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231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231A
KR20170029231A KR1020150126282A KR20150126282A KR20170029231A KR 20170029231 A KR20170029231 A KR 20170029231A KR 1020150126282 A KR1020150126282 A KR 1020150126282A KR 20150126282 A KR20150126282 A KR 20150126282A KR 20170029231 A KR20170029231 A KR 2017002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ving object
convex mirror
camera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118B1 (ko
Inventor
이윤경
이승현
정정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1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록 거울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정한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공간을 출입하는 이동 객체의 수와 공간 상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볼록 거울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록 거울이 구비된 매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록 거울(convex mirror)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은행, 학교, 편의점 등 고객이 출입하는 장소에서는 유사시의 상황에 대비한 CCTV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소에서 사용되는 CCTV는 관찰 범위에 한계가 있으므로 전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카메라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설치 비용의 부담이 존재한다.
또한, 매장 공간이 넓거나, 매장 관리자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매장 공간 내의 특정 장소에 고객이 위치하더라도 매장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매장 관리자가 일일이 CCTV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매장 공간 내에서 매장 관리자가 특정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매장 전체의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넓은 공간, 관리자에 의해 관찰되지 않는 사각 지대를 쉽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볼록 거울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매장 내부가 비치는 볼록 거울상에 매장 내부에 위치하는 고객의 수와 위치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매장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볼록 거울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매장 내부의 모니터을 통해 집중 모니터링 대상 고객을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보안성이 보다 강화된 매장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볼록 거울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매장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리비전(CCTV)와 연동함으로써, 매장 관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볼록 거울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볼록 거울(convex mirror); 상기 볼록 거울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볼록 거울이 설치된 일정한 공간을 촬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moving object)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상기 공간상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볼록 거울은, 하프 미러(half mirror); 및 상기 하프 미러 후단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의 천장에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움직임의 변화 및 상기 이동 객체의 윤곽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객체의 수(number)를 카운트하고, 상기 이동 객체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를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이동 객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동 객체의 수(number)의 증감을 고려하여 상기 볼록 거울 상에 상기 이동 객체의 수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 각각에 오버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한정된 공간의 전체 면적이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제1 화각(Angle of View)를 갖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1 화각보다 작은 제2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객체를 모니터링한 결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의 변화가 없는 이동 객체, 상기 공간의 출입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이동 객체, 상기 볼록 거울 방향을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주시하는 것으로 판단된 이동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이동 객체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이동 객체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를 초과하고, 상기 공간 내부의 특정 위치에 복수의 이동 객체가 그룹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그룹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를 상기 그룹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된 상기 이동 객체의 수와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는 상기 공간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만 관찰될 수 있다.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객체의 수 및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레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레코딩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도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코딩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볼록 거울(convex mirror)의 일 영역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한정된 공간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moving object)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상기 공간상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공간, 관리자에 의해 관찰되지 않는 사각 지대를 쉽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 내부가 비치는 볼록 거울상에 매장 내부에 위치하는 고객의 수와 위치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매장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 내부의 모니터을 통해 집중 모니터링 대상 고객을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보안성이 보다 강화된 매장 관리를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리비전(CCTV)와 연동함으로써, 매장 관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특정 공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객체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내부의 이동 객체의 수와 위치를 볼록 거울에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듀얼 카메라를 통해 집중 모니터링 대상을 볼록 거울에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동 객체의 수와 위치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뷰 포인트(view point)가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리비전(CCTV)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및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및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이용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특정 공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면이 볼록 거울(convex mirror) 형상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형상은 역 삼각형 형상으로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록 거울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공간(예를 들어, 매장)의 천장(ceiling)에 설치되거나, 상기 천장과 두 벽면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설치되어 매장 공간의 전체 영역이 볼록 거울에 비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카메라(121a)와 제2 카메라(12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카메라(121a)는 공간 전체의 뷰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1 화각(view of angle, AV1)을 가질수 있으며, 제2 카메라(121b)는 상기 제1 화각 보다 작은 제2 화각(AV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21b)는 상기 공간 전체의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지만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간 내부의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21a)와 제2 카메라(12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부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부에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50), 메모리(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제1 카메라(121a)와 제2 카메라(1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카메라들(121a,121b)은 동일한 방향을 촬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는 영상 처리부(182)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처리부(182)를 통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이 처리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를 통해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처리부(182)는 제1 카메라(121a) 및/또는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공간 내부로 출입하는 이동 객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82)는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모션 감지 및/또는 사람 형태의 윤곽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객체(고객, 사람)의 수(number)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182)는 상기 이동 객체를 확인한 후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서 상기 이동 객체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근접한 감지 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 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하프 미러(half mirror)(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121a) 및/제2 카메라(121b)를 통해 획득된 공간 내부의 이동 객체의 수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볼록 거울을 구비하며 상기 볼록 거울은 하프 미러(152)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프 미러(152)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프 미러(152)를 통해 전방의 공간이 비쳐짐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상기 하프 미러(152)에 표시됨으로 인해, 상기 전방에 위치하는 사람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정보가 하프 미러(152)에 표시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50)의 구성으로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출력부가 출력하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소정 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카메라를 통해 감지되는 이동 객체가 집중 모니터링 대상객체로 감지하거나 상기 공간 내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를 통해 광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변 CCTV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한다(S10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 내부의 영상을 카메라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121a)를 상기 공간 내부 전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01).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공간 내부 전체를 촬영하도록 제1 화각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상기 공간 내부 전체 또는 공간 내부의 특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03).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1 화각 보다 작은 범위를 갖는 제2 화각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또는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한다(S110). 상기 영상의 분석은 제어부(180)에 구비된 영상 처리부(18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82)는 제어부(180)와 독립된 모듈로 구비되거나, 각각의 카메라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분석을 통해 특정 공간으로 출입하는 이동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상기 특정 공간은 매장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 객체는 상기 매장을 출입하는 사람(고객)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공간을 출입하는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상기 이동 객체의 공간상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기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위치 정보는 하프 미러(152)를 통해 매장 내부에 위치하는 관리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객체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획득한 영상에 포함된 이동 객체의 윤곽(S: silhouette)을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이동 객체의 경계를 따라 윤곽 정보(S)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윤곽 정보가 사람 형상인지 판단한다. 상기 윤곽 정보(S)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메모리(170)에 기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윤곽을 추출하는 공지의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윤곽이 기 저장된 사람의 형상에 대응되더라도,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객체의 움직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내부에 마네킹이 존재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마네킹이 포함된 경우 상기 마네킹의 윤곽은 사람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매장 내부를 출입한 이동 객체에 해당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a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윤곽이 추출된 이동 객체의 움직임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 비전 인식(vision-based recognition) 알고리즘, 모션 인식 알고리즘 등을 적용함으로써, 이동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서 이동 객체의 팔이 제1 위치(F1)에서 제2 위치(F2)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동 객체를 매장 내부에 출입한 고객으로 감지하고, 그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 객체를 매장 내부에 출입한 고객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내부의 이동 객체의 수와 위치를 볼록 거울에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공간 내부로 출입한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볼록 거울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b의 (a)는 상기 이동 객체의 수와 위치 정보가 볼록 거울에 표시된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실제 볼록 거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이동 객체의 수와 위치 정보가 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 인디케이터(1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인디케이터(10)는 하프 미러(152)를 통해 투과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위치 인디케이터(11)는 매장 내부에서 제1 고객이 좌측 모서리 끝쪽에 위치함을 의미하고, 제2 위치 인디케이터(12)와 제3 위치 인디케이터(13)는 제2 고객 및 제3 고객이 매장 내부에서 우측 모서리 쪽에 위치함을 의미하고 제4 위치 인디케이터(14)는 내장 중간 영역에 위치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디케이터(10)는 도트(dot)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의 형상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가 고객의 위치를 나타내는지, 의심이 가는 고객으로서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고객인지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 모양의 인디케이터는 단순히 매장 내부에서 고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역삼각형 모양의 인디케이터는 상기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고객의 위치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된 이동 객체의 수(number)(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볼록 거울에 표시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정보가 하프 미러(152)를 통해 투과되어 외부에 위치하는 사람이 거울을 통해 상기 정보를 볼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하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정보를 표시한다라고 함은 전술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내장 내부의 모습이 볼록 거울(하프 미러)에 비쳐지는 상태에서 상기 매장에 위치한 제1 고객(C1), 제2 고객(C2), 제3 고객(C3) 및 제4 고객(C4)의 위치와 각각 오버랩되도록 제1 위치 인디케이터(11), 제2 위치 인디케이터(12), 제3 위치 인디케이터(13) 및 제4 위치 인디케이터(14)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매장 내부에 출입한 모든 고객의 수(4명)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객체의 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단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이동 객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동 객체의 수(number)의 증감을 고려하여 상기 볼록 거울 상에 상기 이동 객체의 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듀얼 카메라를 통해 집중 모니터링 대상을 볼록 거울에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며 듀얼 카메라 각각의 기능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121a)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동 객체를 모니터링 한다. 상기 이동 객체의 모니터링 결과, 제어부(180)는 특정 이동 객체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의 변화가 없는 이동 객체(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1분 일 수 있음), 상기 공간의 출입 회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이동 객체(예를 들어, 1시간 동안 3번 이상), 상기 블록 거울 방향을 미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두번 이상) 주시하는 이동 객체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공간 상의 특정 이동 객체가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로 설정되면 제2 카메라(121b)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카메라(121b)가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를 자동으로 트래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보다 좁은 범위의 제2 화각(AV2)을 갖지만,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의 이동을 트래킹할 수 있도록 뷰 영역(view area)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공간 내부의 이동 객체의 위치 인디케이터(11,12,13,14)와 함께 제4 이동 객체가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임을 인디케이팅하기 식별표시(30)를 상기 제4 이동 객체의 위치 인디케이터(13) 근방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별 표시(30)는 역삼각형의 형상으로 도트(dot) 형상의 위치 인디케이터와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5c의 (b)는 매장 내부의 모습이 비친 실제 볼록 거울 상에 고객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인디케이터(11,12,13,14)와 고객의 수(20)가 함께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매장 내부의 고객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하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매장 내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객의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도록 제어할 수 있지만, 한정된 공간의 매장에 일정 수 이상의 고객이 몰려있는 경우 볼록 거울 상에 상기 복수의 고객의 위치가 구분되도록 인디케이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동 객체의 수와 위치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이동 객체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예를 들어, 10명)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공간 내부의 특정 위치에 복수의 이동 객체가 그룹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그룹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80)를 볼록 거울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그룹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된 영역에는 10명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는 실제 매장 내부의 모습이 비친 볼록 거울상에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11,12,13)와 매장 내부에서 고객이 붐비는 영역을 소정의 인디케이터(8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뷰 포인트(view point)가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소정의 정보들은 상기 공간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만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내부의 관리자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찰할 때는 전술한 이동 객체의 수와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볼록 거울(100a)이 관찰될 수 있지만, 상기 관리자와 이격된 고객의 위치에서는 상기 매장 내부의 모습만 비쳐진 볼록 거울(100b)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구비된 하프 미러(152)를 통해 관찰될 수 있는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만 관찰될 수 있도록 하프 미러의 외부 재질이 특수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리비전(CCTV)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CCTV(300)와 연동되어,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공유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객체의 수 및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볼로 거울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카메라(121a)의 제1 화각(AV1)을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역에 제1 이동 객체(MO1)와 제2 이동 객체(MO2)가 위치함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카메라(121a)를 통해 관찰되는 범위 밖에 이동 객체가 존재할 수 있다. CCTV(300)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영역에 제3 이동 객체(MO3), 제4 이동 객체(MO4)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동 객체(MO3), 제4 이동 객체(MO4)는 제1 카메라(121a)를 통해서는 관찰될 수 없다. 제어부(180)는 CCTV(300)가 획득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공간 내부에서 제1 영역에 제1 이동 객체(MO1)와 제2 이동 객체(MO2)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제3 이동 객체(MO3), 제4 이동 객체(MO4)가 위치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공간 내부의 이동 객체의 수(20,4명)을 볼록 거울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중첩되는 영역(AV13)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제1 이동 객체(MO1), 제2 이동 객체(MO2) 및 제3 이동 객체(MO3)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CCTV(33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제2 영역에 제3 이동 객체(MO3)와 제4 이동 객체(MO4)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이동 객체(MO3)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중첩되는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이동 객체의 수를 카운트할 때 "3+2-1=4"로 산출하여 볼록 거울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9a를 참조하여, 상기 CCTV(300)는 천장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전체의 평면도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내부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좌측 모서리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a)가 우측 모서리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천장 중앙에 CCTV(30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CCTV(300)에서 획득된 공간 내부의 평면도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획득된 이동 객체의 수(20)와 위치 정보(L1,L2,L3,L4)를 상기 CCTV(300)로부터 획득된 공간 내부의 전체적인 평면도(350)에 합성하고, 합성된 영상을 볼록 거울상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매장 관리자는 매장 전체를 위에서 내려다 보는 뷰(view) 상에서 매장 곳곳에 위치하는 고객의 위치 정보(L1,L2,L3,L4)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및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200)에는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볼록 거울 CCTV(디스플레이 장치,61), CCTV 1(62), CCTV2(63)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모바일 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볼록 거울 CCTV 메뉴(61), CCTV 1 메뉴(62), CCTV 2 메뉴(63 및 각 메뉴를 선택한 경우 해당 기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7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볼록 거울 CCTV 메뉴(6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응되는 메뉴이다.
따라서, 볼록 거울 CCTV 메뉴(62)가 선택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공간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영상(C1)을 상기 표시 영역(70)에 제공할 수 있다(도 10의 (a)). 또한, CCTV 1 메뉴(62)가 선택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CCTV 1에서 획득된 영상(C2)을 상기 표시 영역(70)에 제공할 수 있다(도 10의 (b)).
도 11 내지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및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휴 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화면에 대한 입력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은 도 10에서 설명한 CCTV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입력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 거울 CCTV 메뉴가 선택되어 상기 공간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영상(C1)이 상기 표시 영역(70)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획득된 영상(C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보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볼록 거울에 표시되고 있는 특정 이동 객체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특정 이동 객체를 상기 볼록 거울 중앙 영역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CCTV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로테이트뷰 메뉴(64)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자세 변화를 통해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테이트뷰 메뉴(62)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200)는 자세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단말 본체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테이트뷰 메뉴(64)가 실행된 후, 휴대용 단말기(200)의 터치 스크린이 터치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의 자세가 제1 자세로 확인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간 내부에 이동 객체의 측면(MO51) 뷰(view)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제1 카메라(121a) 및/또는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록 거울에는 상기 이동 객체의 측면 뷰(view)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휴대용 단말기(200)의 터치 스크린이 터치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의 자세가 제2 자세로 확인된 경우, 제2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간 내부에 이동 객체 정면(MO52) 뷰(view)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제1 카메라(121a) 및/또는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록 거울에는 상기 이동 객체의 정면 뷰(view) 표시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카메라(121a)와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상기 정면 뷰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CCTV(30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수신받아서 정면 뷰를 볼록 거울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이용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매장 내부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매장 상황을 녹화(recording)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매장의 오픈 시간이 지난 상태에서(a), 카메라를 통해 매장 내부에 침입자를 발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녹화 기능을 자동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녹화 결과물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된(기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b). 또한 제어부(180)는 침입자(T)가 녹화중인 경우, 녹화 대상 객체를 볼록 거울(100) 상에 표시(T')하거나, 침입자의 모습이 볼록 거울의 중앙 영역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침입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볼록 거울) 151: 디스플레이부
152: 하프 미러 180: 제어부
200: 휴대용 단말기 300: CCTV

Claims (15)

  1.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볼록 거울(convex mirror);
    상기 볼록 거울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볼록 거울이 설치된 일정한 공간을 촬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moving object)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상기 공간 내부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거울은,
    하프 미러(half mirror); 및
    상기 하프 미러 후단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의 천장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움직임의 변화 및 상기 이동 객체의 윤곽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객체의 수(number)를 카운트하고, 상기 이동 객체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를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이동 객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동 객체의 수(number)의 증감을 고려하여 상기 볼록 거울 상에 상기 이동 객체의 수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 각각에 오버랩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공간의 전체 면적이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제1 화각(Angle of View)를 갖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1 화각보다 작은 제2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객체를 모니터링한 결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위치의 변화가 없는 이동 객체, 상기 공간의 출입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이동 객체, 상기 볼록 거울 방향을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주시하는 것으로 판단된 이동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이동 객체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 객체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이동 객체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를 초과하고,
    상기 공간 내부의 특정 위치에 복수의 이동 객체가 그룹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그룹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를 상기 그룹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된 상기 이동 객체의 수와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는 상기 공간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만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객체의 수 및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레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레코딩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코딩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볼록 거울(convex mirror)의 일 영역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일정한 공간 내부를 촬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공간을 출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moving object)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객체의 수(number)와 상기 공간상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볼록 거울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26282A 2015-09-07 2015-09-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67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282A KR102367118B1 (ko) 2015-09-07 2015-09-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282A KR102367118B1 (ko) 2015-09-07 2015-09-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231A true KR20170029231A (ko) 2017-03-15
KR102367118B1 KR102367118B1 (ko) 2022-02-24

Family

ID=5840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282A KR102367118B1 (ko) 2015-09-07 2015-09-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542A1 (ko) * 2021-03-11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698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카운트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
KR20140127421A (ko) * 2013-04-24 2014-11-04 핑거터치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1034A (ko) * 2013-05-31 2014-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람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사람 계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698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카운트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
KR20140127421A (ko) * 2013-04-24 2014-11-04 핑거터치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1034A (ko) * 2013-05-31 2014-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람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사람 계수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542A1 (ko) * 2021-03-11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118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5265B2 (en) Surveillance camera control device and video surveillance system
JP5664161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装置
KR101066068B1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7766788B (zh) 信息处理装置、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495970A1 (en) Display image switch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US10187611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with aerial camera device
JP2011018094A (ja) 巡回警備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638082A (zh) 基于物联网的安防机器人系统
JPWO2019186890A1 (ja) 映像監視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274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20140108035A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주차관리 방법
CN110581980B (zh) 安全监控系统的运作方式
JP2016092693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10985B1 (ko)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및 감시장치와 그 감시방법
KR201700292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842968B2 (ja) 監視システム
JP6941458B2 (ja) 監視システム
JP5771955B2 (ja) 対象識別装置及び対象識別方法
US11151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oving objects
KR101926510B1 (ko) 광각카메라를 이용한 안면인식 기반의 광역 감시 시스템
KR101332820B1 (ko) 객체 추적 시스템 및 방법, 객체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촬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600314B1 (ko) 스마트 씨씨티브이 관제 시스템
KR102439548B1 (ko) 발전소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926435B1 (ko) 시간압축방식을 이용한 객체 추적 시스템
WO2023162016A1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