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149A - 도면 영상 투사 장치 - Google Patents

도면 영상 투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149A
KR20170027149A KR1020150123727A KR20150123727A KR20170027149A KR 20170027149 A KR20170027149 A KR 20170027149A KR 1020150123727 A KR1020150123727 A KR 1020150123727A KR 20150123727 A KR20150123727 A KR 20150123727A KR 20170027149 A KR20170027149 A KR 2017002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rawing image
user input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441B1 (ko
Inventor
박인하
김호구
박정서
홍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4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06F17/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면 영상 투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영상 투사 장치는, 사용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도면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 내 도면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도면 영상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면 영상 투사 장치{APPARATUS FOR PROJECTING DRAWING IMAGE}
본 발명은 도면 영상 투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제작 시 작업자는 다양한 크기의 도면을 여러 장 소지한 채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종이에 인쇄된 각종 크기의 도면들을 소지한 채 부재를 설치하거나 이동하는 것은 작업에 불편을 초래하여 생산성 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활용하는 사용자가 도면을 소지하지 않고도 그 내용을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영상 투사 장치는, 사용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도면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 내 도면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도면 영상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는 구조물을 식별하기 위한 구조물 식별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리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영상 투사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 내 사용자의 모션 좌표를 검출하는 모션 좌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을 확대, 축소,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도면 영상에 표시된 부재의 사이즈와 실물 부재의 사이즈 간 비율이 1:1이 되도록 상기 도면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는 기 설정된 실물 부재의 사이즈와 상기 도면 영상에 표시된 부재의 사이즈가 동일하게 표시되는 상기 영상 투사부와 상기 도면 영상이 투사되는 평면 간의 기준 거리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와 상기 도면 영상이 투사되는 평면 간의 현재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거리와 상기 현재 거리를 기초로 상기 도면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도면 영상에 결합하여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면을 직접 소지하지 않고도 도면 내용을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을 참조하여 진행되는 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영상 투사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투사부가 도면 영상을 수직면 및 수평면에 투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 영상 투사 장치가 제공하는 도면 영상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투사부와 표시 평면 간의 기준 거리 및 현재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 영상 투사 장치가 도면 영상에 부가 정보를 추가하여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영상 투사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면 영상을 조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는 영상 투사부(110), 검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투사부(110)는 도면 영상을 투사한다. 상기 검출부(120)는 상기 도면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도면 영상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영상 투사부(110)는 도면에 관한 영상을 소정의 투영면에 투사하는 것으로, 일 예로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투사부(110)는 도면 영상을 수직면 또는 수평면에 투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투사부(110)가 도면 영상(20)을 수직면 및 수평면에 투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투사부(110)는 도면 영상(20)을 소정의 수직면(201)에 투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면(201)은 작업장에 있는 벽면 또는 구조물의 측면일 수 있으나, 영상이 투영되어 사용자가 영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면이라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투사부(110)는 도면 영상(20)을 소정의 수평면(202)에 투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면(202)은 작업장의 바닥일 수 있으나, 역시 영상이 투영되어 사용자가 영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면이라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는 리더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부(140)는 구조물을 식별하기 위한 구조물 식별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영상 투사부(11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대한 도면 영상이 투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는 바코드, QR 코드, OCR(Optical Character Reader)로 읽을 수 있는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는 RFID 태그에 기록된 식별자일 수도 있다.
상기 리더부(140)는 위 구조물 식별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는 장치로서,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촬영 장치, OCR, RFID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전달받은 구조물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영상 투사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 데이터는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에 포함된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150)로부터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 데이터는 별도의 도면 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에 포함된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도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는 구조물 식별 데이터를 읽어들여 그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도면 영상(20)을 투사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수의 도면들 중에서 필요한 도면을 쉽게 선택하여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20)는 도면 영상(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120)는 도면 영상(2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좌표를 검출하는 모션 좌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투사부(110)에 의해 투사된 도면 영상(20)의 주위에 상기 모션 좌표 검출부와 같은 검출부(120)를 배치하면, 상기 검출부(120)는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에 대하여 취한 각종 제스쳐들(예컨대, 터치, 드래그 등)을 인식하고 그 좌표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션 좌표 검출부는 립 모션(leap motion)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출부(120)는 도면 영상(2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영상 처리를 통해 도면 영상(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20)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가 제공하는 도면 영상(2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을 확대, 축소, 이동 또는 회전시켜 도면 영상(20)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가 제공하는 도면 영상(20)에는 부재에 관한 기하학적인 정보 외에 상기 도면 영상(20)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영역(22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220)을 터치하는 등의 모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도면 영상(20)에 표시된 도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의 확대 입력 영역(221)에 모션을 취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응답하여 도면을 확대시켜 도면 영상(20)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의 축소 입력 영역(222)에 모션을 취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축소 입력에 응답하여 도면을 축소시켜 도면 영상(20)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의 이동 입력 영역(223, 224, 225, 226)에 모션을 취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이동 입력에 응답하여 도면을 소정의 방향(예컨대, 상, 하, 좌 및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면 영상(20)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의 회전 입력 영역(227, 228)에 모션을 취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회전 입력에 응답하여 도면을 소정의 방향(예컨대, 시계 반대 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면 영상(2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는 사용자로 하여금 모션 등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도면 영상(20)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에서 도면 내용을 쉽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20)에 표시된 부재의 사이즈와 실물 부재의 사이즈 간 비율이 1:1이 되도록 상기 도면 영상(20)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의 사용자 입력 영역(220) 중 1:1 축척 입력 영역(229)에 모션을 취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1:1 축척 입력에 응답하여 축척이 1:1인 도면 영상(20)을 제공할 수 있다.
축척이 1:1인 도면 영상(20)은 영상에 표시되는 부재의 사이즈와 실물 부재의 사이즈가 동일하도록 확대 또는 축소된 것으로, 도면 영상(20)에 나타나는 부재가 실물 부재와 동일한 크기이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영상 내 부재와 실물 부재를 대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에는 실물 부재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부재가 표시되는 도면 영상(20)의 평면과 영상 투사부(110) 간의 기준 거리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투사부(110)와 표시 평면(200, 200') 간의 기준 거리 D' 및 현재 거리 D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투사부(110)로부터 투사되는 도면 영상(20)에 실물 부재와 동일한 사이즈로 부재가 표시되는 기준 표시 평면(200')이 존재하고, 현재 상기 도면 영상(20)이 표시되는 현재 표시 평면(200)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표시 평면(200)이 상기 기준 표시 평면(200')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영상 투사부(110)가 투사하는 도면 영상(20)은 축척이 1:1이나, 상기 현재 표시 평면(200)과 상기 기준 표시 평면(200')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면 영상(20)은 축척이 1:1이 아니게 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투사되고 있는 도면 영상(20)의 축척이 1:1이 아닌 경우, 도면 영상(20)의 축척을 1:1로 조정하기 위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에는 영상 투사부(110)와 기준 표시 평면(200') 간의 기준 거리 D'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투사부(110)와 상기 현재 표시 평면(200) 간의 현재 거리 D를 입력받아, 상기 기준 거리 D'와 상기 현재 거리 D를 기반으로 도면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확대 또는 축소 비율에 따라 도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도면 영상(20)을 조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현재 거리 D가 상기 기준 거리 D'의 절반인 경우, 도면 영상(20)의 축척은 1:2로 간주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도면 영상(20)을 2 배로 확대시켜 도면 영상(20)의 축척을 1:1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현재 거리 D는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에 포함된 입력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에 포함된 별도의 거리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가 도면 영상(20)의 축척을 1:1로 조정하는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는 실물 부재를 도면에 표시된 부재와 육안으로 대조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면에 기초하여 구조물에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부재 설치 전에 상기 도면 영상(20)의 축척을 1:1로 조정하고 실물 부재와 도면에 표시된 부재를 대비하여, 도면과 다른 잘못된 부재를 설치하는 오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을 조작하는 기능 외에 도면에 부가 정보를 결합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가 도면 영상(20)에 부가 정보(230)를 추가하여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에 관한 부가 정보(230)를 불러오고, 상기 부가 정보(230)가 도면 영상(20)에 추가되도록 상기 도면에 상기 부가 정보(230)를 결합시켜 영상 투사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가 정보는 도면에 표시된 부재의 비-기하학적인 정보, 예컨대 재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가 정보는 도면에 표시된 부재의 작업 일정과 같은 작업 정보, 부재의 구매 여부와 같은 구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부가 정보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도면 영상(20)에 대하여 부가 정보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예컨대, 도면 영상(20) 내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부재의 영역에 모션을 취함),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부가 정보를 불러와 도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도면 영상(20)에 부가 정보(230)를 추가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거나, 별도의 부가 정보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나, 부가 정보의 저장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영상 투사 방법(30)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 영상 투사 방법(3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영상 투사 장치(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방법(30)은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영상 투사부(110)에 전송하는 단계(S310), 상기 도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면 영상(20)을 투사하는 단계(S320), 상기 도면 영상(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S330),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 영상(20)은 수직면(201) 또는 수평면(202)에 투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 영상 투사 방법(30)은 구조물을 식별하기 위한 구조물 식별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영상 투사부(110)에 전송하는 단계(S310)는,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영상 투사부(11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 영상(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S330)는, 상기 도면 영상(2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S34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을 확대, 축소, 이동 또는 회전시켜 상기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S34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20)에 표시된 부재의 사이즈와 실물 부재의 사이즈 간 비율이 1:1이 되도록 상기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20)의 축척이 1:1이 되도록 상기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는, 영상 투사부(110)와 도면 영상이 표시되는 평면(즉, 현재 표시 평면)(200) 간의 현재 거리 D를 입력받는 단계(S341), 실물 부재와 동일한 사이즈로 부재가 표시되는 도면 영상(20)의 평면(즉, 기준 표시 평면)(200')과 영상 투사부(110) 간의 기준 거리 D'와 상기 현재 거리 D를 기반으로 도면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S342), 및 상기 확대 또는 축소 비율에 따라 도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S3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20)을 조작하는 단계(S34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에 관한 부가 정보(230)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부가 정보(230)가 도면 영상(20)에 추가되도록 상기 도면에 상기 부가 정보(23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 영상 투사 방법(3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도면 영상 투사 방법(30)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 도면 영상 투사 장치
20: 도면 영상
110: 영상 투사부
120: 검출부
130: 제어부
140: 리더부
150: 저장부
160: 통신부
170: 입력부
200: 현재 표시 평면
200': 기준 표시 평면
201: 수직면
202: 수평면
220: 사용자 입력 영역
230: 부가 정보
D: 현재 거리
D': 기준 거리

Claims (7)

  1. 사용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도면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 내 도면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도면 영상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구조물을 식별하기 위한 구조물 식별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리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조물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면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영상 투사부에 전송하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 내 사용자의 모션 좌표를 검출하는 모션 좌표 검출부를 포함하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을 확대, 축소,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도면 영상에 표시된 부재의 사이즈와 실물 부재의 사이즈 간 비율이 1:1이 되도록 상기 도면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실물 부재의 사이즈와 상기 도면 영상에 표시된 부재의 사이즈가 동일하게 표시되는 상기 영상 투사부와 상기 도면 영상이 투사되는 평면 간의 기준 거리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와 상기 도면 영상이 투사되는 평면 간의 현재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거리와 상기 현재 거리를 기초로 상기 도면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조절하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면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도면 영상에 결합하여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는 도면 영상 투사 장치.
KR1020150123727A 2015-09-01 2015-09-01 도면 영상 투사 장치 KR10172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27A KR101724441B1 (ko) 2015-09-01 2015-09-01 도면 영상 투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27A KR101724441B1 (ko) 2015-09-01 2015-09-01 도면 영상 투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49A true KR20170027149A (ko) 2017-03-09
KR101724441B1 KR101724441B1 (ko) 2017-04-07

Family

ID=5840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727A KR101724441B1 (ko) 2015-09-01 2015-09-01 도면 영상 투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606B1 (ko) * 2018-12-27 2019-06-17 주식회사 투윈테크 반도체 제조설비 설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5722A (ko) * 2019-10-17 2021-04-27 조성준 아파트 전기설비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698A (ja) * 2002-09-30 2004-04-15 Sony Corp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275327A (ja) * 2003-09-19 2005-10-06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投射表示装置
JP2007228315A (ja) * 2006-02-24 2007-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建屋内における構造物の建設工事及び点検支援装置
JP2008225556A (ja) * 2007-03-08 2008-09-25 Lunascape Co Ltd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698A (ja) * 2002-09-30 2004-04-15 Sony Corp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275327A (ja) * 2003-09-19 2005-10-06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投射表示装置
JP2007228315A (ja) * 2006-02-24 2007-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建屋内における構造物の建設工事及び点検支援装置
JP2008225556A (ja) * 2007-03-08 2008-09-25 Lunascape Co Ltd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606B1 (ko) * 2018-12-27 2019-06-17 주식회사 투윈테크 반도체 제조설비 설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5722A (ko) * 2019-10-17 2021-04-27 조성준 아파트 전기설비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441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4085B2 (en) Augmented reality quick-start and user guide
US89708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ser's operation of image reading apparatus
US10438409B2 (en) Augmented reality asset locator
US10636391B2 (en) Electronic label system includ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onic labels
EP3037924A1 (en) Augmented display and glove with markers as us user input device
US201601019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validation
US896425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5482522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7655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2103189A (ja) 作業現場監視装置、作業現場監視システム、作業現場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301690A1 (en) Input-operation detection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projector apparatus and projector system
KR101724441B1 (ko) 도면 영상 투사 장치
US115873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distorted image
JP5657471B2 (ja) デジタル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
JP2014174507A (ja) 拡張現実表示装置及び情報端末並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プログラム
EP2908213A1 (en) System for displaying printer information
US98811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pairing devices
JP577300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5836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JP202214519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9593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n industrial process
US11367176B2 (en) Commodity management device and commodity management system
US8963835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 item on a display unit
WO201609817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1554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