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143A -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43A
KR20170029143A KR1020150126101A KR20150126101A KR20170029143A KR 20170029143 A KR20170029143 A KR 20170029143A KR 1020150126101 A KR1020150126101 A KR 1020150126101A KR 20150126101 A KR20150126101 A KR 20150126101A KR 20170029143 A KR20170029143 A KR 20170029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on
weight
oil
seeds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익현
Original Assignee
엄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익현 filed Critical 엄익현
Priority to PCT/KR2015/0094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43670A1/ko
Priority to KR1020150126101A priority patent/KR20170029143A/ko
Publication of KR2017002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자씨 오일, 건조시 생성되는 기체를 포집 후 액화하여 제조되는 유자씨 추출물, 에센셜오일 및 건조시 생성되는 기체를 포집 후 액화하여 제조되는 유자껍질 추출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항균, 피부보습, 소취효과가 우수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자종자를 분리 후 세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정 된 유자종자를 음지에서 1 내지 3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 건조기에서 25 내지 27시간 동안 인공 건조시키되,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이 1 내지 4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 된 유자종자를 분쇄하여 분태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유자종자 분태를 스팀기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증기를 가하여 가온 및 가습하는 제 4단계; 상기 가온 및 가습 된 유자종자 분태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유지하면서 착유하여 유자종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유자열매 껍질을 원상태 또는 분쇄한 뒤 진공도 200 내지 250mmHg 및 25 내지 30℃ 조건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생성된 기체를 포집하여 액화시켜 유자껍질 오일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유자종자 오일과 상기 유자껍질 오일을 혼합하여 유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유자 오일에 프랑킨센스 오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유자에센셜 오일을 제조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에 기능성 혼합물을 혼합하여 화장료을 제조하되,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비즈왁스, 세틸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75 스테아레이트, 세테스-20, 스테아레스-20, 폴리솔베이트-20, 정제수, 카보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리에탄올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혼합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ITRON EXTRACTION}
본 발명은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자씨 오일, 건조시 생성되는 기체를 포집 후 액화하여 제조되는 유자씨 추출물, 에센셜오일 및 건조시 생성되는 기체를 포집 후 액화하여 제조되는 유자껍질 추출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항균, 피부보습, 소취효과가 우수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신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으로서, 피부 표면은 피지와 땀샘에서 분비되는 피지막이 각질층을 덮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항상 부족한 수분을 보충해주고 윤기 있는 건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피부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체내 온도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등 신체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피부는 다른 기관에 비해서 소멸과 생성이 주기적으로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으로 물리적 보호와 체내 수분 손실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20%일 때 이상적이지만 수분이 손실이 되면 각질이 탈락 되면서 외부에 노출되기 용이하게 되면서 자극에 대한 염증 및 피부 질환이 유발된다. 건조한 피부는 면역기능이 약화되어 아토피 피부염뿐만 아니라 피부 홍반, 가려움증, 따가움 등의 알러지가 유발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피부의 수분손실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피부를 보호하고 장벽강화 및 피부 증진 효능을 위해 사용하는 화장품에는 여러 가지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는데, 피부 보호 목적과 관련이 적은 가용화제, 유화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기타 기능성 활성성분은 피부 자극이나 염증, 알러지, 홍반, 부종, 가려움증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면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기능성 원료 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에는 한계가 있으며, 기능성 원료의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줄이고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예로써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073632호에는 '예덕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및 항염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4570호에는 '고삼, 계피, 삼백초 및 탱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홍반, 따가움 또는 가려움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이나 화장품의 자극성 성분에 의한 피부자극완화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유자씨 오일을 사용한 유자오일은 우수한 피부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홍반생성억제 및 피부보습효과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07363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6457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유자 에센셜오일 및 유자씨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유자 에센셜오일 및 유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자종자를 분리 후 세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정 된 유자종자를 음지에서 1 내지 3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 건조기에서 25 내지 27시간 동안 인공 건조시키되,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이 1 내지 4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 된 유자종자를 분쇄하여 분태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유자종자 분태를 스팀기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증기를 가하여 가온 및 가습하는 제 4단계; 상기 가온 및 가습 된 유자종자 분태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유지하면서 착유하여 유자종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유자열매 껍질을 원상태 또는 분쇄한 뒤 진공도 200 내지 250mmHg 및 25 내지 30℃ 조건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생성된 기체를 포집하여 액화시켜 유자껍질 오일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유자종자 오일과 상기 유자껍질 오일을 혼합하여 유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유자 오일에 프랑킨센스 오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유자에센셜 오일을 제조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에 기능성 혼합물을 혼합하여 화장료을 제조하되,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비즈왁스, 세틸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75 스테아레이트, 세테스-20, 스테아레스-20, 폴리솔베이트-20, 정제수, 카보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리에탄올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혼합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또한, 천연오일로 구성되어 있어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및 피부 활력과 노화방지 효과가 있으며, 피부 유연작용 및 피부재생효과가 있다.
또한, 유자씨와 유자껍질의 정유 성분을 각각 추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유자 각 부분이 가진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보습능력 임상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본 발명은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자씨 오일, 건조시 생성되는 기체를 포집 후 액화하여 제조되는 유자씨 추출물, 에센셜오일 및 건조시 생성되는 기체를 포집 후 액화하여 제조되는 유자껍질 추출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항균, 피부보습, 소취효과가 우수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1단계(S10)는 유자종자를 분리 후 세정한다.
구체적으로, 유자 식물에서 유자 종자만을 분리하고 분리된 종자를 수집한다. 이어서 분리된 종자를 세척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분리된 종자의 표면에는 과육 등이 남을 수 있는데, 이를 완벽하게 분리하고, 최종적으로 추출될 종자 오일의 청결을 담보하기 위하여 종자를 세척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 1단계(S10)에서 종자의 세척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후술할 가습, 가열 과정을 거친 후의 착유 과정에서 기름이 추출되지 않는다.
상기 유자는 유자는 중국으로부터 기원이되어 한국으로 전파된 것이며, 내, 외부가 잘 분리되며 성숙됨에 따라 과피가 두꺼워지고 선명한 황색을 띠게 된다. 유자는 과피의 정유성분을 이용하기 위하여 과육보다는 과피로 음료나 향료 등에 이용이 되고 있다. 정유성분 중 리모넨(limonene)은 항균효과를 가지며,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물질은 항산화 효능이 있어, 해독, 진해, 감기 등에 민간요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유자씨에는 천연향과 정유가 풍부하고 과육에는 아미노산, 유리당,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유익한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유자씨는 활발하게 활용되지 않았다. 유자씨는 연간 1,800톤 이상 발생되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 범위를 넓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는 상기 세정 된 유자종자를 통풍이 되는 음지에서 1 내지 3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 건조기에서 25 내지 27시간 동안 인공 건조시키되,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이 1 내지 4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세척 후 종자 표면에 남은 수분을 건조하는 것뿐 아니라 종자의 수분 함량을 오일 추출에 적합한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 2단계(S20)는 자연건조와 인공건조로 나누어 수행한다.
상기 자연건조는 음지에서 1 내지 3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다. 낮 시간에 바람이 잘 드는 음지에서 종자를 건조시키고 저녁 시간에 철수하는 방식으로 1일 내지 3일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1일에서 3일간의 건조 기간은 계절이나 날씨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조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공건조는 자연건조 과정을 거친 종자를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킨다. 이와 같은 2차 건조는 약 25시간 내지 27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건조 시간은 건조기의 성능이나 건조기에 투입된 종자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면 종자가 타거나 건조기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조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상기 조건을 통하여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이 1 내지 4중량% 인 유자종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고, 하기 관능평가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상기 제 2단계(S20)에서 종자가 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 함량이 4중량%를 초과하면 후술할 분쇄 과정에서 분쇄된 종자가 분쇄기 칼날에 붙어 분쇄 성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분쇄 이전에 종자를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는 상기 건조 된 유자종자를 분쇄하여 유자종자 분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단계(S20)의 건조 과정을 거쳐 종자를 분쇄기에 넣어 거친 입자가 될 때까지 1회 내지 3회 분쇄한다. 이때 분쇄 과정에서 분태이 과도하게 뭉치면 다시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자종자 분태는 직경이 2 내지 3mm인 분말로써, 분태로 제조하였을 때 유자종자의 향기를 오래 유지할 수 있고 하기 단계인 가온 및 가습 단계(S40)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상기 크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는 상기 유자종자 분태를 스팀기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증기를 가하여 가온 및 가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된 종자는 다시 스팀기로 투입되어 가습 및 가온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뜨거운 증기로 인해 종자 내에 있는 기름을 녹여 추후 수행할 착유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4단계(S40)에서는 분쇄된 종자 분태에 높은 온도의 증기를 가하여 종자 분태에 가습 및 가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여기서 종자 분태에 높은 온도의 증기를 가해주지만, 분태에 미치는 온도는 대략 섭씨 60도 내지 70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팀기에서 증기를 가해주는 시간은 약 1 내지 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간을 제한하는 이유는 과도한 가습이 이루어지면, 종자 분태 내의 섬유질이 수분을 흡착하여 부피가 커지면서 뭉치게 되므로, 후술할 착유 과정에서 오일 추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가습하면 충분한 가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가습 및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는 상기 가온 및 가습 된 유자종자 분태를 가압 및 착유하여 유자종자 오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온 및 가습 된 유자종자 분태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유지하면서 착유한다.
상기 유자종자분태를 분당 40 미만으로 회전하면 상기 유자종자분태의 착유가 완벽히 수행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분당 50을 초과하여 회전하면 제조된 유자종자 오일의 변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50kgf/cm2 미만으로 압력을 가할 경우 유자종자의 오일 생성이 어려울 수 있고, 500kgf/cm2를 초과하여 압력을 가할 경우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온도가 180℃ 미만인 경우 제조된 유자종자 오일 생성이 어려울 수 있고, 가압 온도가 200℃를 초과한 경우 제조된 유자종자 오일의 변성이 일어나 향 및 성분이 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유자종자 오일 제조 후 프로폴리스(Propolis) 등의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뒤 30 내지 60℃에서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종자 오일을 중탕 가열하여,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종자 오일에 포함된 수분이 열을 받아 증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첨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0)는 유자껍질을 원상태 또는 분쇄한 뒤 진공도 200 내지 250mmHg, 25 내지 30℃ 조건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생성된 기체를 포집하여 액화시켜 유자껍질 오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껍질은 원상태 또는 20 내지 50 Mesh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자껍질을 원상태로 진공건조할 경우 유자껍질 오일의 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20 내지 50 Mesh로 분쇄할 경우 진공건조가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자껍질의 분쇄크기는 상기 20 Mesh로 미만으로 분쇄할 경우 상기 제조된 유자 오일의 수율이 낮아질 수 있고 50 Mesh를 초과하여 분쇄할 경우 진공건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도가 200 mmHg 미만인 경우 진공도가 낮아 진공건조를 위한 비용이 많이 발생해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250 mmHg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진공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도의 압력 조건에서 건조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온도는 25 내지 30℃ 조건이므로 상기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7시간 동안 진공건조 할 때 효율적인 유자껍질 오일을 수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진공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0)는 상기 유자종자 오일과 상기 유자껍질 오일을 혼합하여 유자 오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종자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자껍질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유자종자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자껍질 오일 0.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유자껍질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리모노이드 성분이 적어 자극에 대한 진정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유자껍질 오일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수분함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8단계(S80) 상기 유자 오일에 프랑킨센스 오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유자에센셜 오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은 상기 프랑킨센스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자오일 2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랑킨센스 오일은 유향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본 발명인 화장료에서 천연보존제 및 천연 살균 소독제 역할을 한다. 또한, 호흡기질환을 개선하고 자궁 강장제 작용 및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유자 오일과 프랑킨센스 오일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혼합 온도가 50℃ 미만일 경우 두 오일 간에 완전한 혼합이 일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70℃ 이상인 경우 향이 증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9단계(S90)는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에 기능성 혼합물을 혼합하여 화장료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스테아릭애씨드 1 중량부에 대하여 팔미틱애씨드 1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 중량부, 비즈왁스 1.5 중량부, 세틸알코올 0.6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6 중량부, 피이지 스테아레이트 0.6 중량부, 세테스 0.6 중량부, 스테아레스0 0.6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1.5 중량부, 정제수 73.73 중량부, 카보머 0.4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1.0, 중량부, 페녹시에탄올 0.2 중량부, 메칠파라벤 0.2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아릭애시드는 제형을 유지해주며 피부 보습막을 형성하는 고급지방산이다.
상기 팔미틱애씨드는 고급포화지방산의 혼합물이며 계면활성제, 착향제에 함유된다.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지용성 화합물로 비타민 E 아세테이트로도 불린다. 스킨 크림 등 피부 관련 제품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며,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즈왁스는 천연벌집에서 추출하여 만들어진 천연재료로서, 면역력을 증진시켜주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해주는 프로폴리스 효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세틸알코올은 자체적으로는 유화력이 없으나 유화제품의 유화안정제로 사용한다.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의 유리수산기에 산화에칠렌을 부가중합하여 만든 비이온계면활성제 및 유화제이다.
상기 피이지 스테아레이트 수분 및 보습효과가 있고 피부 진정에 도움을 준다.
상기 세테스는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로 사용되고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된다.
상기 스테아레스는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로 사용되거나 수분증발을 억제한다.
상기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는 화장품에서 서로 섞이지 않는 다른 성분들을 쉽게 녹여주는 유화제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다른 유화제 역할을 하는 성분들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보머는 점도를 증가시켜주는 고분자화합물이다.
상기 글리세린은 강한 흡수성을 가지고 있어 보습제로서 사용되었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무색 투명한 보습제이다.
상기 페녹시에탄올은 보존제로 사용된다.
상기 메칠파라벤은 항균작용이 있고, 천연 보존제로 사용된다.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이온조절제로 사용된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은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본 발명에서 유성과 수성분이 잘 섞이게 하여 발림성을 좋게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은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혼합물 95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혼합물 9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본 발명인 화장료에 그 기능성 효과를 충분히 부여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혼합물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유자의 수분 보습 기능을 충분히 부여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사용되는 건조조건, 스팀시간 및 진공도 달리하여 제조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ㄱ. 제조 조건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 중 제조 조건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대학원생을 선발하여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건조감, 발림성, 도포시 균일감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수분 화장료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건조 조건이 음지에서 20 시간 동안 자연 건조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건조 조건이 음지에서 5일 동안 자연 건조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건조 조건이 건조기에서 20 시간 동안 인공 건조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건조 조건이 건조기에서 30 시간 동안 인공 건조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4단계에서 증기를 가하는 시간이 30분 동안 가온 및 가습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4단계에서 증기를 가하는 시간이 3시간 동안 가온 및 가습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6단계에서 진공 압력이 100 mmHg로 하여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6단계에서 진공 압력이 300mmHg로 하여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9]
실시예 9는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6단계에서 진공 온도가 20℃로 하여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은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6단계에서 진공 온도가 40℃로 하여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은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6단계에서 진공 시간이 4시간동안 하여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12]
실시예 12는 상기 을 바탕으로 상기 제 6단계에서 진공 시간이 8시간 동안 하여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은 본 발명의 상기 을 바탕으로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샘플 종류
제조 조건 관능 특성
건조감 발림성 도포시 균일감
비교예 1 - 7.3 7.0 7.7
실시예 1 자연 건조
시간
7.0 7.1 7.0
실시예 2 7.2 7.3 7.0
실시예 3 인공 건조
시간
7.5 7.6 7.5
실시예 4 7.8 7.7 7.9
실시예 5 가온 및 가습
시간
6.8 6.4 6.3
실시예 6 7.0 7.1 7.0
실시예 7 진공 압력
조건
7.5 7.5 7.8
실시예 8 7.5 7.6 7.7
실시예 9 진공 압력
온도
7.0 7.1 7.1
실시예 10 7.5 7.5 7.6
실시예 11 진공 압력
시간
8.0 8.2 8.3
실시예 12 8.1 8.2 8.1
실시예 13 본 발명 조건 8.8 8.8 8.9
관능평가 실시 결과, 표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하에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을 제조한 실시예 13이 가장 우수한 건조감 및 발림성 관능을 나타내었고, 도포시 균일감 또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ㄴ. 세포독성실험
제조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시험에 들어가기전 농도별 세포성장률을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시험 시료농도를 산출하고 사용하는 농도가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확인시험으로 세포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HaCaT(Human Skin Keratinocytes cell line)이며 37℃, 5%의 CO2, 10%의 Fetal bovine serum(FBS, Lonza), 50μg/mL의 streptomycin(Sigma)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Invitrogen)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오일을 최종 농도가 100, 500, 1000, 5000㎍/㎖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에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oromide, Sigma, U.S.A.)용액을 각 well에 100㎕씩첨가한 후 (3㎎/㎖)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50㎕의디메틸설폭시드를 첨가한 후, 30분간 shaking하여 생성된 formazan을 녹여 multi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 Spectra max190)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시료첨가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100
시료농도
(㎍/㎖)
세포생존율(%)
Control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13]
100 100


100 100 100
500 100 100 100
1000 100 100 100
5000 99.50 99.40 99.5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13]을 적용한 시료 모두 99% 이상의 세포생존율이 확인됨에 따라 세포 독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ㄷ. 자극완화 실험
상기 실시예 13의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해 초기 염증성 분자 중 하나인종양괴사인자(TNF-α) 생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형성은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의 활성으로 인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으로 바뀌는 과정 및 NO 형성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HaCaT(Human Skin Keratinocytes cell line)이며 37℃, 5%의 CO2, 10%의 Fetal bovine serum(FBS, Lonza), 50μg/mL의 streptomycin(Sigma)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Invitrogen)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1시간 동안 UV를 조사시켜 세포에 스트레스를 주었다.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를 조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RNA 분석을 위해 세포 내의 total RNA를 세포 배양으로부터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RNA의 순도와 무결성은 A260nm/A280nm비율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RNA 수율은 260nm에서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cDNA합성은 3㎍의 total RNA를 Oligo dT 15(500ng/㎕l) primer, dNTP(10mM), RTase inhibitor(40 U/㎕), Powerscript Ⅱ RTase(Clontech, USA)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primer annealing, 42℃에서 60분간 cDNA를 합성하고 95℃에서 5분간 RTase denaturation 시켰다. PCR은 cDNA로부터 TNF-α, GAPDH를 증폭하기 위하여 cDNA 3㎕, 10X taq polymerase buffer 5㎕, 10mM dNTP 2㎕, 10pmol primer 각각 2㎕, taq polymerase 0.5㎕를 혼합하고 증류수를 더하여 50㎕로 조정한 후 증폭시켰다. 프라이머 서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PCR에 의하여 생성된 산물은 1% 아가로우스 겔(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하여 image analyzer(UGEN, U:Genius)로 확인하였으며 각 밴드의 밀도는 밀도계측프로그램(Gene Tools from Synge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Gene Primer sequence
GAPDH
Forward 5' - AAC GAA TTT GGT CGA ACA GC - 3'
Reverse 5' - TGA GGA GGG ATT CAG TG - 3'
TNF-α
Forward 5' - CAG AGG GAA GAG TTC CCC AG - 3'
Reverse 5' - CCT TGG TCT GGT AGG AGA CG - 3'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TNF-α expression(%) 미조사 UV 조사
0.00% 0.00% 0.01% 0.05% 0.10% 0.50%
Blank 6.18 100 - - - -
[비교예 1] - - 55.2 30.21 11.53 8.62
[실시예 13] - - 42.32 22.36 10.60 6.85
α-Bisabolol - - 28.75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 UV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반응 유발인자인 종양괴사인자(TNF-α)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로써 피부자극 및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키는 효능 또한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ㄹ. 레티놀에 의한 피부 자극완화 효과
인간 피부 세포인 HaCaT(Human Skin Keratinocytes cell line)를 DMEM(Sigma) 배지가 있는 T-75 플라스크(Falcon, USA)에서 80% 정도 성장할 때까지 배양하고, 다시 DMEM(Sigma) 배지가 있는 96-웰 플레이트(Falcon, USA)에서 1×105cfu/well이 될 때까지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현미경을 통해 세포가 완전히 부착되어 잘 성장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피부 세포 자극원으로 0.005% 레티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레티놀의 농도에서 정상 피부세포는 일반적으로 모두 사멸한다. HaCaT cell이 배양된 상기 플레이트의 96 웰 각각에 0.005% 레티놀이 함유된 DMEM(Sigma) 배지를 200 ㎕씩 첨가하고, 이어 [실시예 13]에서 준비된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0.01, 0.05, 0.1 그리고 0.5 %로 첨가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레티놀과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았고, 비교군으로는 레티놀만 첨가한 것과 레티놀을 [실시예 5], [실시예 6] 및 [실시예 13]에 첨가한 것을 별도로 준비하였다.
시험 물질을 첨가하고 12시간이 경과한 후에,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약을 각 웰에 10 ㎕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ELISA기기(Molecular Devices 사)를 이용하여 각 세포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에 정리하였다.
세포 생존율(%) = [(대조군 흡광도-시험물질 흡광도)/대조군흡광도]×100
시료농도(%) 세포 생존율(%)
[비교예 1] [실시예 5] [실시예 13] 레티놀
0.01 23.31 27.82 48.52 세포 모두 사멸


0.05 35.23 41.36 63.25
0.1 64.36 63.54 85.31
0.5 80.34 83.37 95.37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13]에 의한 피부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즉,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물질인 레티놀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ㅁ. 보습 능력 임상실험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 중 보습 능력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증류수와 해양심층수에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의 함량을 0.5에서 50%까지 첨가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보습 능력 임상실험 및 도 2를 통하여 상기 화장료은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혼합물 95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나타내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피부의 과민 반응을 감소하고,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오일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 활력과 노화방지 효과가 있고 피부 유연작용 및 피부재생효과가 있다.
또한, 유자씨와 유자껍질의 정유 성분을 각각 추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유자 각 부분이 가진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오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유자종자를 분리 후 세정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세정 된 유자종자를 통풍이 되는 음지에서 1 내지 3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 건조기에서 25 내지 27시간 동안 동안 인공 건조시키되,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이 1 내지 4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건조 된 유자종자를 분쇄하여 유자종자 분태를 제조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유자종자 분태를 스팀기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증기를 가하여 가온 및 가습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가온 및 가습 된 유자종자 분태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유지하면서 착유하여 유자종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S60. 유자열매 껍질을 원상태 또는 분쇄한 뒤 진공도 200 내지 250mmHg 및 25 내지 30℃ 조건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생성된 기체를 포집하여 액화시켜 유자껍질 오일을 제조하는 제 6단계
S70. 상기 유자종자 오일과 상기 유자껍질 오일을 혼합하여 유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7단계
S80.상기 유자 오일에 프랑킨센스 오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유자에센셜 오일을 제조하는 제 8단계
S90.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에 기능성 혼합물을 혼합하여 화장료을 제조하는 제 9단계

Claims (5)

  1. 유자종자를 분리 후 세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정 된 유자종자를 음지에서 1 내지 3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 건조기에서 25 내지 27시간 동안 인공 건조시키되, 상기 유자종자 내에 함유된 수분이 1 내지 4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 된 유자종자를 분쇄하여 유자종자 분태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유자종자 분태를 스팀기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증기를 가하여 가온 및 가습하는 제 4단계;
    상기 가온 및 가습 된 유자종자 분태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유지하면서 착유하여 유자종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유자열매 껍질을 원상태 또는 분쇄한 뒤 진공도 200 내지 250mmHg 및 25 내지 30℃ 조건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생성된 기체를 포집하여 액화시켜 유자껍질 오일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유자종자 오일과 상기 유자껍질 오일을 혼합하여 유자 오일을 제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유자 오일에 프랑킨센스 오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유자에센셜 오일을 제조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에 기능성 혼합물을 혼합하여 화장료을 제조하되,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비즈왁스, 세틸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 스테아레이트, 세테스, 스테아레스, 폴리솔베이트, 정제수, 카보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리에탄올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혼합하는 제 9단계;를 특징으로 하여 제조되는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오일은 상기 유자종자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자껍질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은 상기 프랑킨센스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자오일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스테아릭애씨드 1 중량부에 대하여 팔미틱애씨드 1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 중량부, 비즈왁스 1.5 중량부, 세틸알코올 0.6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6 중량부, 피이지 스테아레이트 0.6 중량부, 세테스0.6 중량부, 스테아레스 0.6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1.5 중량부, 정제수 73.73 중량부, 카보머 0.4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1.0, 중량부, 페녹시에탄올 0.2 중량부, 메칠파라벤 0.2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은 상기 유자에센셜 오일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혼합물 95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26101A 2015-09-07 2015-09-07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9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9425 WO2017043670A1 (ko) 2015-09-07 2015-09-07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26101A KR20170029143A (ko) 2015-09-07 2015-09-07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01A KR20170029143A (ko) 2015-09-07 2015-09-07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43A true KR20170029143A (ko) 2017-03-15

Family

ID=5824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101A KR20170029143A (ko) 2015-09-07 2015-09-07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29143A (ko)
WO (1) WO201704367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657A (ko) * 2018-07-25 2020-02-04 농업회사법인 주노서바이오텍 주식회사 천연 치자꽃 또는 감초 추출물을 이용한 유자씨 오일의 효율적 냄새 제거 방법
KR20200089785A (ko) 2019-01-17 2020-07-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1365A (ko) * 2018-04-10 2020-10-23 가부시키가이샤 스타더스트 에이치디. 유자 종자 및 현미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12391233A (zh) * 2020-11-10 2021-02-23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香橼-柠檬香精及其制备方法
KR20220102284A (ko) * 2021-01-13 2022-07-20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천연 5종 컴플렉스 항균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359B1 (ko) * 2021-06-21 2023-07-19 전라남도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632A (ko)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예덕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5277A (ja) * 2007-12-27 2009-07-16 Summit Oil Mill Co Ltd 化粧品の製造方法
KR20110047824A (ko) * 2009-10-30 2011-05-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0195B1 (ko) * 2010-01-20 2010-10-29 (주)엘큐어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완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3737A (ko) * 2012-10-26 2014-05-08 박진평 유자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 2013-08-13 2014-08-01 엄익현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6874A (ko) * 2014-02-17 2015-08-26 엄익현 유자씨 오일, 유자 에센셜오일 및 유자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632A (ko)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예덕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365A (ko) * 2018-04-10 2020-10-23 가부시키가이샤 스타더스트 에이치디. 유자 종자 및 현미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US11850272B2 (en) 2018-04-10 2023-12-26 Stardust Hd, Inc. Composition comprising yuzu seed extract and brown rice extract
KR20200011657A (ko) * 2018-07-25 2020-02-04 농업회사법인 주노서바이오텍 주식회사 천연 치자꽃 또는 감초 추출물을 이용한 유자씨 오일의 효율적 냄새 제거 방법
KR20200089785A (ko) 2019-01-17 2020-07-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391233A (zh) * 2020-11-10 2021-02-23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香橼-柠檬香精及其制备方法
KR20220102284A (ko) * 2021-01-13 2022-07-20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천연 5종 컴플렉스 항균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670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029143A (ko)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859762B (zh) 含有山茶提取物的具有晒后修复功效的凝胶及其制备方法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736714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260054A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102220534B1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62120B1 (ko)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84063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2594A (ko)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742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3174B1 (ko)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9113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051417B1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074281A (zh) 一种猴头菇提取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831756B1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55343A (zh) 一种老年乳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