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72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721A
KR20170031721A KR1020177003420A KR20177003420A KR20170031721A KR 20170031721 A KR20170031721 A KR 20170031721A KR 1020177003420 A KR1020177003420 A KR 1020177003420A KR 20177003420 A KR20177003420 A KR 20177003420A KR 20170031721 A KR20170031721 A KR 20170031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substrate
substrate
l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263B1 (ko
Inventor
히데오 우에야마
고이치 아키요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05B37/0227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전면이 화장판으로 덮이고,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저장실을 개폐하는 문과, 폐쇄 상태에 있는 문을 개방하는 문 개방 장치와, 문에 설치되고, 문 개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 수단은 사용자가 화장판에 접촉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센서 기판을 갖고, 화장판은 센서 기판의 근방에서 센서 기판과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유지하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정전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문에 설치하고, 문의 표면에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검지 영역에 사용자가 접촉되면, 자동으로 문을 개방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유리 재료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한 화장판으로 문의 전면(前面)측을 덮고, 화장판의 배면측에 터치 센서용 센서 기판이 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2-17865호 공보
그러나, 화장판은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약간 신축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화장판이 신축된 경우에는, 화장판과 센서 기판의 거리가 변화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할 때의 검출 감도가 악화되거나 오검출될 우려가 발생한다.
그래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할 때의 검출감도가 악화되거나 오검출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전면이 화장판으로 덮이고,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저장실을 개폐하는 문과, 폐쇄상태에 있는 문을 개방하는 문 개방 장치와, 문에 설치되고 문 개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며, 조작 수단은 사용자가 화장판에 접촉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센서 기판을 갖고, 화장판은 센서 기판의 근방에서 센서 기판과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유지하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화장판의 유지 수단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문의 조작 부위에서의 횡단 단면도, 도 2(b)는 문의 조작 부위의 근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센서 기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의 조작 명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LED 기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의 명판 개구부, 기판 개구부 및 LED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문의 조작 부위의 종단 단면도이다.
도 7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화장판의 유지 수단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문의 조작 부위에서의 횡단 단면도이다.
이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냉장고(1)는 본체(2)의 내부에 위로부터 차례로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인 냉장온도대의 냉장실(3) 및 야채실(4), 및 냉동온도대의 제빙실(5),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이 배치되어 있다. 야채실(4)과 제빙실(5) 사이는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3)은 좌우로 병설된 좌측문(3a) 및 우측문(3b)의 2매의 문에 의해 개폐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소위 프렌치문식의 것이다. 야채실(4), 제빙실(5),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은 각각 인출식 문(4a), 문(5a), 문(6a) 및 문(7a)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냉장고(1)의 구성은 일례이고, 저장실의 수나 배치순서가 다른 구성이나, 상부 냉동실(6) 대신 칠드실이나 설정온도를 변경 가능한 전환실을 설치한 구성 등이어도 좋다.
냉장실(3)의 좌측문(3a) 및 우측문(3b)은 각각 문 개방 장치(8a, 8b)에 의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문(3a)에는 문 개방 장치(8a)를 작동시키기 위한 터치 센서(9a)가 설치되어 있고, 터치 센서(9a)의 검출 영역에 사용자가 접촉됨으로써, 즉 화장판의 표면에서 대략 터치 센서(9a)의 정면 전방이 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써, 문 개방 장치(8a)가 작동하여 문 폐쇄 상태에 있는 좌측문(3a)이 개방된다.
우측문(3b)에는 문 개방 장치(8b)를 작동시키기 위한 터치 센서(9b)가 설치되어 있고, 그 검출 영역에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써, 문 개방 장치(8b)가 작동하여 문 폐쇄 상태에 있는 우측문(3b)이 개방된다. 또한, 우측문(3b)에는 냉장고(1)의 설정 등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패널(10)이 설치되어 있다. 그 조작패널(10)은 정전식의 터치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평소에는 LED가 소등되어 있는 한편, 사용자가 냉장고(1)의 전방에 서면, 도시하지 않은 사람 감지 센서나 근접 센서 등에 의해 사람을 검지하여 LED가 점등한다. 이에 의해, 조작패널(10)의 조작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문 개방장치(8a, 8b)는 솔레노이드식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하, 문 개방 장치(8a, 8b)는 공통의 설명을 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문 개방 장치(8)라고 부르고, 터치 센서(9a, 9b)에 공통의 설명을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터치 센서(9)라고 부른다. 터치 센서(9)는 조작 수단에 상당한다.
문 개방 장치(8)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문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도시 생략)와는 반대측,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의 좌우 방향의 중심측이 되는 문 개방단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고, 어느 터치 센서(9)의 검출 영역에 사용자가 접촉되면, 솔레노이드가 구동되어 문 본체 또는 문에 설치되어 있는 개스킷의 일부가 전방으로 압출되어 대응하는 문이 개방된다.
터치 센서(9)는 각 문의 개방단측의 하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문을 개방할 때 사용자가 접촉하기 쉬워지고 있다. 상기 터치 센서(9)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의 전면을 덮는 화장판(1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기판(12)을 구비하고 있다. 도 2(a)는 우측문(3b)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9b)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센서 기판(12)은 기판 홀더(13)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화장판(11)과 센서 기판(12) 사이에는 필름형상의 조작 명판(14)이 배치되고, 센서 기판(12)의 배면측 즉 화장판(11)과 반대측에는 LED기판(15)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센서 기판(12), 기판홀더(13), 조작 명판(14) 및 LED기판(15)은 서로 일체로 조립된 조립구조체로서, 문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조립구조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은 캡(16) 및 덮개 부재(17)에 의해 폐쇄된다. 이 때, 덮개부재(17)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부(17a)에 의해 수납 공간의 내주면(18)으로부터 화장판(11)측을 향하여 억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센서 기판(12)은 조작 명판(14)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판(11)의 이면에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문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을 제외한 부위에는 우레탄재(19) 등의 단열부재가 충전되어 있다.
화장판(11)은 양면 테입(20)에 의해 문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센서(9)의 근방에 위치하는 구조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16)에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화장판(11)을 문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터치 센서(9)의 근방에도 설치되어 있다. 이 양면 테입(20)은 유지 수단, 접착부재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장판(11)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의 세로방향(도시 상하방향)으로, 센서 기판(12)보다 긴 범위에서 양면테입(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화장판(11)이 변형 등에 의해 전방측(도시 상방측)으로 이동하는 것, 즉 센서 기판(12)과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도 2(b)에서 예를 들어 센서 기판(12)의 하방에서 문의 횡방향(도시 좌우방향)으로 양면 테입(20)을 설치하여 화장판(11)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터치 센서(9)의 근방만 양면테입(20)을 병행하여 점착함으로써, 터치 센서(9)의 근방에서는 터치 센서(9)로부터 떨어진 위치보다도 보다 강력하게 화장판(11)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터치 센서(9)의 근방에서 양면테입(20)에 추가하여, 접착제를 병용함으로써 보다 강력하게 화장판(11)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센서 기판(1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즉 사용자가 화장판(11)의 표면에 접촉된 것을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R)이 설정되어 있고, 이 검출 영역(R)을 따르도록, 복수의 기판 개구부(21)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 기판(12)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회로부품 등이 이면측 즉 화장판(11)에 대향하는 표면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 개구부(21)는 센서 기판(12)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LED기판(15)에 설치되어 있는 LED(29)(도 5 참조)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조작 명판(14)측 즉 화장판(11)측에 투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판 개구부(21)는 LED(29)가 실장될 때의 가공정밀도나 기판의 치수 정밀도 또는 조립 정밀도를 고려하여 LED(29)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기판 개구부(21)는 필요 최저한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 최저한의 크기라는 것은 상기한 기계적인 정밀도 등을 고려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명판(14)에 형성되어 있는 명판 개구부(28)에 조사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기판 개구부(21)는 세로로 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크기의 기판 개구부(21)를 설치함으로써, 정전용량의 변화를, 보다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을 정밀도 좋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센서 기판(12)을 화장판(11)의 이면측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밀접하게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화장판(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양면 테입(20)에 의해 센서 기판(12)과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기판 개구부(21)를 과도하게 크게 하면, 예를 들어 검출 영역(R)의 전둘레에 걸쳐 슬릿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면, 검출 영역(R)과 센서 기판(12)의 다른 부분(이하, 편의상 본체 부분이라고 부름)이 약간 접속되기만 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검출 영역(R)이 센서 기판(12)의 본체부분으로부터 들뜰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각 기판 개구부(21)를 필요 최저한의 크기로 형성하면, 검출 영역(R)과 본체 부분의 접속부위가 강고해지고, 검출 영역(R)이 들뜨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부품을 센서 기판(12)의 이면측에 실장하고, 표면측에는 배선패턴(2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검출 영역(R)과 본체 부분은 하나로 이어지는 같은 높이의 면이 되거나 또는 평탄평해진다. 이에 의해, 센서 기판(12)을 화장판(11)의 이면측에 밀접하게 접촉시키면, 검출 영역(R)도 밀접하게 접촉되어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 기판(12)에는 검출 영역(R)의 외주측에 가드 전극(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드전극(22)은 검출 영역(R)의 주위도 포함한 비교적 넓은 범위에 사용자가 접촉했을 때 잘못하여 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문을 청소할 때, 걸레 등으로 검출 영역(R)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 사용자가 접촉했을 때의 대책이 된다.
또한, 각 기판 개구부(21)는 소위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드릴로 기준이 되는 구멍을 형성한 후, 그대로 센서 기판(12)을 소정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함으로써 기판 개구부(21)를 형성할 수 있고, 구멍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센서 기판(12)은 우측문(3b)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문(3a)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9a)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우측문(3b)용의 센서 기판(12)과는, 검출 영역(R)의 위치관계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칭이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문(3a)과 우측문(3b)에서, 다른 배치의 센서 기판(12)을 사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문(3a)과 우측문(3b)에 설치되는 센서 기판(12)은 검출 영역(R)이 개방단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부품수를 삭감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한다는 일반적인 관점으로부터 보면 공통되는 센서 기판(1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통되는 센서 기판(12)을 사용하면, 검출 영역(R)의 위치가 각 문에서 달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문의 개방단으로부터 검출 영역(R)까지의 거리가, 좌측문(3a)과 우측문(3b)에서 다른 것이 된다. 그 경우, 사용자가 조작에 위화감을 느끼거나 좌우의 대칭이 무너져 디자인성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성을 중시하여, 좌측문(3a)용과 우측문(3b)용의 2종류의 센서 기판(12)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문에서 개방단측으로부터 검출 영역(R)까지의 거리가 일치하고, 위화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기판(12)을 단순한 장방형이 아니라 검출 영역(R)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변(1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절개부(12b)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절개부(12b)에, 센서신호의 출력용, 및 LED기판(15)과의 접속용 커넥터(24, 2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커넥터(24, 25)는 센서 기판(12)의 회로부품 등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케이블(26, 27)에 물이 닿은 경우에도, 그 물방울이 센서 기판(12)의 회로부품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4, 25)는 센서 기판(12)의 이면측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절개부(12b)를 설치함으로써, 센서 기판(12)의 하단은 검출 영역(R)의 하방의 하변(12a)이 되고, 센서 기판(12)을 가능한 만큼 문의 하방에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은 복수의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1)의 경우, 문 개방 장치(8)가 없고 사용자가 손으로 문을 여는 경우에는, 문의 하부에 손을 넣어 여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절개부(12b)를 설치하여 문의 하단 근처에 검출 영역(R)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센서(9)를 조작하기 쉬워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세로로 긴 화장판(11)은 그 상하방향의 중앙부분이 부풀어오르도록 변형되는 경우가 생각되지만, 터치 센서(9)를 화장판(11)의 하부측에 배치함으로써, 가령 변형되었다고 해도, 중앙부분에 비하면 변형량이 작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고, 보다 오검출 등에 대한 내성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터치 센서(9)를 조작하는 경우, 검출 영역(R)의 위치를 알 수 없으면 조작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 영역(R)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시수단은 조작 명판(14) 및 LED기판(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 기판(12)에는 도시하지 않은 근접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평소에는 LED(29)를 소등하면서, 근접센서에서 사람이 조작하고자 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LED(29)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 명판(14)은 수지재료 등으로 필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센서 기판(12)의 외형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조작 명판(14)에는 복수의 명판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명판 개구부(28)는 검출 영역(R)의 좌우의 변(도 3 참조)을 따라서, 둥근 구멍 형상의 개구가 2열 설치되어 있다.
LED기판(15)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기판(12)의 기판 개구부(21)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판 개구부(21)와 1대 1이 되는 복수의 LED(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LED 기판(15)은 커넥터(30)를 통하여 센서 기판(12)에 케이블(26)로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문은 냉장실(3)을 개폐하는 것이고 당연히 단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문의 내부에는 우레탄재(19) 등이 충전되어 있다. 이 때, 센서 기판(12)을 문의 내부에 배치하면, 그 수납 공간에는 우레탄재(19)가 충전되지 않는 점에서 단열성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납 공간은 가능한 소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 기판(12), 조작 명판(14) 및 LED기판(15)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겹쳐 배치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LED 기판(15)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각 LED(29)와 조작 명판(14)까지의 거리도 가까워진다. 그 결과, 조작 명판(14)의 이면측에서 각 LED(29)가 조사 가능한 범위(이하, 편의상 조사범위라고 부름)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조작 명판(14)의 명판 개구부(28)가 큰 경우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명판 개구부(28)의 크기가 LED(29)의 조사범위보다 커지면, 명판 개구부(28)가 균일하게 비추어지지 않고, 휘도 불균일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 휘도 불균일은 사용자에게도 보이는 점에서, 냉장고(1)의 디자인성이나 품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명판 개구부(28)의 크기를, 조작 명판(14)의 위치에서의 LED(29)의 조사범위보다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문의 정면측으로부터는 검출 영역(R)이, 이른바 도트 표시로 둘러싸인 범위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이 때, 명판 개구부(28) 내에서는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은 점에서, 각 명판 개구부(28)의 광이 균일해지고, 냉장고(1)의 품위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명판 개구부(28)는 도 2(b)의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도 6의 종단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LED(29)의 중심선(L1)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명판 개구부(28)의 위치가 LED(29)의 조사범위에 들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 때문에, LED(29), 기판 개구부(21) 및 명판 개구부(28)를 지나는 직선(L2)의 방향에서 본 경우에, 가장 휘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직선(L2)의 방향은, 냉장고(1)를 일반적인 성인이 사용할 때의 눈의 높이에 가까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가령 명판 개구부(28)의 위치가 LED(29)의 정면, 즉 중심선(L1)상에 있다고 하면, 냉장고(1)의 문을 개방하기 위해 냉장고(1)의 바로 앞에 온 사용자로부터는 검출 영역(R)의 위치가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명판 개구부(28)의 위치를 LED(29)의 정면보다 상방으로 함으로써, 냉장고(1)의 바로 앞에 온 사용자이어도, 검출 영역(R)의 위치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화장판(11)과 동색계의 LED(29)를 사용하는 경우, 소위 고휘도 타입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그와 같은 LED소자는 정면에서의 휘도가 가장 높아지는 점에서, 명판 개구부(28)를 LED의 정면에 설치하면, 매우 눈부시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냉장고(1)가 거의 매일 사용되는 것인 점을 고려하면, 문을 조작할 때마다 그와 같은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명판 개구부(28)의 위치를 LED(29)의 정면으로부터 어긋나게 함으로써, 눈부시게 느끼는 바와 같은 상황을 피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센서(9)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의 하단측에 설치하면 아이의 시선의 높이에 LED(29)가 위치할 우려가 있지만, 명판 개구부(28)를 LED(29)의 정면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아이가 LED(29)를 직시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냉장고(1)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냉장고(1)의 화장판(11)은 센서 기판(12)의 근방에 설치되고, 센서 기판(12)과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상기 화장판(11)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양면 테입(2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수단인 터치 센서(9)를 구성하는 센서 기판(12)의 근방에서, 센서 기판(12)과의 거리가 일정해지고, 사용자의 문 개방 조작을 검출할 때의 검출감도가 악화되거나 오검출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지 수단으로서 화장판(11)을 센서 기판(12)의 근방에 위치하는 구조체에 접착하는 접착부재인 양면테입(20)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화장판(11)을 고정할 때, 용이하게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조작 명판(14)이나 LED기판(15) 등으로 구성되고, 터치 센서(9)의 검출 영역(R)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어느 부분에 접촉하면 문을 개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시수단은 소위 도트표시를 실시하는 1 이상의 점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2열의 심플한 표시로 검출 영역(R)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검출 영역(R)을 제시하는 LED(29)는 센서 기판(12)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센서 기판(12)에는 LED(29)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조작 명판(14)측에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기판 개구부(21)가, 검출 영역(R)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검출 영역(R)의 부위가 센서 기판(12)의 본체부에서 함께 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센서 기판(12) 즉 검출 영역(R)을 화장판(11)에 밀접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출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 명판(14)의 명판 개구부(28)는 그 크기가 LED(29)의 조사범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위치가 냉장고(1)의 세로 방향에서 LED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1)에 접근한 사용자, 즉 냉장고(1)의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시선의 높이를 향해서 LED(29)로부터의 광이 조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검출 영역(R)을 파악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일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재로서 접착부재인 양면테입(20)을 예시했지만, 접착부재로서는 접착제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판(11)의 단부로부터 전면측의 일부를 덮는 림(40)을 설치하고, 이 림(40)에 의해 화장판(11)을 유지하는 등, 유지부재는 접착부재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문(3a) 및 우측문(3b)에 의해 냉장실(3)을 개폐하는 소위 프렌치문의 냉장고(1)를 예시했지만, 일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센서 기판(12)의 부착 형태는, 냉장실(3)을 하나의 문에 의해 개폐하는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명판 개구부(28)의 형상은 일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둥근 형상 이외에도, 정방형이나 장방형의 사각형상, 삼각형상, 또는 화살표 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검출 영역(R)의 좌우의 변에 각각 세로 방향으로 도트 표시하기 위한 명판 개구부(28)를 설치하고 있지만, 검출 영역(R)의 상하의 변을 따라서 명판 개구부(28)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하나의 LED(29)에 대응하여 복수의 명판 개구부(28)를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직선(L2)을 지나는 명판 개구부(28)의 하방에 별도의 명판 개구부(28)를 설치하고, 상정한 신장과는 다른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보기 쉬운 배치로 해도 좋다. 즉, 명판 개구부(28)는 검출 영역(R)을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 배치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명판 개구부(28)는 일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2열은 아니고, 1열이어도 좋고, 그 수가 달라도 좋은, 또한 명판 개구부(28)는 검출 영역(R)의 중심부에 하나 또는 복수 설치해도 좋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사람 감지 센서나 근접 센서 등에 의해 사람을 검지하여 LED가 점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사용자가 LED를 상시 점등시키게 되는 상시 점등 모드를 구비해도 좋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유지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힌지로부터의 문(3a, 3b)의 힌지와는 반대측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보다 긴 쪽의 문에만 유지 수단을 설치하는, 또는 유지 수단에 의한 고정을 보다 강력하게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문(3a, 3b)을 폐쇄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보다 강한 쪽을, 보다 강력하게 고정하기 위해, 각 문(3a, 3b)에 대하여 최적인 힘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센서(9)의 근방에 유지 수단을 구비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유지 수단을 문 개방 장치(8)에 의해 전방으로 밀어내는 위치의 근방에 구비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문(3a, 3b)을 열 때에 문 개방 장치(8)로부터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화장판(11)이 문(3a, 3b)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장판(11)이 문(3a, 3b)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 및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냉장고 3: 냉장실(저장실)
3a: 좌측문(문) 3b: 우측문(문)
8a: 문 개방 장치 8b: 문 개방 장치
9a: 터치 센서(조작 수단) 9b: 터치 센서(조작 수단)
11: 화장판 12: 센서 기판
14: 조작 명판(제시수단) 15: LED기판(제시수단)
20: 양면테입(접착부재, 유지부재) 21: 기판 개구부
28: 명판 개구부 29: LED(제시수단)
40: 림(유지부재) R: 검출 영역

Claims (6)

  1. 전면(前面)이 화장판으로 덮이고,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저장실을 개폐하는 문,
    폐쇄상태에 있는 상기 문을 개방하는 문 개방 장치, 및
    상기 문에 설치되고, 상기 문 개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화장판에 접촉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센서 기판을 갖고,
    상기 화장판은 상기 센서 기판의 근방에서, 상기 센서 기판과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유지하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화장판을 상기 센서 기판의 근방에 위치하는 구조체에 접착하는 접착부재인,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제시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수단은 1 이상의 점광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 영역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수단은 상기 센서 기판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광원이 되는 복수의 LED가 설치되어 있는 LED 기판과, 필름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장판과 상기 센서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문측에 투과시키는 복수의 명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작 명판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기판은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조작 명판측에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기판 개구부가, 상기 검출 영역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명판의 상기 명판 개구부는 그 크기가 상기 LED의 조사범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위치가 상기 냉장고의 세로 방향에서 상기 LED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냉장고.
KR1020177003420A 2014-08-07 2015-07-29 냉장고 KR101921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1341A JP6437756B2 (ja) 2014-08-07 2014-08-07 冷蔵庫
JPJP-P-2014-161341 2014-08-07
PCT/JP2015/071510 WO2016021462A1 (ja) 2014-08-07 2015-07-29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721A true KR20170031721A (ko) 2017-03-21
KR101921263B1 KR101921263B1 (ko) 2019-02-13

Family

ID=5526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420A KR101921263B1 (ko) 2014-08-07 2015-07-29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37756B2 (ko)
KR (1) KR101921263B1 (ko)
CN (1) CN107076499B (ko)
TW (2) TWI641788B (ko)
WO (1) WO20160214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331A (ko) 2020-06-10 2021-12-17 이혁진 Rc 농기계
WO2022050714A1 (ko) * 2020-09-02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2531B2 (ja) * 2016-07-19 2020-07-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扉
JP6890880B2 (ja) * 2017-02-03 2021-06-18 アール・ビー・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操作装置
JP7178771B2 (ja) * 2017-02-06 2022-11-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9045136A (ja) * 2018-11-14 2019-03-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122A (ko) * 2006-01-03 200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어기 버튼
JP2009257627A (ja) * 2008-04-14 2009-11-05 Toshiba Corp 冷蔵庫
KR20100095274A (ko) * 2009-02-20 2010-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JP2012017865A (ja) 2010-07-06 2012-01-26 Panasonic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1236B2 (ja) * 2006-10-05 2012-08-0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1100146B1 (ko) * 2009-08-12 2011-12-2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JP5667805B2 (ja) * 2010-07-14 2015-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779485B2 (ja) * 2011-09-08 2015-09-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771581B2 (ja) * 2012-08-27 2015-09-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271119B2 (ja) * 2012-08-28 2018-01-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219026B2 (ja) * 2012-08-28 2017-10-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5992782B2 (ja) * 2012-09-12 2016-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6289829B2 (ja) * 2013-07-23 2018-03-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203731782U (zh) * 2013-11-21 2014-07-2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122A (ko) * 2006-01-03 200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어기 버튼
JP2009257627A (ja) * 2008-04-14 2009-11-05 Toshiba Corp 冷蔵庫
KR20100095274A (ko) * 2009-02-20 2010-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JP2012017865A (ja) 2010-07-06 2012-01-26 Panasonic Corp 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331A (ko) 2020-06-10 2021-12-17 이혁진 Rc 농기계
WO2022050714A1 (ko) * 2020-09-02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38150A (ja) 2016-03-22
WO2016021462A1 (ja) 2016-02-11
TW201816348A (zh) 2018-05-01
TW201610381A (zh) 2016-03-16
JP6437756B2 (ja) 2018-12-12
CN107076499B (zh) 2020-05-01
TWI641788B (zh) 2018-11-21
CN107076499A (zh) 2017-08-18
KR101921263B1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263B1 (ko) 냉장고
CN107782051B (zh) 电子设备
CN107178957B (zh) 冰箱
KR1020584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JP5988880B2 (ja) 冷蔵庫
JP5784429B2 (ja) 冷蔵庫
KR20080045044A (ko) 냉장고용 디스플레이부
JP5784400B2 (ja) 冷蔵庫
JP7569905B2 (ja) 冷蔵庫
TWI633264B (zh) 冰箱
AU2015282309B2 (en) Refrigerator
TWI553281B (zh) 冰箱
JP5932630B2 (ja) 冷蔵庫
KR100993054B1 (ko) 냉장고
CN107782050B (zh) 冰箱
JP2019045136A (ja) 冷蔵庫
JP2015055361A (ja) 冷蔵庫
JP201812823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