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503A -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503A
KR20170028503A KR1020150124986A KR20150124986A KR20170028503A KR 20170028503 A KR20170028503 A KR 20170028503A KR 1020150124986 A KR1020150124986 A KR 1020150124986A KR 20150124986 A KR20150124986 A KR 20150124986A KR 20170028503 A KR20170028503 A KR 2017002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vement restricting
guide
cove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중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503A/ko
Publication of KR2017002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버튼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튼장치는:압력이 가해지면 스위치부에 형성되는 접점을 향해 이동 가능한 버튼부; 버튼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부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버튼커버부; 및 버튼커버부와 가이드부에 각각 형성되고, 버튼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장치{BUTTON DEVICE}
본 발명은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스위치 중에서, 푸쉬버튼(push button) 스위치와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푸쉬버튼 스위치는 압력이 가해지면 접점과 접촉되어 기계 등을 작동시키는데, 외부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의도되지 않게 푸쉬버튼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기계 등이 작동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25502호(발명의 명칭:푸쉬버튼 스위치, 공개일:1994.11.1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버튼이동제한부를 이용하여 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버튼장치는 압력이 가해지면 스위치부에 형성되는 접점을 향해 이동 가능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버튼커버부; 및 상기 버튼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패널부를 관통하여 장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고,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버튼헤드부; 및 상기 버튼헤드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는 상기 버튼커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버튼이동제한돌기부; 및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버튼헤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 내에서 상기 패널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는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버튼이동제한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버튼이동제한홀부의 단부에 도달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턱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커버부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버튼커버홀부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버튼커버홀부에 잠금부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력이 가해지면 스위치부에 형성되는 접점를 향해 이동 가능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가이드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커버부; 및 상기 버튼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패널부를 관통하여 장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고,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버튼헤드부; 및 상기 버튼헤드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는 상기 버튼커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버튼이동제한돌기부; 및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방향으로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에 의해 안내되어 회동되고,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의 단부에 도달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턱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버튼헤드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2버튼이동제한턱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커버부와 상기 장착부에는 잠금부가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잠금고리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는 버튼이동제한부를 이용하여 버튼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는 버튼이동제한부 및 버튼이동제한턱에 의해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고정된 버튼부를 가압하게 되면, 버튼부는 스위치부에 장착되는 접점를 향해 이동될 수 없으므로 기계 등이 의도치 않게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와 버튼커버홀부가 체결되므로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버튼부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커버부가 회동되는 것이 제한되어 버튼부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와 잠금고리부가 체결되므로 버튼커버부가 회동되는 것이 제한되어 버튼부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버튼이동제한돌기와 제1버튼이동제한턱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버튼이동제한돌기와 제1버튼이동제한턱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버튼이동제한돌기와 제1버튼이동제한턱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버튼이동제한돌기와 제1버튼이동제한턱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1)는 버튼부(20), 가이드부(30), 버튼커버부(40) 및 버튼이동제한부(50)를 포함한다.
버튼부(20)는 압력이 가해지면 스위치부(10)에 형성되는 접점(12)를 향해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커버부(40)를 조작하여 버튼부(20)을 고정하면 버튼부(2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버튼부(2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버튼부(20)는 접점(12)을 향해 이동되지 못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버튼커버부(40)을 조작하여 버튼부(20)의 고정을 해제하면, 버튼부(20)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버튼부(20)는 접점(12)을 향해 이동된다.
버튼부(20)에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버튼헤드부(22)와,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스위치부(10)를 향해 이동되어 접점(12)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가압부(24)가 있다.
버튼헤드부(22)는 가이드부(3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고,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는 버튼헤드부(22)는 원기둥형상으로 도시되지만,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버튼가압부(24)는 버튼헤드부(22)에서 스위치부(10)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접점(12)에 압력을 가한다. 도 2에서 버튼가압부(24)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버튼가압부(24)의 형상은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버튼부(20)는 버튼헤드부(22)에서 스위치부(10)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어 버튼가압부(24)에 설치되는 탄성부(400)를 감싸는 보호캡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캡부(26)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와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를 통해 들어오는 이물질이 탄성부(400)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탄성부(400)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버튼부(20)의 외측부를 감싸고, 버튼부(20)의 이동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0)에는 가이드홀부(32)가 형성되고, 버튼부(20)는 가이드홀부(32)를 따라 스위치부(10)를 향해 이동되어 접점(12)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는 패널부(100)를 관통하여 장착부(9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즉, 가이드부(30)는 장착부(9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가이드부(30)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가이드홀부(32)와 버튼헤드부(22)는 원기둥 형상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홀부(32)는 버튼헤드부(22)가 삽입되도록 버튼헤드부(22)의 외경보다 넓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홀부(32)와 버튼헤드부(22)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버튼헤드부(22)와 가이드홀부(32)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버튼커버부(40)는 가이드부(30)의 외측부를 감싸고, 가이드부(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부(20)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다. 이때 버튼부(20)의 가압면은 사용자가 버튼부(20)를 가압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튼헤드부(22)의 상측면(도 3 기준)를 말한다.
버튼이동제한부(50)는 버튼커버부(40)와 가이드부(30)에 각각 형성되고, 버튼부(20)의 이동을 제한한다. 버튼이동제한부(50)는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와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를 포함한다.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버튼커버부(40)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에는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가 삽입되고, 가이드부(30)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태로 형성된다.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버튼헤드부(22)를 지지하도록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 내에서 패널부(1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를 따라 버튼부(20)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패널부(1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를 따라 이동되어, 버튼헤드부(22)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버튼헤드부(22)에 접촉된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버튼헤드부(22)가 접점(12)을 향해 이동되지 못하도록 버튼헤드부(22)를 지지한다.
버튼이동제한부(50)는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를 더 포함한다.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에서 가이드부(3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2에서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와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는 일자형태로 형성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의 단부에 도달될 때 가이드부(30)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턱(70)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버튼헤드부(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를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된다. 도 4에서 버튼커버부(40)는 반시계방향(도 4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는 방향은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회동된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가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의 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도 6처럼 제1버튼이동제한턱(70)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버튼헤드부(22)와 제1버튼이동제한턱(7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헤드부(22)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20)는 접점(12)를 향해 이동될 수 없으므로, 의도치 않은 압력에 의해 기계 등이 작동되지 못한다.
버튼커버부(40)에는 복수개의 버튼커버홀부(42)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버튼커버홀부(42)에 잠금부(60)가 관통된다. 이때 복수개의 버튼커버홀부(4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커버부(40)의 전방부(도 4 기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튼커버부(40)는 버튼부(20)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기 전에는 버튼커버홀부(42)와 가이드부(30)가 겹쳐 있어 버튼커버홀부(42)에 잠금부(60)를 통과시킬 수 없었으나, 버튼커버부(40)가 버튼부(20)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 버튼커버홀부(42)는 가이드부(30)와 분리되어 버튼부(20)의 가압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버튼커버홀부(42)에 잠금부(60)를 관통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부(60)는 버튼부(20)를 가로질러 버튼커버홀부(42)를 관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충격 등 의도되지 않는 작용으로 버튼부(2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60)는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할 수 없도록 자물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부(60)의 형태와 잠금방식은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패널부(100)에는 체결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홀부는 버튼커버홀부(42)의 상부에 위치하여 잠금부(60)를 관통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잠금부(60)를 이용하여 버튼커버홀부(42)와 체결부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버튼커버부(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버튼부(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버튼커버부(40)에는 LED램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LED램프는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기 전에는 노란색상을 조사하지만,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어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가 버튼헤드부(22)와 제1버튼이동제한턱(7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빨간색상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어 고정되면서, LED램프의 색상은 변화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버튼커버부(40)의 조작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앞에서는, LED램프는 노란색상에서 빨간색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파란색상에서 초록색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LED램프의 색상은 한정된 것이 아니라, 고정되기 전과 고정된 후 색상의 변화를 인식할 정도면 제한이 없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버튼부(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버튼커버부(40)를 버튼부(20) 측으로 이동시켜, 버튼커버부(40)를 버튼부(20)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이때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54)를 따라 패널부(1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버튼헤드부(22)에 접촉된다.
연이어, 사용자는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가 버튼헤드부(2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를 따라 이동되도록 버튼커버부(40)를 회동시킨다. 즉,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면,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를 따라 회동된다. 이렇게 회동된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가 제2버튼이동제한홀부(56)의 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도 6처럼 제1버튼이동제한턱(70)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버튼헤드부(22)와 제1버튼이동제한턱(7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헤드부(22)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20)는 접점(12)를 향해 이동될 수 없으므로, 의도치 않은 압력에 의해 기계 등이 작동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버튼커버부(40)가 패널부(100)와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버튼헤드부(22)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 버튼커버홀부(42)는 가이드부(30)와 분리되어 버튼부(20)의 가압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커버홀부(42)에 잠금부(60)를 관통시킬 수 있다. 이때 잠금부(60)를 버튼커버홀부(42)의 상부에 위치한 체결홀부와 함께 관통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잠금부(60)를 이용하여 버튼커버홀부(42)와 체결부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버튼커버부(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제1실시예의 내용 중 제2실시예와 동일한 경우는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버튼커버부(40)는 가이드부(30)의 외측부를 감싸고, 가이드부(30)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0에서 버튼커버부(40)는 시계방향(도 10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버튼커버부(40)를 회동되는 방향은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버튼이동제한부(50)는 가이드부(30)의 원주방향으로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154)를 포함한다.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154)에 의해 안내되어 회동되고, 제1버튼이동제한홀부(154)의 단부에 도달될 때 가이드부(30)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턱(70)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버튼헤드부(22)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버튼이동제한턱(80)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154)를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되어 제1버튼이동제한턱(70) 및 제2버튼이동제한턱(80)과 동시에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턱(70)과 제2버튼이동제한턱(8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헤드부(22)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20)는 접점(12)를 향해 이동될 수 없으므로, 의도치 않은 압력에 의해 기계 등이 작동되지 못한다.
버튼커버부(40)와 장착부(90)에는 잠금부(60)가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잠금고리부(20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패널부(100)에는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패널홀부(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는 패널홀부(120)를 관통하여 버튼부(20)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면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는 버튼커버부(40)의 회동방향에 따라 이동되어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겹쳐질 수 있다. 이때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는 평행을 이룬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에 잠금부(60)를 관통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잠금부(60)를 이용하여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를 체결함으로써, 버튼커버부(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잠금고리부(200)는 버튼커버부(40)와 장착부(9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상황에 따라 버튼커버부(40)와 패널부(100)에 설치되는 등 버튼커버부(40)의 이동을 제한하고, 잠금부(6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는 설계변경 가능하다. 또한, 잠금고리부(200)는 원통형태로 도시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때 제1실시예의 내용 중 제2실시예와 동일한 경우는 생략한다.
사용자는 버튼부(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를 제1버튼이동제한홀부(154)에 삽입한 상태에서 버튼커버부(40)를 회동시킨다. 즉,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면서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154)를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된다. 이렇게 회동된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가 제1버튼이동제한홀부(154)의 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도 11처럼 제1버튼이동제한턱(70) 및 제2버튼이동제한턱(80)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버튼이동제한돌기부(52)는 제1버튼이동제한턱(70)과 제2버튼이동제한턱(8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헤드부(22)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20)는 접점(12)를 향해 이동될 수 없으므로, 의도치 않은 압력에 의해 기계 등이 작동되지 못한다. 이때 버튼커버부(40)와 장착부(90)에는 잠금부(60)가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잠금고리부(200)가 각각 설치되는데, 버튼커버부(40)가 회동되면서,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는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겹쳐진다. 이때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는 평행을 이룬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에 잠금부(60)를 관통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잠금부(60)를 이용하여 버튼커버부(4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와, 장착부(90)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200)를 체결함으로써, 버튼커버부(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버튼장치 10 : 스위치부
12 : 접점 20 : 버튼부
22 : 버튼헤드부 24 : 버튼가압부
26 : 보호캡부 30 : 가이드부
32: 가이드홀부 40 : 버튼커버부
42 : 버튼커버홀부 50 : 버튼이동제한부
52 : 버튼이동제한돌기부 54, 154 : 제1버튼이동제한홀부
56 : 제2버튼이동제한홀부 60 : 잠금부
70 : 제1버튼이동제한턱 80 : 제2버튼이동제한턱
90 : 장착부 100 : 패널부
120 : 패널홀부 200 : 잠금고리부
400 : 탄성부

Claims (15)

  1. 압력이 가해지면 스위치부에 형성되는 접점을 향해 이동 가능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가압면보다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버튼커버부; 및
    상기 버튼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패널부를 관통하여 장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고,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버튼헤드부; 및
    상기 버튼헤드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는,
    상기 버튼커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버튼이동제한돌기부; 및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버튼헤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 내에서 상기 패널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는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버튼이동제한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버튼이동제한홀부의 단부에 도달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턱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커버부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버튼커버홀부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버튼커버홀부에 잠금부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9. 압력이 가해지면 스위치부에 형성되는 접점를 향해 이동 가능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상기 가이드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커버부; 및
    상기 버튼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패널부를 관통하여 장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고,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버튼헤드부; 및
    상기 버튼헤드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점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는,
    상기 버튼커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버튼이동제한돌기부; 및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원주방향으로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에 의해 안내되어 회동되고, 상기 제1버튼이동제한홀부의 단부에 도달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버튼이동제한턱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돌기부는 상기 버튼헤드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2버튼이동제한턱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커버부와 상기 장착부에는 잠금부가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잠금고리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KR1020150124986A 2015-09-03 2015-09-03 버튼장치 KR20170028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986A KR20170028503A (ko) 2015-09-03 2015-09-03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986A KR20170028503A (ko) 2015-09-03 2015-09-03 버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03A true KR20170028503A (ko) 2017-03-14

Family

ID=5846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986A KR20170028503A (ko) 2015-09-03 2015-09-03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85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9905A (ja) * 2019-03-14 2020-09-17 オムロン株式会社 無線スイ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9905A (ja) * 2019-03-14 2020-09-17 オムロン株式会社 無線スイッチ
WO2020184111A1 (ja) * 2019-03-14 2020-09-17 オムロン株式会社 無線スイッチ
US11901135B2 (en) 2019-03-14 2024-02-13 Omron Corporation Wireless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9307B2 (en) Vehicle handle device
JP3155966U (ja) キャップ装置
CN106312669B (zh) 夹盘设备
US20140165384A1 (en) Lockout device
KR102127482B1 (ko) 로터리 레버 잠금 장치
KR20170028503A (ko) 버튼장치
CA2629019A1 (en) Handle latching mechanism
WO2017065185A1 (ja) 連結構造
EP1542251B1 (fr) Bouton-poussoir cadenassable
KR101461460B1 (ko) 가스 실린더용 캡 구조체
JP7352335B2 (ja) 電動工具
JP2010274232A (ja) エアゾール容器体装着用噴射装置及びこの噴射装置を用いたエアゾール容器
KR101675468B1 (ko)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US20120031248A1 (en) Pull-rod locking device for a miter saw
KR20150124850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WO2014146586A1 (zh) 带有安全锁止装置的手柄及包括该手柄的断路器
JP4713422B2 (ja) 非常停止用押釦スイッチ
JP4095754B2 (ja) 部品取付構造
JP6407583B2 (ja) 車両用操作装置
KR20110125361A (ko) 잠금장치용 핸들
US6548777B2 (en) Switch apparatus
JP2009085375A (ja) 流体圧シリンダに対するセンサの固定方法及びセンサ固定具
US9718184B2 (en) Tool box holding accessible but not removable tool when closed
KR20160003999A (ko) 소음저감형 자동차용 래치장치
KR200489570Y1 (ko) 모터보호용 차단기의 스위치 잠금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