image, Service).

여기서, 특정위치는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입점된 다수의 상점들에 대한 위치로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점을 일컫는다. 즉, 특정위치에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중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매핑되어 있다.Here, the specific location is a location for a plurality of shops that are located in a specific place (e.g., a shopping mall), and refers to a shop capable of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That is, at a specific location, at least one content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at a specific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location is mapped.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ized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place based on a captured image taken by a terminal device 100 that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is proposed.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a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처리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2,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from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nd a receiving service processing unit (120).

여기서,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는 컨텐츠제공매체인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된다.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rresponds to an application that is a content providing medium capable of proces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

이상의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서비스처리부(12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an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특정장소로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게 되면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a result,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fic place is received. Will be described concretely with respect to each configuration in the terminal apparatus 100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recognizes a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location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And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confirms that the user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tent stored in the application operating as the content providing medium in the terminal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value of the place.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from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200 after entering the specific place.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 이어서,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the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s a text message or a popup message through the application. The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consent message when the user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delivers the agreement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In the case where the user is intending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service processor 120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camera so that a captured image is generated along the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생성된 촬영이미지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delivers the photographed image generated in real tim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while moving at a specific place.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does not agree with the us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camera not to be drive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operates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regardless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Upon receip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received virtual reality content to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이상의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서비스처리부(12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an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참고로,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다루기로 한다.For referenc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rack a movement route for moving a specific place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taken while moving at a specific place, and reach a specific position A content image mapped to a specific location and a shot image are virtualized, and a specific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이상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of the terminal device 100, it is mention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a combination of a software module and a hardware module.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any combination of software modules, hardware modules, or software modules and hardware modules executed by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in a hardware system (e.g., a computer system).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a hardware system 1000 for implemen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For the sake of reference,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each configura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0 described above in the hardware system 1000. It is to be noted that each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system It should be don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hardware system 1000 for implementing a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3, a hardware system 10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rocessor 1100, a memory interface 1200, and a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300. [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Each such configuration in hardware system 1000 may be a separate component or integrated into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s, and each of these configurations may be coupled to a bus system (not shown).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Here, in the case of a bus system, any one or more individual physical buses, communication lines / interfaces, and / or multi-drop or point-to-point links connected by appropriate bridges, adapters, and / And abstraction that represents point-to-point connections.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processor 1100 is responsible for executing various software modules stored in the memory 1210 by communicating with the memory 1210 via the memory interface 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he hardware system.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인 위치정보관리부(110), 및 서비스처리부(12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2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210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and the other operating system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210. In the memory 1210,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an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an be additionally stored.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bove operating systems (eg, embedded operating systems such as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or VxWorks), typical system tasks (eg memory management, Instructions, software components, and / or drivers that control and manage the various hardware modules and software modules,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various hardware modules and software modules.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memory 1210 may include a memory hierarch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cache, a main memory, and a secondary memory, such as RAM (e.g., SRAM, DRAM , DDRAM), ROM, FLASH, magnetic and / or optical storage devices such as disk drives, magnetic tape, compact disc (CD) and digital video disc (DVD)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300 serves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cessor 1100 and the peripheral device.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및 입출력장치(1330)가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ositioning device 1310, a communication device 1320, and an input / output device 1330 may be included in the above peripheral device to provide different functions to the computer system .

여기서, 위치확인장치(1310)는 예컨대,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1310 refers to a device that can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such a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그리고, 통신장치(13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nother device.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at least one amplifier, a tuner, at least one oscillat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DEC) chipset, and memory,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known circuitry to perform this function.

이러한, 통신장치(132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Communication protocols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include long term evolution (LT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Fi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and / or IEEE 802.11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e-mail, instant messaging,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protocols, and protocol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environments with other devices.

또한, 입출력장치(133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다양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21)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device 1330 functions a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I / O device interlocked with other hardware system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isplay 1321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service screens Can be controlled.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위치확인장치(1310) 및 통신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특정장소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each configuration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which is stor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in the memory 1210,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0 via the memory interface 1100 and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300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fic place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13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 the hardware system 1000 rela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rminal 1210, which is stored in the memory 1210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It is assumed that each configuration in the apparatus 100 is in a state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0.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통신장치(1320)를 통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recognizes a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location via the location confirmation apparatus 1310 and transmits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20. [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confirms that the user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tent stored in the application operating as the content providing medium in the terminal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value of the place.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from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200 after entering the specific place.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 이어서,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as a text message or a popup message through the application. The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consent message when the user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then transmits the agreement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When the user us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then transmits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service processor 120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e service processor 120 drives the camera through the input / output device 1330 so that the captured image is generated along the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And controls the display 1331.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1331)를 통해 표시되는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which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331 in real time, to the content server 132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in real time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while moving in a specific place To the providing apparatus 200.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input / output device 1330 so as not to drive the camera when the user does not agree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operates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regardless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가상현실 컨텐츠를 표시하게 된다.Upon receiv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display 1331 via the input / output device 1330 to display the virtual reality content do.

이상,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을 이어 가지로 한다.Hereinafter,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hardwa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운영관리부(210) 및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즉, 가상현실 컨텐츠)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4,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The content image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is virtualized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has reached the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력관리부(230) 및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로부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관리부(2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istory management unit 230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Visit management unit 240 for preferentially provid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ccumulated before the photograph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location is revisited.

이상의 운영관리부(21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 이력관리부(230) 및 재방문관리부(240)를 포함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including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220,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nd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a software module and a hardware module.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a resul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cks a movement route for moving a specific place on the basis of a photographed image while moving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tracks a movement rout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ed by virtualizing the content image and the shot image mapped to a specific location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진입확인부(211) 및 컨텐츠관리부(21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includes an entry confirmation unit 211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212.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The entry confirmation unit 2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by interlocking with a loca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즉,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entrance confirming unit 211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when a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hrough a loca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이처럼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가 수신되면,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다양한 진입경로 중 단말장치(100)가 진입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specific location is received, the entry confirming unit 211 can confirm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mong various entry paths in the specific location.

이후, 진입확인부(211)는, 단말장치(100)가 진입하였음을 컨텐츠관리부(212)로 알린다. Thereafter, the entry confirming unit 211 notifies the content managing unit 212 of the entry of the terminal device 100.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며,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manages a plurality of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image), and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agrees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provid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so that the plurality of contents images can be displayed.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previously receives and stores content and content images that can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ecific locations located in a specific location.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pecific location is a shopping mall and the specific location is a plurality of store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nd store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stores in advance befor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nd stores relevant content images.

또한, 컨텐츠관리부(212)는, 진입확인부(211)로부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When the entry confirmation unit 211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generat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device 100.

이후, 컨텐츠관리부(212)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Thereafter,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response message to the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That i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consent message when the user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receives a fine-grained message in the case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컨텐츠관리부(212)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Upon receipt of the agreement messag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distributes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r 220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greed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If the message is received,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does not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even if the terminal apparatus 100 enters a specific place, Lt; RTI ID = 0.0 > 220 < / RTI >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 shot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a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추적부(221), 검출부(222) 및 생성부(223)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includes a tracking unit 221, a detection unit 222, and a generation unit 223.

추적부(221)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The tracking unit 221 tracks the movement path for moving the specific pla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즉,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신한다.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That is, the tracking unit 221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along the direction and the copper line moving in real time within a specific pla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 The tracking unit 221 tracks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within a specific place by using the captured image changed by the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이후,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한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검출부(222)로 전달한다. The tracking unit 221 then transmits the tracking result of the moving path that tracks the moving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to the detecting unit 222.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The detection unit 222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movement path.

즉,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the detection unit 222 compares the captured image with an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position image) related to a specific position that has been stored while track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movement pat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osition has been reached.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location image is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n interior of a particular location (e.g., an interior signboard, a sale product, etc.), an exterior interior (e.g., external signboards, initials, mutual feature information, etc.) You can include all the images you can see. In this regard, for example, if a particular location is a bakery, any image that can identify a particular bakery, such as a bakery business name, logo, merchandise, etc., can be a specific location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More specifically, the detecting unit 222 compares the photographed image included in the result of traversing the path and the previously stored specific position image.

즉,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동경로 상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값이 높은 특정위치 이미지를 검출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while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the specific place moves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e photographed image included on the rout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specific location image, A specific position image with a high value is detected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osition is reached.

결국, 검출부(222)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부(222)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생성부(223)로 전달한다.As a result, the detection unit 222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rrived at a specific pos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location image and the highest matching image having the highest matching value are traced on the basis of the captured image , And detects a content image mapped to a specific position. Then, the detection unit 222 delivers the content image and the movement path tracking result mapped to the specific position to the generation unit 223. [

생성부(223)는, 검출부(222)로부터 수신한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The generation unit 223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the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222 and the result of tracing the movement route.

즉, 생성부(223)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That is, the generation unit 223 detect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pecific location included in the movement route tracking result, and cre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y combin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pecific location with the content image based on the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do.

여기서,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법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실제 촬영이미지와 가상의 컨텐츠이미지를 합성하여 실제 특정위치에 가상의 컨텐츠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그래픽 기법을 일컫는다. Here, the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may be an Augmented Reality (AR) technique, which is an area of a virtual reality. The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may be applied to an actual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So that a virtual content image appears to exist at an actual specific position.

한편, 생성부(223)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The generating unit 223 generates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on the movement path and provides the gener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generating unit 223 generates virtual reality contents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other specific locations providing services similar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of the selected specific location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and provid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한다.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selec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 company bakery amo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existing on the movement route, the generation section 223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other company B providing bakery service similar to that of the bakery company C, and a bakery & coffee specialty shop C company.

이후, 생성부(223)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 즉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에 도달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The generating unit 223 then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other B bakery and C bakery & coffee specialty shops wit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A company bakery as a starting point, May be further synthesized and provided.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additionally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company bakery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or may be separately synthesized and provided through a pop-up window.

이력관리부(23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는 과정에서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즉,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는 단말장치(100)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예: 사용자정보, 전화번호 등)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ccumulates and stores all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at is,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ccumulates and stor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by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any information that can be confirmed as the terminal device 100 (e.g., user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etc.).

이후,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신속한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방문관리부(240)로 전달한다.The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visits a specific place,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delivers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to enable rapid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preferentially provides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revisits the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재방문여부를 판단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the rediscovery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visited agai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the rediscovery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a specific place and is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I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do not exist, th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not used even if the terminal 100 visits a specific place for the first time or visits a specific place.

이후,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Thereafter,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visits a specific place,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ccumulated through the previous visit before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to a specific place and collects the captured image .

이때, 특정장소를 기 방문한 목적이 다수인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기 방문한 목적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방문한 목적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urposes for visiting a specific place, the re-visiting management unit 240 can provid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for the visited purpose separately for each visited purpo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ore quickly when returning for the same purpose as the previous visit.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에는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a user who visited a specific place returns to the same destination for the same purpose, he / she receives the desired virtual reality contents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specific place without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process, It can be achieved.

한편, 이상 설명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Meanwhile, in each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it is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a combination of a software module and a hardware module have.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any combination of software modules, hardware modules, or software modules and hardware modules executed by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in a hardware system (e.g., a computer system).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a hardwa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implementing each configuration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in the computer system,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thereof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system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system for implementing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3000)은, 프로세서(3100),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5, a hardware system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rocessor 3100, a memory interface 3200, and a peripheral device interface 3300. [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Each such configuration in the hardware system 3000 can be a separate component or integrated into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s, and each of these configurations can be coupled to a bus system (not shown).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Here, in the case of a bus system, any one or more individual physical buses, communication lines / interfaces, and / or multi-drop or point-to-point links connected by appropriate bridges, adapters, and / And abstraction that represents point-to-point connections.

프로세서(3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통해 메모리(3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3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Processor 3100 is responsible for executing various software modules stored in memory 3210 by communicating with memory 3210 via memory interface 3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he hardware system.

여기서, 메모리(3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인 운영관리부(21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 이력관리부(230) 및 재방문관리부(24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3210 includes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220, a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nd a revisiting management unit 24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and other operating systems may be additionally stored.

위 운영 체계(150, 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For the above operating systems (eg, embedded operating systems such as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or VxWorks), common system tasks Instruction set, software component and / or driver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various hardware modules, storage devices, power management, etc.)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various hardware modules and software modules.

참고로, 메모리(3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memory 3210 may include a memory hierarch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cache, a main memory, and a secondary memory, such as RAM (e.g., SRAM, DRAM , DDRAM), ROM, FLASH, magnetic and / or optical storage devices such as disk drives, magnetic tape, compact disc (CD) and digital video disc (DVD)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는 프로세서(3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3300 serves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cessor 3100 and the peripheral device.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3310)가 포함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peripheral devic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device 3310 may b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different functions to a computer system.

여기서, 통신장치(3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and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DEC) chipset, and memory,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known circuitry to perform this function.

이러한, 통신장치(3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Communication protocols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include long term evolution (LT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Fi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and / or IEEE 802.11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e-mail, instant messaging,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protocols, and protocol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environments with other devices.

결국,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매개로 통신장치(3310) 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와 관련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each configuration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stor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in the memory 3210 is transferred to the memory interface 3200 via the memory interface 3200 and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3300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3100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is performed so that the captured image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a specific place is confirmed and the terminal device 100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location has been reached.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매개로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 the hardware system 3000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3210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It is assumed that each configuration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is in a state executed by the processor 3100 via the memory interface 3200. [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진입확인부(211) 및 컨텐츠관리부(21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includes an entry confirmation unit 211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212.

진입확인부(211)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The entry confirmation unit 211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a specific place using a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d from a posi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Or not.

즉,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entrance confirming unit 211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when a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hrough a loca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이처럼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가 수신되면,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다양한 진입경로 중 단말장치(100)가 진입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specific location is received, the entry confirming unit 211 can confirm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mong various entry paths in the specific location.

이후, 진입확인부(211)는, 단말장치(100)가 진입하였음을 컨텐츠관리부(212)로 알린다.Thereafter, the entry confirming unit 211 notifies the content managing unit 212 of the entry of the terminal device 100.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며,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동의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한 시점을 검출하고,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manages a plurality of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image), and based on the agreement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Detects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100 agrees to the actual content service, and transmits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r 22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provided at a time point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agrees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previously receives and stores content and content images that can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ecific locations located in a specific location.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pecific location is a shopping mall and the specific location is a plurality of store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nd store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stores in advance befor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nd stores relevant content images.

또한, 컨텐츠관리부(212)는, 진입확인부(211)로부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When the entry confirmation unit 211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generat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이후,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Thereafter,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the agreement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transmits the agreement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 / RTI >

컨텐츠관리부(212)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Upon receipt of the agreement messag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distributes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r 220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greed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If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 message with a false addr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even if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the specific location,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r 220 .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 shot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the specific pl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추적부(221), 검출부(222) 및 생성부(223)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includes a tracking unit 221, a detection unit 222, and a generation unit 223.

추적부(221)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The tracking unit 221 tracks the movement path for moving the specific pla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즉, 추적부(221)는,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추적부(221)는, 특정장소 내에서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That is, the tracking unit 221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line in real time in the specific pla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 The tracking unit 221 tracks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a specific place by using the captured image changed by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a specific place.

이후,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한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검출부(222)로 전달한다.The tracking unit 221 then transmits the tracking result of the moving path that tracks the moving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to the detecting unit 222.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The detection unit 222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movement path.

즉,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the detection unit 222 compares the captured image with an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position image) related to a specific position that has been stored while track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movement pat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osition has been reached.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location image is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n interior of a particular location (e.g., an interior signboard, a sale product, etc.), an exterior interior (e.g., external signboards, initials, mutual feature information, etc.) You can include all the images you can see. In this regard, for example, if a particular location is a bakery, any image that can identify a particular bakery, such as a bakery business name, logo, merchandise, etc., can be a specific location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More specifically, the detecting unit 222 compares the photographed image included in the result of traversing the path and the previously stored specific position image.

즉,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동경로 상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값이 높은 특정위치 이미지를 검출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while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the specific place moves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e photographed image included on the rout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specific location image, A specific position image with a high value is detected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osition is reached.

결국, 검출부(222)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부(222)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생성부(223)로 전달한다.As a result, the detection unit 222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rrived at a specific pos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location image and the highest matching image having the highest matching value are traced on the basis of the captured image , And detects a content image mapped to a specific position. Then, the detection unit 222 delivers the content image and the movement path tracking result mapped to the specific position to the generation unit 223. [

생성부(223)는, 검출부(222)로부터 수신한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The generation unit 223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the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222 and the result of tracing the movement route.

즉, 생성부(223)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That is, the generation unit 223 detect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pecific location included in the movement route tracking result, and cre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y combin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pecific location with the content image based on the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do.

여기서,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법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실제 촬영이미지와 가상의 컨텐츠이미지를 합성하여 실제 특정위치에 가상의 컨텐츠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그래픽 기법을 일컫는다. Here, the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may be an Augmented Reality (AR) technique, which is an area of a virtual reality. The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may be applied to an actual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So that a virtual content image appears to exist at an actual specific position.

한편, 생성부(223)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 specific location on the movement route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generation unit 223 selec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t a specific loc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other specific locations providing services similar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of the selected specific location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and provid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한다.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selec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 company bakery amo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existing on the movement route, the generation section 223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other company B providing bakery service similar to that of the bakery company C, and a bakery & coffee specialty shop C company.

이후, 생성부(223)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 즉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에 도달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The generating unit 223 then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other B bakery and C bakery & coffee specialty shops wit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A company bakery as a starting point, May be further synthesized and provided.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additionally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company bakery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or may be separately synthesized and provided through a pop-up window.

이력관리부(23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즉,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는 단말장치(100)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예: 사용자정보, 전화번호 등)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ccumulates and stores all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course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at is,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ccumulates and stor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by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any information that can be confirmed as the terminal device 100 (e.g., user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etc.).

이후, 이력관리부(23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것으로 확인되면, 신속한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방문관리부(240)로 전달한다.If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visited the specific place again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And transmits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accumulated.

재방문관리부(24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The re-visiting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been re-visited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And provi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preferentially.

보다 구체적으로, 재방문관리부(24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재방문여부를 판단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the re- 100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the rediscovery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a specific place and is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I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do not exist, th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not used even if the terminal 100 visits a specific place for the first time or visits a specific place.

이에,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turns to a specific place, the re-visit management section 240 determines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ccumulated through the previous visit before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to a specific place and collects the captured image .

이때, 특정장소를 기 방문한 목적이 다수인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기 방문한 목적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방문한 목적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urposes for visiting a specific place, the re-visiting management unit 240 can provid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for the visited purpose separately for each visited purpose. According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provided more quickly when the user returns to the same destination for the same purpose.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a user who visited a specific place returns to the same destination for the same purpose, he / she can receive the desired virtual reality contents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specific place without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process, It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low in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rdware system 1000 for implemen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7, 1 to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 6, an operation flow in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S100).Firs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S100).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recognizes a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location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And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confirms that the user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tent stored in the application operating as the content providing medium in the terminal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value of the place.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S110).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fter entering the specific place (S110).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the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s a text message or a popup message through the application.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20). Thereafter,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for the use agreement message and transmits the response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S120).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That is, when the user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consent message and transfers the agreement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In the case where the user is intending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service processor 120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camera so that a captured image is generated along the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생성된 촬영이미지를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30).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delivers the photographed image generated in real tim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while moving at a specific place (S130).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does not agree with the us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camera not to be drive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operates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regardless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서비스처리부(120)는,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40, S150).Upon receip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received virtual reality content to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S140, S15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the operation flow of each configuration in the hardware system 1000 for implemen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each configura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0 stored in the memory 1210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0.

먼저,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S100`).Firs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S100 ').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관리부(11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통신장치(1320)를 통해 위치측위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한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recognizes a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location via the location confirmation apparatus 1310 and transmits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location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320. [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제공장치(200)와 통신하여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컨텐츠제공장치(200)와의 통신 없이 단말장치(100)에서 컨텐츠제공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된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값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confirms that the user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tent stored in the application operating as the content providing medium in the terminal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value of the place.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로 진입한 이후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S110`).After entering the specific place,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S110 ').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팝업메시지로 수신한다.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as a text message or a popup message through the application.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20`). Thereafter,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for the usage agreement message and transmits the response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S120 ').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생성한 다음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consent message when the user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then transmits the agreement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When the user us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then transmits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

이후,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service processor 120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the service processor 120 drives the camera through the input / output device 1330 so that the captured image is generated along the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And controls the display 1331.

즉, 서비스처리부(120)는,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1331)를 통해 표시되는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 전달한다(S130`).That is,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which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331 in real time, to the content server 132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in real time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while moving in a specific place To the providing apparatus 200 (S130 ').

한편, 서비스처리부(12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도록 입출력장치(1330)를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input / output device 1330 so as not to drive the camera when the user does not agree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operates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regardless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서비스처리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제공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면,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가상현실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한다(S140`, S150`).Upon receiv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320, the servic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display 1331 via the input / output device 133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S140`, S150`).

이상 단말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flow in the hardware system 1000 for implemen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operation flow in the system 200 and the hardware system 3000 for implementing the same.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n operation flow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S200). First,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S200).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진입확인부(211) 및 컨텐츠관리부(21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includes an entry confirmation unit 211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212.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The entry confirmation unit 2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by interlocking with a loca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즉,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entrance confirming unit 211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when a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hrough a loca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이처럼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가 수신되면, 진입확인부(211)는, 특정장소 내 다양한 진입경로 중 단말장치(100)가 진입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specific location is received, the entry confirming unit 211 can confirm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mong various entry paths in the specific location.

이후, 진입확인부(211)는, 단말장치(100)가 진입하였음을 컨텐츠관리부(212)로 알린다.Thereafter, the entry confirming unit 211 notifies the content managing unit 212 of the entry of the terminal device 100.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관리하며,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manag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transmits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such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provided at the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agrees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220).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previously receives and stores content and content images that can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ecific locations located in a specific location.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pecific location is a shopping mall and the specific location is a plurality of store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nd store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stores in advance befor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nd stores relevant content images.

또한, 컨텐츠관리부(212)는, 진입확인부(211)로부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S200).When the entry confirmation unit 211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generat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device 100 (S200).

이후, 컨텐츠관리부(212)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S210). 즉, 컨텐츠관리부(212)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Thereafter,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response message to the use agreement message (S210). That i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consent message when the user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receives a fine-grained message in the case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컨텐츠관리부(212)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Upon receipt of the agreement messag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delivers the content image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220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greed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If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 message with a false addr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even if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the specific location,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r 220 .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 shot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a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추적부(221), 검출부(222) 및 생성부(223)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includes a tracking unit 221, a detection unit 222, and a generation unit 223.

추적부(221)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The tracking unit 221 tracks the movement path for moving the specific pla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즉,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신한다(S230).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S240). That is, the tracking unit 221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line in real time within the specific pla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S230). The tracking unit 221 tracks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a specific place using the captured image changed by the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S240).

이후, 추적부(221)는,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한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검출부(222)로 전달한다. The tracking unit 221 then transmits the tracking result of the moving path that tracks the moving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to the detecting unit 222.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50).The detecting unit 222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movement path (S250).

즉,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the detection unit 222 compares the captured image with an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position image) related to a specific position that has been stored while track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movement pat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osition has been reached.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location image is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n interior of a particular location (e.g., an interior signboard, a sale product, etc.), an exterior interior (e.g., external signboards, initials, mutual feature information, etc.) You can include all the images you can see. In this regard, for example, if a particular location is a bakery, any image that can identify a particular bakery, such as a bakery business name, logo, merchandise, etc., can be a specific location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2)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More specifically, the detecting unit 222 compares the photographed image included in the result of traversing the path and the previously stored specific position image.

즉,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동경로 상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값이 높은 특정위치 이미지를 검출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while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the specific place moves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e photographed image included on the rout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specific location image, A specific position image with a high value is detected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osition is reached.

결국, 검출부(222)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부(222)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생성부(223)로 전달한다.As a result, the detection unit 222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rrived at a specific pos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location image and the highest matching image having the highest matching value are traced on the basis of the captured image , And detects a content image mapped to a specific position. Then, the detection unit 222 delivers the content image and the movement path tracking result mapped to the specific position to the generation unit 223. [

생성부(223)는, 검출부(222)로부터 수신한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S270).The generating unit 223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using the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received from the detecting unit 222 and the result of tracing the movement route (S270).

즉, 생성부(223)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That is, the generation unit 223 detect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pecific location included in the movement route tracking result, and cre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y combin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pecific location with the content image based on the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do.

이후,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가상현실 컨텐츠가 단말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280).T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transmi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100 (S280).

한편, 생성부(223)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The generating unit 223 generates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on the movement path and provides the gener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generating unit 223 generates virtual reality contents A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another specific location providing a service similar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of the selected specific location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and provid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한다.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selec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 company bakery amo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existing on the movement route, the generation section 223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other company B providing bakery service similar to that of the bakery company C, and a bakery & coffee specialty shop C company.

이후, 생성부(223)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 즉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에 도달하는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The generating unit 223 then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other B bakery and C bakery & coffee specialty shops wit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A company bakery as a starting point, May be further synthesized and provided.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additionally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company bakery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or may be separately synthesized and provided through a pop-up window.

만일,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210-S270)를 수행하기 이전에 이력관리부(230) 및 재방문관리부(240)에 의해 재방문처리 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도 있다.If the terminal device 100 revisits a specific place,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nd the revisiting management unit 240 revisi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before performing the steps of S210-S270, The processing step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보다 구체적으로,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는 과정에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즉,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후, 이력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신속한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방문관리부(240)로 전달한다.More specifically,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ccumulates and stores all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by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ccumulates and stor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by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The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visits a specific place,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delivers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to enable rapid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preferentially provides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revisits the specific place.

보다 구체적으로,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재방문여부를 판단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the rediscovery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visited agai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the rediscovery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a specific place and is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I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do not exist, th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not used even if the terminal 100 visits a specific place for the first time or visits a specific place.

이후,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Thereafter,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turns to a specific place, the re-visit management section 240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ccumulated through the previous visit before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to a specific place and collects the captured image .

이때, 특정장소를 기 방문한 목적이 다수인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기 방문한 목적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방문한 목적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urposes for visiting a specific place, the re-visiting management unit 240 can provid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for the visited purpose separately for each visited purpo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ore quickly when returning for the same purpose as the previous visit.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a user who visited a specific place returns to the same destination for the same purpose, he / she can receive the desired virtual reality contents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specific place without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process, It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9, the operation flow of each component in the hardware system 3000 for implementing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제공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each configuration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stored in the memory 3210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3100.

먼저,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의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관리한다(S200`). First,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S200 ').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uses the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received from a posi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via the communication apparatus 3310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apparatus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entered the place.

즉,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 내 위치측정단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when a position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hrough a location measurement terminal (not shown) in a specific place.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며,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되는 동의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을 검출하고, 단말장치(10)가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에 동의하는 시점에서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다수의 컨텐츠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manag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an image related to the cont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image), and based on the agreement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Detects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10 agrees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and delivers a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r 22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provided when the terminal device 10 agrees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부(210)는, 특정장소에 입점된 다수의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 및 컨텐츠이미지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receives and stores contents and content images that can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ecific locations located in a specific place.

예를 들어, 특정장소가 쇼핑몰이고, 특정위치가 다수의 상점인 경우, 컨텐츠관리부(212)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미리 다수의 상점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관리부(212)는,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관련 컨텐츠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pecific location is a shopping mall and the specific location is a plurality of store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nd store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stores in advance befor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12 receiv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nd stores relevant content images.

또한, 운영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S210`).Whe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generates a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and transmits the usage agreement confirmation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To the terminal device 100 (S210 ').

이후, 운영관리부(210)는, 이용동의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S220`). 즉, 운영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동의메시지를 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미동의한 경우 통신장치(3310)를 통해 미동의메시지를 수신한다. Thereafter,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receives a response message to the use agreement message (S220 '). That is, whe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agrees to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receives the agreement message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3310). ≪ / RTI >

운영관리부(210)는, 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0)가 수신동의한 시점에서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전달한다.When the agreement message is receive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10 transmits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the specific place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has agreed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

만일, 미동의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했더라도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로 미동의메시지를 전달한다.If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 message with a false addr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even if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the specific location,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r 220 .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특정장소에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 shot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the specific pl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한다.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tracks a moving route for moving the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장소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을 따라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S23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 내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S240`). That i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in real time within the specific pla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S230 ').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tracks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a specific place using the shot image changed by the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50`).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result of tracing the movement path (S250 ').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와 관련된 이미지(이하,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산출된 매칭값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compares the captured image with an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location image)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while track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the movement path tracking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osition is reached based on the calculated matching value.

여기서, 특정위치 이미지는, 특정장소 내에서 특정위치의 내부 인테리어(예: 내부간판, 판매제품 등), 외부 인테리어(예: 외부간판, 이니셜, 상호특징정보 등), 제공서비스 등과 같이 특정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자면, 특정위치가 베이커리인 경우, 베이커리 상호명, 로고, 판매제품 등과 같이 특정 베이커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이미지가 특정위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location image is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n interior of a particular location (e.g., an interior signboard, a sale product, etc.), an exterior interior (e.g., external signboards, initials, mutual feature information, etc.) You can include all the images you can see. In this regard, for example, if a particular location is a bakery, any image that can identify a particular bakery, such as a bakery business name, logo, merchandise, etc., can be a specific location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촬영이미지와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를 비교한다. 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compares the photographed image included in the movement route tracking result with the previously stored specific location image.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기 저장된 특정위치 이미지와 가장 매칭값이 높은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한다(S260`). 이후,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이동경로추적결과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S270`).That is, if the specific location image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racking unit 220 tracking the movement rout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having the highest matching value are identified, the terminal device 100 reaches the specific location , And detects a content image mapped to a specific position (S260 '). Thereaft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generates virtual reality contents using the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and the travel path tracking result (S270 ').

즉,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추적결과에 포함된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특정위치의 촬영이미지와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다. That i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220 detects a shot image at a specific position included in the movement path tracking result, and combines the shot image and the content image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basis of a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Create content.

이후,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가상현실 컨텐츠가 단말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통신장치(3310)를 통해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280`).Thereaft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transmi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31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100 (S280 ').

한편,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220)는,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했을 때,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위치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특정위치에 대한 경로안내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220 generates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on the movement route and provi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sele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other specific locations providing services similar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of the selected specific location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and provid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예를 들어,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위치에 대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경우, 생성부(223)는, A사 베이커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B사 베이커리, C사 베이커리 & 커피전문점 등의 특정위치를 검출하고, A사 베이커리를 출발점으로 다른 특정위치까지의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selec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 company bakery amo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existing on the movement route, the generation section 223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other company B providing bakery servic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bakery, a bakery & coffee specialty shop of the company C, etc.,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another specific location from the bakery A of the company A and adds it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

물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로안내정보는, 단말장치(100)가 선택한 A사 베이커리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추가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팝업창을 통해 별도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additionally may be additionally synthesized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A-company bakery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or may be separately synthesized and provided through a pop-up window.

만일,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210-S270)를 수행하기 이전에 재방문처리 단계가 바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f the terminal device 100 returns to a specific place, the visit-visiting management unit 240 performs control so that the return-visit processing step is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the step S210-S270 of genera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You may.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preferentially provides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revisits the specific place.

이를 위해, 이력관리부(230)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게 된다.To this end,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30 accumulates and stores all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즉,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에 진입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최초 방문하거나 또는 특정장소를 방문하였으나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re-visit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exists, the rediscovery management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a specific place and is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service. I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do not exist, th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is not used even if the terminal 100 visits a specific place for the first time or visits a specific place.

이에, 재방문관리부(24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를 이동하여 촬영이미지를 수집하기 이전에 기 방문을 통해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turns to a specific place, the re-visit management section 240 determines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ccumulated through the previous visit before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to a specific place and collects the captured image .

이를 통해,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는 기 방문한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재방문한 경우, 전술한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특정장소에 진입과 동시에 원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a user who visited a specific place returns to the same destination for the same purpose, he / she can receive the desired virtual reality contents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specific place without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process, It can be achiev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 그리고 단말장치(100)와 컨텐츠제공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하드웨어 시스템(1000, 3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특정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특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컨텐츠의 직관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정장소를 방문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특정장소의 방문 목적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pective hardware systems 1000 (FIG. 1) for implemen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 3000), a movement path for moving a specific place on the basis of a shot image taken while moving a specific place is tracked, and when a specific position is reached during the movement path tracking, By provid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ed by virtualizing the content image and the shot image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provided content can be enhanced, and the user who has visited the specific place can be targeted The contents can be provided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information by a memory, in one embodiment, the memory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one implementation, the memory may be a volatile memory unit,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memory may be a non-volatile memory unit. The memory may also include, for exampl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or any other mass storage device.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an also be connected to one or more network interface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n Ethernet card, a serial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RS-232 port and / or a wireless interface device such as an 802.11 card, Device. In other implementations, such input / output devices may include driver devices configured to transmit output data to other input / output devices and receive input data, such as keyboards, printers, display devices, and the like.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can be realized by an instruction that causes one or more processing apparatuses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nd processes at the time of execution. Such instructions may include, for example, interpreted instructions such as script commands, such as JavaScript or ECMAScript commands, or other instructions stored in executable code or computer readable media.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장치(2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over a network such as a server farm or a single computer apparatus.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Implementations of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It can be implemented.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 E. One or more modules relating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ype of program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by, or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ter that affects the machine readable propagation typ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system" or "device" as used herein encompasses all apparatuses, apparatus, and machines for processing data, including, for example, a programmable processor, a computer, or a multiprocessor or computer. The processing system may, in addition to the hardware, comprise code that forms an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er program upon request, such as, for example, code comprising a processor firmware, a protocol stack,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 operating system, .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the file system.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a file storin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multiple computers or on one computer, located on a singl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uter 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such a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orporated in,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s.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for exampl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may include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or may be a web browser or a graphical user, for example a user, who may interact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Front-end components such as client computers with interfaces, or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end,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may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s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on the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Likewise, the specific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herein with particular sequence of operations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such illustrated acts have to be performed or that such acts must be performed in their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Can no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so,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inology presented. Thu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adapt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n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에 따르면, 특정장소(예: 쇼핑몰)에 진입한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예: 광고, 정보 등)를 가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e.g., advertisement, information, etc.) related to a specific place based on a shot image taken at a terminal device entering a specific place ), It can not be used not only for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for the market or operation of the applicable device, as it is beyond the limit of the existing technology,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e used for commercial use.

100: 단말장치
110: 위치정보관리부 120: 서비스처리부
200: 서비스장치
200: 컨텐츠제공장치
210: 운영관리부
211: 진입확인부 212: 컨텐츠관리부
22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221: 추적부 222: 검출부
223: 생성부 230: 이력관리부
240: 재방문관리부
100: terminal device
110: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0: service processing unit
200: Service device
200: Content providing device
210:
211: entry confirmation unit 212: content management unit
220: Offering virtual reality contents
221: tracking unit 222:
223: Generation unit 230: History management unit
240:

Claims (12)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운영관리부; 및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와 관련되어 수집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Wherein when the captured image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is confirmed within the specific lo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is determined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has reached a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terminal devic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by virtualizing images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부;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A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movement path for moving the specific pla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A detecting unit detecting a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location when the specific location is reached during tracking of the movement route; And
And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by combining the captured image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and the detected content image based on a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unit,
A history management unit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And a re-visit management unit for preferentially providing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before the captur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apparatus when the terminal apparatus revisits the specific pl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ck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terminal tracks the moving route by using a photographed image changed by a moving direction and a copper line of the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진입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 전달하는 컨텐츠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An entry confirming uni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has entered the specific place; And
And a content manager for deliver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r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agrees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position may be,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a location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at least one content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특정장소와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관리하는 관리단계; 및
상기 특정장소 내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촬영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A management step of manag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related to a specific place; And
When a captured image photographed in real tim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is confirmed within the specific place, the termina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terminal device, Providing a virtualization of related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장소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단계;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중 상기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위치에 매핑된 컨텐츠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특정위치에서의 촬영이미지와 상기 검출된 컨텐츠이미지를 가상화 렌더링(ren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결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A tracking step of tracking a moving path for moving the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in real time;
A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content image mapped to the specific position when the specific position is reached during tracking of the movement path; And
And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by combining the sensed image at the specific position and the detected content image based on a virtualization rendering techniqu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를 재방문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누적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재방문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A storage step of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And a re-visiting step of preferentially providing the accumulated virtual reality contents before the captur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revisits the specific place. Lt; / RTI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동선에 의해 변경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cking step comprises:
Wherein the terminal tracks the moving route by using a photographed image changed by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line of the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장소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수신 동의한 시점에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location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has entered the specific place; And
And a delivery step of deliver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r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agrees to receiv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location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mpris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위치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이미지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ecific position may be,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location where service can be provided related to at least one content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KR1020150129589A 2015-09-14 2015-09-14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KR102648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89A KR102648834B1 (en) 2015-09-14 2015-09-14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KR1020240035206A KR20240037931A (en) 2015-09-14 2024-03-13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89A KR102648834B1 (en) 2015-09-14 2015-09-14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5206A Division KR20240037931A (en) 2015-09-14 2024-03-13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62A true KR20170031962A (en) 2017-03-22
KR102648834B1 KR102648834B1 (en) 2024-03-18

Family

ID=584971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89A KR102648834B1 (en) 2015-09-14 2015-09-14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KR1020240035206A KR20240037931A (en) 2015-09-14 2024-03-13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5206A KR20240037931A (en) 2015-09-14 2024-03-13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883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0378A (en) * 2018-02-27 2018-09-07 吉林省行氏动漫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irtual self-service tax system and do tax method
KR20190121643A (en)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서틴스플로어 Virtual Reality Imag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KR102447516B1 (en) * 2022-07-12 2022-09-26 디노바 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spatial experience service combined with commerce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670A (en) * 2001-09-26 2003-04-04 Nec Corp Content delivery system and content reception and display device
KR20120022483A (en) * 2010-09-02 2012-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ystem
KR20150058679A (en) * 2013-11-20 2015-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 in a comple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670A (en) * 2001-09-26 2003-04-04 Nec Corp Content delivery system and content reception and display device
KR20120022483A (en) * 2010-09-02 2012-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ystem
KR20150058679A (en) * 2013-11-20 2015-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 in a complex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0378A (en) * 2018-02-27 2018-09-07 吉林省行氏动漫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irtual self-service tax system and do tax method
KR20190121643A (en)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서틴스플로어 Virtual Reality Imag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KR102447516B1 (en) * 2022-07-12 2022-09-26 디노바 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spatial experience service combined with commerce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931A (en) 2024-03-22
KR102648834B1 (en) 202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2498B2 (en) Providing content based on abandonment of an item in a physical shopping cart
JP6929707B2 (en) Programs and programs that computers perform to manage advertisements and programs that control mobile terminals
KR20240037931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US20160379200A1 (en) Systems,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proximity mobile payment transactions
US20200098041A1 (en) Determining attribution for an electronic credit application
KR20160094774A (en) Apparatus for advertisement platforms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10931A (en) Apparatus for advertisement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26165A (en) Management apparatus for advertisement mediu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49163A (en) 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48833A (en) 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0555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ileage accumulating service
KR20160149695A (en) Apparatus for advertisement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6296A (en) Apparatus for road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090327B (en) Commodit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469729B1 (en)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74099B1 (en) 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39905A (en) Apparatus for advertisement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22379A (en)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nt based on moving path,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102258850B1 (en) 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06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user terminal of an authenticated user based on beacon
KR20170048836A (en) 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124322B2 (en) Information code reading system
KR102296856B1 (en) Discriminant method for relationship of locations,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20170045571A (en) 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8844B1 (en) 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