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947A -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947A
KR20170031947A KR1020150129566A KR20150129566A KR20170031947A KR 20170031947 A KR20170031947 A KR 20170031947A KR 1020150129566 A KR1020150129566 A KR 1020150129566A KR 20150129566 A KR20150129566 A KR 20150129566A KR 20170031947 A KR20170031947 A KR 2017003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hosphorescent
resin
sheet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102015012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947A/ko
Publication of KR2017003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32B17/10669Luminescent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주위 조명이 없어도 자체적으로 발광되는 수단을 갖는 접합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두 장의 유리(10)와, 상기 두 장의 유리(10)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접착층(20) 및, 상기 두 장의 유리(10)가 접합되면서 접착층(20)과 양 대향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축광 레진층(30)을 포함하되, 상기 축광 레진층(30)은 유리(10) 접합용 투명 레진과 축광물질이 일정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정전이나 소등과 같은 암흑 상황에서도 접합유리의 존재가 분명하게 인식되어 유리에 충돌되거나 유리의 깨짐으로 인한 사고가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암흑 상황에서 접합유리의 발광이 전원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전력 소모가 필요없으며, 축광물질의 주입이 레진 주입과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공정을 요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이 가능하고, 주간과 야간 모두, 즉 24시간 동안 장식적 목적을 위한 조명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 장식적 조명 효과가 가능한 발광 접합유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Self-luminous laminated glass and production method of self-luminous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접합유리 및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위 조명이 없어도 자체적으로 발광되는 수단을 갖는 접합유리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깨지기 쉬운 재료이다. 따라서 건축 부자재나 각종 시설물에 유리가 사용될 경우 통상의 유리보다 더욱 강도가 큰 강화유리가 사용된다.
강화유리는 응력이 작용되는 면의 반대 면 표면에도 인장력이 아닌 압축력이 작용하여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처리를 가하여 깨어질 때 비산되는 파편이 잘고 날카롭지 않다.
그런데 강화 유리도 통상의 유리보다는 여러모로 안전하고 강도가 크지만 완벽한 것은 아니므로 돌발사고 발생시 일반 유리와 마찬가지로 인접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강화 유리 또는 일반유리 두 장을 접합시킨 접합 유리가 개발되었다.
접합유리는 두 장의 강화 유리 또는 일반유리를 접합시켜 강도가 증가됨과 동시에 두 장의 강화유리 사이에 필름이나 또는 레진 등의 접합물이 게재됨으로써 깨어지더라도 파편이 비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합유리는 견고한 유리가 요구되는 건축물의 부자재로 쓰이거나 공공시설의 각종 구조물에 사용된다.
하지만 접합유리 조차도 유리의 속성상 여타의 건축 자재에 비하여 쉽게 파손되어 주위 사람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다.
특히 실내 구조물에 접합유리가 사용되는 경우 정전이나 소등 시 좌충우돌 하다가 유리에 충돌하거나 걸려 넘어지거나 또는 유리 파괴로 인한 큰 사고가 초래될 수 있다.
지하철역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몰리면서 외부 빛이 차단되는 장소에서는 더욱이 정전이나 소등 상황은 위험하다.
그러므로 정전이나 소등 상황에서도 유리의 존재가 쉽게 파악되어 사고의 위험이 배재될 수 있는 접합유리가 필요하다.
또한 소등 상황은 정전이 아닌 경우라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안전한 접합유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종래기술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종래기술들은 유리 자체의 강도를 높여 방탄유리로 제조하거나 또는 다층구조의 접합유리로 제조하는 것들이 주된 내용이다.
하지만 이처럼 유리 자체의 강도를 높이는 기술들은 유리 파괴 가능성은 줄여주지만 사람이 유리의 존재를 모르고 일정한 속도로 지나가다가 유리에 충돌됨으로써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 해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암흑 상황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 자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들은 유리의 생산 단가를 높여 실용화하기에는 비용이 비싸서 고급 건물 외에는 적용이 어려워 일반인들에게는 사용의 기회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상의 접합유리의 제조비용과 차이가 적으면서도 소등이나 정전 등의 암흑 상황에서 유리의 존재가 명확하게 인지되어 유리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고가 배재될 수 있도록 유리가 안전시설물이 될 수 있는 기술이 요청된다.
등록특허공보 제 특0183530호(등록일자: 1998. 12. 16)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정전이나 소등과 같은 암흑 상황에서도 유리의 존재가 인식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발광 접합유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접합유리는 서로 대향되는 두 장의 유리와, 상기 두 장의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접착층 및 상기 두 장의 유리가 접합되면서 접착층과 양 대향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축광 레진층을 포함하되, 상기 축광 레진층은 강화유리 접합용 투명 레진과 축광물질이 일정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축광 레진층은 바람직하게는 축광물질 10% 내지 30%와, 상기 접합용 투명 레진 잔부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광 레진층의 두께는 0.8 내지 1.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는 상기 유리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리에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블랙 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실내조명 또는 실외 자연광으로부터 전원을 발생시켜 상기 블랙 라이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을 축적하여 소등 또는 정전시에 상기 블랙 라이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향되는 두 장의 유리의 대향 면의 반대 면에는 각각 투명 광촉매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두 장의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두 장의 유리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어느 하나의 유리 일면에 압착시키는 단계와, 유리 접합용 투명 레진과 축광물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축광 레진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축광 레진을 상기 두 장의 유리 사이에서 접착제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주입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광 레진은 축광물질 10% 내지 30%와, 상기 접합용 투명 레진 잔부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광 레진의 두께는 0.8 내지 1.5 mm 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광 레진을 주입시키는 단계 이후에 주사기로 상기 두 장의 유리 사이에서 접착제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남는 잔여 공기를 빼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 및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전이나 소등과 같은 암흑 상황에서도 접합유리의 존재가 분명하게 인식되어 유리에 충돌되거나 유리의 깨짐으로 인한 사고가 효과적으로 방지됨으로 인하여 유리가 안전 시설물이 될 수 있다.
둘째, 암흑 상황에서 접합유리의 발광이 전원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전력 소모가 필요없다.
셋째, 축광물질의 주입이 레진 주입과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공정을 요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이 가능하다.
넷째, 주간과 야간 모두, 즉 24시간 동안 장식적 목적을 위한 조명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 장식적 조명 효과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축광 물질의 잔광 지속시간과 잔광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의 결합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도 3a의 수직 단면도,
도 5a는 실내 일반조명이 켜진 상태의 접합유리의 사진,
도 5b는 암흑상황에서의 접합유리의 사진,
도 6a는 실내 일반조명이 켜진 상태의 접합유리의 사진,
도 6b는 6a에서 블랙라이트 조명이 추가된 상태의 접합유리의 사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는 서로 대향되는 두 장의 유리(10)와, 두 장의 유리(10)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접착층(20) 및 두 장의 유리(10)가 접합되면서 접착층(20)과 양 대향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축광 레진층(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리(10)는 강화유리일 수도 있고 일반유리일 수도 있다.
참고로 강화유리는 일반적으로 float glass를 섭씨 약 700로 가열하였다가 급속히 냉각시키는 열처리 공정으로 제조된다. 이때의 냉각은 찬 공기를 유리 표면에 불어 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조된 강화유리는 응력이 가해지는 면의 반대 면에도 압축력이 발생되어 일반 유리에 비하여 응력에 견디는 힘이 크다. 다만 강화유리 자체는 종래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유리(10)는 강화유리일 수 있다.
접착층(20)은 서로 대향되는 두 유리(10)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의 테두리를 따라 도포된다.
접착층(20)은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양면테이프와 유사한 테이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테이프 접착제를 유리(10)의 테두리를 따라 붙임으로써 도포될 수도 있다.
이때 테이프 접착제를 떼어낸 다음 나머지 유리(10)를 접착층(20)이 형성된 유리(10)의 면에 압착시킴으로써 두 유리(10)를 결합시킨다.
축광 레진층(30)은 축광 물질과 투명 레진의 혼합으로 형성된다.
투명 레진은 자동차 접합유리의 수리에도 사용되는 물질로서 두 장의 유리(10) 사이에서 응고되면서 두 장의 유리(10)를 접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때 투명 레진은 투명성의 보장과 접착력의 보장이 모두 충족되어야 하는 한편, 두 장의 유리(10)가 깨어질 때 파편을 비산시키지 않는 작용도 하게 된다.
축광 물질은 햇빛, 형광등빛 기타 빛을 조사받으면 빛에너지를 흡수, 저장하여 외부의 빛이 제거된 후에도 일정한 시간동안 가시광역의 빛을 발하는 물질이다.
축광 물질과 야광 물질은 빛이 유지되는 잔광의 지속시간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야광 물질의 빛 지속시간은 20분 내외이나, 축광 물질의 빛 지속시간은 5시간 내지 8시간이다. 또한 축광 물질은 내구성이 좋아 여하한 조건에서도 빛 에너지의 흡수 및 방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축광 물질의 잔광의 세기는 외부 빛이 차단된 후 처음 20분 내지 30분 간은 20mcd/m2이며 그 후 5시간 내지 8시간 동안은 평균 3mcd/m2의 휘도를 유지한다.
도 2에는 축광물질에서 외부 빛 제거 후 잔광의 지속시간과 잔광 세기의 관계가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축광물질과 투명 레진과의 혼합시 적정한 혼합 비율이 중요하다.
즉 축광 물질은 축광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면서, 투명 레진은 유리(10)의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는 비율로 혼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반복된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쳐서 접착력의 유지와 축광 효과의 최대화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진 혼합 비율이 바로 축광물질 10 내지 30 중량%의 비율에 투명 레진 잔부의 구성으로 혼합하는 것이다.
한편, 이 경우 최소한의 축광 물질이 사용되면서 투명 레진에 의한 접착력이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는 축광 레진층(30)의 두께는 0.8 내지 1.5 mm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조되는 축광 레진에 의하여 발광 접합유리는 정전, 소등, 사고 등의 모든 암흑 상황에서도 실내의 유리 위치를 확인시켜 줄 뿐만 아니라 암흑 상황에서 대피 가능한 동선을 제공 해 줄 수도 있고, 또는 야간 인테리어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이나 독서실의 간막이로 사용되거나, 또는 사무실의 파티션이나 벽면으로 시공되어 사용될 경우 소등시 인테리어 효과뿐만 아니라 정전이나 사고로 인한 암흑상황에서도 동선이 쉽게 파악되어 사고유발을 막을 수 있다.
특히 극장과 같은 사람이 밀집된 공간에서 많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대피 동선이 제공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경우는 대형 사고를 막을 수 있는지 여부와 절대적인 관련이 있다.
도 5a와 도 5b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5a에서처럼 실내에 일반 조명이 들어온 상태에서는 발광 접합유리는 외부 빛을 받아들이는 상태이므로 자체 발광되지는 않지만, 도 5b에서와 같이 암흑상황이 되면 자체적으로 발광된다.
특히 도 5b에서는 블랙라이트 조명이 추가된 상태이며 블랙라이트 조명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에는 안전효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인테리어와 장식 효과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시설물이나 업소에서는 주간에도 실내에 심미감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는 주간에도 전력 소모 없이 조명을 사용한 것과 같은 심미감을 주는 효과가 발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에는 태양전지로 구동되는 블랙 라이트(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시광선은 차단시키고 자외선만 조사시키는 블랙 라이트(40) 조명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를 조사시키면 접합유리는 파스텔 톤 색상을 띄게 되며 접합유리 내부에 마치 조명이 설치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도 6a에 나타난 발광 접합유리에 외부 조명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도 블랙 라이트(40)를 조사시키면 도 6b에서와 같이 발광 접합유리 자체가 조명인 것처럼 발광된다.
이때의 발광 접합유리는 종래에는 볼 수 없었던 파스텔 톤의 조명인 것으로 보이게 된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블랙 라이트(40)는 태양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된다.
태양전지는 자연광 뿐만아니라 실내 조명으로부터도 전류 생산이 가능한데, 현재 개발되어 있는 실내조명을 이용한 태양전지는 명함과 같은 크기의 태양전지 하나에서 실내 1000lux 환경 하에서 약 1.1m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루 3시간 이상 1000lux 환경 하의 실내에 배치될 경우 배터리 없이도 24시간 블랙 라이트(4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다만 장시간 실내에 배치될 경우를 대비하여 도 4a에서처럼 축전지(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로 구동되는 블랙라이트가 더 구비되면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는 별도의 전력공급 없어도 24시간 장식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리(10)의 외부 표면에는 투명 광촉매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광촉매 물질은 CdS, CdSe, ZnO, TiO2 등 반도체의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주원료로 하며, 에너지를 외부에서 받으면, 전자와 정공의 쌍을 발산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광촉매에 밴드 갭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빛을 조사하면 내부에 전자, 정공의 쌍이 형성되고 이것이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광촉매 표면에 흡착된 각종 독성 유기화합물이나 세균을 분해시킨다.
이때의 산화환원반응은 광촉매에서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쌍이 공기중의 O2, H2O와 반응을 일으켜 TiO2 표면에 슈퍼옥사이드 음이온(O2-)와 수산라디칼(OH-)로 된 2종의 활성산소를 생성시키면서 발생된다.
따라서 광촉매 물질의 도포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는 실내 광원 또는 자연광으로 인하여 빛을 조사받음으로써 축광 작용과, 블랙 라이트(40)의 구동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분해작용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두 장의 유리(1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1)와, 두 장의 유리(10)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어느 하나의 유리(10) 일면에 압착시키는 단계(S2)와, 유리(10) 접합용 투명 레진과 축광물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축광 레진을 제작하는 단계(S3) 및, 축광 레진을 상기 두 장의 유리(10) 사이에서 접착제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주입시키는 단계(S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S2단계에서 유리(10)의 압착을 위하여 테이프를 떼어내면 양면테이프와 동일한 원리로 접착제만 유리(10) 표면에 남게 되고, 이렇게 접착제가 남은 유리(10) 표면에 나머지 유리(10)를 압착시킨다.
다만 유리(10) 테두리에 붙이는 테이프 접착제가 빈 틈 없이 모든 테두리를 메우게 되면 S2 단계에서 테이프 접착제가 붙지 않은 나머지 유리(10)를 압착시켜 두 장의 유리(10)를 결합시킬 때 두 장의 유리(10)와, 접착층(20)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로 축광 레진을 주입시킬 통로와, 축광 레진이 주입되면서 공기가 빠져 나갈 수 있는 통로가 없어지게 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두 장의 유리(10) 중 테이프 접착제를 붙이는 유리(10)의 경우 축광 레진 주입 통로와 축광 레진이 차올라오면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별도로 두고 그 이외의 나머지 테두리 부위에만 테이프 접착제를 붙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 접착제를 유리(10)의 테두리 전부에 붙이는 대신 축광 레진이 차올라오는 경우 잔여 공기를 주사기로 빼는 공정을 택하게 됨으로써 테이프 접착제를 공기 배출 통로만 남기고 붙이는 복잡한 과정이 생략되어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해질 수 있게 된다.
발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의 나머지 특징은 앞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유리 20: 접착층
30: 축광 레진층 40: 블랙라이트
50: 태양전지 60: 축전지

Claims (11)

  1. 서로 대향되는 두 장의 유리;
    상기 두 장의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접착층; 및
    상기 두 장의 유리가 접합되면서 접착층과 양 대향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축광 레진층;을 포함하되,
    상기 축광 레진층은 강화유리 접합용 투명 레진과 축광물질이 일정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레진층은 축광물질 10% 내지 30%와, 상기 접합용 투명 레진 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레진층의 두께는 0.8 내지 1.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일측에 설치되어 강화유리에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블랙 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5. 제4항에 있어서,
    실내조명 또는 실외 자연광으로부터 전원을 발생시켜 상기 블랙 라이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을 축적하여 소등 또는 정전시에 상기 블랙 라이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되는 두 장의 유리의 대향 면의 반대 면에는 각각 투명 광촉매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8. 두 장의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두 장의 유리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어느 하나의 유리 일면에 압착시키는 단계;
    유리 접합용 투명 레진과 축광물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축광 레진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축광 레진을 상기 두 장의 유리 사이에서 접착제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주입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레진은 축광물질 10% 내지 30%와, 상기 접합용 투명 레진 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레진의 두께는 0.8 내지 1.5 mm 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레진을 주입시키는 단계 이후에 주사기로 상기 두 장의 유리 사이에서 접착제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남는 잔여 공기를 빼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0150129566A 2015-09-14 2015-09-14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KR20170031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66A KR20170031947A (ko) 2015-09-14 2015-09-14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66A KR20170031947A (ko) 2015-09-14 2015-09-14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47A true KR20170031947A (ko) 2017-03-22

Family

ID=5849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66A KR20170031947A (ko) 2015-09-14 2015-09-14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94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964A (ko) 2015-06-29 2017-01-06 이우성 수해조절용 수해조절기계의 분배투입장치
KR20170008875A (ko) 2017-01-04 2017-01-24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가압수형 원자로설비
KR20170012880A (ko) 2017-01-16 2017-02-03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기체냉각로 원자로설비
KR20170018860A (ko) 2017-01-31 2017-02-20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비등수형 원자로설비
KR20190089483A (ko) 2018-01-23 2019-07-31 이우성 해양원전용 핵폐기물처리 가압수형 이중구조 원자로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530B1 (ko) 1996-07-26 1999-04-15 안경복 다중 접합 안전 유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530B1 (ko) 1996-07-26 1999-04-15 안경복 다중 접합 안전 유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964A (ko) 2015-06-29 2017-01-06 이우성 수해조절용 수해조절기계의 분배투입장치
KR20170008875A (ko) 2017-01-04 2017-01-24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가압수형 원자로설비
KR20170012880A (ko) 2017-01-16 2017-02-03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기체냉각로 원자로설비
KR20170018860A (ko) 2017-01-31 2017-02-20 이우성 핵폐기물처리용 비등수형 원자로설비
KR20190089483A (ko) 2018-01-23 2019-07-31 이우성 해양원전용 핵폐기물처리 가압수형 이중구조 원자로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1947A (ko) 발광 접합유리와 발광 접합유리 제조방법
JP6382804B2 (ja) 発光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JP6204198B2 (ja) 発光ガラスパネル
US11046883B2 (en) Composite material with photoluminescent material embedded in a transparent matrix
JP2017188399A (ja) 有機el光源シート、面状発光体、インテリア照明玩具及び遊具
US20160003445A1 (en) Artistic lighting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86622B2 (ja) 光天井照明シェ−ド及び、非常灯機能を有する光天井照明システム及び、その非常灯照明方法
EP1580251B1 (en) Fluorescent lamp
US20050238911A1 (en) Non-powered luminous panels and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401719B2 (ja) 看板用発光表示体及び、非常灯機能を有する看板用発光表示体システム及び、その照明方法
TWI538263B (zh) 承載結構及發光裝置
CN208797005U (zh) 一种oled屏体结构
AU2005225985A1 (en) Lighting system with a passive phosphorescent light source
JP5749097B2 (ja) 蓄光式標識とその製造法
JP5282232B2 (ja) 光天井照明シェ−ド及び、非常灯機能を有する光天井照明システム及び、その非常灯照明方法
JP2015115199A (ja) 建材ユニット
JP5167544B2 (ja) 看板用発光表示体及び、非常灯機能を有する看板用発光表示体システム及び、その照明方法
JP2015011882A (ja) Oledパネル及び照明器具
JP4083201B1 (ja) 蓄光物質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70031948A (ko) 펄 접합유리 및 펄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CN212684921U (zh) 一种高层建筑用多层复合玻璃
CN211622350U (zh) 一种用于楼梯地板的复合pvc板
TW202347756A (zh) 顯示體及光半導體元件密封用片材
TW202405774A (zh) 顯示體及光半導體元件密封用片材
JP2017219616A (ja) 電光/蓄光ハイブリッドマル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