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468B1 -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468B1
KR101675468B1 KR1020140113189A KR20140113189A KR101675468B1 KR 101675468 B1 KR101675468 B1 KR 101675468B1 KR 1020140113189 A KR1020140113189 A KR 1020140113189A KR 20140113189 A KR20140113189 A KR 20140113189A KR 101675468 B1 KR101675468 B1 KR 10167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ock
push button
bezel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314A (ko
Inventor
요시히로 타카노
신이치 사이토
노리요시 마치다
Original Assignee
치치부 후지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치부 후지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치치부 후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manual release of a latch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등의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지 않으며,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불필요한 리셋(reset)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누름 버튼의 내측에 원통형상의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누름 버튼을 회전방향으로는 미리 정해진(旣定) 각도만큼 서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고, 축방향으로는 함께 이동하도록 연계하여,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과 이것을 에워싸는 베젤의 둘레 벽에 각각 대응하여 자물쇠를 삽입하는 한 쌍 이상의 잠금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 버튼 및 실린더가 대기위치에 놓여 있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과 상기 베젤의 잠금 구멍을 자물쇠의 관통 삽입이 불가능해지도록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으며,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 넣는 조작에 의해 눌러 넣음 위치에 눌러 넣어졌을 때, 상기 실린더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과 상기 베젤의 잠금 구멍을 서로 겹치는 위치에 놓아, 이들 잠금 구멍에 자물쇠를 관통 삽입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로크 위치에서 잠글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FOR EMERGENCY STOP}
본 발명은, 비상시에 부하(負荷)에 정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이하, 단순히 「누름 버튼 스위치」라고도 함)는, 긴급시나 기계의 보수점검시 등에 누름 버튼을 눌러 넣는 조작을 하여 부하회로를 강제로 개로(開路)하고, 또한 개로 상태로 자기 유지(로크(lock))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눌러 넣는 조작을 한 누름 버튼 스위치를 대기(조작 대기) 상태로 복귀(리셋)하는 방식으로서, 누름 버튼을 비틀어 돌리는 것(푸시 로크·턴 리셋(push lock·turn reset) 방식)이나 누름 버튼을 당겨서 되돌리는 것(푸시 로크·풀 리셋(push lock·pull reset) 방식) (특허문헌 1 참조)이 있다. 어느 것이든, 부하의 정지상태에서 잘못하여 리셋되면, 인명(人命)과 관련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매우 위험하다.
이 때문에, 조작의 누름 버튼 부분을 덮는 잠금(施錠) 가능한 보호 커버(오(誤)조작 방지 커버)를 부착하거나(특허문헌 2 참조), 누름 버튼 중심부에 열쇠(key)를 삽입하지 않으면 리셋 조작이 불가능한 열쇠가 딸린 스위치(switch with a key)를 이용하거나 하고 있다.
그 밖에, 특허문헌 3 및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누름 버튼 스위치의 누름 버튼에 잠금을 실시하여 용이하게 리셋 조작할 수 없도록 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3에 제시된 제 1 종래예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누름 버튼 및 스위치부를 지지하는 베젤(bezel)의 둘레 벽에 잠금 구멍(施錠孔)을 형성하고, 누름 버튼을 누름 조작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접점 기구를 구동한 직후에 누름 버튼 자체를 회전시켜, 누름 버튼에 형성된 잠금 구멍을 베젤의 잠금 구멍에 맞추어 잠글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4에 제시된 제 2 종래예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누름 버튼 틈새에, 누름 버튼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동작하는 셔터를 설치하고, 미리, 베젤과 누름 버튼의 사이에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된 잠금 구멍을 상기 셔터로 막고, 누름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접점 기구가 개폐 조작되고 나서, 셔터를 회전시켜 잠금 구멍을 개방하여, 잠금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178643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05-020951호 일본 특허 공보 제4565925호 일본 특허 공보 제4620598호
상기 제 1 종래의 잠금 가능한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는, 누름 버튼을 회전시켜 누름 버튼의 몸체부에 형성된 잠금 구멍을 베젤의 잠금 구멍에 맞추어 잠금 가능한 상태로 하기 때문에, 조작시에, 누름 버튼에 헤드부와 맞닿아 있는 손이나 손가락을 누름 버튼으로부터 떼어, 누름 버튼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미끄럼 방지 장갑 등을 끼고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을 했을 경우, 이러한 장갑이 누름 버튼의 회전동작의 방해가 되어, 잠금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을 원활히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누름 버튼을 회전시키기 위해 누름 버튼 스위치 내에 조립된 스프링에 의해, 눌러 넣은 후에 누름 버튼에 회전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조작감이 나빠진다는 취급상의 문제도 있다.
또한, 제 2 종래의 잠금 가능한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는, 누름 버튼의 틈새에 설치된 셔터를, 누름 버튼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시켜 누름 버튼과 베젤의 잠금 구멍을 개폐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고, 부품 수도 많아지므로, 제조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누름 버튼의 조작시에 누름 버튼에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으며 원활하게 잠금 가능 상태로 이행할 수 있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에 컵 형상의 누름 버튼을 가지고, 축방향 및 회전방향의 양 방향으로 스프링력(力)을 받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베젤(bezel)과,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눌러 넣는 조작이 행해지면 눌러 넣음 위치에서 로크(lock)되고, 이 로크 위치의 조작부는 상기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비틀림 조작되면 로크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
상기 누름 버튼의 내측에 원통형상의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누름 버튼을 회전방향으로는 미리 정해진(旣定) 각도만큼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축방향으로는 함께 이동하도록 연계(連繫)되며,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자물쇠를 삽입하는 잠금 구멍을 한 쌍 이상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을 둘러싸는 상기 베젤의 둘레 벽에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에 대응하여 잠금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누름 버튼 및 실린더가 대기위치에 놓여 있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과 상기 베젤의 잠금 구멍이, 자물쇠의 관통 삽입이 불가능해지도록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이며,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 넣음 조작에 의해 눌러 넣음 위치에 눌러 넣어져 로크되었을 때, 상기 실린더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과 상기 베젤의 잠금 구멍이 서로 겹치는 위치에 놓이며, 이들 잠금 구멍에 자물쇠를 관통 삽입함으로써 로크 위치에서 상기 조작부에 잠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둘레 벽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핀을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의 외주면에 상기 핀을 일단의 입구로부터 원주(圓周)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핀을 상기 가이드 홈의 입구에 걸림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일정 각도 비튼 상태로 걸림고정하고, 이 대기위치에서 상기 누름 버튼의 눌러 넣는 조작에 연동하여 실린더가 눌러 넣어짐에 따라 상기 핀의 상기 가이드 홈의 입구에서의 걸림결합이 풀려 홈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실린더를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청구항 2).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베젤의 잠금 구멍과 누름 버튼 내의 실린더의 잠금 구멍은, 대기위치에서는 서로 위치가 어긋나 있으며, 눌러 넣어진 로크 위치에서 겹쳐져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대기위치에서 베젤의 잠금 구멍과 누름 버튼의 잠금 구멍에 부분적으로 중첩(重疊)이 있으면, 이 부분이 틈새가 되어 이물(異物)이 조작부 내에 침입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대기위치에서는 양방(兩方)의 잠금 구멍의 위치가 완전히 어긋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축방향(누름 버튼이 눌러 넣어지는 방향)으로만 위치가 어긋나서는 부분적인 중첩을 회피하기 어려운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해, 조작부를 로크 위치에서의 회전위치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한 위치에 걸림고정하여 대기시키도록 하면, 대기상태의 잠금 구멍의 위치를 베젤의 잠금 구멍으로부터 축방향뿐만 아니라 회전방향으로도 어긋나게 할 수 있으므로, 대기위치에서의 잠금 구멍의 중첩을 확실히 회피할 수가 있다. 대기위치의 조작부는 눌러 넣는 조작에 의해 로크 핀의 걸림결합이 풀리면, 스프링력에 의해 로크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회전한다.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누름 버튼의 하단과 실린더의 상단의 사이에 축방향의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상단을 상기 누름 버튼의 둘레 벽의 내측으로 진입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청구항 3).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로크 위치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상기 누름 버튼의 정상(頂上) 벽면과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베젤의 둘레 벽에 잠금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잠금 구멍을 통해 자물쇠를 장착하도록 할 수가 있다(청구항 4).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에 형성한 잠금 구멍과 베젤에 형성한 잠금 구멍에 걸쳐서 시저스 로크(scissors lock)를 장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청구항 5).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는 복수 개의 자물쇠를 동시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는데, 자물쇠로 맹꽁이 자물쇠(南京錠, padlock) 등을 사용할 경우, 설치 공간의 사정으로 인해 자물쇠의 수는 2~3개로 제한된다. 이에,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해, 실린더와 베젤에 걸쳐지도록 시저스 로크를 장착하면, 설치되는 자물쇠의 수를 임의로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여기서 시저스 로크란, 한 쌍의 개폐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가위 형상의 로크 용구로서, 개폐 아암의 일단에 잠금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후크(hook)를 가지며, 타단에 개폐 아암의 동작을 로크하기 위한 다수의 잠금 구멍을 갖는 것을 칭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버튼 스위치에 직접적으로 잠금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조작 방지 커버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부의 누름 버튼의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원통형상의 실린더를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를 누름 버튼을 눌러 넣는 조작에 연동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과, 조작부를 수용하는 베젤의 둘레 벽에 형성된 잠금 구멍이 눌러 넣음 로크 위치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그 겹쳐진 잠금 구멍에 걸쳐서 자물쇠를 관통 삽입시켜 잠근다. 이 때문에, 누름 버튼 스위치의 눌러 넣는 조작시에 누름 버튼에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또한, 종래 필요로 했던 셔터가 불필요해져 구조가 간략해지기 때문에, 누름 버튼 스위치를 잠금 상태로 원활히 이행할 수가 있으며, 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대기상태, 도 1(b)는 로크 전 눌러 넣음 상태, 도 1(c)는 로크 상태(조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대기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로크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a)는 도 4(b)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a-a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4(b)는 전체의 입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a)는 도 5(b)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a-a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5(b)는 전체의 입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부의 일부를 절결(切缺)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7(a)는 대기상태, 도 7(b)는 로크 상태(조작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설명용으로 실린더의 전개된 가이드 홈과 베젤의 가이드 핀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8(a)는 대기상태, 도 8(b)는 눌러 넣음 상태, 도 8(c)는 로크 상태(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실린더의 밀어올림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9(a)는 대기상태, 도 9(b)는 로크 상태(조작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도 1~도 10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의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S)는, 도 1에 외관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의 조작면에 캡(12)이 씌워진 컵 형상의 누름 버튼(11)을 갖는 조작부(1)와, 이것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스위치부(4)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된다. 조작부(1)의 누름 버튼(11)은, 둘레 벽(11b) 내에 상단이 끼워 넣어진 베젤(13)에 의해 축방향 및 회전방향의 양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젤(13) 내에는 누름 버튼(11)의 조작에 연동하여 스위치부(2)를 개폐조작하는 조작기구가 수용된다.
또한, 누름 버튼 스위치(S)는, 베젤(13), 스프링, 접점부 등은, 금속부품으로 구성되고, 그 밖에는 수지성형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베젤(13) 내에 수용되는 조작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부(1)의 조작기구는, 특히 도 2, 도 3, 도 6 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11)과 코일형상의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14)을 통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계된 통형상의 실린더(15)를 구비한다. 누름 버튼(11)은 컵 형상을 이루며, 조작면이 되는 정상(頂上) 벽부(11a)와 둘레 벽부(11b)를 구비한다. 정상 벽부(11a)의 중심에 원형 구멍(11c)이 뚫려 있다. 상기 원형 구멍(11c)에 캡(12)의 배면(背面)의 중심부에 설치된 걸림결합 레그(leg)(12a)를 끼워 넣어, 누름 버튼(11)의 정상 벽부(11a)에 캡(12)을 고정적으로 씌운다. 캡(12)은 투광(透光) 부재로 형성되며, 걸림결합 레그(12a)에 결합된 투광 부재로 형성된 도광봉(導光棒, 17)을 통해,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조광(照光)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캡(12)으로 유도하여 이것을 조광한다.
또한, 실린더(15)는, 중심부의 관통 구멍에 패킹(16)을 통해 도광봉(17)을 관통 삽입한 상태로, 베젤(13) 내에 삽입되며, 상기 베젤(13)에 의해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실린더(15)의 외주벽에는, 자물쇠를 삽입하기 위한 한 쌍 이상(여기서는 2쌍)의 잠금 구멍(15a)이 관통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이 하단측으로 꺾여 해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후크(鉤形, hook) 형상의 가이드 홈(15b)이 대향되어 한 쌍 형성되어 있다(도 4(a), 도 6, 도 7, 도 8 참조).
베젤(13)의 둘레 벽에는, 실린더(15)의 잠금 구멍(15a)에 대응하여 한 쌍 이상(여기서는 2쌍)의 잠금 구멍(13a)이 관통 형성된다. 베젤(13)의 둘레 벽에는, 또한 내측으로 돌출하여 한 쌍의 가이드 핀(13b)이 대향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핀(13b)은 실린더(15)의 가이드 홈(15b)에 걸림결합하여(도 2, 도 4(a), 도 7 참조), 실린더(15)의 베젤(13)에 대한 축방향 및 회전방향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실린더(15)의 내측에 통형상으로 형성된 누름봉(19)이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된 복귀 스프링(18)을 통해 삽입되며, 실린더(15)에 축방향으로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누름봉(19)의 외주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원주형상의 3개의 단부(段部; 19a, 19b, 19c)가 설치되어 있다. 단부(19a)는, 누름봉(19)의 상단(上端)에 형성되며, 실린더(15)의 내주에 설치된 단부(15e)와 걸림결합된다. 중간부의 단부(19b)는, 실린더(15)와의 사이에 회전방향 및 축방향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18)의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실린더(15)의 가압력을 받기 위한 받이부가 된다. 하방의 단부(19c)는, 원주방향의 일부가 절결(切缺)되며, 로크 핀(21)과 걸림결합하여 누름봉(19)을 축방향의 대기위치와 눌러 넣음 위치에 각각 걸림고정하기 위한 로크용 단부가 된다. 상기 로크용 단부(19c)는 누름봉(19)의 외주의 대향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베젤(13) 내에는, 스위치부(4)를 연결하기 위한 통형상의 프레임(24)이 삽입된다. 프레임(24)의 하단부는, 베젤(13)의 하단의 외측까지 연장되며, 스위치부(4)와의 결합부(24a)를 형성한다. 프레임(24)의 베젤(13)로부터 돌출된 하단부에 고정 너트(28)를 비틀어 넣고, 베젤(14)의 하단에 조여 붙여, 프레임(24)을 베젤(13)에 고정한다. 프레임(24)의 상단부는, 패킹(23)을 통해 실린더(15) 내에 상대적으로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프레임(24)은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로크 핀 홀더(20)가 삽입 고정된다. 로크 핀 홀더(20)는, 로크 스프링(22)을 통해 로크 핀(21)을 프레임(24)의 반경방향으로 출몰(出沒) 가능하게 유지한다. 로크 핀 홀더(20)에 의해 유지된 로크 핀(21)은, 로크 스프링(22)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나오며, 프레임(24)에 삽입된 누름봉(19)의 로크용 단부(19b)의 하단면(下段面) 또는 상단면(上段面)과 접하여, 누름봉(19)의 축방향의 위치를 대기위치와 눌러 넣음 위치에 로크한다.
또한, 누름봉(19)은 프레임(24)에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그 선단부에, 스위치부(4)의 조작부에 접촉하여 이것을 조작하는 통형상의 조작부재(26)가 결합된다. 조작부재(26)와 프레임(24)의 사이에 장착된 코일형상의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거 스프링(25)에 의해, 조작부재(26)는 축방향으로 가압된다.
또, 실린더(15)의 외주벽의 내측과 프레임(24)의 둘레 벽의 내측에, 각각 서로 접합 가능하게 좌측 상방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는 캠체(cam body; 15e 및 24a)가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이들 캠체는, 누름 버튼 스위치(S)를 복귀시킬 때 누름 버튼(11)이 회전조작된 경우, 이것에 연동하여 눌러 넣음 위치로 눌러 넣어진 실린더(15), 누름봉(19)을 대기위치로 밀어 올리는 밀어 올림 기구로서 작용한다.
또, 누름 버튼(11)과 베젤(13)의 사이에 축방향의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젤(13)의 상단이, 누름 버튼(11)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環狀) 홈에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부(1)를 제어반(制御盤) 등의 부착 패널(5)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5)의 표면측으로부터 패널(5)의 부착 구멍(51)에 패킹(13e)을 통해, 베젤(13)의 하단부에 형성된 부착부(13c)를 프레임(24)의 하단의 부착부(24a)와 함께 관통 삽입한다. 패널(5)의 이면측으로부터 부착 패널(5)에 관통 삽입된 베젤(13)의 부착부(13c)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부착 너트(13d)를 비틀어 넣어, 베젤(13)을 부착 패널(5)에 조여 붙임으로써, 조작부(1)를 부착 패널(5)에 고정한다.
상기 부착 패널(5)에 고정된 조작부(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프레임(24)의 결합부(24a)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부(4)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함으로써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S)이 완성된다.
스위치부(4)의 가동 접촉자 홀더(41)가, 조작부(1)의 조작부재(26)와 접촉하여 조작되면, 도 2, 도 3에 4a, 4b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시 개방(常開) 개폐 접점 기구(4a) 및 상시 폐쇄(常閉) 개폐 접점 기구(4b)가 각각 개폐 조작된다.
누름 버튼(11)이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26)가 가동 접촉 홀더(41)로부터 이격(離隔)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 홀더(41)는, 스위치부의 복귀 스프링(42)에 의해 밀어 올려져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시 개방 개폐 접점 기구(a 접점기구; 4a)는 개로(開路)(오프)되고, 상시 폐쇄 개폐 접점 기구(b 접점 기구; 4b)는 폐로(閉路)(온)되어 있다.
누름 버튼(11)이 눌러 넣음 위치까지 눌러 넣어지면, 이것과 연동하여, 조작부재(26)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부(4)의 가동 접촉자 홀더(41)와 접촉하여 이것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이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접점기구(4a)는 폐로(온)되고, b 접점기구(4b)는 개로(오프)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누름 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누름 버튼 스위치(S)의 각 조작상태에 있어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조작 전, 즉 누름 버튼(11)을 눌러 넣는 조작을 하기 전인 대기상태에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5)가 그 잠금 구멍(15a)의 위치가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베젤(13)의 둘레 벽의 잠금 구멍(13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회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은, 실린더(15)의 둘레 벽(사선 부분)에 의해 폐색(閉塞)되어 있다. 또, 스위치부(4)는 내부의 개폐 접점 기구가 조작되지 않는 상태에 있으며 a 접점기구(4a)는 오프, b 접점기구(4b)는 온된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누름 버튼(11)을 조작부(1)가 로크되기 바로 전까지 눌러 넣은 상태, 즉, 로크 전 눌러 넣음 상태를 도 1(b)에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내부의 실린더(15)가, 누름 버튼(11)의 눌러 넣음 조작에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눌러 넣어지지만, 아직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도 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은, 실린더(15)의 둘레 벽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스위치부(4)의 개폐 접점 기구는, 실린더(15)가 하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누름봉(19), 조작부재(26)가 하강하여, 스위치부(4)의 가동 접촉자 홀더(24a)를 밀어 내리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접점 개폐 기구(4a)는 온 상태가 되고, b 접점 개폐 기구(4b)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이 실린더(15)의 둘레 벽에 의해 폐색된 상태에서는, 자물쇠를 잠글 수가 없다.
또한, 누름 버튼(11)을 눌러 넣음 위치까지 눌러 넣어 조작부(1)를 로크한 상태를 도 1(c)에 나타낸다. 이 위치까지 누름 버튼(11)을 눌러 넣으면,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내부의 실린더(15)가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만큼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15)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15)에 형성된 잠금 구멍(15a)이, 베젤(13)의 잠금 구멍(13a)과 겹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은, 실린더(15)의 둘레 벽에 의한 폐색이 해제되어, 개방되게 된다.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1)의 내부 조작 기구는, 도 2, 도 4(a), 및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대기상태에서는, 누름 버튼(1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기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18)이, 실린더(15)를 도 7(a)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反)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15)가 복귀 스프링(18)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있으며, 도 7(a) 및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젤(13)에 설치된 가이드 핀(13b)이 실린더(15)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가이드 홈(15b)의 수직(축)방향 홈부(15c)의 입구부에서 걸림결합된다. 이로써 복귀 스프링(18)으로부터 가해지는 반시계방향의 가압력이 실린더(15)의 홈부(15c)의 입구부에서 받아지기 때문에, 실린더(15)는 이 위치에서 걸림고정된다.
이 위치에서는, 실린더(15)의 잠금 구멍(15a)이,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의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도 회전방향으로도 어긋난 위치에 있어,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은, 실린더(15)의 둘레 벽에 의해 완전히 폐색된다.
여기서, 누름 버튼(11)을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눌러 넣음 위치까지 눌러 넣으면, 이것에 연동하여 실린더(15) 및 누름봉(19)이, 복귀 스프링(18)의 상방을 향하는(上向) 축방향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려 내려간다. 이로써, 베젤(13)의 가이드 핀(13b)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입구 홈부(15c)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가이드 홈(15b)의 수평 홈부를 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로써, 실린더(15)의 회전방향의 걸림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실린더(15)는, 복귀 스프링(18)으로부터 가해지는 반시계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도 8(b)에 나타내는 화살표 R방향으로, 누름 버튼(11)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가이드 핀(13b)이 가이드 홈(15b)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홈(15b)의 종단(終端; 15d)에 맞닿고 나서, 실린더(15)는, 걸림고정되어 정지된다(도 7(b) 참조).
실린더(15)의 회전각도는 가이드 홈(15b)의 수평 부분의 길이에 의해 규제된다. 실린더(15)가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한 위치에 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둘레 벽에 형성된 잠금 구멍(15a)이, 베젤(13)의 둘레 벽의 잠금 구멍(13a)과 대향(對向)하여 겹치며, 상기 베젤의 잠금 구멍(13a)의 폐색이 해제되어, 개방된다(도 1, 도 5(b) 참조).
한편, 상기 누름 버튼(11)의 눌러 넣는 조작에 연동하여 실린더(15)가 밀려 내려가면, 누름봉(19)의 단부(段部; 19b)에 실린더(15)의 하단이 맞닿아 누름봉(19)을 밀어 내린다. 이 과정에서, 누름봉(19)은 동시에 로크 단부(19c)에 의해 로크 핀(21)을 로크 스프링(22)에 대항하여 외경(外俓)측으로 눌러 넣으면서, 상기 로크 단부(19c)가 로크 핀을 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이로써, 누름봉(19)은, 상기 로크 단부(19c)의 상단(上段)측에 로크 핀(21)이 걸림결합하여 이 위치에 로크되므로 대기위치로의 복귀가 저지된다.
누름봉(19)이 눌러 넣음 위치에 로크됨에 따라, 이것에 연계된 실린더(15) 및 누름 버튼(11)도 상기 눌러 넣음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누름봉(19)이 눌러 넣어지면, 조작부재(26)가 트리거 스프링(25)을 통해 하방으로 눌려, 스위치부(4)의 가동 접촉자 홀더(41)에 맞닿으며, 복귀 스프링(42)에 대항하여 이것을 밀어 내린다. 가동 접촉자 홀더(41)가 밀려 내려가면, 이것에 의해 유지된 가동 접촉자(43)의 양단의 도시되지 않은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폐쇄(閉合, closing), 또는 이격되어, a 접점 개폐 기구(4a)는 스위치 온, 그리고 b 접점 개폐 기구(4b)는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어, 그대로 유지된다(도 3 참조).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S)를 비상 정지용으로 사용한 경우, 대기상태에 있어서 온 상태로 되어 있는 b 접점 개폐 기구(4b)를 통해 구동되는 부하 제어 회로를, 비상 정지를 위해 누름 버튼 스위치(S)를 눌러 넣는 조작을 함으로써 강제로 개로(開路)하여, 제어 대상인 부하장치의 동작을 비상 정지시킬 수가 있다.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S)가 잘못하여 복귀 조작되면, 누름 버튼 스위치(S)가 대기상태로 돌아가, 비상 정지된 장치가 재기동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눌러 넣음 조작 상태에 놓인 누름 버튼 스위치(S)가 잘못하여 복귀 조작되는 일이 없도록,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눌러 넣음 조작 상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조작부(1)의 중첩되는 위치에 놓인 쌍(對)이 되는 베젤(13)의 잠금 구멍(13a) 및 실린더(15)의 잠금 구멍(15a)의 사이에 자물쇠(6) 또는 시저스 로크(7)를 관통 삽입하여 잠금으로써, 누름 버튼 스위치(S)를 눌러 넣음 조작 위치에 로크할 수가 있다.
시저스 로크(7)는, 그 자체에 형성된 복수의 잠금 구멍(7a)의 각각에 자물쇠(6)를 관통 삽입하여 시저스 로크를 잠금으로써, 누름 버튼 스위치(S)를 간접적으로 잠글 수 있다. 이 때문에,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잠금 구멍의 개수가 부족할 경우에, 시저스 로크(7)를 이용함으로써 잠금 구멍의 개수를 늘려, 많은 자물쇠를 잠글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자물쇠(6) 또는 시저스 로크(7)를 통해 잠궈진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누름 버튼(11)은, 축방향 및 회전방향의 어떠한 조작도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누름 버튼 스위치(S)를 조작상태로 로크하여, 잘못된 복귀 조작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된다.
비상 정지된 부하 장치의 상태가 복귀되어 운전을 재개할 때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조작상태를 해제하여 대기상태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복귀 조작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구멍에 직접 관통 삽입된 자물쇠(6)나 시저스 로크(7)를 통해 관통 삽입된 자물쇠(6)로 잠근 눌러 넣음 조작 상태에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S)를 복귀시키려면, 우선, 모든 자물쇠(6)를 풀어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잠금을 해제한다.
잠금이 해제된 도 1(c), 도 2나 도 5(b)에 도시되는 눌러 넣음 조작 상태에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누름 버튼(11)을, 캡(12)에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시계방향)으로 복귀 스프링(18)의 반시계방향의 복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전 조작한다. 이것에 연동하여 실린더(15)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실린더(15)의 외주 벽의 가이드 홈(15b)이, 여기에 걸림결합된 베젤(13)에 설치된 가이드 핀(13b)에 대해 화살표 L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c)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8(b)에 나타내는 위치로 돌아온다.
실린더(15)가 이와 같이 회전함에 따라, 실린더(15)의 둘레 벽의 잠금 구멍(15a)이, 베젤(13)의 둘레 벽의 잠금 구멍(13a)의 회전방향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때문에, 다시,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이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둘레 벽에 의해 폐색된다.
그리고, 동시에, 누름 버튼(11)의 회전에 수반하여 실린더(15)가 회전하고, 실린더(15)에 설치된 캠체(15e)가 도 9(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레임(24)에 설치된 캠체(24a)와 접합한다.
여기에서, 누름 버튼(11)을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 조작하면, 고정된 프레임(24)의 캠체(24a)에 의해 실린더(15)의 캠체(15e)에 축방향의 밀어올리는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실린더(15)는, 복귀 스프링(18)의 축방향의 복귀력에 대항하여 이것을 압축하면서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로써, 실린더(15)의 잠금(15a)은, 베젤(13)의 잠금 구멍(13a)의 축방향도 위치로부터도 어긋난다. 그리고, 외주 벽의 가이드 홈(15b)에 걸림결합된 가이드 핀(13b)이, 상대적으로 가이드 홈(13b)의 수직 부분(13c)을 하강하여,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홈(13c)의 입구 단부에 도달하며, 실린더(15)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걸림고정되어, 실린더(15)가 대기상태로 돌아온다.
한편, 로크 단부(19b)가 로크 핀(21)과 걸림결합하여 눌러 넣음 위치에 로크된 누름봉(19)은, 누름봉(19)의 상단의 단부(19a)가 여기에 걸림결합된 실린더(15)의 내주 하단의 단부(15f)에 의해 실린더의 상승 운동에 연동하여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로크 단부(19b)에 의해 로크 핀(21)을 외경(外俓)측으로 눌러 넣으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로크 핀(21)이 로크 단부(19b)를 넘은 위치에서 누름봉(19)은 정지하고, 대기위치로 돌아온다.
회전조작된 누름 버튼(11)은, 그 회전 조작력을 해제함으로써, 누름 버튼 복귀 스프링(14)의 회전방향의 복원 스프링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전되어,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S)는, 도 1(a), 도 2,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기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눌러 넣음 조작에 대비한다.
[실시예 2]
도 11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제 2 실시예의 누름 버튼 스위치(S)는,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누름 버튼 스위치(S)와 같으나, 조작부(1)의 누름 버튼(11)의 정상 벽면(11a)에 잠금 구멍(11h)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것에 대응하여 내부의 실린더의 둘레 벽 및 베젤(3)의 둘레 벽에 잠금 구멍(도 11에는 명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잠금 개소(箇所)를 늘리게 되어 있다.
이로써, 베젤의 둘레 벽의 잠금 구멍뿐만 아니라, 누름 버튼(11)의 정상 벽면의 잠금 구멍(11h)으로부터 자물쇠(6) 또는 시저스 로크(7)를 관통 삽입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잠금을 행하여, 조작을 금지할 수가 있다.
S; 누름 버튼 스위치
1; 조작부
11; 누름 버튼
11h; 잠금 구멍
13; 베젤(bezel)
13a; 잠금 구멍
15; 실린더
15a; 잠금 구멍
18; 복귀 스프링
19; 누름봉
21; 로크 핀
24; 프레임
4; 스위치부
4a; 상시 개방 접점(a 접점) 개폐기구
4b; 상시 폐쇄 접점(b 접점) 개폐기구
5; 부착 패널
6; 자물쇠
7; 시저스 로크(scissors lock)

Claims (5)

  1. 헤드부에 컵 형상의 누름 버튼을 가지고, 축방향 및 회전방향의 양 방향으로 스프링력(力)을 받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베젤(bezel)과,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눌러 넣음 조작되면 눌러 넣음 위치에서 로크(lock)되고, 이 로크 위치의 조작부는 상기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비틀림 조작되면 로크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
    상기 누름 버튼의 내측에 원통형상의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누름 버튼을 회전방향으로는 미리 정해진(旣定) 각도만큼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축방향으로는 함께 이동하도록 연계(連繫)하며,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자물쇠를 삽입하는 잠금 구멍을 한 쌍 이상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을 둘러싸는 상기 베젤의 둘레 벽에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에 대응하여 잠금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누름 버튼 및 실린더가 대기위치에 놓여 있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과 상기 베젤의 잠금 구멍이, 자물쇠의 관통 삽입이 불가능해지도록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이며,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 넣음 조작에 의해 눌러 넣음 위치에 눌러 넣어져 로크되었을 때, 상기 실린더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의 잠금 구멍과 상기 베젤의 잠금 구멍이 서로 겹치는 위치에 놓이며, 이들 잠금 구멍에 자물쇠를 관통 삽입함으로써 로크 위치에서 상기 조작부에 잠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둘레 벽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핀을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둘레 벽의 외주면에 상기 핀을 일단의 입구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안내하는 원주(圓周) 방향의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핀을 상기 가이드 홈의 입구에 걸림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일정 각도 비튼 상태로 걸림고정하고, 이 대기위치에서 상기 누름 버튼의 눌러 넣는 조작에 연동하여 실린더가 눌러 넣어짐에 따라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홈의 입구에서의 걸림결합이 풀려 홈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실린더를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의 하단과 실린더의 상단의 사이에 축방향의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누름 버튼을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에 외측으로부터 덮어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로크 위치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상기 누름 버튼의 정상(頂) 벽면과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베젤의 둘레 벽에 잠금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잠금 구멍을 통해 자물쇠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에 형성한 잠금 구멍과 상기 베젤에 형성한 잠금 구멍에 걸쳐서 시저스 로크(scissors lock)를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KR1020140113189A 2014-03-11 2014-08-28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KR101675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7236A JP6279939B2 (ja) 2014-03-11 2014-03-11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JPJP-P-2014-047236 201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14A KR20150106314A (ko) 2015-09-21
KR101675468B1 true KR101675468B1 (ko) 2016-11-11

Family

ID=5420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189A KR101675468B1 (ko) 2014-03-11 2014-08-28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79939B2 (ko)
KR (1) KR101675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24B1 (ko) * 2020-10-02 2021-03-29 (주)엔씨테크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8573B (zh) * 2015-12-28 2017-08-22 宁波速普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触发式急停开关
CN109950080A (zh) * 2019-04-01 2019-06-28 西北工业大学 一种用于航空类机械锁的到位开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600A (ja) * 2006-02-02 2007-08-16 Idec Corp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JP2008311097A (ja) * 2007-06-15 2008-12-25 Chichibu Fuji Co Ltd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951A (ja) 1991-07-09 1993-01-29 Fuji Electric Co Ltd スイツチの保護カバー
FR2726938B1 (fr) * 1994-11-16 1997-01-24 Baco Const Elect Bouton de commande a accrochage du type pousser-tirer, notamment pour action sur un composant electrique
JP3991421B2 (ja) * 1998-02-09 2007-10-17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
JP4148495B2 (ja) 2001-12-10 2008-09-10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
JP4565925B2 (ja) * 2004-08-06 2010-10-20 Idec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
JP4741952B2 (ja) * 2006-02-02 2011-08-10 Idec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
JP2009032402A (ja) * 2007-07-24 2009-02-12 Toshiba Corp モーメンタリ動作のスイッチをオルタネイト動作に変換するための機構および押しボタン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600A (ja) * 2006-02-02 2007-08-16 Idec Corp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JP2008311097A (ja) * 2007-06-15 2008-12-25 Chichibu Fuji Co Ltd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24B1 (ko) * 2020-10-02 2021-03-29 (주)엔씨테크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14A (ko) 2015-09-21
JP2015170582A (ja) 2015-09-28
JP6279939B2 (ja)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0598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US10068729B2 (en) Switch device
US7227092B2 (en)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ic switching device with locking device
US9147532B2 (en) Emergency stopping device
US20190264481A1 (en) Appliance Door Lock
KR101635255B1 (ko)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특히 가정용품의 도어를 위한 시스템
KR101675468B1 (ko)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CN108807023B (zh) 紧急停止装置
US8513557B2 (en) Actuator device and an electric switch device provided therewith
JP4927023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US9169677B2 (en) Locking device with door interrogator
KR101056813B1 (ko)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JP4890357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JP2010033797A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US20100307899A1 (en) Safety switch having a hold-closed function for positive opening of contact elements; and method for positive opening of contact elements of a safety switch with a locking function
EP3576124B1 (en) Quick-action orthogonal motion conversion mechanism with direct-acting return feature
JP4956457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JP6251952B2 (ja) セレクタスイッチ
JP6848707B2 (ja) 非常停止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13033614A (ja) 安全スイッチ
JP2009187836A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WO2019065627A1 (ja) スイッチ
JPH07211198A (ja) キースイッチ
JP2006120480A (ja) キ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