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986A -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 Google Patents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986A
KR20170027986A KR1020150124671A KR20150124671A KR20170027986A KR 20170027986 A KR20170027986 A KR 20170027986A KR 1020150124671 A KR1020150124671 A KR 1020150124671A KR 20150124671 A KR20150124671 A KR 20150124671A KR 20170027986 A KR20170027986 A KR 2017002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ushion portion
sofa
interior materi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849B1 (ko
Inventor
유왕수
Original Assignee
유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왕수 filed Critical 유왕수
Priority to KR102015012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8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기능 쿠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쿠션은, 제1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1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쿠션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2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타측과 상기 제2쿠션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잠금수단; 상기 제1쿠션부에 설치된 각도조절장치;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쿠션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팔받침대, 발받침대,헤드레스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소파용 팔받침대와 헤드레스트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크게 개선된 소파용 다기능 쿠션을 제공한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및 지압효과가 있는 황토볼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Multi function cushion and sofa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파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헤드레스트, 팔걸이 등과 같이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원적외선 방사, 지압 등 사용자의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기능 쿠션에 관한 것이다.
소파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가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배면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팔받침대와,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좌석용 쿠션과, 배면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 등받이용 쿠션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배면프레임의 상단 또는 등받이용 쿠션의 상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소파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팔받침대와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를 받쳐주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일반적으로 전혀 다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팔받침대와 헤드레스트를 항상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둘째, 종래의 팔받침대 또는 헤드레스트는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신장이 너무 크거나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그 높이가 신체에 꼭 맞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0368호(공개일: 2011.01.1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팔받침대, 발받침대, 헤드레스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소파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소파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소파용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소파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1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1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쿠션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2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타측과 상기 제2쿠션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잠금수단; 상기 제1쿠션부에 설치된 각도조절장치;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봉을 포함하는 소파용 다기능 쿠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에서, 상기 제1 내장재는 적어도 일면에 다수의 황토볼이 매설된 발포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제2 내장재는 서로 구획된 다수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포대와, 상기 다수의 수용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와 함께 상기 다수의 수용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 다수의 황토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은, 상기 제1 내장재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보강재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장재의 상기 삽입홈의 바닥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결합봉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서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결합봉은 상기 보강재에 구비된 절개홈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좌석용 쿠션이 놓여지는 베이스프레임; 등받이용 쿠션이 결합되는 배면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또는 상기 배면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다기능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쿠션은, 제1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1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쿠션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2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타측과 상기 제2쿠션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잠금수단; 상기 제1쿠션부에 설치된 각도조절장치;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봉을 포함하는 소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쿠션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팔받침대, 발받침대, 헤드레스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소파용 팔받침대, 헤드레스트 등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크게 개선된 소파용 다기능 쿠션을 제공한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및 지압 효과가 있는 황토볼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이 설치된 소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의 배면도
도 6은 제1쿠션에 내장된 제1내장재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제2쿠션에 내장된 제2내장재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제1쿠션의 커버를 벗긴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1은 제1 내장재에 보강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1쿠션에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100)이 장착된 소파를 예시한 것으로서, 좌석용 쿠션(192)이 놓여진 베이스프레임(182)의 상면 일측에는 다기능 쿠션(100)이 장착되고, 등받이용 쿠션(194)이 결합된 배면프레임(184)의 상단에는 다기능 쿠션(10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프레임(182)의 상면에 설치된 다기능 쿠션(100)은 팔받침대의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는 발받침대 또는 헤드레스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배면프레임(184)의 상단에 놓여진 다기능 쿠션(100)은 헤드레스트의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100)은 필요에 따라 팔받침대, 발받침대 또는 헤드레스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팔받침대, 발받침대, 헤드레스트 등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100)은, 도 2 내지 도 5의 사시도,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쿠션부(110)와, 제1쿠션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쿠션부(120)와, 제1쿠션부(110)와 제2쿠션부(120)의 각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제1쿠션부(110)와 제2쿠션부(120)의 각 타측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설치된 지퍼 등의 잠금수단(1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100)은 제1쿠션부(110)와 제2쿠션부(120)가 상하로 배치된 복층 구조를 가지며, 제1쿠션부(110)와 제2쿠션부(120)의 내장재를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쿠션부(110)와 제2쿠션부(120)의 내장재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쿠션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쿠션부(110)는 소파의 베이스프레임(182) 또는 배면프레임(184)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1쿠션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쿠션부(120)는 팔이나 머리 등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1쿠션부(110)는 제1 내장재와 이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제2쿠션부(120)는 제2 내장재와 이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도 6은 제1쿠션부(110)를 구성하는 제1 내장재(112)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면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나타내었으나 구체적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쿠션부(110)의 커버 저면에는 제1 내장재(112)를 삽입하거나 빼낼 때 사용하기 위한 지퍼(도 9의 136)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장재(112)에 다수의 황토볼(118)을 포함시킴으로써 원적외선 방사 등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황토볼(118)은 제1 내장재(112)의 표면과 내부에 걸쳐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매설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가까운 상면에만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매설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내장재(112)는, 예를 들어 금형에 다수의 황토볼(118)을 장입한 후 폴리우레탄 발포제를 투입하고 가압 가열하는 발포 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장재(112)의 상면에만 다수의 황토볼(118)이 분포된다.
황토볼(118)의 재료는, 예를 들어, 황토 50 중량%, 토르말린 10 중량%, 견운모 20 중량 %, 맥반석 2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발포제와 황토가루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후 금형으로 공급하여 발포 성형을 하면, 제1 내장재(112)의 전체에 걸쳐 황토가루가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장재(112)의 일면에 황토볼(118)을 추가로 매설할 수도 있다.
도 7은 제2쿠션부(120)에 포함된 제2 내장재(170)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부(171)에 의해 서로 격리된 다수의 수용부(173)를 포함하는 포대와, 각 수용부(173)에 장입된 쿠션재를 포함한다. 각 수용부(173)에는 쿠션재 삽입을 위한 지퍼(175)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내장재(170)에 사용되는 쿠션재는, 예를 들어 거위털, 솜, 황토볼을 40%, 40%, 20% 의 체적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황토볼은 제1 내장재(112)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특히 제2 쿠션부(120)는 사용자의 인체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제2 내장재(170)의 각 수용부(173)에 분산 수용된 다수의 황토볼은 원적외선 방사를 통해 사용자의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신체(예, 머리)를 눌러서 지압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다만 제2 내장재(170)의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내장재(112)와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쿠션부(110)의 커버와 제2쿠션부(120)의 커버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내장재(112)가 수용되는 공간과 제2 내장재(170)가 수용되는 공간 사이의 경계부분이 연결부(130)에 해당된다.
도 8은 잠금수단(132)을 열어서 다기능 쿠션(100)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부(130)의 양쪽에 제1쿠션부(110)와 제2쿠션부(120)가 각각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 제2쿠션부(12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퍼(134)는 제2내장재(170)를 삽입하거나 빼낼 때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쿠션(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쿠션부(110)에 각도조절장치(160)가 설치되고, 각도조절장치(160)에는 프레임결합봉(140)의 일단이 결합된다. 도면에는 각도조절장치(160)와 프레임결합봉(140)이 각각 2개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그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결합봉(140)의 타단은 제1쿠션부(110)의 커버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소파의 베이스프레임(도 1의 182) 또는 배면프레임(도 1의 184)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쿠션부(110)는 각도조절장치(160)에 의해 소파의 베이스프레임(182) 또는 배면프레임(184)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결국 제1 쿠션부(110)를 포함하는 다기능 쿠션(100)은 각도조절장치(16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도조절장치(160)를 발포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1 내장재(112)에 직접 결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장재(112)의 저면에 소정 깊이의 삽입홈(113)을 형성하고, 삽입홈(113)에 보강재(150)를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보강재(150)에 각도조절장치(160)를 결합한다.
한편 제1 내장재(112)의 삽입홈(113)의 바닥에 2개의 설치홈(115)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각도조절장치(160)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홈(115)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각도조절장치(160)로 인해 제1 쿠션부(110)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내장재(112)가 탄성 재질인 경우에는, 보강재(150)의 면적을 삽입홈(113)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보강재(150)를 삽입홈(113)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150)는 삽입홈(113)의 내부에 단순히 삽입될 수도 있고,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 등을 통해 제1 내장재(1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내장재(112)에 삽입홈(113)을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보강재(150)를 제1내장재(112)의 저면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면 삽입홈(113)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만 이렇게 하면 보강재(150)를 삽입홈(113)에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쿠션부(110)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보강재(150)는 평판 형상으로서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그 형상이나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레임연결봉(140)은 각도조절장치(16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소정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므로, 보강재(150)에는 프레임연결봉(140)이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절개홈(1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개홈(152)은 제1 내장재(112)의 설치홈(1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기능 쿠션(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파의 베이스프레임(182)의 상면 또는 배면프레임(184)의 상단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제1쿠션부(110)의 저면으로 돌출된 프레임결합봉(140)의 단부를 소파의 고정홈에 삽입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82)의 상면에 장착된 다기능 쿠션(100)은 팔받침대의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소파에 누운 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 또는 발받침대의 역할도 한다.
배면프레임(184)의 상단에 장착된 다기능 쿠션(100)은 헤드레스트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다기능 쿠션(100)을 소파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기능 쿠션(100)의 상단을 자신 쪽으로 당기거나 반대쪽으로 누르면 각도조절장치(160)가 회전하면서 다기능 쿠션(100)의 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기능 쿠션(100)의 높이를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100: 다기능 쿠션 110: 제1쿠션부
112: 제1내장재 113: 삽입홈
114: 커버 115: 설치홈
118: 황토볼 120: 제2쿠션부
130: 연결부 132: 잠금수단
134, 136: 지퍼 140: 프레임결합봉
150: 보강재 152: 절개홈
160: 각도조절장치 170: 제2내장재
171: 구획부 173: 수용부
175: 지퍼 182: 베이스프레임
184: 배면프레임 192: 좌석용 쿠션
194: 등받이용 쿠션

Claims (5)

  1. 소파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1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1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쿠션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2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타측과 상기 제2쿠션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잠금수단;
    상기 제1쿠션부에 설치된 각도조절장치;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봉
    을 포함하는 소파용 다기능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장재는 적어도 일면에 다수의 황토볼이 매설된 발포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제2 내장재는 서로 구획된 다수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포대와, 상기 다수의 수용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와 함께 상기 다수의 수용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 다수의 황토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용 다기능 쿠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장재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보강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쿠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장재의 상기 삽입홈의 바닥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결합봉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서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결합봉은 상기 보강재에 구비된 절개홈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용 다기능 쿠션
  5. 좌석용 쿠션이 놓여지는 베이스프레임;
    등받이용 쿠션이 결합되는 배면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또는 상기 배면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다기능 쿠션
    을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쿠션은,
    제1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1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쿠션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내장재를 포함하는 제2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의 타측과 상기 제2쿠션부의 타측을 결합하는 잠금수단;
    상기 제1쿠션부에 설치된 각도조절장치;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KR1020150124671A 2015-09-03 2015-09-03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KR101722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71A KR101722849B1 (ko) 2015-09-03 2015-09-03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71A KR101722849B1 (ko) 2015-09-03 2015-09-03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986A true KR20170027986A (ko) 2017-03-13
KR101722849B1 KR101722849B1 (ko) 2017-04-03

Family

ID=5841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671A KR101722849B1 (ko) 2015-09-03 2015-09-03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8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11U (ja) * 1992-05-20 1994-03-15 紀男 ▲はざま▼ 横臥可能なソファー
KR20080005347U (ko) * 2007-05-09 2008-11-13 (주)인터파크인터내셔널 접이식쇼파겸용침대
KR20110000368U (ko) 2009-07-07 2011-01-13 제이엠팩토리 주식회사 조립이 용이한 소파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11U (ja) * 1992-05-20 1994-03-15 紀男 ▲はざま▼ 横臥可能なソファー
KR20080005347U (ko) * 2007-05-09 2008-11-13 (주)인터파크인터내셔널 접이식쇼파겸용침대
KR20110000368U (ko) 2009-07-07 2011-01-13 제이엠팩토리 주식회사 조립이 용이한 소파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849B1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787A (en) Add-on adjustable back support for car seat
CN107107797B (zh) 座椅
JP6754758B2 (ja) 姿勢のサポートを備えるベッド及びベッドインサート
CN107979981A (zh) 颈部支撑枕头
CN105902034B (zh) 一种头枕自动调节的沙发
CN108657043A (zh) 竖直可调的头枕
KR102293833B1 (ko)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모듈형 소파
KR101722849B1 (ko)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RU2729834C2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US20060272084A1 (en) Bath pillow
KR101561197B1 (ko) 유동식 통풍형 지압 베개
JP3189545U (ja) 椅子及び椅子セット
KR101053093B1 (ko) 높이 조절 베개
TWI740211B (zh) 組裝式沙發
KR20220106632A (ko) 머리 압박 완화를 위한 베개
KR101703326B1 (ko) 등받이 쿠션
KR101940228B1 (ko) 베개
KR20170001591U (ko) 소파
KR200401273Y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200337702Y1 (ko) 베개
KR200388938Y1 (ko) 방석의 구조
KR20170001434U (ko) 차량용 목 및 허리용 쿠션 받침대
JPH05378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