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423A - 유해 곤충퇴치기 - Google Patents

유해 곤충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423A
KR20170027423A KR1020150123988A KR20150123988A KR20170027423A KR 20170027423 A KR20170027423 A KR 20170027423A KR 1020150123988 A KR1020150123988 A KR 1020150123988A KR 20150123988 A KR20150123988 A KR 20150123988A KR 20170027423 A KR20170027423 A KR 2017002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body
spherical
harmful
pest contr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식
홍인표
Original Assignee
홍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식 filed Critical 홍순식
Priority to KR102015012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423A/ko
Publication of KR2017002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Abstract

본 발명의 유해 곤충퇴치기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내부 중앙에 상,하로 개방된 제1수용부가 구비되며, 이 제1수용부 주변으로 상부가 개방된 제2수용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다수의 제1방출공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제1구형몸체와, 상기 제1구형몸체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통로를 가진 네크부에 의해 제1구형몸체와 통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다수의 제2방출공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제2구형몸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제1구형몸체 및 제2구형몸체 외면 전체에 형성되는 미러층;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유해 곤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해충퇴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퇴치기 본체의 제1구형몸체 및 제2구형몸체 외면 전체에 표면 조도가 매우 양호한 미러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탁월한 볼록렌즈 효과에 의해 파리 등과 같은 육안으로 사물을 판별하는 유해 곤충 퇴치에 효과적이다. 또한, 퇴치기 본체 내부에 자연 방향식 또는 전기가열식 퇴치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유해 곤충에 대응하는 기피제나 천연 살충 성분을 발산시킬 수 있어 효과적인 퇴치와 박멸이 모두 가능하다.

Description

유해 곤충퇴치기{Pest Control Devices}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유해 곤충에 대응하는 자연 방향식 또는 전기가열식 퇴치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유해 곤충을 빛으로 유인하여 퇴치시킬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바닥이나 매달아 사용할 수 있고, 사람이나 유해 곤충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스로 움직이면서 퇴치 성분과 조명 빛을 선택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해 곤충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유해 곤충퇴치기는 유해 곤충 종류에 따라 기피하는 성분이나 음파 그리고 향기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유해 곤충퇴치기의 제1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6995호 '파리퇴치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2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1310호 ' 휴대용 매트훈증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1선행기술은 파리의 눈이 볼록렌즈인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실내에 들끊는 파리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퇴치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파리 퇴치기로서, 원형이나 타원형의 합성수지로 된 파리 퇴치기구(1)에 액체 투입구(3)와 고리(2)가 형성됨과 아울러 돌기(5)가 형성된 뚜껑(4)이 구비되고, 파리 퇴치기구(1)의 액체 투입구(3)를 통해 액체로 된 용액을 투입한 후 뚜껑(4)을 끼워 밀폐시킨 후 실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못이나 기타 걸이용 부착물을 구비하여 고리(2)를 이용하여 달아 놓음에 따라, 실내에 날아든 파리(10)가 원형의 파리 퇴치기구(1)에 반사되면 눈이 볼록렌즈인 파리(10)는 자신의 모습이 크게 확대되어 보이게 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파리(10)는 크게 반사된 파리(100) 자신의 모습에 놀라 실외로 도망가게 되어 파리를 퇴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제1선행기술은 파리를 퇴치하는 기능은 제공하고 있으나, 모기나 바퀴벌레, 개비 등의 기타 유해 곤충을 퇴치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주로 날라 다니는 파리를 퇴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매달아서 사용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볼록렌즈 효과가 낮아 반사되는 파리 자기 모습에 파리가 놀라지 않아 퇴치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2선행기술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하면서, 지속적으로 긴 시간 동안 훈증할 수 있는 휴대용 매트 훈증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야외에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액체연료를 이용한 방식이므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는 있지만 유해 곤충을 유인하는 수단이 없어 유해 곤충의 퇴치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으며, 액체 연료는 인화성 물질이므로 야외에서 산불과 같은 화재 위험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널리 애용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6995호(2000.10.05.)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1310호(2005.04.01.)
본 발명 유해 곤충 퇴치기는, 퇴치기 본체 내부에 자연 방향식 또는 전기가열식 퇴치제를 여러 종류의 유해 곤충에 대응하여 자연 방향식 또는 전기가열식 퇴치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해 곤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유해 곤충을 조명 빛으로 유인한 후 외부로 방출되는 퇴치제 성분을 통해 박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해 곤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유해 곤충 퇴치기를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바닥이나 매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해 곤충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이나 유해 곤충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스로 움직이면서 퇴치 성분과 조명 빛을 선택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해 곤충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해충 퇴치부재와 조명부재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해 곤충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 유해 곤충 퇴치기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내부 중앙에 상,하로 개방된 제1수용부가 구비되며, 이 제1수용부 주변으로 상부가 개방된 제2수용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다수의 제1방출공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제1구형몸체와, 상기 제1구형몸체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통로를 가진 네크부에 의해 제1구형몸체와 통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다수의 제2방출공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제2구형몸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제1구형몸체 및 제2구형몸체 외면 전체에 형성되는 미러층;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유해 곤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해충퇴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구형몸체 내부에는 온/오프스위치,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가 내장되고, 외면 일측에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제2수용부에는 상기 제1방출공 및 제2방출공을 통해 빛을 방출하기 위한 빛 확산부재가 구비된 엘이디조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수용부에 구비되는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구형몸체 내부에는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네크부 외면에는 전면에 빛 확산캡을 가진 다수의 엘이디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구형몸체의 구면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안착면이 형성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구형몸체 외주면과 상기 받침부재의 안착면에는 서로 척력으로 반발하는 같은 극성의 자력부재가 방사형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구형몸체 상부 중앙에는 접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주립되는 걸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구형몸체의 제1수용부 또는 제2수용부 바닥에는 웨이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구형몸체 및 제2구형몸체는 한 쌍의 반구형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구형몸체는 서로 나사 조립에 의해 구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충퇴치부재 또는 상기 엘이디조명부재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수용부에 착탈 가능한 장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 및 해충을 감지하여 상기 엘이디조명부재와 상기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와 상기 네크부의 엘이디를 일정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략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퇴치기 본체의 제1구형몸체 및 제2구형몸체 외면 전체에 표면 조도가 매우 양호한 미러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탁월한 볼록렌즈 효과에 의해 파리 등과 같은 육안으로 사물을 판별하는 유해 곤충 퇴치에 효과적이다.
또한, 퇴치기 본체 내부에 자연 방향식 또는 전기가열식 퇴치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유해 곤충에 대응하는 기피제나 천연 살충 성분을 발산시킬 수 있어 효과적인 퇴치와 박멸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곤충이 엘이디 조명 빛에 의해 쉽게 유인된 후 본체 외부로 방출되는 기피제 및 퇴치제 성분을 통해 유해 곤충 퇴치 및 박멸이 동시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곤충 퇴치기를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바닥이나 매달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곤충 종류와 설치 환경에 맞게 최적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사람이나 유해 곤충의 움직임을 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여 유해 곤충을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제2구형몸체에 구비된 편심모터나 진동부재를 통해 퇴치기 본체 스스로 움직이면서 퇴치 성분과 조명 빛을 다양한 형태로 선택적 발산하게 되므로 유해 곤충의 근접 및 박멸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해충 퇴치부재와 조명부재를 제2수용부와 나사 조립식으로 탈착 가능한 장착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 유해 곤충 퇴치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해 곤충 퇴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유해 곤충 퇴치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유해 곤충 퇴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 유해 곤충 퇴치기는 퇴치기본체(10)와, 미러층(11)과 기체 형태로 퇴치성분이 발산되는 해충퇴치부재(40)로 구성될 수 있다.
퇴치기본체(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1구형몸체(20)와 제2구형몸체(30)가 중간이 오목한 네트부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되어 대략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구형몸체(20)는,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 상,하로 개방된 제1수용부(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수용부(21) 주변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제2수용부(31)가 구비되며, 제1구형몸체(20) 외면에 다수의 제1방출공(22) 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2구형몸체(30)는,
상기 제1구형몸체(20)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제1구형몸체(20)의 중량을 무겁게 함으로써 퇴치기본체(10)가 오뚝이 것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구형몸체(30) 내부에는 통로를 가진 네크부(12)에 의해 제1구형몸체(20)와 통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다수의 제2방출공(32)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형몸체(20) 및 제2구형몸체(30) 외면 전체에 형성되는 미러층(11)이 형성됨으로써 눈이 볼록렌즈인 파리와 같은 유해 곤충이 자신의 모습이 크게 확대되게 하여 유해 곤충을 퇴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해충퇴치부재(40)는,
상기 제1수용부(21)와 제2수용부(31)에 유해 곤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퇴치성분이 기체 형태로 발산되는 천연 또는 합성물질의 퇴치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형은 공지의 해충퇴치패드(41)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체나 겔 형태의 방향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충퇴치부재(40) 재료는 가급적 인체에 무해한 천연성분의 천연피레트린, 합성 천연피레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라벤더, 로즈제라늄, 레몬그라스, 야래향, 구문초, 벤쿠버제라늄 등을 유해 해충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제1수용부(21) 및 제2수용부(31)에 각각 다른 성분의 해충퇴치부재(40)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가지는 퇴치기본체(10)는 도 1과 같이 각각의 구심점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1구형몸체(20) 및 제2구형몸체(30)가 각각 한 쌍의 반구형몸체(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구형몸체(14)는 도 2 및 도 3 과 같이 서로 나사 조립에 의해 구형으로 조립되거나 제1구형몸체(20) 및 제2구형몸체(30)는 각각 반구형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구형몸체(20) 또는 제2구형몸체(30) 내부에 해충 종류에 대응하는 해충퇴치부재(40)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때 편리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곤충 퇴치기에 의하면 퇴치기본체(10) 내부에 해당 유해 곤충이 기피하는 해충퇴치부재(40)를 한 가지 또는 두 가지를 삽입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수용부(21)와 제2수용부(31) 중 어느 한 곳에 하나의 해충퇴치부재(40)를 넣을 수 있으며, 제1수용부(21)와 제2수용부(31)에 다른 종류의 해충퇴치부재(40)를 넣을 수 있으므로 유해 곤충을 퇴치하려는 설치 장소나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퇴치 성분이 제1방출공(22) 및 제2방출공(32)을 통하여 한 가지 또는 두 가지의 퇴치 성분이 외부로 발산되므로 모기, 나방, 등의 여러 종류의 유해 곤충을 퇴치시키거나 박멸시킬 수 있게 되고, 퇴치기본체(10) 외면에 형성된 미러층(11)은 오뚝이 형상의 볼록 렌즈 효과에 의해 파리와 같은 유해 곤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치기본체(10)는 오뚝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퇴치기본체(10)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건들게 되면 퇴치기본체(10)가 오뚝이처럼 전,후,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미러층(11)에 의해 반사되는 볼록 렌즈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파리들이 보다 큰 위협을 느끼도록 하여 퇴치할 수 있으며, 흔들리는 작동에 의해 내부에서 발산되는 해충퇴치부재(40)의 퇴치 성분이 제1방출공(22) 및 제2방출공(32)을 통해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미러층(11)은 제1구형몸체(20) 및 제2구형몸체(30)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지는 경크롬이나 티타늄 도금 가공 처리를 통하여 표도 조도가 양호한 거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면 연마한 후 크롬이나 도금 가공 처리를 하고, 스테인레스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면 연마를 통해 광을 내어 미러층(1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구형몸체(20) 내부에는 온/오프스위치(미도시), 배터리(50) 및 제어회로부(51)가 내장되고, 외면 일측에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21) 또는 제2수용부(31)에는 상기 제1방출공(22) 및 제2방출공(32)을 통해 빛을 방출하기 위한 빛 확산부재가 구비된 엘이디조명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중앙의 제1수용부(21)에는 해충퇴치부재(40)가 삽입되고, 제2수용부(31)에는 엘이디조명부재(60)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엘이디조명부재(60) 하부에는 상기한 온/오프스위치(미도시), 배터리(50) 및 제어회로부(51)를 내장시켜 퇴치기본체(10)의 하부로 무게중심이 치우치도록 하여 오뚝이 작동이 잘되돌록 구성할 수 있다.
엘이디조명부재(60) 상부에는 빛확산부재(61)가 구비될 수 있다,
빛 확산부재는 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수용부(21) 입구로부터 제1방출공(22)을 향해 확장되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해충퇴치부재(40)의 퇴치성분이 제1방출공(22)과 제2방출공(32) 쪽으로만 안내되도록 하고, 엘이디 빛은 투명 재질의 빛확산부재(61)를 통과하여 굴절되면서 제1방출공(22)과 제2방출공(32) 전체를 통하여 외부로 빛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엘이디조명부재(60)의 인쇄회로기판(62)은 대략 도우넛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엘이디칩(63)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실장 되어 엘이디 빛이 고르게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엘이디조명부재(60)에서 제1방출공(22) 및 제2방출공(3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은 주로 야간 활동을 하는 유해 곤충을 유인하여 퇴치기본체(10) 내부에 삽입된 해충퇴치성분을 통해 박멸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중앙의 제1수용부(21)에는 엘이디조명부재(60)가 장착되고, 제2수용부(31)에는 해충퇴치부재(40)가 방사형으로 배열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엘이디조명부재(60)의 인쇄회로기판(6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 상기한 온/오프스위치(미도시), 배터리(50) 및 제어회로부(51)를 내장시켜 퇴치기본체(10)의 하부로 무게중심이 편심되도록 하여 퇴치기본체(10)가 오뚝이 작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엘이디조명부재(60) 상부에는 제2빛확산부재(64)가 구비되는데, 제2빛확산부재(64)는 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엘이디조명부재(60)의 엘이디칩(63)을 수용하는 반구형의 제1확산부(65)와 제1확산부(65)로부터 수직으로 봉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확산부(6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확산부(66) 중앙에는 빛유도통로(67)가 형성되어 제2방출공(32) 까지 엘이디 빛이 직진한 후 그 단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확산면을 통해 굴절되어 제2방출공(3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빛확산부재(64) 외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보조빛확산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빛확산부재(70)는 대략 빛확산부재(61)와 유사한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표면에 제2수용부(31)에 삽입되는 해충퇴치부재(40)의 퇴치성분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슬롯(71)이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되어 퇴치 성분이 제1방출공(22) 및 제2방출공(32)을 통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확산부재 내주면 전체에는 반사층(72)을 형성하여 제1수용부(21)에 배치된 엘이디 빛이 반사층(72)에 반사된 후 제1방출공(22) 및 제2방출공(32)을 통하여 외부로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수용부(31)에 삽입되는 해충퇴치부재(40)의 퇴치성분이 보조빛확산부재(70)의 관통슬롯(71)을 통과한 후 제1방출공(22)과 제2방출공(32)으로 방출된다.
엘이디 빛은 제2빛확산부재(64)의 제1확산부(65)에 굴절된 빛은 주로 제1방출공(2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고, 제2확산부(66)에 굴절된 빛은 주로 제2방출공(3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엘이디 빛은 제1방출공(22)과 제2방출공(32) 전체적으로 외부로 빛이 방출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엘이디조명부재(60)의 인쇄회로기판(62)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엘이디칩(63)이 실장되어 엘이디 빛이 수직방향으로 빛을 방출한다.
전술한 엘이디조명부재(60)의 엘이디는 유해 곤충이 좋아하는 단색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곤충을 동시에 유인하기 위해 다색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색엘이디의 경우 제어회로부(51)에 의해 여러 색상으로 변화하면서 빛이 조사되어 유해 곤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유해 곤충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등의 엘이디칩(63)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엘이디조명부재(60)의 엘이디 빛은 주로 야간 활동을 하는 유해 곤충을 유인하여 해충퇴치성분을 통한 박멸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제어회로부(51)는 유해 곤충이 좋아하는 빛을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온/오프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유해 곤충에 해당하는 엘이디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수용부(21)에 구비되는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8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21)에 배치되고 제2수용부(31)에는 상기 엘이디조명부재(60)가 구비된다.
엘이디조명부재(60)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 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와 같이 중앙에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80)는 납작한 직사각형의 해충퇴치패드(41)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어회로부(51) 및 배터리(50)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가열판(81)의 중앙에 형성된 가열홈(82) 사이로 삽입된 후 가열판(81)의 후면에 구비된 히터(83)의 발열에 의해 기화되어 방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가열판(81)은 바람직하기로 두께가 얇고 열전도율이 양호하고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해충퇴치패드(41)를 탄력적으로 파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80)에 의하면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모기 파리 퇴치 성분을 갖는 일명 '홈매트' 퇴치제품과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열식 퇴치기 제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구형몸체(30) 내부에는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는 제2구형몸체(30) 내부에 형성되고, 제어회로부(51)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엘이디조명부재(60)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퇴치기본체(10)를 인위적으로 건드리지 않아도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가 제어회로부(51)에 의해 작동하면 그 진동부재의 진동이나 편심모터의 편심회전력에 의해 제2구형몸체(30) 쪽이 흔들리면서 퇴치기본체(10)가 전체적으로 오뚝이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오뚝이 작동은 제어회로부(51)에 사전 입력된 시간에 따라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고, 야간에는 엘이디조명부재(60)의 점등되는 형태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네크부(12) 외면에는 전면에 빛확산캡(13)을 가진 다수의 엘이디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네크부(12)에는 다수의 엘이디가 수평방향으로 빛이 조사되게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엘이디 전방에는 확산캡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엘이디조명부재(60)와 함께 네크부(12)에서도 엘이디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유해 곤충의 유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야외에서 렌턴이나 후레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로서 충분한 활용 가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구형몸체(20)의 구면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안착면(S1)이 형성된 받침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S)는 퇴치기본체(10)가 오뚝이형이므로 단순히 건드릴 경우에는 퇴치기본체(10)가 이리저리 돌아다니게 되므로 사용자와 인접한 곳에 받침부재(S)를 사용하여 퇴치기본체(10)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즉 퇴치기본체(10)의 하부는 구형으로 이루고 있으므로 이보다 큰 곡률을 갖는 안착면(S1)에 올려 놓으면 퇴치기본체(10)를 사용자가 건드리면 이리저리 굴러다니지 않고 받침부재(S)의 안착면(S1) 영역에서 오뚝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퇴치기본체(10)를 받침부재(S)에 올려놓은 상태에서도 오뚝이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구형몸체(30) 외주면과 상기 받침부재(S)의 안착면(S1)에는 서로 척력으로 반발하는 같은 극성의 자력부재가 방사형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면(S1)의 가장자리 영역에 'N'극의 고정자석(M1)을 방사형으로 배열하여 매립되게 하고, 퇴치기본체(10)의 제1구형몸체(20) 외면에는 가동자석(M2)을 방사형으로 배열하여 매립시킨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건드리거나 진동부재 또는 편심모터에 의해 퇴치기본체(10)가 오뚝이 작동을 하는 경우 자석의 척력에 의하여 받침대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지속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스로 오뚝이 작동하는 퇴치기본체(10)에 의하여 주간이나 야간 모두 편리하게 퇴치기를 이용하여 유해 곤충을 퇴치하고 박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구형몸체(30) 상부 중앙에는 접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조립되는 걸이부재(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91)는 링,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와이어줄이나 못 등으로 이용하여 벽면이나 천정 텐트 내,외부에 매달아 사용할 수 있어 캠핑을 즐길 때 사용하면 매우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구형몸체(20)의 제1수용부(21) 또는 제2수용부(31) 바닥에는 웨이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부재는 제1수용부(21) 또는 제2수용부(31) 바닥면에 치우쳐서 장착되고, 비중이 높은 금속 또는 비금속 중량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오뚝이 작동이 오래 지속 되도록 하고, 오뚝이 작동이 멈춘 후에는 퇴치기 본체(10)가 똑바로 서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충퇴치부재(40) 또는 상기 엘이디조명부재(60)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수용부(21)에 착탈 가능한 장착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해충퇴치부재(40) 또는 엘이디조명부재(60)가 삽입되는 삽입부(101)와 제1수용부(21)의 출입구를 폐쇄하는 마감캡부(102)로 구성될 수 있다.
마감캡부(102)와 삽입부(101) 경계에는 나사부(105)가 형성되어 제1수용부(21) 입구에 형성된 나사부(부호미도시)와 나사 조립됨으로써 제1구형몸체(20)와 일체로 조립된다.
그리고 마감캡부(102) 저면에는 삽입홈(103)이 형성되어 공구나 동전을 이용하여 장착부재(100)를 조이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100)의 삽입부에는 도 5와 같이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가열판(81)이 삽입부(101) 내부에 장착되고 삽입부(101) 내,외면에는 배터리(50)에서 전원 공급받기 위한 링 단자부(104)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장착부재(100)를 분리한 후 해충퇴치패드(41)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회로부(51)는 상기 본체(10)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 및 해충을 감지하여 상기 엘이디조명부재(60)와 상기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90)와 상기 네크부(12)의 엘이디조명부재(60)를 일정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퇴치기본체(10) 외면 일부 또는 전체에 감지센서를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노출되게 구비함으로써 퇴치기본체(10)가 인체나 유해곤충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회로부(51)의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80), 엘이디조명부재(60), 진동부재 또는 편심모터(9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인체 또는 유해 곤충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퇴치기본체 11: 미러층
12: 네크부 13: 빛확산캡
14: 반구형몸체
20: 제1구형몸체 21: 제1수용부
22: 제1방출공
30: 제2구형몸체 31: 제2수용부
32: 제2방출공
40: 해충퇴치부재 41: 해충퇴치패드
50: 배터리 51: 제어회로부
60: 엘이디조명부재 61: 빛확산부재
62: 인쇄회로기판 63: 엘이디칩
64: 제2빛확산부재 65: 제1확산부
66: 제2확산부 67: 빛유도통로
70: 보조빛확산부재 71: 관통슬롯
72: 반사층
80: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 81: 가열판
82: 가열홈 83: 히터
90: 진동부재 및 편심모터 91: 걸이부재
100: 장착부재 101: 삽입부
102: 마감캡부 103: 삽입홈
104: 링단자부 105: 나사부
S: 받침부재 S1: 안착면
M1: 고정자석 M2: 가동자석

Claims (13)

  1. 구형으로 이루어져 내부 중앙에 상,하로 개방된 제1수용부가 구비되며, 이 제1수용부 주변으로 상부가 개방된 제2수용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다수의 제1방출공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제1구형몸체와,
    상기 제1구형몸체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통로를 가진 네크부에 의해 제1구형몸체와 통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다수의 제2방출공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제2구형몸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제1구형몸체 및 제2구형몸체 외면 전체에 형성되는 미러층;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유해 곤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해충퇴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 퇴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형몸체 내부에는 온/오프스위치,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가 내장되고, 외면 일측에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제2수용부에는 상기 제1방출공 및 제2방출공을 통해 빛을 방출하기 위한 빛 확산부재가 구비된 엘이디조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구비되는 전기가열식 해충퇴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형몸체 내부에는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 외면에는 전면에 빛 확산캡을 가진 다수의 엘이디가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형몸체의 구면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안착면이 형성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형몸체 외주면과 상기 받침부재의 안착면에는 서로 척력으로 반발하는 같은 극성의 자력부재가 방사형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형몸체 상부 중앙에는 접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주립되는 걸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형몸체의 제1수용부 또는 제2수용부 바닥에는 웨이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형몸체 및 제2구형몸체는 한 쌍의 반구형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구형몸체는 서로 나사 조립에 의해 구형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부재 또는 상기 엘이디조명부재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수용부에 착탈 가능한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13.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 및 해충을 감지하여 상기 엘이디조명부재와 상기 편심모터 또는 진동부재와 상기 네크부의 엘이디를 일정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곤충퇴치기.
KR1020150123988A 2015-09-02 2015-09-02 유해 곤충퇴치기 KR20170027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88A KR20170027423A (ko) 2015-09-02 2015-09-02 유해 곤충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88A KR20170027423A (ko) 2015-09-02 2015-09-02 유해 곤충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23A true KR20170027423A (ko) 2017-03-10

Family

ID=5841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988A KR20170027423A (ko) 2015-09-02 2015-09-02 유해 곤충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4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194B1 (ko) * 2017-09-21 2018-08-28 김윤선 요동형 알람 장치
KR102036455B1 (ko) * 2018-06-18 2019-10-24 손예진 해충 퇴치를 겸하는 랜턴
CN112887580A (zh) * 2021-03-01 2021-06-01 深圳市泽行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防止蚊虫环绕镜头的野外拍摄相机
KR102546596B1 (ko) * 2022-12-13 2023-06-22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오뚝이타입 훈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995Y1 (ko) 2000-06-01 2000-12-15 최기용 파리 퇴치기
KR200381310Y1 (ko) 2005-01-13 2005-04-14 손태익 휴대용 매트 훈증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995Y1 (ko) 2000-06-01 2000-12-15 최기용 파리 퇴치기
KR200381310Y1 (ko) 2005-01-13 2005-04-14 손태익 휴대용 매트 훈증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194B1 (ko) * 2017-09-21 2018-08-28 김윤선 요동형 알람 장치
KR102036455B1 (ko) * 2018-06-18 2019-10-24 손예진 해충 퇴치를 겸하는 랜턴
CN112887580A (zh) * 2021-03-01 2021-06-01 深圳市泽行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防止蚊虫环绕镜头的野外拍摄相机
CN112887580B (zh) * 2021-03-01 2021-10-29 深圳市泽行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防止蚊虫环绕镜头的野外拍摄相机
KR102546596B1 (ko) * 2022-12-13 2023-06-22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오뚝이타입 훈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0963B2 (ja) 蚊の誘殺器又は捕獲器
US7841131B2 (en) Light trap for insects
US7469499B2 (en) Light trap for insects
US6502347B1 (en) Lighted insect trap
US5595018A (en) Mosquito killing system
US20170295771A1 (en) Insect light trap with light transmissive glue board
KR20170027423A (ko) 유해 곤충퇴치기
EP0813359B1 (en) Device for trapping insects
US9883666B1 (en) Flying insect trap
AU200921481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ring predators
US11116199B2 (en) Acoustic lethal ovitrap
JP2012239443A (ja) 捕虫器
US20100212211A1 (en) Device for catching insects
KR20160007168A (ko) 빛과 향을 이용한 모기 퇴치기
US10443810B1 (en) Disposable dual walls lampshade insect trap
EP1716753A1 (en) Insect suction apparatus
AU679867B2 (en) Light trap for insects
MXPA97003704A (en) Light trap for insec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JP2019058124A (ja) 昆虫誘引装置
KR10097070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해충 퇴치 조명기구
KR102536909B1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KR200190462Y1 (ko)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JP6546615B2 (ja) ノミ捕獲装置
WO2019065076A1 (ja) 昆虫行動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